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 발달사 - 20세기 이후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강명희 한국독어학회 2015 독어학 Vol.31 No.-

        In vorliegendem Aufsatz wird zunächst ein Blick auf die Forschunggeschichte zur deutschen Jugendsprache geworfen. Außerdem finden die verschiedenen Forschungsmethoden und herausragende Sprachwissenschaftler seit dem 20. Jahrhundert Erwähnung. Bereits für das Mittelalter kann die Erforschung der Jugendsprache in Deutschland festgestellt werden. Diese frühe Jugendsprachforschung manifestierte sich hauptsächlich in Form einzelner Wörtersammlungen der 'Studentensprache'. Beachtenswerte Forschungsergebnisse zur Studentensprache sind indessen ab Anfang des 20. Jahrhunderts nicht mehr zu verzeichnen. Später wurde die Jugendsprache von den Gymnasiallehrern für pädagogische Zwecke untersucht und dadurch als 'Schülersprache' bezeichnet. Die Forschungen zur 'Studenten-' und 'Schülersprache' weisen jedoch eine Grenze hinsichtlich der Tatsache auf, dass beide die Sprache der Jugendlichen außerhalb des institutionellen Erziehungsbereichs nicht enthalten. Ab den 30er Jahren ist die Tradition der Jugendsprachforschung in Deutschland ungefähr dreißig Jahre lang wegen des Nationalsozialismus und des Zweiten Weltkriegs unterbrochen. Anfang der 60er Jahre wurde die deutsche Jugendsprache dann als 'Halbstarkendeutsch' oder 'Teenager-Jargon' abgetan, und als Spracherscheinung heftig kritisiert, die die Norm der Standardsprache bedrohe. Ende der 60er Jahre bis Anfang der 70er Jahre zeigte sich die deutsche Jugendsprache als 'Sprache der 68er' bzw. als 'Apo-Sprache', was bezeichnend ist für den Charakter der politischen Sprache unter dem Einfluss der Studentenbewegung. Erst in den 80er Jahren wurde die Jugendsprache als ein ernst zu nehmender sprachwissenschaftlicher Forschungsgegenstand betrachtet, was zu verschiedenen empirischen Forschungsergebnissen führte. Nach den 90er Jahren wurde die Jugendsprache als ein Fachgebiet der Soziolinguistik in den verschiedensten Bereichen mit Nachdruck untersucht. Ausser der geschichtlichen Entwicklung der Jugendsprachforschung behandelt vorliegender Aufatz die wichtigen Forschungsmethoden und namhafte Sprachwissenschaftler, etwa H. Henne mit dem Schwerpunkt Wortbildungsebene, P. Schlobinski mit Pragmatik, E. Neuland auf der Ebene der Soziolinguistik, sowie H. Ehmann unter dem Blickwinkel der Lexikographie. 오늘날 다양한 매체의 발전과 더불어 그 어떤 세대보다 빠르게 소비자로부각되고 있는 청소년은 실로 소통의 중심에 있는 세대로 간주되고 있다. 본래 ‘표준 언어 Standardsprache1)’와 구분되는 여러 자질을 지닌 ‘청소년 언어Jugendsprache’는 그 개념과 대상에 대한 불확정한 상태에도 불구하고 일차적으로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정의되고 있다 (강명희 2012: 2ff). 대개청소년 언어는 청소년 특유의 기존 관습에 대한 저항의 관점에서 ‘성인 언어Erwachsenesprache’로 대변되는 일반 언어에 대한 반항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청소년에 의해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를 통한 사회적 규범에 대한 경계설정과 저항으로도 볼 수 있다. 특히 SMS, Chat, E-Mail과 같이 새로운 매체를통한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언어 사용에 따른 특징과 결과물들이두드러진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외부적인 언어 사용 환경의 변화와발전에 따라 청소년 언어는 다양한 사회 언어적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만큼 청소년 언어가 미치는 사회적, 언어적 영향력도 크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의 사고와 문화를 이해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언어학적측면에서 청소년 언어에 대한 지속적인 고찰과 연구는 청소년 문화에 대한이해의 차원을 넘어서서 현대 언어학의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 언어 연구는 청소년이라는 언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의 영역에서 사용 맥락과 배경, 조건 등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발화를 중심으로 하는 화용론적 관점, 관용구, 조어론, 문체론, 사전편찬 등 다양한 언어학적 연구 영역과 외연관계를 맺고 있다. 그밖에 교육, 매체, 소비, 유행, 집단 심리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도 많은 연구 분야의 접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써 청소년 언어는 연구 대상으로서 거대한 아카이브를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그만큼 밀도 높은 연구 결과를 제시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도 안고 있다. 독일에서 이와 같은 청소년 언어라는 개념은이미 중세 때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그 역사적 출발과 궤를 함께하여 현재에는 사회학, 언어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언어학 영역에서 독일 청소년 언어의 연구는어휘적, 화용론적, 사회언어학적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이와 더불어 사용 언어의 차이로 인해 일반인들과 청소년 사이에 초래될 수 있는 소통의 장벽을 막기 위해 시대별 사전 편찬도 함께 이루어져 왔다. 최근 유럽통합 이후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는 유로존에 속하는 국가 간의 이해와 소통을 위해 상호 비교 측면에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독일청소년 언어 연구의 발달과정에 대한 조망은 한국의 청소년 언어 연구에도하나의 범례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의 초기 형태와 시대별 발달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청소년 언어가 본격적인 학문의 대상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의 주요 연구방법과 연구자들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강명희 2008, 2014).

      • KCI등재

        뉴노멀 시대 사회 환경과 청소년 시

        박소용 문학과환경학회 2024 문학과 환경 Vol.23 No.1

        이 연구는 청소년 시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오늘날 청소년의 고유한 언어 발화 양상을 정리함으로써 청소년들이 급변하는 뉴노멀 시대의 사회 환경에 노출되면서 느끼는 여러 감정을 어떻게 언어로써 해소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뉴노멀’이란 “이전에 익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이었던 상황이 표준이 되거나 일상화된 것”을 말한다. 뉴노멀 시대는 모든 것이 불확실하고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간과의 소통이 비대면으로 정착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청소년 시'는 뉴노멀 시대의 불확실성과 비대면 소통 환경에 노출된 청소년의 언어를 담고 있다. 청소년 언어는 청소년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언어문화적 실천체계로 청소년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며 그 삶과 사고를 표출하는 문학적 언어로 자리한다. 청소년 시는 청소년 언어를 적극적으로 시어로 활용하고 있으며, 동시에서 청소년의 삶이 반영된 다양한 언어를 담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첫째, 반복된 의문형 어미의 사용과 대화체 방식을 통해서 청소년 언어의 ‘집단적 소란 현상’과 영상 시대의 쌍방향 소통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의문형과 대화 구조는 어른들과의 소통 단절 현상을 재현하는 동시에 소통에 대한 갈망을 내포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직접적으로 소통하기 어려운 뉴노멀 시대에 청소년 시에서 ‘각주’는 시인과 화자, 화자와 독자의 상호작용을 돕는다. 청소년 시의 각주는 어른과 청소년이 모르는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청소년 시는 청소년 은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비대면 소통에서 또래들만의 소통을 이루어내는 청소년 독자의 일상 속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엿다. 시 자체가 또 다른 청소년 은어로 작용하도록 언어를 선택하여 청소년 문화를 언어적으로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넷째, 비속어와 문장기호의 활용을 통해 음성적 언어를 선호하면서도 SNS 문자 메시지에 익숙한 청소년 언어의 이중성과 감정의 직설적 표현을 재현하였고, 그 결과 감정을 이미지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청소년 시는 청소년의 현재를 포착하고 청소년의 삶을 기록하는 대중시의 면모를 보이는 현재 위상과 문학적 가치를 찾은 것에 의의가 있다. 오늘날 독자와 멀어진 시를 시 그 자체로 읽고 감상하도록 하는 청소년 시의 언어 전략은 점차 청소년 시 감상 교육에서도 연계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독자가 사라지는 오늘날의 시에 뉴노멀 시대 새로운 독자를 이끌어오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youth use language to resolve the various emotions they feel as they are exposed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of the new normal era by organizing the unique linguistic speech patterns of today's youth, which are actively utilized in youth poetry. We wanted to confirm that it was an element. ‘New normal’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a previously unfamiliar or abnormal situation has become standard or routine.” In the New Normal era, everything is uncertain,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humans has become established as non-face-to-face. 'Adolescent Poetry' contains the language of youth exposed to the uncertainty and non-face-to-fac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new normal era. Youth language is a linguistic and cultural practice system that solidifies the identity of youth and serves as a literary language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youth and expresses their lives and thoughts. Adolescent Poetry is actively using youth language as a poetic language, and attempts to contain a variety of languages that reflect the lives of youth are continuing. First, through the repeated use of interrogative endings and conversational style, it shows the ‘collective disturbance phenomenon’ of youth language and the two-way communication in the video era. In addition, the interrogative and conversational structures reproduce the phenomenon of communication breakdown with adults while using language that connotes a desire for communication. Second, in the new normal era where direct communication is difficult, ‘footnotes’ in Adolescent Poetry help the interaction between poet and speaker, and speaker and reader. Footnotes in Adolescent Poetry serve as a link between adults and youth to understand each other's unfamiliar languages. Third, by actively using youth slang, Adolescent Poetry seeks to elicit empathy in the daily lives of youth readers, who communicate only with peers in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e language was chosen so that the poem itself acts as another youth slang, attempting to internalize youth culture linguistically. Fourth, through the use of slang and punctuation marks, the duality of youth language and direct expression of emotions, which are familiar with SNS text messages while preferring vocal language, was reproduced, resulting in the effect of imaging emotions. Adolescent Poetr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literary value of capturing the present of youth and showing aspects of popular poetry that records the lives of youth. The language strategy of Adolescent Poetry that allows today's readers to read and appreciate poems that are distant from them as poems themselves will gradually have a linking effect in Adolescent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This will be a way to bring in new readers in the new normal era in today's poetry where readers are disappearing.

      • KCI등재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 연구

        박용성,박진규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1

        Language is not a mere tool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exchanging ideas or for writing. In language itself , it includes the persons thoughts or belief, personality, the mental state and so on. Also language shows the identification of the social-cultual community and history. Language is an intermediation between the people of same time and communication space situation which has a form and system. Therefore language experiences changes in form and system when the time or communication space of the language changes. Teenagers tend to use cyber space more than the real world in communication, and they are making their own world in it. The words that are used in communication network is very different from ordinary language because of the desire of teenagers wanting to express their thoughts in a new way. And another concern is the anonymity in cyber space that produces the irresponsible and vulgar expressions.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yber space and ordinary language and finding a language guidance for teenagers. Related with this, this research will compare and observe the two language forms and find a language guidance for teenagers to a healthy and desirable language habit. This research has three concrete purposes as follow; First, to make clear of the online language of teenagers daily life. Online language, using computers and cellphones as a intermediation has been used through imaginary space online environment and is spreading fast due to the features of online - easy access, simultaneity, openness. Online language was used only in computer conversations, but now it has spread its range to e-mails, notice boards, text messages and, moreover, our daily life. Secon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online language. This research will confirm focusing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Because we use computer frequently and using online language is inevitable, teenagers have to have a cool and critical view and discriminate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In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will have a purpose on confirming online language influence. Third, to present a language purification program. Understanding that the situation of teenage language usage is out of state and having a critical mind and realizing the need of concrete effort, this research will search for the solutions in school education aspect, social family aspect and teenage guidance aspect. 언어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고, 생각을 나누고, 글을 쓰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 언어 속에는 그 사람의 생각이나 신념, 성격, 심리상태 등이 담겨있다. 그래서 언어는 한 사회 문화 공동체의 정체성과 역사를 대변하기도 한다. 언어는 특정한 시대와 공간을 함께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끼리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저들만의 일정한 형식과 체계를 갖추고 있다. 청소년들이 주로 쓰는 청소년 언어 역시 예외가 아니다. 청소년들은 기성세대보다 사이버 세계에 보다 익숙하고 현실세계에서 뿐만 아니라 사이버 상에서 그들만의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컴퓨터 통신망에 사용되는 통신언어는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는 청소년들의 욕구 때문에 그들의 일상 언어와는 매우 다른 여러 가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문헌분석 방법과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아래와 같은 구체적 목적 하에 진행되었고 그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일상생활에서 청소년 통신 언어의 특징을 밝힌다. 통신 언어는 컴퓨터나 휴대 전화를 매개로 하여 가상의 공간인 통신 환경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언어로서 접근의 용이성, 동시성, 개방성이라는 매체의 특성상 그 확산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 처음에는 컴퓨터 대화방에서만 쓰이던 통신 언어가 이제는 대화방을 비롯한 전자우편, 게시판,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 등 사용의 범위가 계속 늘어나서 우리의 일상생활 속으로 그 세력을 확장해 가고 있다. 둘째, 통신언어가 주는 영향력을 확인한다. 통신언어가 주는 영향력으로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가 공존하고 있다. 컴퓨터 사용이 우리 생활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통신 언어의 사용도 불가피한 만큼 큰 이기가 될 수 있도록 청소년들 스스로가 냉정하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언어 순화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청소년 언어의 사용 실태가 도를 넘어서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음을 인식하고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해결을 위한 해결방안을 학교교육·가정사회·청소년지도방법 측면에서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이중문화수용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변화 연구

        김우진(Kim, Woojin),정지아(Jung, Jeaah),심태은(Shim, Taeeun),이송이(Lee, Songy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 이중문화 수용성 및 자아 탄력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언어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고, 이중문화 수용성은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언어능력의 경우, 년도별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초기값이 높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언어능력의 초기값이 낮았던 청소년은 언어능력이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문화 수용성의 경우 일관된 변화 없이 증가와 감소를 보여준 것을 통하여 연령과 발달의 차이보다는 환경의 차이가 이중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 언어 능력과 이중 문화 수용성이 청소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에서는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 모두가 자아 탄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및 언어능력과 이중문화 수용성의 변화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개발에 이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assessed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ilienc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precisely how language proficiency, bicultural acceptance, and resilience changed over time, and further how language and bicultural acceptance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resilience.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15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d with time while bicultural acceptance levels did not show consistent variation and increased and decreased over time. Language proficiency showed time-wise significant increase. The adolescents whose initial value of proficiency were high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while low proficiency increased relatively more steeply. In the case of bicultural acceptance, the result showed inconsistent changes over time, which implies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have effect on the acceptance rather than age or individual developmental differences. Therefore, the two variables’ effect on resilience was significant. It is th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 for developing curricular and policy that may help in resilience building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이중언어사용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확립 사례연구

        신경,송원일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8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에서 결혼이민자가 자녀들에게 자신의 모국어 를 사용해 양육하여 이중언어 환경에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선행연 구를 토대로 정체성의 혼란 없이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사례들을 제시하는 것 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성지역의 다문화특화 초등학교에서 이중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4학년을 선정하였고,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한 후 관찰평 가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은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한국어 를 습득하면서 언어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어서 또 다른 언어를 배우고 싶 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자신이 한국인이라는 감정을 느끼는 경우가 자신이 한국어로 말하는 경우 및 다른 친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줄 때라고 응답하였다. 다문화청소년에게 있어서 언어란 가정과 사회를 잇는 매 개체이자 의사소통의 수단이지 부정적 정서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매체가 아니었다. In this study, it is desirable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have their children exposed to a bilingual environment using their native language.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form parents who are reluctant to speak a bilingual language without any confusion in identity. Fourth graders children who are bilingual were conducted an observation evaluation and an interview. Multicultural youth showed high self-esteem, and wants to learn another language by learning Korean and having confidence in the language. They said it was time to speak Korean when they were like Koreans and teach Korean to their friends. For them, language is a medium and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and the society, not causing negative emotions or stress.

      • KCI등재

        A corpus-based analysis of media coverage of youth language culture in the UK

        방민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6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코퍼스 언어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영국의 주요 언론에서 비속어(slang)으로 대표되는 영국 청소년 언어문화를 어떻게 다루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BBC를 포함한 영국의 주요 미디어에서 2000년대 이후 청소년 언어사용을 다룬 기사 100개를 수집해 구성된 코퍼스를 분석하였다. 코퍼스 분석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영국 미디어에서 청소년들의 언어문화는 청소년들과 그들의 부모님과 선생님 사이의 관계적 문제로, 특히 양자 간의 소통의 문제로 제시가 되고 있다. 둘째, 청소년들의 비속어나 유행어 사용은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취업에 장애로 작용하는 우려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과 성인들 모두 국가나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수동적인 존재로 제시되고 있다. 즉 청소년들은 대학시험과 취업에서 유리하도록 언어사용에 대한 지도와 통제가 필요한 존재로, 그리고 성인들은 청소년의 언어를 이해해 그들과 소통의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대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언어문화 연구에 담화분석을 적용한 연구로서 한국에서는 아직 많이 시도되지 않는 영역으로 청소년언어 연구의 지평을 확장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코퍼스언어학을 접목시키고 있다. 코퍼스 방법론 사용의 가장 큰 장점은 자료를 접근할 때 분석자의 주관적 관점이나 목적에 의해 분석과 해석의 방향이 결정되어지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분석과 해석의 엄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로는 코퍼스를 사용하여 북한이탈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언어문화와 정체성이 한국 언론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treatment and perception of youth language culture in the mainstream British media, employing corpus methods. A corpus comprising 100 articles collected from BBC and five British newspapers i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the teenage use of slang is presented as an issue that causes difficulties in building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 and their parents/ teachers. Secondly, it is presented as a problem that disadvantages young people in achieving success in exams and employment. Lastly, young people and adults are construed as recipients of some form of intervention with adults needing help to understand the teenage language and young people needing instructions and discipline to stop them from using slang for their own benefit.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the field of youth language culture is that it has brought in a perspective of discourse analysis, expanding the scope of youth language study as it is shown that the media representation of young people and youth language in South Korea is an area of research that is yet to be fully explored. Another contribution is that it has sufficiently demonstrated the viability of using corpus methods, which are also yet to be widely employed in studying youth language in South Korea. The bottom-up approach to data in corpus analysis is effective in minimizing an analyst's own agenda and preconceptions influenc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us strengthening the interpretive rigor. For future research, one meaningful avenue of research to consider is how young people from families of North Koreans settled in South Korea or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viewed in terms of their linguistic identity and experience of adapting to the new language culture in the media. Understanding how our society views and treats these minority youth groups may help raise public awareness on tolerance and diversity, and develop and implement better policies and programs to educate and foster linguistic integr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South Korean youths.

      • KCI등재

        Schimpfwörter und Beschimpfungen in der deutschen Jugendsprache

        Erik Jungk(융크, 에릭)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3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 독일 청소년이 사용하는 비방표현과 욕설표현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 연구 분야에서 사용되는 몇몇 전문어들은 연구자들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로 인해 많은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청소년어의 비방표현과 욕설표현에 대한 본격적인 고찰을 하기에 앞서 학계의 혼란스러운 용어사용을 정리함을 통해 청소년어의 연구에 작은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어의 비방표현과 욕설표현을 품사별(명사, 동사, 형용사, 불변화사) 로 나눠 고찰하며, 출현빈도의 측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이는 표현들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한다. 이때 해당 언어자료의 원천으로는 2015년 독일의 저명한 출판사인 랑엔사이트와 퐁즈에서 출간된 두 권의 청소년어사전이다. 본 연구는 통시적 연구방법론을 취하지는 않지만, 이 사전들과 지난 세기 후반기에 출간된 청소년어사전과의 비교·고찰을 행한다. 이 비교를 통해 21세기 청소년들이 20세기 청소년보다 인터넷-언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축약표현을 더 즐겨 사용하고, 미국 영어로부터 점점 더 많은 외래어와 차용어를 빌려왔음이 입증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청소년언어에서 두드러진 현상 중의 하나는 터키 어, 쿠르드 어, 아랍어, 그리스어 등에서 유래된 비방표현과 욕설표현이 청소년언어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경향은 지난 세기에서 없었으나, 최근 몇 년 간 두드러지게 청소년언어에서 나타나고 있다. 세계적 추세이겠지만 독일 청소년의 언어는 날이 갈수록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강하게 받고 있다. 지난 세기 70~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청소년의 언어는 자립적 성격이 강했다. 달리 표현하면 그들의 또래 언어는 상당 부분 모국어의 재료를 가지고 언어창조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미국 영어의 재료가 청소년의 언어창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KCI등재

        청소년 언어문화의 특성과 향상 방안

        정혜승(Chung Hye-seung)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19

        이 연구는 청소년 언어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 언어문화의 특성은 성인 언어와의 차별화와 성인다움의 차용, 공적 의사소통 참여와 경험 부족, 언어에 대한 생각과 실천 사이의 간극, 성인 언어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말하기 본보기의 부재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그동안 청소년 언어문화를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각계각층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각계각층의 이러한 노력들은 일정 부분 성과를 내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언어 및 언어생활에 대한 바른 가치와 태도를 길러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 ‘청소년 언어문화 형성의 3요소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은 청소년이 언어문화를 형성하는 데 관여하는 요소를 동기, 능력 및 수단, 기회 세 가지로 보고, 각 요소별로 청소년을 지원하는 방안을 도식화한 것이다.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Verbal Culture and suggest a plan for the impro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Verbal Culture could be discovered from several ways; the verbal differentiation from adults and their mature borrow, lack of experience from public communication, the gap between thoughts of language and their action, and negative realization of adult language and their pessimistic reality.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Adolescence Verbal Culture like other culture, and the Verbal Culture Reform represents much to develop desirable verbal culture from the negative aspects. Within preceding decades, the educators have made enormous effort to develop Adolescence Verbal Culture, and their effort turns out to positive consequences. This research requires consistent reforming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language awareness and verbal culture and suggest ‘3 Elements Model for Adolescence Verbal Culture.’ This model determines motive, ability and method, and opportunity for forming adolescence verbal culture, and schematizes to support each category for adolescent.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 언어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현수(Park, Hyunsoo),정혜원(Jung, Hyew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2

        이 연구는 청소년 사이버 언어폭력의 변화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학교 2학년 패널의 1~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로 사이버 언어폭력의 변화유형은 ‘무비행집단’, ‘증가-감소 집단’, ‘지속증가집단’의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두 번째로 사이버 언어폭력을 저지르지 않은 집단과 저지른 집단으로 재분류하여 이들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기통제가 낮을수록, 부정적 자아와 부모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이버 언어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았다. 학교 요인 중에서는 선생님애착이 낮을수록 사이버 언어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았고, 학업 적응은 사이버 언어폭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성별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여자 청소년에 비해 남자 청소년일수록 사이버 언어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욱 높았다. 셋째로 사이버 언어폭력의 지속과 감소를 살펴보기 위해 변화집단 중에서 ‘증가-감소 집단’과 ‘지속 증가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를 살펴보면. 3차년도와 5차년도에 전년 대비 부정적 자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3차년도 이후에 지속적으로 사이버 언어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욱 높았다. 1차 년도의 외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전년 대비 2차년도 외모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사이버 언어폭력이 지속되는 ‘지속 증가 집단’보다 ‘증가-감소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학교 요인 중에서 선생님 애착은 4차년도에서만 사이버 언어폭력의 지속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업 적응은 여러 시점에서 사이버 언어폭력의 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사이버 언어폭력의 발생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types of changes in cyber verbal violence among adolescent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 using the 1st to 5th year data of the middle school 2<SUP>nd</SUP> grade panel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ypes of cyber verbal violen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on-delinquent type”, “increasing-decreasing type”, and “consistently increasing type”. Secondly, the three groups were re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group that does not commit cyber verbal violence and the group that commits cyber verbal viol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self-control, the more likely was it for a subject to be in the group that commits cyber verbal violence. Additionally, there is a bigger chance of engaging in cyber verbal violence if you are a person of high negative self esteem. In particular, parental stress was shown to statistically affect cyber verbal viol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언어적응 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이

        최인지,신형진 한국인구학회 2023 한국인구학 Vol.46 No.3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 데이터의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언어적응(linguistic acculturation) 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acculturative stress)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국내 다문화청소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1,298명으로 표본을 제한하고, 그들의 한국어와 외국어 능력을 다각도에서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적응 유형을 규정하여 이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핵심적인 예측변인으로 분석하였다. 언어적응 유형을 동화(한국어 구사), 통합(이중언어 구사), 분리(외국어 구사), 그리고 주변화(제한적 언어구사)라는 더미변수로 각각 코딩하고 개인과 가정, 사회적 지지라는 차원에서 측정된 다른 변인들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초기 모형에서는 ‘동화와 통합’ 대 ‘분리와 주변화’라는 한국어 능력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문화적응 요인과 양육태도가 통제된 이후에는 ‘통합’ 유형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점수도 ‘동화’ 유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적응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청소년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단지 한국어 능력의 부족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즉, 한국과 같이 강력한 동화의 압력이 작용하는 사회에서는 유산문화를 보존하려는 개인의 스트레스가 클 수밖에 없으므로 다문화청소년의 이중언어 능력은 그것이 가져다줄 수 있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필연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불러올 수 있음을 함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