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원 연수 파견 및 복직 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사회과 파견교사를 중심으로 -

        정영선 ( Young Son Jung ),조영달 ( Youngdal Cho ),이승연 ( Seung-yun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1

        이 연구는 교원 연수 파견 제도를 통해 대학원에 진학한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교사들은 자신의 교과와 교수 학습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대학원 진학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와 대학원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다. 학교는 교수 학습이라는 실제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동체이며, 대학원은 교수 학습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주로 하는 공동체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성격의 공동체를 오가는 경험은 교사로서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가? 이들의 전문성은 향상되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교원 연수 파견 제도를 통해 대학원에 진학했던 세 명의 사회과 교사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세 교사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교원 연수 파견 제도의 경험을 통해 교사의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학교와 대학원에서 이들은 각각 교사 정체성, 연구자 정체성을 발전시켜왔으며, 이 둘은 때로는 분리되어, 때로는 상생하며 변화하였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전문성이 교원 연수 파견 제도의 경험을 통해 계발되었다고 생각했지만, 학교에 복귀한 후에는 대학원이라는 학문 공동체에서의 경험이 학교 현장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경우, 복귀한 학교의 현장이 교사 자신의 전문성을 적용할 수 있는 맥락인 경우에 한하여 교원 연수 파견 제도에서의 경험이 교사로서의 삶에 지속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의 교육 정책적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첫째, 대학원 파견 교사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둘째, 학교교육의 개선을 위해 파견교사들의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하게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changes by exploring the narratives of three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Graduate School Secondment Program (GSSP). This program functions to help in-service teachers develop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o become leaders among other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our study, the three teachers only regard the GSSP as meaningful and beneficial to thei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f they could employ the knowledge learned in graduate school to teach the students in their schools or to help other teachers in the teacher communities outside their schools. In school cultures that does not tolerate new ideas t graduate school studies, these teachers tended to hide the knowledge they had learned in graduate school, and therefore they have constructed professional identities unrelated to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s. Based on this fin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SSP must include a subprogram for connecting its participants to the teacher communities outside schools to encourage its participants to develop a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and become leaders among teachers.

      • KCI등재

        교사와 학생과 연구자 사이에서: 석사과정 파견 과학교사들의 연수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영희,신세인,이준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1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 중 과학교사의 경험을 그들의 입장에서 현상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석사과정 파견과학교사들의 경험과 그 경험이 가지는 교육학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로서 과학교사들의 경험은 그들 자신에게 어떠한 것인가?’라는 의문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 의문에 답하기 위하여 중부권과 서남권의 국립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파견연수 과정을 경험한 7명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Van Manen(1990)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21개의 드러난 주제로부터 5개의 본질적 주제를 추출하였다. 교사와 학생, 그리고 연구자로 생활하는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경험들은 ‘전문성계발 욕구의 기회’, ‘교사와 학생의 정체성 혼재’, ‘연구자의 정체성 형성’, ‘교사로서 자신감’, ‘덤으로 얻은 선물과 애로점’으로 나타났다. 파견연수 경험을 통해 향상된 교사의 자신감과 교사전문성으로 교육현장에서 교사로, 연구자로서의 생활하거나 연수과정에 있는 파견 과학교사들의 경험들은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견교사들에 대한 경험적 이해가 교사연수에 제공하는 함의를 교사의 질 향상과 교사연수에 대한 정책적 측면에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r teachers who experienced ‘dispatched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of the university located in souther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all participants. Field notes, recording under the participants’ agreements. The data interpreted to using Van-Menen(1990)’s phenomenological analysis framework. Result of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nts are experiencing the following 5 essential themes: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and opportunities’,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Forming identity as a researcher’, ‘Confidence as a teacher’, ‘Gift and sorrow, which is obtained as a bonus’. More precisely this study found following 21 identified themes.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n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ew scien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파견제도 인식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초등과학교육전공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김경 ( Kyung Kim ),유선아 ( Suna Ryu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2 No.2

        본 연구는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과학전공 파견교사들의 경험 속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파견교사들의 이야기와 그들의 경험이 가지고 있는 교육학적 의미 및 논의점을 알아보고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파견 5명을 목적표집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방법을 통한 참여자의 경험 속에서 의미를 찾기 위해 인터뷰자료를 전사하고 줄 단위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비교 및 분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초등과학전공 파견교사들은 바쁜 학교생활의 탈출구로서의 파견생활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배움에 대한 열망을 보였으며 초등과학교과 전문가로서 다양한 능력을 키우고 싶은 바램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위해 본교에서는 초등과학전공으로서의 특수성 및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좀 더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파견교사 제도는 많은 연수 프로그램 중 가장 긴 형태의 연수이며, 교사 개인 및 교육적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실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끊임없이 연구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또한 초등과 학교육 전공으로 파견제도는 단순히 과학분야에 대한 자신감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현장에서 겪는 어떤 일이든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해주는 의미 있는 경험임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파견제도 자체를 모르는 교사들도 상당수 있다는 인터뷰 내용으로 볼 때,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파견제도를 알려 더 많은 교사들이 파견제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질향상과 파견제도에 대한 정책적 측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많은 행정적 예산을 투입하여 만들어진 `개인의 교육 전문가`의 경험이 파견 종료 후, 더 많은 교사와 공유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파견연수라는 국가적 사업이 한 개인의 경험에서 끝나지 않고, 궁극적으로 전체적인 교육의 질 향상과 연결 될 것이다. The study describes teachers` reflections, ideas and concerns from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 at a universit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his purpose, five elementary science dispatches were invite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elementary science majors` dispatch teachers appreciate their intensive graduate program and want to develop various abilities as elementary science subject experts. To do this, teachers suggest that the university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to reflect the special needs of elementary science majors and the needs of educator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effort to advertise this program intensively because many teachers did not even know the existence of this program. The dispatched teacher system is the longest type of training program among many other training programs,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in terms of individual and educational teachers. Therefore, the curriculum satisfying the needs of the teachers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addition, the elementary dispatches said they came to believe that they would overcome any challenge from their schools with the confidence gained from their experience in this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policy aspects of teacher quality improvement and dispatching system are as follows. Teachers other than the dispatches can be benefit if there a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the dispatches can share their knowledge and skills gained from this program with others. In doing so, the national project of dispatching training not only becomes an invaluable personal experience, but becomes a pipe line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national education.

      • KCI등재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신철균,고낙원,고영남,김평강,이상모,함진숙,김명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n support of regionally-linked curriculum in schools conducted by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in regional 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practice research on regionally-connected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composed of trainees dispatched to the graduate school carried out support activities to activate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encourage teachers to step outside the school and connect with the village. Specific support activities include provision of regional-linked curriculum materials, online map production (local educational resource mapping), connection of villagers, and support for village feasts. As a result of this action research, the support for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by dispatched teachers not only helped schools to operate regionally connected curriculum,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dispatched teachers to support unit schools and grow as experts in local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First, the school support activities of dispatched teacher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and rethink the meaning of graduate school training. Second, it is meaningful as an activity that helped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ctivities by matching the areas that needed support from local schools with the expertise that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have accumulated as teachers. Third,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has the meaning of linking the parts learned at the graduate school with the school field. 본 연구는 대학원 파견교사로 구성된 연구진이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과 학교와 마을의 연계를 지원하여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개선에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연구진은 단위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지역연계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고, 교사들이 학교 밖 마을과 연계하는 활동을 지원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진은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연계 교육과정 제공, 온라인 지도 제작(지역 교육자원 지도화), 마을주민과의 연결 지원 등의 활동을 학교 현장 교사들과 함께 실행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지원이 학교가 지역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파견교사가 단위학교를 지원하고 지역교육 전문가로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파견교사의 참여 실행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파견교사의 학교 지원 활동은 파견교사의 역할과 파견연수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대학원 파견교사들이 교사로서 쌓아온 전문성과 지역 학교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매칭되어 학교 교육활동 개선에 도움을 준 활동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파견교사의 참여실행연구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과 더욱 긴밀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영란(Young-Ran Park),이윤주(Yoon-J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러한 결과가 이들의 교사로서의 인식과 실천에 주는 함의를 탐구하는 데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을 통해 교사의 삶과 자질의 변화를 생동감 있게 담아내고 총제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수학체험센터 파견근무 경력이 1년 이상인 중등수학교사 2명을 대상으로 각 3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직접 센터를 방문하여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파견근무를 선택한 교직 경험에서부터 시작하여 공간성과 관계성을 기준으로 교사, 파견교사, 개인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파견교사들은 수학체험센터 운영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교과 전문성 향상’을 통한 ‘교육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첫째, 수학 교육의 방향성을 찾으면서 ‘만들어진 교사’에서 ‘만들어 가는 교사’로의 역할 전환. 둘째, 지위에 따른 주체성을 자각하면서 ‘가르치는 교사’에서 ‘스스로 배우고 노력하는 교사’로의 태도 전환, 셋째, 관계 형성과 업무 환경의 변화를 통해 ‘교과 전문가’에서 ‘교육 전문가’로 정체성 성장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교사가 새로운 교육환경에서 주체적인 지위와 도전을 통해 얻은 교육적 성취가 자신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목표 행동을 활성화시켜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교육적 실천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dispatched teachers’ experiences of operating a Math Experience Center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ir perceptions and practices as teacher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to vividly capture the changes in the life and qualities of teach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operating the mathematics experience center of dispatched teachers an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each for two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orking at the mathematics experience center, and field texts were collected by visiting the center in person. Starting with the teaching experience that chose dispatched work, th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teachers, dispatched teachers, and individual areas based on spatiality and relationship. Result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ath Experience Center, the dispatched teachers experienced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growth as ‘education professionals’ by improving their subject expertise. These experiences led to, first, a role shift from a ‘made teacher’ to a ‘making teacher’ while searching for a direc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second, an attitude shift from a ‘teacher who teaches’ to a ‘teacher who learns and strives’ while recognizing the subjectivity of status; and third, an identity growth from a ‘subject matter expert’ to an ‘education expert’ through relationship formation and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gained by teachers through subjective status and challenges in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activate target behavior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practice.

      • KCI등재

        초등교사의 체육전공 석사 파견 경험 및 의미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유예진(Yu, Ye Jin),배명훈(Bae, Myeong Hun),김영식(Kim Young Sik)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2

        목적: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초등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주관적 경험을 그들의 시각에서 해석하여 그들의 경험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체육 전공 석사과정을 경험한 현직 교사 3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자료 수집 방법은 심층면담이었으며, 이와 더불어 연구자의 연구노트,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기록물 등을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세 연구 참여자는 파견 경험을 통해 연구 및 업무 능력 신장, 개인적 변화, 체육수업 및 철학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세 연구 참여자의 체육 전공 파견 경험의 의미는 "연구의 문외한에서 교사연구자로", "넓어지고, 깊어지고", "기대와 현실의 불일치, 그로부터 나아가기", "도약을 향한 작은 날갯짓"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파견연수 생활에 대한 경험을 상세히 기술하고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파견연수에 관심 있는 교사들에게는 지원을 위한 도움자료가 될 것이며, 파견연수 관련자들에게는 교육과정 개선 및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teachers dispatched to the master"s course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rough narrative inquiry,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Methods: Three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a master"s course in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proceeded according to the five stages of narrative inquiry.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 of this study was in-depth interview, the researcher’s research note and personal record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First,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improvement of research and work ability, personal change, and change in classes and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dispatch. Seco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as categorized as. "from outside of research to teacher-researcher", "expanding and deepening", "disagreement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moving forward", and "little wing towards a leap forward".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support for teachers interested in dispatched training by describing in detail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dispatched training life, and for those involved in the dispatch training,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curriculum.

      • KCI등재

        과학교사들의 개발도상국 파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안태수,홍훈기 한국교육인류학회 2022 교육인류학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과학교사들이 교육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하여 개발도상국에서 교육활동을 하고 돌아온 경험을 내러티브로 탐구했으며, 파견 경험이 현재의 삶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우리나라는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변한 유일한 국가로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분야에 대한 원조 요청도 증가하고 있다.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세계적으로 기초과학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교육 ODA도 증가 되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과학교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과목의 교사들에게도 파견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개발도상국으로 파견을 다녀온 참여자들은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생겼고, 도전하는 것에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자신감 있는 태도로 임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환경을 변화시켰다. 교육부에서 제시한 미래교사 역할에서는 ‘협력자’, ‘기획자’, ‘소통·중재자’, ‘혁신가’ 등 모든 역할에 파견 경험은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PCK를 구성하는 지식인 교육과정, 교수전략, 학습자, 평가에 관한 지식을 체득하였으며, 과학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영향을 끼쳤다. 이 연구가 개발도상국으로의 파견을 고민하는 교사와 파견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관계자 등 교육 국제개발협력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 참여 파견교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며

        박순용,김종훈,김상혁,고석영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2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7 No.2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APTE)은 2012년 이래 7개 교류국과 지속적인 교사초청과 파견을 통해 운영되는 교육사업이다. 이 연구는 APTE에 참여한 파견교사들의 경험과 이를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의의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본 사업에 관여한 국가 간 교육체제 및 문화적 맥락; 둘째, 본 사업에 참여한 파견교사의 실제 활동과 학교 경험; 셋째, 교사들의 APTE 경험이 세계시민교육(GCED)에 대해 시사하는 바에 대해 살펴보았다. APTE 파견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여 심층면담한 자료와 관련 문헌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파견교사들은 교류국 현지에서 낯선 일상과 학교의 문화를 경험하면서 본국과의 맥락적 차이를 인식하고 현지인들과의 소통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 둘째, 생소한 일상체험과 문화적응 과정에서 새로운 교수법을 구상하는 등 본국과 대비되는 새로운 교육 경험을 통해 교육의 본질을 상기하고 성장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경험들은 GCED가 상호 문화 이해와 국제적 연대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교류를 통한 관계의 형성 속에서 실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동시에 파견교사 개인의 차원에서는 교육의 본질과 교사로서의 사명에 대한 회복적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성과에 관한 혼합연구*

        김선희(Kim, Sun Hee)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소아암 환아 가족을 위한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의 성과를 규명하여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양적연구에서 사전검사는 2019년 2월부터 건강돌봄교사 최초 파견시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는 참여자별로 해당 서비스(20회기)가 종료된 후에 하였다. 양적자료분석방법은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소아암 환아(N=34)의 사전 레질리언스의 평균은 96.79이며, 사후 레질리언스의 평균은 108.68이었다. 보호자(N=58)의 사전 양육스트레스의 평균은 43.90이며, 사후 양육스트레스의 평균은 42.14로 나타났다. 질적연구에 있어서는 소아암 환아 6명, 보호자 6명이 심층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질적연구결과에서는 양적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소아암 환아의 레질리언스의 증가’와 ‘보호자의 양육스트레스 감소’가 동일하게 나타났고 이 밖에도 다차원적인 성과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에 참여한 소아암 환아가 ‘투병생활에 활기를 주는 특별한 만남’을 갖게 되었으며, 개인 내적 특성 관련 성과로 긍정적 정서 향상 및 긍정적 자기이해가 나타났다. 소아암 환아의 대처 양상 특성 관련 성과로는 자립성 향상과 자원동원성 향상이 나타났다. 소아암 환아의 대인관계 특성 관련 성과로는 관계기술 및 사회성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보호자의 자기돌봄 및 가족돌봄시간이 확보되었으며, 환아에 대한 양육환경이 개선되었고, 환아의 형제관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본 혼합연구는 건강돌봄교사파견사업 수행이 갖는 개입의 효과성을 규명하고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health care teacher dispatch project for families with pediatric cancer patients and identify the outcomes of the project in order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used mixed methodology.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prior inspection had been carried out when dispatching a health care teacher for the very first time from February 2019. Regarding the post-inspection, it had been done after the concerned service (20 sessions) by the participant ended. And, regarding the quantitative data analysis method, a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 matched pair t-test) had been carried out. The average of the pre-resilience of the children with cancer (N=34) was 96.79. And the average of the post-resilience was 108.68. The average of the pre-rearing stress of the protectors (N=58) was 43.90. And the average of the post-rearing stress appeared as being 42.14. For the qualitative approach, 6 children and 6 par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increase in resilience of children with cancer’ and ‘reduction in rearing stress of protectors’, which were identically observed even in those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were found. In addition, the multidimensional outcome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cancer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care teacher dispatch project had a ‘special meeting that energizes their lives of struggling against illness, thereby showing positive emotional improvement and positive self-understanding as outcomes related to personal intrinsic characteristics. Moreover, there were improvements in self-reliance and resource mobilization as outcomes related to the coping-pattern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nd improvements in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ity as outcomes related to their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self-care and family-care time of their protectors was secured. In addition, the nurturing environment for the children and their sibling relationship were improv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Therefore, this mixed method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are teacher dispatch project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 KCI등재

        대학원 파견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교사의 미술교육전문성 신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안아영(Ahn, Ah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3

        본 연구는 대학원 파견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교사의 미술교육전문성 신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으로 (1) 최근 5년 이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특별연수 과정에 참여했던 초등 교사들 중 (2) 연수 종료 후 최소 2년의 현장에서의 미술교육 경험이 있는 참여자 4인을 선발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의 경험들이 복직 이후 교육 현장에서 ‘성찰하는 실천가’, ‘탐구하는 연구가’, 그리고 ‘심미적 삶의 향유가’라는 미술교육전문성으로 치환되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program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details of the interview are analyzed after recording and transcrip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y experienced increased professionalism through the postgraduate system. Teachers who applied for escaping from their daily lives for personal development experience expanded understanding of art subjects, learn the ability to express art, an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In addition, the identity of researcher is formed, and these experiences have been replaced by the art-educational professionalism of “reflecting practitioners”, “exploring researchers”, and “favoring aesthetic life” at the educational site after returning to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