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자율적-통제적 동기유발과 중학생의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

        하선형 ( Sunhyung Ha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교육현장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고민은 학생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하나로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자율적-통제적)과 학생의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 4개 중학교 578명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반면 교사의 통제적 동기유발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자율적 동기유발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기본심리욕구가 상승시켰다. 셋째, 통제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통제적 동기유발이 학습참여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기본심리욕구가 상승시켰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강화요인으로, 통제적 동기유발에서는 위험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이는 학생의 학습참여를 높이고자 할 때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과 기본심리욕구 충족 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학습활동을 정교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und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mainl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satisfaction of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s’ motivating style (i.e., autonomy supportive and controlling) and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A total of 578 students (female = 305) completed a multi-measure questionnair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i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motivating style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BPNS) and learning engagement. Specifically, autonomy supportive motivating related positively to students’ BPNS and learning engagement, whereas controlling motivating related negatively to them.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support motivating and learning engagement was moderated by BPNS. It means that this positive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when needs satisfaction was higher (vs. lowe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ntrolling motivating and learning engagement was moderated by BPNS. It also means that this negative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when needs satisfaction was higher. This study thus highlights a potential value of BPNS underlying mechanisms between teachers’ motivating style and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to enhance learning engagement at school.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율적, 통제적 동기와 학업태도 관계에서 학교환경의 조절효과:학습시설만족도, 교사전문성, 수업분위기를 중심으로

        은주희 ( Eun Ju Hui ),최진실 ( Choi Jin Si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태도의 관계에서 학교환경 변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습동기는 자율적 동기와 통제적 동기로 구분하였고, 이와 상호작용하는 학교환경 변인으로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사전문성, 수업분위기, 학습시설만족도를 상정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고용패널II(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율적 동기 및 통제적 동기는 학업태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절효과 검증결과에서는 자율적 동기와 학업태도의 관계에 세 가지 변인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설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전문성이 높을수록, 수업분위기가 좋을수록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가 학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통제적 동기와 학업태도 관계에서 조절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 무엇보다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학습환경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특히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사전문성과 수업분위기를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중심의 물리적 환경 설계와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 The motivation for learning was divided into 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s, and the factors for the school environment that interacted with them were teacher professionalism, class atmosphere, and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facilities. To do thi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KEEP) data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s a result, autonomous 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ttitudes. The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s showed that all variabl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facilities, the higher the class atmosphere and teacher professionalism,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ed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the moderating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results. It shows that should consider the need to establish a learning environment that enhances learners' autonomous motiv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class atmosphere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it suggested the need for a learner-centered physical environment design and operation.

      • KCI등재

        장애인 스포츠 팀 내 코치의 다차원적 통제적 코칭전략이 선수의 자기결정동기에 미치는 영향

        천승현 ( Sung Hyeon Cheon ),이재원 ( Jae Wo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1) 장애인 스포츠 팀 내 코치의 통제적 코칭전략들과 자율성지지의 부적관계를 살펴보고, 2) 코치의 통제적 코칭전략과 장애인 선수들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통제적 코칭방식 내 다차원적 통제전략이 선수들의 자기결정동기(self-determined motivation)의 구성요소인 내적동기, 통합·확인규제, 통제동기(controlled motivation)를 구성하고 있는 의무감 규제와 외적규제, 그리고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장애인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선수 (N=107)를 대상으로 각각 코칭방식이 선수들의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통계기법으로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제적 코칭방식은 선수들의 통제동기인 의무감 규제와 외적규제, 그리고 무동기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성지지는 선수들의 내적동기와 자기결정동기인 통합·확인규제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코치의 자율성지지는 선수들의 내적 즐거움과 흥미를 유발하며, 활동에 따른 개인의 뚜렷한 목표 그리고 삶과 활동에서 비롯되는 의미·가치를 부여하는데 효율적인 코칭방식인 반면, 코치의 통제적방식은 선수들의 수치심, 죄책감, 그리고 사회적 비교를 통한 자아성향을 자극하고, 물질적 보상과 혜택에 대한기대감으로 스포츠라는 활동에 대한 진정한 가치와 의미를 손상시키는 전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코치의 지나친 개인통제는 선수들이 외적규제를 야기하며, 협박·위협은 선수들의 의무감 규제(죄책감, 수치심 등)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장애인 스포츠에 종사하는 현장지도자들을 위한 바람직한 코칭행동과 효과적인 전략들에 대한 논의와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oach controlling strategies and autonomy supportive styl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controlling strategies and types of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in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en, it was investigated influences of controlling strategies adopted by coaches on the quality of motivation of the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e athletes with disabilities (N=107) who participated in disability sports were recrui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coach coaching styles (controlling vs. autonomy supportive) on the quality of motivation within the disability sport contex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sults demonstrated controlling strateg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ntrolled form of motivation and motivation with in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these strategies positively predicted interjected regul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as well as motivation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Specifically, one of controlling strategies, excessive personal control positively predicted athletes` interjected regulation, and another one of these strategies, intimidation positively predicted external regulation and motivation of disabled athletes. In contrast, coach autonomy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such as integrated and identified regulation, and it positively predicted the high quality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disabled athletes within sports context. Results are discussed in light of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al strategies and their influences on athletes` motivation within disability sport context.

      • KCI등재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선수의 질투심과 무동기에 미치는 효과

        송용관,최영준,황승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1

        선수의 질투심은 사회적 환경 요소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스포츠 상황에서 질투심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선수의 질투심과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 4개 대학에재학 중인 대학학생운동선수 275명을 대상으로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 질투심과 무동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검사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분석과 연구목적에 따라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방식은 선수들의 질투심과 무동기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통제적 방식은 선수들의 질투심과 무동기를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선수의 질투심은 무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첫째, 지도자의 자율성지지 방식은 선수들의 질투심을 예방 및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무동기를 예방하는 상호소통방식이다. 둘째, 지도자의 통제적 방식은 선수들의 질투심을 더욱 촉진 및 유발시키고 무동기로 이어지게 한다. 셋째, 선수들의 질투심이 높을수록 선수들의 동기는 저하되어 무동기로 이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선수들의 질투심과 무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선수들의 질투심과 무동기를 낮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결과는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질투심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통제적 동기를 매개로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민경(Min Kyung Kim),신제구(Je Goo Shin)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와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 간에 긍정적인 메커니즘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제적 동기(control motivation)의 매개효과와 리더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적용한 조절된 매개효과(mediated moderation)를 통해 연구모델의 전반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다양한 업종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의 측정시기를 분리하여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해결하였고 통제변수는 정서성을 사용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명확한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 구성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통제적 동기를 매개로 하여 직무열의가 증가되고 직무소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구성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리더의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어 통제적 동기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리더의 사회적 지지의 상효작용은 통제적 동기를 매개하여 직무열의가 증가되고 직무소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 간에 긍정적인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검증하여 기존 연구의 흐름과 다른 관점에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 리더의 역할에 대한 향후 연구과제 및 한계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work engagement and job burnout. Thus, The mediating effect of control motivation and mediated moderation applying moderating effect of leader s social support are to identify the overall mechanism of the research model. The common method bias was solved by separating the measurement period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workers who work in various industries, and the control variables were used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using the emoti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f organizational member’s confirms that engagement for work is increased and job burnout is reduced through controlled motivation. Second,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was moderated by leader s social support, and Alleviate the control motive. Thir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of organization Members and the interaction of leader s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ed that work engagement increased and job burnout decreas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new implica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and direction on the role of leader, by deeply examining the mechanism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ositive result with negative side of organization members Respectively.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양육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홍국진(Gukjin Hong),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양육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1∼3차년도 데이터(초5∼중1, 6509명)를 사용하여 1차년도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양육이 2차년도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동기를 매개로 3차년도 학업성취와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내적조절과 확인된 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제적 양육은 부과된 조절과 외적 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확인된 조절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외적 조절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적 조절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부과된 조절은 미미하지만 유의한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 조절과 확인된 조절은 또래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부과된 조절과 외적 조절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양육이 학업성취와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자기결정 조절유형을 통한 간접효과도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학업적 영역에서의 적응뿐만 아니라 사회적 영역에서의 적응에 있어 자율성 지지적인 양육 환경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종단적 효과를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ng role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on the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s and controls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peer attachm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the data drawn from KELS2013, a longitudinal data of 6,509 fifth graders followed over 3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autonomy supports increased adolescents" autonomous motivations(intrinsic and identified regulation), while parental controls increased controlled motivations(external and introjected regulation). Autonomous motivation increased peer attachment whereas controlled motivation decreased it. As expected, identified regulation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external regulation decreased academic achievement. Unexpectedly, introjected regulation revealed positive effect and intrinsic regulation revealed no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o the direct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s and controls on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attachment, their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s were also confirm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ighlighting the effect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on adolescents" social adjustments as well as academic adjustments.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적용한 장애인 엘리트 선수의 반-도핑의도 분석

        박진우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3

        his study aims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preventing doping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by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nti-doping intentions by apply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ETPB) to predict anti-doping intentions of Korean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tudy subjects include Korean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registered in the Korean Paralympic Committee as of 2022. This study used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by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 First,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TPB was suitable. Second, autonomous motivation was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ird, controlled motivation was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inally,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anti-doping intention, but the subjective norm was not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anti-doping intention. 본 연구는 확장된 계획행이론(ETPB)을 적용하여 국내 장애인 엘리트 선수들의 반-도핑 행동의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22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등록된 장애인 엘리트 선수들로 총 300명을 편의표집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집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23.0 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였다. 또한,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 간 독립성 및 측정 모형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p)은 .05로 설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장애인엘리트선수들의 반-도핑 행동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안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에 대한 자율적 동기는 계획행동의 구성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스포츠에 대한 통제적 동기는 계획행동의 구성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넷째, 기존 계획행동이론의 구성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제적 코칭행동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청소년 선수들의 운동정체성과 접근-회피동기의 다중매개효과

        송기현 ( Ki Hyun Song ),정구인 ( Koo In Ju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thletic identity and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on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 athletes and athletic burno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Deci & Ryan, 1985). Methods: The subjects include 407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boys=220, girls=187) attending an athletic or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Chungcheong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put to the fitness test of the overall model and hypothesis test with SPSS 18.0 and AMOS 18.0.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thletic identity turned out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s and athletic burnout. Second, the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of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had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s and athletic burnout. Finally, both athletic identity and the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of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had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s and athletic burnout. Conclusion: Those findings show that coaches`` controlling coach behaviors induce negative athletic identity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thus facilitate athletic burnout.

      • KCI등재

        모의 자율성지지 및 조건부 관심, 자율적 동기, 친사회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이지연,장형심 한국여성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ceived mother's autonomy support, conditional regard, autonomous motivation and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utonomous motivation mediates the otherwise direct effects that perceived mother's autonomy support and conditional regard have on prosocial behavior. One-hundred and sixty six students self-reported their class-specific perceived mother's autonomy support, conditional regard, autonomous motivation and prosocial behavior. Structural analyses showed that autonomy support contributed positively to autonomous motivation while conditional regard(conditional positive regard and conditional negative regard) contributed positively controlled motivation; autonomous motivation in turn contributed positively to prosocial behavior while controlled motivation contributed negatively to prosocial behavior. Test for mediation showed that autonomous motivation mediated the direct effect autonomy support had on prosocial behavior.; while controlled motivation mediated the direct effect conditional regard had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