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

        문영만 한국지역고용학회 2018 지역고용노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청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 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고용률은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5%p정도 높았 으며, 이러한 격차는 지난 16년 간(2000~2016) 지속되었다. 대졸이상 청년층의 임금수준은 수도권 취업자가 비수도권에 비해 월평균 29만 원 정도 높았다. 둘째, 비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한 청년 중에서 수도권 기업에 취업한 2차 유출비중은 25%였으며, 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하고 비수도권 지역에 취업한 비중은 7%에 불과했다. 비수도권 유출자의 67.1%가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고학력 청년들이었으며, 유출비중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청년취업자의 전반적인 직장만족도는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러 한 만족도 차이는 지난 6년 동안(2009~2014) 지속되었다. 이는 직장만족도의 경우 임금뿐만 아니라 일의 내용,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인관관계, 인사고과의 공정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주거환경 등 생활만족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수도권 취업자의 임금수준 이 높다고 하더라도 가족과 떨어져서 혼자 생활하는데서 오는 생활만족도 하락 등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청년의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공인 영어성적 이 높을수록, 인턴 및 직무경험이 있는 청년일수록 수도권으로의 유출가능성이 높았다. 다섯째, 비 수도권 청년들의 취업지역에 따른 임금격차 및 대기업·정규직 취업효과를 추정한 결과, 임금격차의 경우 수도권지역이 6.5%정도 높았으며, 취업효과 또한 대졸이상 학력에서 수도권이 1.5배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방 청년들의 2차 유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간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들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대기업, 정규직)를 비수도권 지역에 유치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bined Youth Panel Data(2009~2014) to analyze the labor market gap of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gener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was higher by 5%p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gap has continued for the last 16 years (2000~2016). In the case of the wage level of highly educated youth of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the wage of metropolitan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employees by about 290,000 won per month. Second,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ary outflow percentage who got a job in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25% and percentage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ot a job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only 7%. 67.1% of those who leaked into the non-metropolitan area were highly educated young peopl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and outflow percentage was steadily increasing over time. Thir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youth employe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difference in satisfaction has continued for the last 6 years (2009~2014). Fourth,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peopl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men, those with higher qualified English grades and young people with internship and work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leak into the metropolitan area. Fifth, wage effects and large company·regular permanent position employ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were estimated and as a result, wage effects of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o be higher by 6.5% and employment effects to be 1.5 times higher only in college graduates or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regions and attract decent jobs preferred by young people large companies, regular permanent posi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동남권(부산, 울산,경남) 청년의 유출입 특성 및 유출 결정요인

        문영만(Moon, Young-man),류장수(Ryu, Jang-s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연구 Vol.28 No.3

        본 논문은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10년간 자료(2008GOMS~2017GOMS)를 이용하여 동남권 대졸 청년의 유출입 특성 및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동남권 청년의 1차 유출(대학진학) 및 2차 유출(취업)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인근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과 기업으로 유출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난 10년간 지속되었다. 이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대학과 근로조건이 양호한 대기업 등이 수도권에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학진학을 위해 1차 유출됐던 청년의 38.6%만이 동남권으로 회귀하고, 61.4%가 유출된 지역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떠한 특성을 가진 청년들이 수도권대학으로 유출되는지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일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특목고 졸업생일수록,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유출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1차 유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특목고와 가구소득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부모의 소득 격차가 자녀들의 학력과 취업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동남권 대졸 청년의 2차 유출(취업)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4년제 대학일수록, 국·공립대일수록, 대학성적이 높을수록, 기업 규모가 클수록, 임금이 높을수록 타지역(혹은 수도권) 기업으로 유출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청년들이 타지역으로 유출되고 있으며, 주요한 요인은 기업 규모와 임금격차 등 이었다.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youth labor market in the Southeast region, the youth employment rate in 2019 was 3.8%p lower than the capital area, and the monthly average wage was 30.4 million won l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 outflow (college entrance) and the second outflow (employment) of young people in Southeast Areas, the outflow was mainly to universities and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universities and large corporations that young people pref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leaked to the metropolitan university, the more likely it is that female students, older age, graduates of special high schools (science, etc.),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of parents, and higher household incom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cond outflow determinants (employment) of Southeastern university graduates, Males, younger ages, four-year colleges,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higher university grades, larger firms, and higher wages have higher probability of outflow to other regional (or metropolitan) companies. This analysis shows that relatively good young people are spilled into the metropolitan area, The main factor is the high wage level of the inflow region and the large number of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utflow of high-educated youth talents and settle as future growth engines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clos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regions and improve the quality of jobs in the outflow regions.

      • KCI등재

        청년의 취업선호가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엄창옥 ( Changok Um ),나주몽 ( Jumong Na ),백경호 ( Kyungho Bae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1 지역개발연구 Vol.53 No.2

        청년 일자리 부족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문제는 지역에서 수도권으로의 청년 유출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청년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지역에서는 한편으로는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청년 일ㆍ경험 지원 정책을 실시하며 노동시장의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청년유출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의 미스매칭으로 인한 청년유출문제를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서 찾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 맞는 지역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역청년의 지역정착을 유도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청년의 취업선호를 조사하고, 이 취업선호의 어떤 요인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주, 대구, 강원의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선호의 어떤 요소가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신의 기능과 능력 활용’, ‘회사의 규모와 지명도’, ‘직무의 사회적 의미’, ‘능력중시 회사’, ‘전근이 없거나 한정된 지역 내에서의 전근’ 요인이 지역정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설명변수가 강원에 비해 대구와 광주에서 적극적 정착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적극정착에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사회ㆍ경제적 역할을 키우고,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할 경우 청년의 지역정착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th and job mismatch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problem of youth outflow from the region to the metropolitan area along with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order to reduce the outflow of youth,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implementing policies to support youth work experience and trying to resolve the mismatch, but the achievements are not showing well.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work-experience」 policies based on youth job preferences and reduce mismatches successfully, the possibility of youth settling in the local area will increase. Based on these predi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youth job preferences on local settlement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OLR). The survey data of youth in Daegu, Gwangju, and Gangwon was used in this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factors such as ‘use of one's own skills and capabilities’, ‘the siz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social meaning’, ‘capacity-oriented companies’, and ‘areas with no commuting or limited commut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cal settlement of youth. There was a som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rom region to region. the job preference factors of youth in Daegu and Gwangju had a greater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compared to youth in Gangwon. It is thought to reflect the geographical factor that Gangwon is close to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older group, the more males than females had an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This means that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various ways for youth to develop their social and economic roles and utilize their abilities within the region, the local settlement of young people can increase.

      • KCI등재

        지역청년의 정주 및 귀환 결정요인

        엄창옥(Um, Chang Ok),노광욱(Roh, Kwang Uk),박상우(Park, Sang W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3

        한국에서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은 지역경제활력과 잠재성장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 ‘지방소멸’의 가장 중요한 원인 역시 지방 청년의 수도권 유출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지방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에 대한 연구성과도 상당하게 누적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주로 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최근 변화하고 있는 청년층의 이동과 직업선택의 특성을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원인으로 경제적 요인만이 아니라 사회적 요인, 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지방청년의 유출과 유출청년의 지방 귀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청년의 지방 유출과 귀환의 요인으로 경제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관계적 요인과 주체적 요인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만족도가 청년의 정착과 귀환에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만족도는 경제적 요인보다 사회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 따르면, 지방의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에 정착시키고 유출된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으로 귀환시키는 정책은 경제적 정책뿐만 아니라 지역문화의 혁신, 사회적 관계자본 형성 그리고 청년의 주체적 참여를 확장하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Inter-local movement of the youth is working as a critical factor in the local economic activity and potential growth power in Korea. In particular, recently w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outflow of local youth generation from local area to the metropolitan area a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collapse of the local area’. Therefore, research performance on the youth outflow toward the metropolitan area have been accumulated considerably in Korea. However, these studies fail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youth culture shift and job selection criterion of young people, because of mainly focusing on economic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outflow of local youth and the possibility of return to the their provinces through a survey that included variables such as social factors, relational factors, and subjective factors as well as economic factors. Thi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al and subjective factors are also very important as factors of youth"s outflow and return to rural areas even though economic factors ar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with life’(so called work-life balance) was analyz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settlement and return of young generation, which is more affected by social and subjective factors than by economic factors. According to this analysis, We could understand the implications that policies for settlement and return of the youth to the local area should focus not only on economic factors but also on innovation of local cultur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subjective-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 KCI등재

        비수도권 청년의 수도권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 7개 권역과 노동시장 격차를 중심으로 -

        문영만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를 이용하여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1-2차 유출실태 및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지난 10년간 모든 연도에서 수도권은 순유입이 발생한 반면, 비수도권은 모든 권역에서 순유출이 일어났다. 둘째, 대학진학을 위한 1차 유출은 비수도권 6개 권역 모두 동일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된 비중이 가장 많았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비수도권 청년들의 수도권 대학 유출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부모소득이 높을수록(1.4배), 특목고 졸업생일수록(3.0배) 수도권 대학 유출 비중이 높았다. 넷째, 대학입학 당시 부모소득이 자녀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부모소득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자녀의 임금수준이 4.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소득격차가 자녀들의 사교육비와 학력격차로 이어지고, 노동시장 성과 격차로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취업을 위한 2차 유출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임금이 높을수록(2.6배), 300인 이상 대기업일수록(1.5배), 4년제 대학 졸업생일수록(2.8배) 수도권 기업 유출비중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비수도권 대졸청년의 수도권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학력 대졸청년의 수도권 유출을 막고, 그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확대보다는 일자리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outflow of college graduates from non-metropolitan area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10 years, a net inflow occurr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ile a net outflow of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occurred in all areas. Second, in the first outflow of youth from non-metropolitan areas (going to university), the largest proportion of outflows to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the largest in all six regions (excluding the same area). Third,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igher parental income(1.4 times) and graduates of special-purpose high schools (3.0 times) had a higher proportion of outflow from metropolitan universities.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 (employment), the higher the wage(2.3 times), the larger the company with 300 or more employees(1.5 times), and the more graduates from a four-year university(2.8 times), the higher the share of outflow from compan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outflow of university graduates from non-metropolitan areas,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s.

      • KCI등재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취업 및 수도권 유출 결정요인- 부모 소득과 노동시장 성과를 중심으로 -

        MINGSHENG CHANG,문영만 한국아시아학회 2024 아시아연구 Vol.2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determining employment and migration to metropolitan areas among college graduates in non-metropolitan areas using data from the 5-year period of the Korean Labor Institute's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Firstl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for college graduates in non-metropolitan area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income and assets at the time of university admission, the significantly higher the employment rate of their children.The influence on employment was greater in large corporations and high-paying companies, which young people prefer, rather than in all enterprises (quantitative effect). Secondly, the first outflow for non-metropolitan youth's university enrollment showed a high outflow to metropolitan universities in all regions of non-metropolitan areas except for the same region. Thirdly, the estimation of the determinants of outflow to metropolitan universities for non-metropolitan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income (1.4 times) and assets (1.6 times), and the more specialized high school education (3.1 times), the higher the outflow to metropolitan universities. Fourthly, the rate of return to the region after university graduation for young people who had primary outflows was only 26.3% (Honam region) to 40.3% (Southeast region). Fifthly, the secondary outflow for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n non-metropolitan areas was predominantly to metropolitan companies across all regions.The estimated determinants suggest that the probability of migration to metropolitan companies increases with higher parental income and assets. The influence is particularly pronounced in large corporations and high-paying companies with favorable working conditions. Therefore, to prevent the migration of highly educated graduates from non-metropolitan areas to metropolitan areas, it is essential to not only expand job opportunities but also enhance job quality.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ublic education to avoi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income and asset disparities leading to disparities in children's education and the labor market, and to expand government support for low-income households.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최근 5년간를 이용하여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취업 및 수도권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회귀분석을 통해 취업에 부모 소득과 자산이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부모 소득과 자산이 높을수록 자녀의 취업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영향력은 전체기업(양적 효과)보다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대기업과 고임금 기업(질적 효과)에서 더 컸다. 둘째, 비수도권 청년의 대학진학을 위한 1차 유출은 비수도권의 모든 권역에서 동일권역을 제외하고는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된 비중이 높았다. 셋째, 회귀분석을 통해 비수도권 고교 졸업생들의 수도권 대학 유출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부모 소득(1.4배)과 자산(1.6배)이 많을수록, 특목고생일수록(3.1배)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이 높았다. 넷째, 1차 유출된 청년의 대학 졸업 후 해당 지역으로 회귀비율은 26.3%(호남권)~40.3%(동남권)에 불과하였다. 다섯째,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취업을 위한 2차 유출은 모든 권역에서 수도권 기업으로 유출이 가장 많았다. 유출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부모 소득과 자산이 많을수록 수도권 기업으로 유출될 확률이 높았다.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노동조건이 양호한 대기업과 고임금 기업에서 더 컸다. 따라서 비수도권 고학력 대졸 청년의 수도권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일자리 확대도 중요하지만, 일자리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부모의 소득 및 자산 격차가 자녀의 학력과 노동시장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공교육을 강화하고 저소득 가구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개인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비수도권청년유출 영향 요인 분석

        김민석,강민규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2

        Recently, as the outflow of the youth population from non-capital regions accelerates along with a decrease in the gross population, numerous non-capital cities are facing the threat of local extinction. However, despite the social meaning and importance of the youth outflow issue, research that investigates its factors is still lacking. Especially since most established precedent studies focus mainly on the youth'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estimate regional factors without considering individual traits, research regarding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is needed. This study examines the individual factors of youth outflow from non-capital regions using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and simultaneously analyzes regional facto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urban characteristics at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levels. To consider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a multilevel binary logistic model was used. This study reveals that relatively talented youth are moving to the capital region for quality occupations, and furthermore, factors related to occupation and employment are confirmed to influence youth outflow at both the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In conclusion, to mitigate the youth outflow, policies that supply quality jobs and improve settlement conditions such as local parks should be pushed simultaneously for non-capital regions. 최근 인구 감소와 더불어 지방도시 청년세대의 수도권 유출이 가속화 되면서, 많은 비수도권 도시가 실질적인 소멸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청년세대 유출 문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청년세대 유출과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가 주로 청년 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거나, 개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지역적 영향 요인 추정에 방점을 두고 있어,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청년세대 유출의 개인적 영향요인을 살피는 한편, 시군구 단위의 도시특성 변수 구축을 통해 지역적 영향요인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개인과 지역수준의 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다수준 이항로지스틱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청년 인재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으로 떠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장 및 고용과 관련된 변수가 개인적, 지역적 수준 모두에서 청년유출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역의 청년세대 유출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양질의 일자리 공급정책과 함께, 공원을 비롯한 정주여건 개선정책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청년기본조례 제정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임태경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3 地方行政硏究 Vol.37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factors which affect policy adoption.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variation in policy adoption regarding youth corresponding ordinances and local-level characteristics using panel data obtained from 89 small cities that are in danger of extinction due to population decreasing in the South Korea. The analysis is based upon a hurdle model, first with a conditional logistic model to control for any differences between local governments that adopted for youth corresponding ordinances. Secondly, it used a poisson count model truncated at zero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covariates on the number of youth corresponding ordinance. Local-leve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levels of outflow of young adult population aged 20-39 and their ratio are shown to be empirically important determinants of variation in adopted youth corresponding ordinances. The evidence suggests that all else held equal, the local circumstances or willingness to avoid population decreasing can be significant impactful factor on the adoption of youth corresponding ordinances. The results suggest that youth corresponding ordinances are more likely to adopt in cities with needs toward growth in depopulating. 본 연구는 비수도권에 위치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청년인구감소 문제가 더욱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에서 청년기본조례 및 청년층지원에 관련된 조례채택 및 확산에 가장 핵심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선정된 인구감소지역 89곳을 분석대상으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총 8년간의 시계열데이터를 토대로 허들모형(Hurdle model)을 사용하여 청년관련조례 동기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청년관련조례가 채택되고 확산되는 과정에서 인구감소지역에서 유출되는 청년인구수가 많을수록 청년관련조례를 채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인구감소지역에서는 기존의 지역에 머무리고 있던 청년층이 유출되는 현상을 막기 위한 필요성에 의해 청년관련조례가 양산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구감소지역의 전체인구 중에서 청년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인구감소지역일수록 1개 이상의 다양한 청년관련조례를 제정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구감소지역 중에서도 상위행정구역인 ‘시’ 지역에서 청년관련조례가 채택될 확률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실증분석결과를 확인하였다. 동시에 청년청책이 중요한 국정과제로 지정되었던 문재인정부 시기에 인구감소지역에서 청년관련조례가 채택될 가능성이 0.261배 더 높게 나타나 중앙정부에서 특별히 강조하는 정책을 하위정부에서도 안정적이며 적극적으로 따르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년관련조례가 채택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가 느끼는 수요적 필요성뿐만 아니라 동시에 정치적 환경의 영향으로 청년관련조례 채택 및 확산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정책채택 및 확산 연구가 축적되는데 학술적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지역 청년 역외유출 원인과 해소방안 연구

        김용현 한국정부학회 2012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2 No.08

        2011년 기준 인구이동통계에 따른 대구 청년층(15~29세)의 순유출은 8,863명으로 대구 전체 순유출의 69.5%를 차지하고, 경북 청년층은 2,603명으로 경북 전체 유출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 대학졸업생 중 전문대졸은 9.1~19.5%, 4년제 대졸은 20.3~21.5%의 청년층들이 수도권 지역 기업으로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2009년 기준 대구경북지역의 전문대와 4년제 대학 졸업자 취업자 총 4만5천여 명 중 대구경북 이외 지역에 취업한인원은 14,608명이며, 수도권으로 취업한 인원은 7,779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구경북 대졸취업자 중 약 17.2%가 수도권에 취업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 지역 청년층의 개인적 특성, 산업 및 사업체 특성(사업체 규모,산업 및 직업, 임금 특성), 개인의 주관적 만족도 등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임금’과 ‘직장의 복리후생제도’, ‘하고 있는 일의 자율성과 권한’, ‘현직장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수도권 소재 기업이 지역소재 기업보다 50만원의 월 임금이 더 증가한다면 지역 청년층 100명 중 15∼20명은 지역기업에 취업하기보다는 수도권이나 동남권 소재 기업에 취업할 확률(15~20%)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복리후생제도(사회보험 및 부가급부)의 경우 만족도가 1단위 증가할 경우 수도권으로 이동할 확률이 40.6%, 하고 있는 일의 자율성과 권한이 높을수록 즉 1단위 만족도가 증가하면 수도권등에 이주할 확률이 47.6%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직장(일자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단위 증가할 경우 이주하지 않을 확률이 45.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이 청년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지역기업이 공동으로 ‘청년층 복리후생이나 근무환경 개선’을 하고, ‘공공부문 취업알선 프로그램 및 서비스 강화’, ‘임금격차 해소 제도 마련’이 필요한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산학연협력사업 내실화’와 ‘지역청년인턴십지원센터의 설립’도 중장기적인 우선사업으로 검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지역의 청년인구 유출요인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박순철,도수관 한국행정학회 2023 韓國行政學報 Vol.5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울산지역 청년인구의 유출요인을 직장(직업) 요인, 정주여건,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적용한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 청년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주하는 데에는 취업 또는 창업과 같은 직장(직업) 요인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현재 거주하고 있는 곳에서 취・창업을 한 경우라면 그 지역을 떠날 의지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며, 월평균 본인소득이 높을수록 현재 거주지역을 떠날 의지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또는 취・창업을 준비 중인 청년들의 경우에는 취업 정보를 많이 알수록 무조건 타 지역으로 떠날 확률이 높으며, 취업 시 기대 연봉이 높거나 대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일수록 기회가 되면 타 지역으로 이주할 의지를 지닐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주여건 중에서 현재 거주지역에서의 주거 만족도 수준이 높을수록 취・창업자들은 타 지역으로 이주할 의지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는 지역 청년들에게 양질의 취업과 창업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우수한 지역기업들에 대한 정보들을 청년들에게 풍부하게 제공하여 청년 구인-구직 간의 미스매치를 줄여줄 수 있어야 지역 청년들의 역외 유출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기회가 되면 타 지역으로 떠나겠다는 청년 취・창업자들에게는 이직 의도도 역외 유출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직장 내에서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업과 지방정부가 공동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취・창업에 성공한 청년들에게 있어서 높은 주거 만족도 수준은 현재 거주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지방정부가 청년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지원정책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