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장(戰場)이 된 제주4·3평화공원

        김민환(Kim, Minhwan)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2

        제주4·3사건 ‘해결’을 위한 첫 번째 단락 -희생자들의 무고한 희생을 인정하는 것 -을 마무리하고 두 번째 단락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 -을 시작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앞에 두고 이 논문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첫 번째 단락의 모든 갈등과 타협이 응축되어 있는 제주4·3평화공원의 형성과정을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 작업은 한편으로 첫 번째 단락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두 번째 단락에서 예상되는 갈등지점들을 미리 정리하는 의의를 갖는다. 제주4·3사건에 대한 해석은 크게 3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미국과 지배세력의 해석인 ‘폭동론’이며, 둘째, 다양하게 분화된 ‘항쟁론’이며, 셋째, ‘양민학살론’에서 출발해서 ‘국가폭력론’으로 이어진 해석이다. 제주4·3사건 해결을 위한 초기 단계에서 ‘항쟁론’ 및 ‘양민학살론(국가폭력론)’은 ‘폭동론’에 대항해서 강한 연대를 형성했다. 그러나, 법적·제도적으로 4·3사건의 해결이 모색됨에 따라 ‘국가폭력론’은 ‘항쟁론’과 분리되기 시작했다. 특히 제주4·3평화공원의 형성과정에서는 이 두 입장 간의 첨예한 갈등이 있었다. 비록 ‘국가폭력론’과 ‘항쟁론’의 갈등이 표면화되긴 했지만, 궁극적으로 이 두 입장의 갈등은 ‘폭동론’에 의해 구조적으로 매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강조하기 위해 ‘폭동론’의 ‘아른거림(absent presence)’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In the ‘resolution’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we are drawing an end to the first phase?acknowledging the innocent deaths incurred by the incident ? and entering the second phase of imbuing these deaths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paper aims to closely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Jeju April 3rd Peace Park as the culmination of all the conflicts and compromises of the first phase. On one hand, this paper concerns the evaluation of the successes and the limits of the first phase, and, on the other hand, it aims to settle prospective points of contention within the second phase. Existing literature on the Jeju April 3rd Incident can be largely understood through the three following interpretation. First is the ‘Riot interpretation’ of the US and the ruling parties, second is the varied and divided ‘Uprising interpretation’, and the third is the ‘State Violence interpretation’, which traces its roots from earlier theories like the ‘Genocide interpretation’. In the earlier stages of April 3rd resolution, proponents of the ‘Uprising interpretation’ and the ‘Genocide interpretation(State Violence interpretation)’ formed a powerful coalition against the ‘Riot interpretation’. As legislative and governmental solutions for April 3rd began to arise, however, ‘State Violence interpretation’ began to part ways with ‘Uprising interpretation’, and conflicts between the two sides became especially acute during the formation of the April 3rd Peace Park. The author argues that although it was the conflict between the ‘State Violence interpretation’ and ‘Uprising interpretation’ that surfaced, this conflict was, in fact, structurally mediated through the ‘Riot interpretation’. To emphasize this point, the author introduces in this paper the notion of the ‘absent presence’ of the ‘Riot interpretation’.

      • KCI등재

        다크투어리즘 유산의 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제주 4·3 유적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김홍길 ( Kim Hong-kil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4

        본 논문은 제주 역사를 돌아보는 다크투어유산과 흔적이 투영된 제주지역에 대한 현장연구이다. 제주 4·3 사건은 경찰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독 선거, 단독 정부 반대를 기치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73주년을 맞이하였다. 천혜의 자연을 품고 있는 평화로움의 상징인 제주이지만 제주 4·3 유적지를 비롯해 수많은 다크투어 유적지가 존재하고 있다. 역사라는 이름 아래 왜곡되거나 소외되었던 개개인의 삶을 조명하고, 과거에 발생한 역사적 사건을 바르게 알리고 전승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크투어는 지난 20여 년간 국내·외 역사 관광의 일환으로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이론적 기반이 부족한 채로 사례 위주의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 4·3 사건에 대한 다크투어는 역사적 사건과 함께 짚어보는 시간 속에서 죽음을 받아들이는 하나의 비극의 형태로서 지난 2003년 노무현 정부에서 제주 4·3 사건을 ‘단독정부 수립 반대와 연계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가 있었고,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주민들이 희생된 사건’으로 정의한 이후 이번 정부에서는 제주 4·3 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재해나 대참사의 뒤에 부흥하는 지역 관광산업을 돕는 반발력의 구조가 될 수 있는 계기로 가슴 아픈 제주 역사를 돌아보는 제주다크투어 유적지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보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on-site study of the Jeju area, which reflects the dark tour heritage and traces of Jeju history. The Jeju 4·3 incident marked the 73rd anniversary of the incident in which residents were sacrificed during armed clashes and suppression under the banner of resistance to police oppression, independent elections, and opposition to the dictatorship. Jeju Island, which is a symbol of peace with natural nature, is sure to be Korea’s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There are many dark tour sites including the Jeju 4·3 site, but it is first necessary to illuminate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have been distorted or alienated under the name of history, inform the true historical events of the past, and transfer memories. These dark tours have been steadily researching domestic and foreign historical tourism for the past two decades, but with a lack of systematic theoretical foundation, most of them are case-type-oriented studies. After defining the 4·3 case adopted by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2003 as ‘there was an armed uprising by the Jeju Do Party of the Namro Party in connection with opposition to the dictatorship, and innocent residents were sacrificed at the same time’, the amendment to the Jeju 4·3 Special Act was passed. The Jeju Dark Tour site, which looks back on the painful history o f Jeju, should be systematically p reserved and accurately guided. A s tudy t hat discusses that the dark tour of the Jeju 4·3 Incident can be a structure of repulsion to help the local tourism industry reviving after a disaster or catastrophe as a form of tragedy that accepts death in the time looking at it with historical events.

      • KCI등재

        중심과 주변의 중층성: 노래와 평화기념공원으로 본 동아시아

        김민환 ( Min Hwan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97

        이 글은 추상적이고 규범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성찰적 동아시아론(reflective discourse on East Asia)``에게 구체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 중 하나이다. 외관적으로 보면 전혀 관련없을것 같은 두 종류의 문화적 산물, 즉, 노래 세 곡과 평화기념공원 세 곳을 각각 의식적으로 ``분단된 동아시아``라는 맥락에 위치시켰을때 새로운 의미를 찾아낼 수 있었다. 「오키나와를 반환하라(沖繩を返せ)」, 「총통장공기념가(總統蔣公紀念歌)」, 「아름다운 강산」 등의 노래 세 곡은 모두 데땅트를 통해 동아시아 중심에서 냉전적 긴장이 감소될 때 오히려 냉전적 긴장이 배가되었던 동아시아 주변 사람들의 고통이 다른 방식으로 표현된 것들이다. 오키나와평화기념공원, 타이페이2·28평화기념공원, 제주4·3평화공원은 1990년대 초반 세계적인 탈냉전을 배경으로 진행된 동아시아 탈냉전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이시기 이루어진 탈냉전이 냉전과 분단의 완전한 해소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들 평화기념공원은 탈냉전을 지향하는 세력과 냉전적 사고를 고집하려는 세력의 전장이 되었다. 따라서 평화기념공원이 지향하는 ``평화``의 의미는 국민국가 내부의 투쟁 양상에 따라 매우 다르게 표상되었다. 그러나, 이들 세 평화기념공원을 분단된 동아시아라는 맥락에 위치시켜야만 ``발견``할 수 있는 평화에 대한 메시지가 따로 존재했다. 그것은 바로 동아시아에서 냉전에 기반한 분단의 완전한 해체와 새로운 동아시아질서의 형성에 폭력적 수단이 개입되는 것이 아니라 평화로운 방법이 동원되어야 한다는 ``평화``에 대한 비원(悲願)이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substantialize the reflective discourse on East Asia, which is said to be rather abstract and normative. Two cultural products of songs and peace commemoration parks, seemingly unrelated, can provide new insights for this discourse, if they are contextualized in "divided East Asia." Three songs of "Return Okinawa(沖繩を返せ), Chiang Kai-shek Memorial Song(總統蔣公紀念歌), and Beautiful Land(아름다운 강산)" were respective representations of increased sufferings of people of East Asian periphery when the tensions of cold war in East Asian Center decreased. Three peace commemoration parks of Okinawa Peace Memorial Park, Taipei 228 Peace Memorial Park and (Jeju April 3rd Peace Park are the results of post-cold war in the context of global post-cold war from the early 1990``s. However, this post-cold war did not bring the compete resolution of cold war or division and peace commemoration parks became the battle grounds between the groups striving for post-cold war and groups maintaining cold war order. Therefore, the meaning of ``peace`` in such parks were differently represen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truggles within each nation state. Nevertheless, there exists a message for ``peace``, which can be ``discovered`` only contextualized in divided East Asia. That is a yearning for ``peace`` of East Asia, that division based on cold war should be completely dismantled and the formation of order in East Asia should be not by means of violence but by peaceful means.

      • KCI등재

        제주 4·3평화공원에 새겨진 ‘뒤엉킨 권력’의 흔적

        홍순용,육영수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5 중앙사론 Vol.0 No.42

        Jeju 4·3 Peace Park is the conclusion place for the resolution project of the Jeju 4·3 Incident with a governmental initiative since Kim Dae Jung regime. And it is the combined outcome of ‘making of 4·3 memory’ together wi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presentatives of military and police, 4·3 families of the deceased, 4·3 movement groups, and so on. This means that competing traces among various powers that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4·3 Peace Park remained in the space. Hence, 4·3 Peace Park exhibits the memories of 4·3 to demonstrate the ‘history of 4·3 resolution’ together driven since the government of the people. The scenery of the external space in 4·3 Peace Park reflects the changes of 4·3 arguments upon the regime and the traces of powers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ir changes. In addition,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within 4·3 Peace Park is the place to be materialized by the issues related to 4·3. 4·3 movement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foundation of permanent exhibition hall tried to fill in the place of the silence in which Fact-finding report on the Jeju 4·3 Incident could not expose. However, this had been divided by two trials. One was the trial to criticize the fact that positivism historical view of one journalist to collect the facts on 4·3 Incident for more than 20 years and to follow the truth was missing, and the other was the trial of structuralism historical view to criticize the fact that the governmental fact finding excluded another leading part, armed group from the incident. The fierce history writing war between these two historical views resulted in the form of ‘entangled’ at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in Peace Park. In this article, the space of Jeju 4·3 Peace Park was analyzed in view of ‘past liquidation on 4·3 Incident and peaceful history making’ rather than finding the truth of Jeju 4·3 Incident.

      • KCI등재후보

        역사적 기억의 덧쓰기(palimpsest)에 대한 국면사적 접근

        전희진(Heejin Jun),박광형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6 문화와 정치 Vol.3 No.1

        용산 전쟁기념관과 제주 4.3 평화공원은 비슷한 시기에 서로 연관되어 벌어진 역사적 사건들, 즉 한국전쟁(1950-1953)과 제주 4.3 사건(1948-1953)을 기억한다는 취지로 건립된 곳이다. 이 두 개의 기념관은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면서도 서울과 제주라는 지리적 거리만큼이나 잘 어울리지 않는다. 전쟁기념관과 제주 4.3 평화공원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해석, 기억, 재구성 등에 있어서 어떠한 유사성과 대비를 보이는가? 이러한 유사성과 대비가 공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두 기념물이 보이는 유사성과 긴장을 서로 다른 시간성(혹은 역사적 맥락)의 교차라는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공적기념물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대개 그 기념물이 전하는 “핵심적” 의미를 부각할 수 있는 하나의 역사적 맥락에 집중하였다면 이 연구는 다양한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행위들(practices)이 덧씌워진 공간으로서 공적 기념물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를 통해 공적 기념물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긴장과 비일관성을 당연한 것으로 보고 역사적 기억은 항상 경합과 갈등을 낳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some characteristics related to representations of the collective historical memories with a comparative study of the War Memorial of Korea(WMK) and Jeju 4.3 Peace Park. In this study, it is asked why the representations of war memories in the WMK and Peace Park are simultaneously similar and contrasted. Existing scholarly works on these public memorials largely overlook many relevant aspects such as historical evolution of war memorial construction other than the historically specific experience of the South Korean democratic transition. This study hopes to overcome this limit by introducing recently developed conjunctural approach of historical sociology. In doing so, it is expected to highlight the palimpsest practices of spatial organization in the processes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of war.

      • KCI등재

        연구논문 : 다크투어리즘의 스토리텔링 요소에 관한 연구 -제주 4.3평화공원을 중심으로-

        장혜원 ( Hye Won J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다크투어리즘의 스토리텔링 요소가 방문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다크투어리즘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다크투어리즘으로서 제주 4.3평화공원을 대상으로 전시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요소 즉, 주제성, 교육성, 체험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다크투어리즘의 스토리텔링요소와 공원에 대한 만족과의 관계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검증결과 체험성, 주제성, 교육성 순서로 공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토리텔링요소와 공원의 재방문의도와의 관계검증에서는 체험성과 교육성은 공원의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주제성은 강한 부(-)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원의 방문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는데, 검증결과 만족감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스토리텔링을 다크투어리즘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요자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접근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torytelling attributes on visi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the JeJu April 3rd Peace Park as Dark Tourism. As such, we sought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storytelling attributes and in turn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ing attributes, visi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previous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was based on 275 responses. We tested the three attributes of theme, leaning, and experienc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found that these three attribut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visi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While both leaning and experience dimension positively affect revisit intention, theme had a negative effect. We also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isi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inally, we provided some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marketing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다크투어리즘 방문 동기가 방문객의 경험, 정서 및 인지적 효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제주 4·3 평화공원 방문객을 중심으로 -

        박서현(Park, Seo-Hyeon),이민경(Lee, Min-Gyeong),정지연(Jeong, Ji-You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다크투어리즘 방문객의 관광 동기가 관광 경험과 정서적·인지적 효과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제주도의 대표적인 다크 투어리즘 장소인 제주 4·3 평화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총 213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SPSS 22와 AMOS 2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법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방문객의 여가 동기는 일탈적·오락적·교육적·심미적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예상과 달리 교육 동기와 호기심 동기는 방문경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일탈적 경험은 정서적 효과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오락적 경험은 인지적 효과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더 나아가 정서적 효과와 인지적 효과 모두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이에 따른 조절 효과도 일부 경로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크투어리즘의 방문 동기에 따라 경험, 정서 및 인지적 효과, 향후 행동 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다크투어리즘 마케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여가 동기로 다크투어리즘 장소를 방문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두운 역사에 대한 정서적·인지적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그 동안 논란이 되었던 다크투어리즘 방문동기에 따른 부정적 효과에 대한 비판적 논쟁을 일부 잠재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tourism motivations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ourism experiences and emotional and cognitive effects in the dark tourism context. A total of 213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t Jeju 4·3 Peace Park, a representative dark tourism place in Jeju Isl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 and AMOS 22.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visitors’ leisure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scapist, entertainment, educational, and esthetic experiences, while the educational purpose and curiosity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visit experience. In addition, the escapist experience ha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ffects, and entertainment experience ha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gnitive effects. Furthermore, both emotional and cognitive effects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was also confirm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effective dark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In addition, since the emotional and cognitive effects of dark history are significant for tourists who visit dark tourism sites for leisure motivation, it will help to calm some of the critical debate on negative effects of dark tourism related visit motivations that has been controversial.

      • KCI등재

        묘지의 정치

        이재승(Lee, Jae Seu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8 No.-

        본 연구는 과거청산 과정에서 묘지와 관련하여 충돌하는 정치적 주장들을 배경으로 한국사회의 인정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주4.3사건 희생자중 남로당 주요인물이나 항쟁에 적극적으로 관여한 사람을 희생자의 범위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국가의 방침을 화해와 상생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미국에서는 남북전쟁후 30년의 세월이 지나면서 남군 무명용사비와 남군사령관 로버트 리의 기념관을 알링턴 국립묘지에 설치하였는데, 4.3사건 발생 70주년을 목전에 둔 현재에도 제주4.3평화공원에는 무장대장 이덕구를 위한 애도의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베버의 종교사회학적 가정을 활용하여 해명해 보았다. 베버는 중국의 사대부에게는 형이상학적 관심이나 내세관이 결여된 나머지 자본주의 정신을 구축할 수 없어 자본주의 탄생의 구조적 여건을 구비했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가 중국에서 탄생하지 않았다고 평가하였다. 이 주장은 다각도로 비판받고 있지만 유교의 내세관에 대한 베버의 가설은 한국사회에서의 명예회복을 설명하는 데에 유익한 모델이 될 수 있다. 기독교는 종말론과 이원론에 입각하여 종교적 인정을 세속적인 인정보다 높이 평가하기 때문에 세속적 영역에 인정투쟁이 집중되지 않는데 비해 유교적인 일원론에 의하면 사자의 세속적인 명예만이 존재하므로 세속적 영역에서 인정투쟁이 격렬하게 전개된다. 유교문화권에서 고도로 합리화된 세속적 명예는 종교화되며, 사대부의 명예의식과 아비튀스는 세속적 인정을 영구화한다. 사대부는 본디 세속적이고 국가적인 인정을 추구하지만 근대 이전의 한국사회에서 가문중심의 선산이 주요한 묘역으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군국주의적 식민지배, 항일독립투쟁,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립묘지가 탄생하고 국가주의와 반공주의는 사대부의 아비튀스를 포섭하고 사자의 명예에 대해 강력하고 새로운 위계질서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이데올로기 아래 조성된 묘지나 추도시설은 사자의 진혼에도 실패하고 평화를 향한 열망을 심화시키지도 못한다. This essay analyzed the structure of recognition operating in Korean society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onflicting political claims around the national cemeteries and national memorial parks for the victims of the state violence. This essay reviewed critically the validity of the conservative opinion that the central figures of South Korea Labor Party and the active participants in Cheju 4.3 uprising should be excluded from the categories of victims of state violence. This essay trie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the recovery of honor for transitional justice or purge of the past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In particular, this essay explained the background consciousness of the physical attacks on the tombs and tombstones of the dead of the left-wing group. Whereas the Arlington House for Robert Lee, Confederate General Commander was set up in Arlington National Cemetery, there is no place for Lee Dukku, the leader of the uprising civilians in Cheju 4.3 uprising, in Cheju 4.3 Peace Park. This essay attempted to explain this cultural differences in light of Weber’s religious sociological assumptions. According to Weber, although China met the structural requirements of birth of capitalism, capitalism did not originate in China because Confucianism could not form the spirit of capitalism. An interesting conclusion seems to be drawn from his premise if Weber’s hypothesis on monotheistic Confucianism and dualistic Christianity is transferred to the social horizon of honor and recognition. Whereas Christianity glorifies religious recognition, Confucianism leaves no room for the religious recognition of the afterlife world. In the Confucian culture, habitus of the literate status perpetuate or religionize the secular horizon of honor and recognition. Therefore, the big social energy for secular recognition will be concentrated in Confucian society. The Korean national cemeteries did not result directly from the habitus of the literate caste. The National Cemetery was established by the state to commemorate the war deads after the Korea War. The national cemeteries has realized anti-communist graveyards, and assimilated and captured the habitus of the literate status through the conservative politics for recognition. Thus, it is getting difficult to experience the emotion of mourning, spirit of toleration and the aspiration to peace in national graveyards or memorial halls built by the state. The intolerant and hostile politics of recognition is the collaboration of the habitus of the literate status, state-oriented attitude, and anti-communism. This politics of recognition runs counter to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as the spirits of transitional justice.

      • KCI등재
      • KCI등재

        다크투어리즘 참가자의 방문동기 - 제주 4.3평화공원 방문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비교 -

        장혜원,김태훈,정철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6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who visited JeJu April 3rd Peace Park, which a Korean dark tourism destination. Data were conveniently collected from 288 visitors at the park from December 2009 to April 2010.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22 items of dark tourism motivation were developed.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yielded five factors of dark motivations(i.e., historicity, escape from everyday life, family and social togetherness, education, and attractiveness of the sit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and tourists in terms of their motivations to visit the park. Specifically, in terms of historicity and education motivation, tourist had significant higher motivations than the local residents had. In contrast, in terms of escape from everyday life and family/social togetherness, and attractiveness of the site, the residents had higher motivations than the tourists h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