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회별신굿의 지역성과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국제화 추구이 양면성

        조정현(Cho Jung-Hyun)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이 글의 목적은 첫째, 하회탈과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재발견 과정을 탐색하여 어떻게 이미지화된 지역성을 확보하게 되었는지는 밝히는 것, 둘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통해 국제화 추구의 경향이 어떻게 우리 현실 속으로 들어오게 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 셋째, 지역성과 국제화 추구가 어떻게 공존하면서 ‘재맥락화의 길들이기’를 실현하고 있는지를 살핌으로써 그 양면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하회별신굿의 원형적 지역성은 끊임없이 탈맥락화를 통해 진화하고 있다. 또한 특정 지역의 ‘로컬리티’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보편성의 기준이 되는 현대도시문화와 대국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하회별신굿의 한 부분인 하회탈과 탈놀이는 끊임없이 다른 지역 탈과 탈놀이와 견주어지는 가운데 지역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며, 안동시를 비롯한 지역의 주체들은 끊임없는 강조와 이미지 창출을 통해 다른 지역보다 우위의 지역성을 획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국제화 추구는 탈놀이 자체의 본래 문법이나 지역성을 깨뜨리고 보편화된 재미와 웃음, 스펙터클, 퍼레이드 등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특히 외국 공연단의 무대화된 민속무용은 국제화 추구의 알맹이는 사라지고 형식적인 요건으로 활용되는 측면이 강하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나타나는 지역성 강조와 국제화 추구의 양면은 서로 심한 갈등을 드러내거나 상생을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니다. 도구적 개념으로 지역성을 적극 활용하지만 탈맥락화, 재맥락화된 현실을 부정하지 못하고 있으며, 막상 국제화 추구를 실현한다고 하지만 그 역시 내용 없는 빈껍데기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칠게 표현하자면 ‘지역성이라는 자원을 도구적으로 사용했으면서도 국제화 추구에도 역시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의 타개를 위해서는 지역성에 대한 진지한 조사연구 및 실험이 다양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국제화 추구 역시 내실을 기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렇게 각각 성숙된 기반을 마련했을 때 비로소 지역성과 국제화 추구의 상생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lose how Hahoe Mask and Hahoe Byulshingut Mask Play could secure imagined locality by examining the process of re-discovering them, to grasp how an tendency of globalism entered into our reality through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and to disclose duality in locality and internationalization by examining how locality and globalism realized ‘Taming of re-contextualization’ through co-existence. The original locality of Hahoe Byulshingut continues to be developed by ex-contextualization. ‘Locality’ of a peculiar area is faced with modern urban culture in the standard of universality as a relative concept. Therefore, Hahoe Mask and Mask Play which are parts of Hahoe Byulshingut are securing its locality on its way of being compared with masks in other areas continuously. Subjects of local communities including Andong city are striving to acquire locality superior to other areas through continuous emphasis and creation of images. On the other hand, globalism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is pursuing universal fun and gag, spectacle and parade by breaking off the original principle or locality of mask play itself. Especially, folk dance on the stage of foreign performance groups is losing substance of globalism and is being utilized in a formal way. Duality which is locality and globalism in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is not disclosing severe conflicts or is not realizing ‘Win-win’. Although it is positively utilizing locality as an instrumental concept, it is not denying reality of ex-contextu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And although it wants to realize globalism, we can see that it does not have substantial contents. Roughly expressing, it is regarded as ‘It failed to realized globalism although it used locality in an instrumental way’. Therefore, to settle such a realistic problem, diverse studies and tests on locality shall make progress and it is necessary to have wisdom to pursue substantial globalism. When a matured foundation as above is made, it is judged that locality and globalism will be win-win.

      • KCI등재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아서 : 동탄 신도시 사례 연구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17 구술사연구 Vol.8 No.1

        이 연구는 문화의 탈지역화 시대에 지역성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그리고 지역적경계가 새롭게 만들어진 신도시는 지역성이 있는가하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화성시 내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고자 한다. 필자는 우선 기존의 지방사 연구 중에서 지역성을 다룬 연구들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신도시의지역성을 접근하기 위해서 현지조사와 구술사 인터뷰를 동반하는 역사인류학적 접근방식을 소개한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필자는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기 위하여 신도시의 역사적 맥락과 주민들의 생활세계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동탄 신도시 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지역정체성과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1970년대 말 신도시인 과천시와 비교문화적 분석을 통하여 지역성 연구 성과와 신도시 연구를 연결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지역성 연구가 핵심인 지방사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questions of how to study locality in the era of deterritorialization of culture and whether new towns constructed with new regional boundaries have their own locality. In pursuit of answering such questions, the author takes Tongtan New Town in Hwaseong City which was built in 2001 as a case to examine. First, the author reviews the previous locality studies and discusses their limitations. Then she introduces the historical anthropology approach accompanied by field works and oral history interviews to study the locality of Tongtan New Town. Through this method, the author analyzes the historical context of Tongtan and the life world of its residents, illustrating the new town’s locality and the residents’ local identity. Finally, the author intends to connect the results of locality studies and new town studies through a comparative cultural analysis of Tongtan in terms of development course, population fluctuation, and local identity with Gwacheon New Town built in the late 1970's. This study as a result will make a contribution to widen the horizon of local history studies whose core lies in delving into locality.

      • KCI등재

        제주의 이타미 준 건축에 나타난 지역성 구현에 관한 연구

        김형준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2

        건축에서 지역성은 다루기 힘든 주제 중 하나이다. 제주의 경우 건축의 지역성은 제주건축계에서 오랜 기간 다루어진 주제였으며, 다양한 논의와 세미나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제주건축의 지역성은 일반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에 남긴 이타미 준의 건축을 통해 제주의 지역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타미 준이 제주에 남긴 여섯 개의 건축물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7년부터 현재까지 5회 이상의 현장답사와 현장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이타미 준이 구현한 지역성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타미 준이 지역성에 대해 깊은 사유와 성찰을 한 건축가였다는 점에서 그가 남긴 제주의 건축은 유무형의 지역성을 담고 있었다. 이타미 준의 건축 사유, 제주라는 독특한 환경, 현장답사와 분석 결과, 그가 구현한 지역성은 의미와 현상이 아닌 중합적 지역성과 가치적 지역성으로 나타났다. 중합적 지역성은 건축의 의미와 현상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지역성을 뜻하고, 가치적 지역성은 제주의 고유 풍경처럼 그 지역만 가지고 있는 고유 가치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통해 구현된 지역성이라 할 수 있다. A Locality is one of the tough topic to discuss in architecture. The architects in Jeju made various seminars and discussions but the locality of Jeju is still staying in general level even this subject has been arised from old day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considering locality in Jeju through researching buildings which Itami Jun built in Jeju. This research started by site survey and analysis building sites for 6 buildings which Itami Jun left in Jeju, this research conducted over 5 times since 2007 for now. Through these researches, analyzed how Itamu Jun realized and implemented locality by his buildings. Considering the point that Itami Jun was an architect with deep consideration of locality, his architecture subsumes the locality of tangibility and intangibility. With analysis of his architectural thinking, unique environment of Jeju and in site survey, the locality which he realized turned up as the form of superimposed and valued locality, not as meanings and phenomenon. Superimposed locality refers to the complex of architectural meanings and phenomenon implemented in locality, and valued locality stands for unique value which has implemented through the respect and consideration only those areas have, such as original landscape of Jeju.

      • KCI등재

        선거제도와 지역성

        정용하(Chung Yong-H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7 No.-

        이 논문은 선거에서 지역성의 계기를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그동안 한국의 선거는 폐쇄적이고 대립적인 ‘닫힌 지역주의’의 영향을 받아 왔지만, 지역성의 기초인 ‘다양성’, ‘상호성’ 그리고 ‘공동성’을 살려 ‘열린 지역주의’를 지향함으로써 지역의 자율성을 제고해 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 어떤 선거를 막론하고 소선거구제로 실시되어 왔다. 소선거구제에서 특정정당이 독식하는 결과를 보여 왔으나,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서 기초의회 선거를 중선거구제로 실시한 이후 지역의 다양한 이해가 반영되고 복수의 정치세력이 진출하여 권력을 분점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지방선거에서의 권력분점은 지역성이 발현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소선거구제로 실시한 제3회 기초의회 선거와 중선거구제를 도입한 제4회와 제5회를 비교함으로써 지역성의 발현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초의회 선거에서 중선거구제는 소선거구제보다 지역성을 더 잘 반영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구체적으로 중선거구제 하에서 첫째, 투표율이 상승함으로써 지역의 의사와 이해가 더 많이 반영될 수 있었다. 둘째, 중선거구제는 지역의 다양한 의견과 정치세력의 진출을 촉진하였다. 여성 후보와 당선자가 늘어나면서 양적으로 지역성이 높아지고, 직업별 후보자와 당선자 비율에서 역비율이 점점 줄어들어 지역성의 질적 수준도 높아 졌다. 셋째, 중선거구제는 사표와 불비례율(당선자 득표수/유효득표수)이 현격하게 줄어 들면서 지역성을 발현하는 선거제도로 정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중선거구제는 ‘열린 지역주의’를 지향하는 지역성을 반영하는 경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중선거구제 제도만으로 지역성의 발현을 보장할 수 없다. 제도는 ‘권력관계의 불균형’, ‘경로 의존성’, 그리고 ‘행위 주체의 자율성’이 작용하므로 유권자들의 지속적인 비판으로 중선거구제가 지역성을 발현하는 제도로서 자리잡게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locality which emerges in the process of election. It is no doubt that the regionalism, which is characterized as exclusive, confrontational and irreconcilable,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Korea’s election. As a consequence, it is significant to establish the inclusive regionalism based upon the substances of locality: ‘diversity,’ ‘reciprocity,’ and ‘communality.’ Korea had taken the single-member constituency as an electoral system. However, the medium constituency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2006 local assembly election. By comparing the 3rd local assembly election carried out upon the single-member constituency system with the 4th and 5th elections upon the medium constituency system, this project found out that while a single party dominated in the single-member constituency system, there was in the medium constituency system the appearance of “sharing power” phenomenon which means that several political parties and various local interests were able to engage. This paper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the sharing power phenomenon demonstrates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locality. In other words, under the medium constituency system (1) as the turnout in the election increased, there were more active engagements of the local interests and opinions; (2) a variety of public opinions and political forces were encouraged so as to be involved in the local politics; (3) the decrease of absent rate reflected the revelation of locality. In sum, the medium constituency system has a tendency to engage, encourage, and reflect the locality which is pursuing the “inclusive regionalism.” In order for the medium constituency system to continue to guarantee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locality, meanwhile, the voters must pay actively attention to local politics along with their creative criticism.

      • KCI등재

        브랜드 공간에서 물성을 통한 지역성 표현특성 연구 : ‘이솝’ 시그니처 스토어를 중심으로

        윤하영,안성모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consumers tend to value brand image as well as the functional aspects of a product. As a result, the brand is pursuing a locality space design strategy. This study aimed to create a more diverse and creative way of designing brand space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ity by analyzing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locality through materiality in the brand space and understanding the resulting spatial experience. (Metho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explored the expression of locality as materiality through the Aesop Signature Store, which effectively shows its brand identity.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pace, locality, materiality, and branding was examined, followed by a discussion of the framework of analysis for case studies . Based on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regional expressions were derived through materiality, and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Results) The case analysis of this study found that Aesop expresses locality through materiality and derives attributes such as internal and external space penetrability, border through contrast of materiality, temporality in a historical context, and potential rebuildability. Internal and external space penetrability refers to the conne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through common materiality and is mainly expressed when viewing locality from a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Border through contrast of materiality refers to expressing locality through the border formed by contrasting different materiality and is expressed when viewing localit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emporality in a historical context refers to the time that is contained in materiality and is expressed by natural or historical flow. Primarily, social and cultural locality and historical locality of the past were manifested through things. Potential rebuildability is the emergence of the potential of materiality by newly reconstructing technologically, texturally, and sensibly, by utilizing the potential properties of materials, and it appeared mainly when expressing locality from a natural and environmental point of view.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expressed in the overlapping view of locality and can be expressed infinitely through the potential of materiality. (Conclusions) Using the case of Aesop, this study found that locality can be expressed in the brand space by using potential of materiality in various ways. As in the case of Aesop, the brand space with locality is expressed as a valuable design by expressing time in a modern space that forms a uniform landscape due to urbanization. Naturally absorbed into the community, it will also narrow th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technology of materials and various interpretations of materials will be able to express locality by using materiality in various ways.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소비자들은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브랜드는 제품 중심에서 지역성 중심의 공간디자인 전략을 추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공간에서 물성을 통해 지역성을 표현한 방법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로 인해 얻어지는 공간경험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지역성을 고려한 브랜드 공간의 디자인이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연출되기를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이솝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이솝 시그니처 스토어를 통해 지역성을 물성으로 발현한 내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우선 공간과 지역성, 물성, 브랜딩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사례 연구를 위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여 분석한다. 분석을 토대로 물성을 통한 지역성 표현 특성과 효과에 대하여 도출하고 연구 내용을 종합적으로 요약하여 결론을 내린다. (결과) 본 연구의 사례 분석 결과 이솝 스토어에서는 물성을 통해 지역성을 표현한 특성으로 내·외부 공간의 관입성, 물성의 대비를 통한 경계성, 역사적 맥락의 시간성, 잠재적 재구축 가능성과 같은 속성이 도출되었다. 내·외부 공간의 관입성은 물성을 통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공통된 요소를 가지며 연결되는 것을 말하며, 사회·문화적인 관점과 역사적인 관점으로 지역성을 보았을 때 주로 표현되었다. 물성의 대비를 통한 경계성은 서로 다른 물성을 대비시킴으로써 형성된 경계를 통해 지역성을 표현하는 것을 말하며 역사적인 관점에서 지역성을 보았을 때 표현되었다. 역사적 맥락의 시간성은 물성에 시간을 담은 것으로, 자연적인 흐름이나 시대적인 흐름에 의해 발현되는 것을 말한다. 주로 과거의 사회·문화적인 지역성과 역사적인 지역성이 사물을 통해 발현되었다. 잠재적 재구축 가능성은 물질이 가진 잠재적 특성을 활용하여 기술적, 질감적, 감각적으로 새롭게 재구축함으로써 물성의 잠재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자연·환경적 관점에서 지역성을 표현할 때 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들은 지역성을 바라보는 중복적인 관점에서 표현될 수 있으며 물성의 활용에 따라 무궁무진한 표현이 가능하다. (결론) 본 연구는 이솝의 사례를 통해 물성을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브랜드 공간에 지역성을 표현할 수 있음을 알았다. 이솝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지역성이 표현된 브랜드 공간은 도시화로 인해 획일화된 경관을 이루는 현대 공간에 시간을 담아 표현함으로써 가치 있는 디자인으로 귀감이 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에 자연스럽게 흡수됨으로써 소비자들과의 관계를 좁히게 될 것이다. 앞으로 재료의 가공 기술 발달과 물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통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물성을 활용하여 지역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제주의 안도 다다오 건축에 나타난 지역성 구현에 관한 연구

        김형준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6

        본 연구는 제주건축의 지역성 논의의 연장선 상에서 제주의 이타미 준 건축에 나타난 지역성의 개념들이 제주지역에 있는 다른 건축가의 작품에도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추적하여, 제주건축의 지역성에 대한 보편적 개념틀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제주에 남긴 건축을 통해 그가 제주의 지역성을 어떻게 건축에 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안도 다다오가 제주에 남긴 세 개의 건축물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9년부터 현재까지 5회 이상의 현장답사와 현장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이타미 준이 구현한 지역성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안도 다다오의 지역성에 대한 사유와 건축적 표현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점에서 그가 남긴 제주건축에서 지역성에 대한 유의미한 분석과 결과를 찾을 수 있었다. 그 결과, 이타미 준과 마찬가지로 그가 구현한 지역성은 의미와 현상이 아닌 중합적 지역성과 가치적 지역성으로 나타났다. 중합적 지역성은 건축의 의미와 현상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지역성을 뜻하고, 가치적 지역성은 제주의 고유 풍경처럼 그 지역만 가지고 있는 고유 가치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통해 구현된 지역성이었다. This study seeks to construct the universal concept of locality in architectures of Jeju, by tracking and analysing how the locality of Itami Jun’s architectures in Jeju manifested itself in works of other architects. For this, this research reveals how Ando Tadao put the concept of locality in his architectures by analysing three works in Jeju, which designed by Ando Tadao. The meanings in the locality constructed by Itami Jun was also analysed over five times of site survey and building site analysis in related concepts. The analysis in the Ando Tadao architectures of Jeju is significant in fact that his concept and architectural visualization is widely credited. In result, along as Itami Jun, the locality he realized turned up as the form of superimposed and valued locality, not just in forms of meanings and phenomenons. Superimposed locality stands for architectural meanings and the locality-implemented phenomenon, and valued locality means unique value which has implemented in the respect and consideration in the critical aspects of special areas such as the original landscape of Jeju.

      • KCI등재

        제주 문화시설에 나타나는 지역성에 관한 연구 - 1980 ~ 1990년대를 중심으로 -

        김형준,이성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2 No.3

        By studying the locality of Jeju architecture from domestic and foreign architects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conceptual vocabularies about several localities were extracted. Also the concept of locality converged to two aspects by exploring Jeju architecture in the 1980s and 1990s; phenomenological locality and hermeneutical locality. Since the 1980s, these two concepts have been intended to be realized through the works of Jeju architects.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still operating effectively.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phenomenological locality will be referred to the locality that enables the phenomenological experienc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Jeju traditional houses, Jeju's unique materials, and Jeju's nature and landscapes. Hermeneutical locality will be said to be a locality that interprets Jeju's character in architecture by embedding layout, spatial composition, and Jeju's unique history, culture, and identity into architecture. These two concepts which are organized through a series of studies, will be an effective tool in analyzing the locality of Jeju architecture. 국내외 건축가들과 현대건축에 이르기까지 제주건축의 지역성을 연구하면서 몇 가지 지역성에 대한 개념적 어휘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1980 ~ 90년대 제주건축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성에 대한 개념을 두 가지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었다. 즉 현상학적 지역성과 해석학적 지역성이다. 이 두 개의 개념은 1980년대부터 제주 건축가 스스로 자신들의 건축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다. 그리고 현재까지 유효하게 작동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현상학적 지역성은 제주전통민가의 형태, 제주 고유의 재료, 제주의 자연이나 경관 등을 건축을 통해 현상학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역성이라 할 것이며, 해석학적 지역성은 제주전통민가의 배치, 공간구성이나 제주 고유의 역사와 문화, 정체성 등을 건축에 내포하여 건축에 담긴 제주성을 해석하게 하는 지역성이라 할 것이다. 일련의 연구를 통해 정리한 이 두 개의 개념은 제주건축의 지역성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유효한 도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현대 건축의 지역성 구축 및 표현 특성 사례 연구

        마동칭(Dong-Qing Ma),윤지영(Ji-Young Yoon),장징위(Jing-Yu Z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현대 지역주의의 건축사상을 기반으로 건축의 지역성 구축과 표현 특성을 종합, 정리하고, 이를 기준으로 중국의 6개 현대 건축 사례를 분석하여, 실천적인 차원에서 중국 현대 건축 지역성 구축과 표현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중국 현대의 6개 사례를 환경의 지역성, 문화의 지역성, 기술의 지역성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의 지역성은 건축이 지역 환경(지형 지모, 기후, 구역 경관)에 대한 호응을 강조한다. 둘째, 문화의 지역성은 건축이 지역의 커뮤니티 구조, 경제 형태, 민속 습관 등 사회 요소와의 연관에서 체현되고 다양화의 설계 수단을 빌어 지역 문화 특징이 건축 속에서의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기술의 지역성은 건축의 건조 공법, 구조용 형상, 재료의 내용과 지역 환경, 문화의 조화에 있고 기술의 적합성을 강조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대 건축의 지역성 구축은 전통과 현대의 환경적, 문화적, 기술적 융합이 다차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건축의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촉진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nese architecture from the aspects of the regionalism of environment, culture and technology. Six cases of contemporary Chinese architecture which won the world-wide famou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regionalism of environment emphasizes the building`s response to the regional environment (topography, climate and regional landscape). Second, the regionalism of culture reflects as the relevance between architecture and community structure, economic patterns, folk customs and other social factors of the region. Third, the regionalism of technology requires the coordination of construction process, structure form, materials and other contents of architecture with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culture, and emphasizes the suitability of technology. Environment, culture and technology determine that the regionalism of contemporary Chinese architecture is not purely the meaning at the formal level, but explores the underlying causes.

      • KCI등재

        제주도 뮤지엄 건축의 지역성 표현 연구 -비판적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장종구 ( Jang Jonggu ),김용성 ( Kim Youngsung ),송석재 ( Song Seokj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주의를 기반으로 보편화와 합리성의 특성을 가진 근대건축의 양식은 전 세계에 전파되었다. 한국도 전쟁, 군사독재 등 급격한 사회변화를 거쳐 경제발전을 이뤄냈으나 근대화 과정 속 충분한 논의, 정체성 확립이 아닌 건설의 목적으로 근대건축이 이뤄졌다. 제주도는 섬이라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건축 근대화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았으며 보존된 자연환경을 통해 지역성을 보존하는 지역 중 한 곳이다. 하지만 2010년대부터 늘어나는 관광객, 난개발로 인해 제주 지역성이 희미해지기 시작했다. 그중 미술관, 박물관은 전국에서 면적대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지만 제주의 지역성이나 정체성을 확립하는 목적보다 상업적인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제주도가 지속 가능한 관광지가 되기 위해서는 제주도 지역만의 특성을 가져야 할 것이며 관광객이 방문하는 뮤지엄 건축에서도 지역성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지어진 제주도 뮤지엄을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제주도의 지역성 표현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추후 지어질 뮤지엄 건축의 지역성 표현 참고 자료로 역할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로 지역주의와 비판적 지역주의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지역주의의의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표현 특성과 키워드를 바탕으로 표현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제주도 뮤지엄 건축물 사례를 분석 및 평가한다. (결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역성 표현방식은 장소성, 구축성, 감각성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사례에 적용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소성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대부분 건축물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대부분 경사지에 대한 순응, 자연환경의 유입을 통해 장소성을 표현하였다. 두 번째 점수를 받은 구축성의 경우 가장 많은 표현은 재료의 재해석이었다. 현무암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제주도 지역성을 표현하였다. 감각성의 경우 대부분 나타나지 않았으며 K.프램튼이 직접 언급한 안도 다다오의 건물 중 수공간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결론) 제주도가 지속 가능한 매력적인 관광지로 남기 위해서는 제주도 건축물의 지역성 상실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으로 뮤지엄 건축을 사례 분석하였을 때 장소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도출한 결과는 특정 지역의 지역성을 보여주는 방식이라 보기 어려웠고 건축가의 의도에 의한 수단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현무암의 재해석을 통해 재가공, 색, 감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제주도의 지역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범주와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지역을 표현하는 것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비판적 지역주의는 구축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자연환경의 유입과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을 유지하고 지역 전통 구조, 기법, 재료의 재해석 범주를 넓혀 연구한다면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또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비판적 지역주의의 관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Korea has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apid social changes such as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but modern architecture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not sufficient discuss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Jeju Island wa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modernization of architecture based on the peculiarity of an island, and is one of the few places in Korea that has managed to preserve its local character through its preserved natural environment. However, the growing number of tourists and uncontrolled development since the 2010s have led to the loss of Jeju's regionality. Among them, art galleries and museums have the highest ratio to area in the country, but they are used only for commercial purposes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Jeju's regionality or identity. In order for Jeju Island to become a sustainable tourist destination, it should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and localism should also be discussed in the architecture of museums visited by touri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xisting Jeju Island Museum from a critical regionalism perspective, derive the elements of Jeju Island's regionality,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expressing regionality in future museum architecture. (Method) As a theoretical review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comparative analyzes regionalism and critical regionalism is conducted. In addition, ba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keywords shown in previous studies on regionalism, expression elements are derived to prepare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cases of Jeju-Island museum buildings are analyzed and evaluated. (Results) Placeness scored the highest and appeared in most buildings. Most of them represented places through slope adaptation and the influx of natural environment. Tectonic received the second score, the most common expression wa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material.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basalt, highlighting Jeju's unique geological features. As far as sensitivity is concerned, it has largely been lacking, as K. Frampton directly mentioned, with Ando Tadao's architectural works. (Conclusions) When analyzing the museum's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regionalism, the concept place was emphasised. However, the results derived were not effective in demonstrating the regionality of a specific area, but rather seemed to be a form of self-expression by the architect. The reinterpretation of basalt through reprocessing, color, and sensation is an effective expression of Jeju-Island's regional identity. Critical regionalism, which has limitations in expressing regions with unclear categories and definitions, needs to focus on constructivity. If architect keep the inflow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minimiz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xpand the scope of reinterpretation of local traditional structures, techniques, and materials, architect adopt a critical regionalism perspective that is both practical and effective.

      • 1980년 이후 중국 건축가 지역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 지역성의 한계와 발전방향

        장월 ( Zhang Yue ),이병연 ( Lee Byung-yun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19 建設技術論文集 Vol.38 No.2

        본 연구는 개혁 개방이후 지역성 개념의 확장에 따라 초래된 지역성의 개념과 범위가 모호해지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지역성을 연구 대상으로 지정하고 심층적인 연구방향을 제안하여 중국 근대 건축의 설계에 투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분석가치가 높은 현대 건축사례와 건축가들의 주장했던 구체적인 이론을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고 1980년 이후의 지역성 발전방향 및 발전추세를 추측하여 신 지역성 건축의 발전 방향과 문제점을 개관한다. 동시에 지역성에 대한 해석 및 정의가 모호해진 문제를 직시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발전발향을 제안하는 것을 시발점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근대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본문에서 언급한 발전방향을 통해 오늘날 중국 지역성 개념이 보다 명확하게 정의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problem of blurring the concept and scope of locality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locality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and to designate regionality as a research target and to suggest in-depth research directions and project it in the design of modern Chinese architecture. This study sets up the high-value modern architecture cases and the concrete theories of architects as important research subjects, and outline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roblems of new regional architecture by inferring regional development direction and development trend since 1980. At the same time, the starting point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trends by looking at the problems with the ambiguous interpretation and definition of locality and analyzing the causes. This study expect to discover new possibilities of modern architecture and define the concept of Chinese regionality more clearly today through the development direction mentioned in the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