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층 취업선호도와 노동시장 진입의 관계

        최율(Yool Choi),이왕원(WangWon Lee)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5

        취업선호도는 개인이 직장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다양한 경제적, 비경제적 요소를 지칭한다. 최근 청년층의 취업선호도는 청년층 실업이나 중소기업 인력난 등과 연계되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보통 언론들은 취업눈높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청년층 취업선호도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대부분의 기사들은 청년층 대졸자들의 너무 높은 취업눈높이가 그들의 구직과정과 노동시장에 미치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취업선호도에 대한 논의가 언론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이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을 활용하여 청년층 대졸자가 지닌 취업선호도가 이후 그들의 노동시장 진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우선, 대졸자의 다양한 취업선호를 반영하는 16가지 문항을 이용하여 대졸자의 취업선호도를 유형화할 수 있는 잠재집단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해진 취업선호도 잠재집단이 대학졸업 후 첫 취업에 미치는 효과를 생존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대졸자의 취업선호도는 총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되었다.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은 취업선호를 갖는 집단과, 가장 낮은 취업선호를 갖는 집단, 서로 다른 영역을 중요시하는 두 개의 중간 집단의 네 가지 유형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 대졸자의 취업선호도 잠재집단이 위계적 차이와 질적인 차이를 모두 가지는 매우 이질적인 집단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생존분석에서는 취업선호도가 높을수록 대기업 정규직에 취업할 확률은 높은데 반해 중소기업 정규직에 취업할 확률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취업선호도가 좋은 직장의 취업에 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언론의 취업눈높이 담론과는 사뭇 다른 결과라 할 수 있다. 높은 취업선호도를 가진 집단은 취업과정에서의 전략적 선택을 통해 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선호도 또는 취업눈높이를 단순히 개인이 수용할 수 있는 최저 취업기준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청년층이 가지고 있는 취업 목표와 희망, 나아가 전략까지도 담고 있는 복합적인 가치로 판단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preference on labor market outcomes upon the transition from college to the labor market in Korea. College graduates’ job preference is a highly controversial issue in Korea. The key argument is that the job preferences with too much expectations by the graduates hinders their employment and causes severe manpower shortage in relatively smaller corporation. Although the social discourse around graduates’ job preference is actively ongoing, surprisingly a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examined the effects of job preference on labor market outcomes.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we investigate how the level of college graduates’ job preference differentiates their labor market entry after the college graduation. We employ a Latent Class Analysis(LCA) to verify a typology of job preference among college graduates, using 16 questions covering the multiple dimensions of job preference. Next, we use Cox regression and Competing-risk model to examine how job preference affects college graduates’ first employment. Our findings indicate that four latent classes represent job preference of current college graduates and these four groups are not only quantitatively hierarchical in job preference but also qualitatively different that each group puts emphasis on different dimensions. Using these four groups and various control variables, we find that the highest job preference group is more likely to get a standard job in a large firm but i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job in a small firm and non-standard job.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job preference of college graduates has positive effects on getting a better job in Korea.

      • KCI등재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 연구

        박자경(Ja-kyung Park),배수현(Suhyun Bae),고귀영(Gwi-young Ko),유현주(Hyun-joo Yu),민지식(Jisik Min),최수정(Su-jung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는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을 통해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을 구분하여 취업 성과를 분석 및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자료 중 일자리 지원 시 중요도로 조사되는 취업선호도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상대적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화 분석을 위해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였고 군집분석 결과에 따라 분류된 취업선호도 유형의 특성 및 취업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은 근무환경, 소득 및 안정성, 성장가능성, 업무량 및 난이도의 4개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대졸 취업자의 취업선호도 특성에 따라 상대적인 취업선호도를 반영하여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성장가능성 중시형’, ‘소득 및 안정성 미중시형’, ‘업무량 및 난이도 미중시형’ 그리고 ‘취업선호 미결정형’이었다. 각 유형별로 주요 취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취업 전 직업선택동기에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유형들의 취업 성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대학 재학 중 취업지도 및 상담 제공 시 학생들의 상대적 취업선호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층의 미취업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에 대한 측정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에 대한 재정의 및 심리적 측정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s of youth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s to analyze and compare employment outcomes. In this study, among the data of the 2017 GOMS, the job preference data surveyed as important when applying for a job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outcom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ative employment preference of youth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working environment, income and stability, growth potential, and job characteristics. Seconds,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by reflecting the comparativ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s of youth,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rowth potential-oriented type’, ‘Income and stability not-oriented type’, ‘Workload & Difficulty not-oriented type’ and ‘job preference undecided typ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employment outcomes for each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 type that prioritize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before employment is more excellen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providing employment guidance and counseling while attending university or colleg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 of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the youth’s unemployment problem, and to diversify the method of measuring job preferences. Fi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definition of the criteria for decent jobs and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method.

      • KCI우수등재

        K-means 군집분석 및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취업선호도 유형화 영향요인 분석

        최진수(Choi, Jinsu),정혜원(Chung, Hyewo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8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Ⅱ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means 군집분석,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를 탐색하고, 변인의 실질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eans 군집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 유형을 각각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취업선호도에 대해서는 취업선호도 ‘하위’, ‘상위’, ‘중간’그룹으로 유형화되었고,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에 따라서는 ‘미래전망 중시’, ‘근무환경 중시’, ‘사회적 인정 중시’그룹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취업선호도와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화에는 ‘자신에 대한 이해’, ‘여가활동 빈도’, ‘타문화권과의 교류’, ‘여가시간-휴일’,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 ‘월평균 생활비’, ‘독서 선호도’, ‘한달 용돈 액수’, ‘여가시간-평일’, ‘삶의 상태’, ‘월평균 본인 소득’, ‘행복도’, ‘수면 시간’, ‘아침 식사 여부’, ‘동거인 수’, ‘아버지의 최종학력’, ‘월평균 저축액’, ‘건강 상태’, ‘자산액수’, ‘어머니의 최종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의 특성변인과 건강상태, 경제적 특성과 부모의 학력 및 금융소득이 취업선호도 유형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화에는 개인 특성과 건강상태 외에도 여가활동의 빈도와 독서 선호도가 다른 변인과 비교하여 유형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k-means 군집분석과 랜덤 포레스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함으로써 변수 간의 복잡한 관계를 고려하고 집단 분류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에 따라 적합한 취업 상담과 교육적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ignificant effects of factors and classify university students into groups by job preference using Korean Educational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In this study, k-means cluster analysis, random forest,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classify and explore major factors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three groups were formed. Then,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 Employment preference was categorized into “lower, “middle, and “upper group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ve job preference, groups were categorized as “preferring future outlook, “preferring work environment, or “preferring social recognition. Secon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group categorization by job preference and relative job preference were “understanding oneself,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interaction with other cultures, “leisure time/holidays, “average weekly exercise time, “average monthly living expenses, “reading preference, “monthly allowance amount, “life status, and “breakfas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variables of health, economic status, an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employment counseling and educational suppor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job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잠재전이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 적용

        박소영(Park, Soyoung),정혜원(Chung, Hyew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취업선호도 잠재계층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중학교 3학년을 매년 추적 · 조사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Ⅰ의 7차년도와 9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Collins & Lanza, 2010)과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 Quinlan, 1986)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분석 결과 7차년도와 9차년도 취업선호도에서 각각 3개의 이질적인 집단(이상선호형, 환경중시형, 취업탐색형)을 확인하였다. 둘째,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의 전이 확률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7차년도 잠재계층이 대부분 9차년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7차년도에 ‘이상선호형’에 속한 후기 청소년의 경우 9차년도에 ‘환경중시형’으로 변화될 확률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한 결과 9차년도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에 수능 외국어영역 등급, 성별, 아버지의 월평균 소득이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혔다.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 시기의 취업선호도의 이질적인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영향요인만을 한정적으로 분석에 활용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다양한 변인을 분석에 포함할 수 있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the job preferences of post-adolescent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tent class of job preferences. In order to do th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7<SUP>th</SUP> wave(22years old) and 9<SUP>th</SUP> wave(24years old) collected by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Ⅰ.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at 7<SUP>th</SUP> and 9<SUP>th</SUP> waves revealed that job prefer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namely, ideal preference type, environment-oriented type, and job search type. Seco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latent classes at 7<SUP>th</SUP> wave were transferred to the same classes at the 9<SUP>th</SUP> wave. Third, the decision tree analysis revealed that English achievement level, gender, and a father’s monthly income were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 취업선호도의 변화와 성별, 구직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진로발달의 동시지연효과 분석

        이효영(Hyo Young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6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년 변화에 따른 취업선호도 변화, 이 과정에서의 성별차이와 구직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와 진로발달이 취업선호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분석을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 데이터 중 10~14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의 취업선호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학년 변화에 따라 취업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성별은 취업선호도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남녀 차이가 없으며, 구직효능감의 경우에도 성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1학년 때의 취업선호도가 높은 학생들은 4학년 때 구직효능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취업선호도가 높아질수록 구직효능감도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동일 시점의 진로발달은 취업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전 시점의 진로발달은 이후 시점의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employment preference, gender and job-seeking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Also, the simultaneous and delayed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a time-dependent variable, on changes in employment preference were confirmed. For the analysis, longitudinal data from the 10th to 14th surveys (1st to 4th year college students) among the youth panel survey (YP)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loyment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changed linearly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at the employment preference increa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grad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because gend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itial value of employment prefere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 case of job-seeking efficac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high employment preference in their first year of college also had high job-seeking efficacy in their fourth year, and that as their preference for employment increased as their grades went up, their job-seeking efficacy also increased. Fourth, it was found that career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poi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reference, and career development at the previous time point did not affect job preference at the later time poi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대학생 선호직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이영민(Lee, Young Min),이수영(Lee, Soo Young),임정연(Lim, Jung Yeo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들이 선호하는 직장으로의 취업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선호직장 취업(1000인 이상 대기업, 외국계기업,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정규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복수전공, 해외연수, 영어점수 취득, 진로 및 취업관련 교과목 수강 등 취업에 대한 사전준비가 많았던 학생들이 선호직장으로의 취업 비율이 높았다. 둘째, 남학생은 대기업 취업을 선호하는 반면, 여학생은 외국계나 공기업 및 공공기관으로의 취업비율이 높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호직장 유형별 취업결정요인에서 외국계 기업은 어학연수와 외국어 능력, 진로취업교과목 수강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기업 및 공공기관은 학점, 자격증, 자격증 등급, 직업훈련이 취업성공에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은 맹목적인 스펙 쌓기에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 아니라 본인의 진로와 커리어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합리적인 취업준비가 필요하며, 대학 역시 학생들의 진로설계와 결정에 체계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양질의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impacted the college graduates’ successful entering of their preferred company, using the data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Main research question was what job preparation behaviors of them influenced their successful entering of larger firms (over 1,000 employees), foreign affiliated firms, and public enterprise and public institutions. These types of organizations were frequently chosen as favored institutions among college students. In results, we identified the followings: Frist, comparing the preferred organizations with general organizations, the college graduates who entered the preferred organizations experienced the dual degrees, short-term overseas study, high score of english test, career course taken. They finally entered their preferred organizations. Second, in terms of college graduates’ demographic information, male graduates were more likely to enter the large firms, whereas female graduates were more likely to enter the public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Third, we identified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impacted the successful entering of the preferred companies by three types. The college graduates who entered the foreign affiliated firm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score of english test, internships, and social network, however, the college graduates who entered the public organization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GPA score, professional certificates, and their majors.

      •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와 창업의도에 관한 사회적 영향관계 분석

        김유신(Kim, Yu Shin),성창수(Sung, Chang-Soo),박주연(Park, Joo Y)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8 No.2

        국내 고용시장의 분절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 중 하나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생산격차가 크기 때문에 대학생들은 창업 보다는 보다 안정적인 취업을 선호한다. 이러한 선택 의 기준을 경제적, 비경제적 또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위해 구인과 구인과정에서 중요한 행동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을 선호하는 원인과 추후 창업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부모, 지인, 개인의 창업경험과 취업 및 창업동아리 경험 등 사회적 영향관계가 취업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진로선택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업교육을 이수한 공과대학생 중 향후 진로를 취업으로 선택한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취업을 선호하는 공과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집중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주제묶음과 질문의 유사성을 분석한 후 구조화 하였다. 연구결과, 공학계열 학생의 취업 선호 이유로 안정적인 수입, 기업만의 시스템 경험, 부모님의 취업선호, 자금부족과 창업에 대한 지식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을 선호한 학생들의 사회적 영향관계 중 지인의 창업경험에 따라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는 창업의도가 낮은 학생일지라도 지인 및 주변 사회적 영향관계에 따라 창업에 대한 이해와 창업의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족한 자금 및 사회 경험 등으로 인한 두려움과 취업을 선호하는 사회적 인식 및 관계가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결과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업가정신 교육 확대와 창업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career decision on career intentions and to find out the reasons why they prefer to work and the effect of parents, acquaintances, and individual entrepreneurship experience, I want to know. In the study, students preference for employment was due to stable income, system experience of the company, lack of knowledge about parents job preference, lack of funds, lack of entrepreneurship and influence of later acquaintance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negative effects on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of the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 KCI등재

        자기효능감, 직업기초역량교육 및 취업선호도가 대학졸업자의 취업 여부에 미치는 영향

        신승원,박시남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college graduates’ self-efficacy, basic job competencies, and job preferences affect employment probability. To achieve this, the 9th data of 2012 KEEP(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used, and 796 undergraduate students a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positive effects of ‘knowing what I like’ and ‘managing what I plan’ among self-efficacy variables on employment probability. In the second analysis in which basic job competencies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bilities for college major’ and abilities for English courses’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In addition, ‘communicative skills’ and ‘analytical skills’ among competency variables developed at college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whereas ‘problem-solving skills’ and ‘cooperative skills’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probabi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training for ‘problem-solving skills’ and ‘cooperative skills’ that college provides still are not effective enough to contribute to the employment probability. Finally, in terms of job preferences, ‘companies located in cities’, ‘companies that are not small and medium sized’, ‘public companies and public servants’, ‘job congruous with major’, ‘office job’, ‘socially unacknowledged companies’ and ‘inconvenient commu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ment probability. Results demonstrated in order to raise vocational achievement, it is important to examine psychological variables, career preparation, and basic job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aspec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졸업자의 자기효능감, 직업기초역량교육 및 취업선호도가 취업 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의 9차년도(2012년 기준) 설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11학년도 2월에서 2012학년도 2월에 졸업한 졸업자 7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18)를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계층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중 ‘좋아하는 일을 아는 것’과 ‘계획한 것을 잘하는 것’이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역량교육 중 ‘전공과목 능력’, ‘영어과목 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능력 형성 중 ‘의사소통 능력’과 ‘분석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문제해결 능력’ 및 ‘상호협력능력’은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다루어진 문제해결 능력과 상호협력능력 형성이 취업 여부를 높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취업선호도에서는 ‘도시에 위치한 직장’, ‘중소기업이 아닌 회사’, ‘공기업 및 공무원’, ‘전공분야와 일치하는 일’, ‘사무직’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회사’,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이 아닌 회사’, ‘통근이 수월하지 않은 회사’ 등도 취업 여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졸업자의 취업 여부에는 개인의 심리적, 사회경제 배경이나 진로준비활동 및 직업기초역량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각기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취업선호도 및 노동시장의 맥락에 따라 각기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청년층의 취업선호도 변화와 영향 요인

        유홍준,박은선,오계택,김월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1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changes of job preference among the young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pattern of this change. For this study, 7th to 10th waves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job preference, were used. Job preference wa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including minimum wage, working conditions, workplace types, and working areas. In order to examine change patterns of these different dimensions, this study applied the group-based modeling method. Four groups were identified - groups having a similar level of job prefere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creased or decreased groups, and rapidly changed groups.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patterns of changes were 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gender, academic background, residential areas, factors relating school life(e.g., types of high school, business ability development in college, field exercise or internship experiences in college), labor market factors(e.g., job searching activities, employment or unemployment, types of current job), characteristics of first job(e.g., working patterns, size of corporation, average working hours, monthly wage). Depending on the four dimensions such as minimum wage level, working conditions, workplace types, and working areas,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s of job preference were different. Some factors had common influence on various dimensions of job preference, while some factors affected only some job preference dimensions. The current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hich suggest to improve labor markets by reflecting demand and supply of the labor market for the young in the South Korea.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층의 취업선호도 변화 양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현재 10차(2013년)까지 구축된 교육고용패널 자료 중에서 취업선호도 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 7차~10차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취업선호도를 최소임금 수준, 근무조건, 직장유형, 근무지역의 네 차원으로 구분하여 집단중심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해당 기간 동안 비슷한 수준의 취업선호도를 유지한 집단, 증가하거나 감소한 집단, 그리고 급격한 변화를 보인 집단이 구분되어 드러났다.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사회인구학적 변인(성별, 학력), 노동시장 변인(구직활동 여부), 임금근로자의 첫 번째 일자리 특성 변인(근무형태, 직장규모, 평균 근로시간, 월평균 임금)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한 네 차원인 최소임금 수준, 근무조건, 직장유형, 근무지역에 따라 취업선호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 변인들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어떤 변인들은 여러 가지 취업선호도 변화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하면 어떤 변인들은 취업선호도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 연구결과가 청년층 노동시장의 수요 및 공급 측면에 대해 제공하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이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에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의 영향력 분석

        박연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college students` job preferences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variables on the types of job preferences. For this purpose, 1,760 college students from the 9th year (2012)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latent class analysis, three potential groups were derived and among the Big-5 personality factors, both sincerity and openness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type of job preferences. Also, in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SAT scores, majors and parents'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job preference typ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n constructing career counseling or career education programs of college stud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personality on job preferenc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파악하고 개인 특성 및 배경 변인이 취업선호도 유형에 주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하고 있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9차년도(2012년) 데이터 중 1,760명의 대학생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분산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탐색하였다. 잠재집단분석 결과, 근무환경 중시형, 사회적 인정 선호형, 직업선호 탐색형의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영향 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 특성 변인에서는 성격의 BIG 5요인 중 성실성과 개방성이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 배경 변인에서는 성별, 수능 등급 평균, 전공 계열, 부모의 소득이 취업선호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개인의 성격 등과 같은 개인 특성 변인이 취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의 진로상담이나 진로교육 및 프로그램 등을 구성할 때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