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백승대(Baek, Seungdae),안태준(An, Taej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Korean adolescents’ national identity on their unification consciousnes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identity of Korean adolescents was divided into ethnic identity and civic identity. While their civic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aspects of their unification consciousness, their ethnic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nly two aspects of their consciousness. It was evident that the civic identity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ir civic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opinion on the necessity of national unification, the peaceful unification, the unification costs, the unification by South Korea’s system, and the expectation of a unified Korea. On the other hand, their ethnic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opinion on the unification by South Korea’s system, and the expectation of a unified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it significantl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unification consciousness. Previous studies on unification consciousness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eople for national unification,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sociodemographic groups for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Secondly, it significantly highlighted the positive effects of having an interest in civic identity. The study found that adolescents with a strong civic identity tended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unification consciousness.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은 민족적 정체성과 시민적 정체성으로 나누어졌다. 시민적 정체성은 그들의 통일의식과 관련된 모든 조사 항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에 민족적 정체성은 통일의식과 관련된 2개의 조사 항목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게다가 시민적 정체성은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시민적 정체성은 통일의 필요성, 평화적 통일, 통일비용 부담, 남한체제로의 통일, 통일한국에 대한 기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민족적 정체성은 남한체제로의 통일, 통일한국에 대한 기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정체성과 통일의식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통일의식과 관련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기술하거나, 인구사회학적 집단 사이의 통일의식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둘째, 통일의식의 향상을 위해서는 시민적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강한 시민적 정체성을 가진 청소년들이 통일의식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 KCI등재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과 한국 다문화시민교육에의 함의

        박선운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4

        This study introduces theories of racial,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and explores their applications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Three theoretical models—Gay’s ethnic identity development, Phinney’s multiethnic identity development, and Banks’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model—are discussed.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theories consider identity development a dynamic process, emphasize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or contexts, and view students from ethnically and culturally marginalized families in positive ways.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to understand theories of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theorie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research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in three main ways. These approaches includes: 1) developing and revis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nsidering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al stages, 2) providing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and to study that of their students, and 3) developing measures to study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다문화시민교육의 측면에서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정체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발달되어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인종 정체성, 민족 정체성, 문화 정체성의 개념 및 이들의 발달이론들을 소개하고, 이것이 한국의 다문화시민교육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줄 수 있는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Gay, Phinney, Banks가 제시하였던 세 가지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 모델들을 검토한 후, 이들이 1) 정체성을 역동적으로 바라보며, 2) 정체성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3) 소수 민족 및 문화집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민족․문화 정체성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다문화 수용성, 시민으로서의 참여와 밀접히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이 다문화시민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이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및 수정, 현직 및 예비 교사 교육, 학생 및 공동체 이해를 위한 연구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들을 탐색한다.

      • KCI등재

        한국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 연구

        최샛별(SetByol Choi),이명진(Myoung-Jin Lee),김재온(Jae-On Kim)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5

        이 연구는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계량적인 문화간 연구의 대표격인 ACT그룹의 기본적인 틀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다음의 세 가지 목적하에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정체성, 그 중에서도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 (affective meaning)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 이 연구는 한국 문화에 대한 양적인 연구의 첫걸음으로, 특히 사회정체성과 사회적 행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한국의 상황에서 사회정체성에 대한 국제적 비교연구가 가능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다. 둘째, 자료의 수집에 있어서도 단순한 기초 자료의 수집을 넘어서, ACT가 아무런 의문 없이 받아들였던 EPA의 범문화성이라는 기본가정에 대한 재조사를 통해 이 연구전통에 있어서의 새로운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에 따라 주요 차원들이 바뀌거나 부가될 수 있으며, 사회정체성의 경우는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EPA의 세 차원 중 평가(E)의 차원이 사회학의 고전들이 구분한 집단의 특성들에 맞게 분리되어 나타났다는 것을 보여준다. 각각의 차원은 그 특성에 맞춰, 각각 ‘친밀성’ ‘책임성’ ‘활동성’ ‘권력성’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의 분석을 통하여 사회정체성 연구가 어떻게 한국사회의 문화와 그 변화 양상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연구 결과는 전반적으로 친밀성과 책임성, 권력성 측면에서의 감정적 의미는 연령과 성을 기준으로 하는 위계관계와 역할분할이 뚜렷한 한국가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사회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가족은 아직까지도 이러한 전통적인 가족의 질서와 모습을 많은 부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각 정체성들에 부여된 감정적 의미의 분산값을 통하여 그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면, 분산값이 높은 아버지, 장인, 장모, 이혼녀 등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들이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많은 측면들을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challenges one of the fundamental assumption of an active and productive research program in Sociology-the Affect Control Theory. The assumption to be examined and tested is that the three dimensions identified by Osgood et al, namely EPA dimensions -Evaluation, Potency, and Activity can be used to represent affective meanings associated with social ident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first four dominant factors include ‘power’ and ‘activity’ dimensions, while the original ‘evaluation’ dimension is now split into two - one dealing with the degree of intimacy (‘sociability’) and the other dealing with general competence and dependability (‘responsibility’). The analysis of affective meaning on family-related social identities suggests that despite the rapid change in Korean society, Korean family still have a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based on hierarchy of age and division of gender. But the high variance of several identities including father, parents-in-law, the divorced person reflects the change in Korean family.

      • KCI등재

        재외 이주민 정체성의 불확정성과 이중성의 의미 -재일동포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중심으로-

        윤의섭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를 통해 그들의 정체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민족 언어에는 민족에 대한 정체성을 드러내는 표지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그들이 거주하는 국가의 여러 요인에 의해 순일한 정체성을 유지하지 않고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는 데 있다. 즉 대개의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이중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불확정성 원리’의 특징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어느 한쪽의 정체성적 양상만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 다른 한쪽의 정체성에 대한 특징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고는 재일동포의 한국어 시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통해 이들 정체성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재일동포의 시와 중국 조선족의 시에 나타난 정체성은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으로 대변할 수 있는 이중적 양상을 동시에 보이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만약 그들의 민족적 성격을 염두에 두고 민족 정체성의 양상만을 강조할 경우에는 그들의 국가 정체성이나 다른 성격의 정체성에 대해선 제대로 파악하기 힘든 것이다. 그만큼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다양한 양상을 함께 갖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의 이중적 양상은 모순적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그들 정체성의 현재적 위상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면서도 이질적인 정체성이 함께 결합하면서 또 다른 개념의 이주민 주체로서의 정체성으로 생성되어 가는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에 나타난 그들 정체성의 특성은 결국 민족이나 국가와 같은 기존의 정체성 요인만이 아니라 그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체성 형성의 요인을 동시에, 그리고 서로를 배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바라보아야 분명하게 파악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through their poetry in Korean. It is because national language shows the sign that reveals national identity. Identity issue among Korean emigrants lies in the complexity without a fixed, single identity because of various factors and situations in the countries in which they resid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n most cases, is characterized by its duality. Such identity among Korean emigrants should be examined by ‘uncertainty principle’. When one aspect of identity examined, the other aspect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can be hardly verifie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through poetry in Korean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Identity in poetry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demonstrates duality that represents identity of a country and a nation. When national identity emphasized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in mind, it is hard to grasp their identity of a country or other aspects.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has various aspects to that extent. Although such duality in identity seems contradictory,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esent state of their identity.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s complex, combined with heterogeneous identities and experiences the process to become another identity of emigrants with another concept. Therefor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shown in poetry in Korean can be understood clearly by simultaneous awareness of various factors of identity without any exclusion in any way.

      • KCI등재

        새로운 정체성 ‘Korean-American’에 관한 비교연구

        김성주,김범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1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3 No.1

        One’s identity is crea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ts accompanying culture. Also, since a race and its home country share many cultural aspects, a people’s identity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race’s identity. Thus, sharing these cultural similarities helps to bring the people closer to their race and home nation. Korea has over 100 years of immigration history. Among the 7 million Korean immigrants around the world, there are over 2 million Korean immigrants in USA. The first Korean American generation worked so hard in a new land of opportunity in order to survive and to make a living with no time to develop a strong cultural identity. Therefore an identity problem for the 2nd generation of Korean-Americans is considered a growing pain which has unfortunately been ignored and neglected. Finding one’s identity while growing up in the multicultural community of the USA is not the same as finding one’s identity in Korea. Thus, these second-generation children must learn how to correctly balance their two developing cultural identities. This can be done by teaching them how to be a good American in meeting the responsibilities and enjoying the rights and liberties that come from being an American while instilling a sense of respect and love for their mother country. They do not have to be completely educated in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but neither is there a need to completely conform to the trends and fashions of American life. An example of a good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 would be one that is bilingual, understands the cultures of America and Korean, and is able to live within each country as an accepted member of that community. So, these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are neither Korean or American, they are a new cultural group called the Korean American. They will have a bright future ahead of them because they have been able to overcome the struggle of cultural friction. They should be proud of what they have accomplished and what they can accomplish because of who they are. 정체성이란 자신이 속하는 문화와 환경에 대한 자신의 반응이다. 대체로 한 민족이나 국가는 많은 공통된 문화를 형성하고 공유하기 때문에 문화정체성은 민족정체성이나 국가 정체성과도 연결된다고 본다. 이는 공유된 특징으로 인해 어느 한 개인이 특정 민족이나 국가에 자신이 스스로 속해있다고 느끼는 감정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민족의 해외 이민의 역사가 100년을 넘기면서 해외 교포가 700만 명에 이르고 재미교포만도 200만 명을 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특히 재미교포 사회는 그 동안 양적, 질적으로 엄청난 성장을 거듭해왔다. 새롭게 이주해 온 땅에 정착하기 위해,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의 1세대 이민들은 오로지 앞만 보고 달려왔다. 그러다 보니 우리의 자녀들이 성장통처럼 겪어야 하는 정체성의 문제에 대해 방기하거나 무관심했던 것이 사실이다. 민족 정체성은 미국과 같이 다민족 사회에 살고 있는 재미교포들에게는 항상 존재하는 상수라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주요한 변수라고 보아야 하며 그것은 나면서부터 갖게 된 한국인의 정체성과 성장하면서 얻게 되는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사이에서 나름의 고통스러운 시간을 겪어내어 획득하게 되는 절충물 내지는 결과물이라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에 교포자녀들의 정체성의 혼란은 한민족으로서 가져야 할 민족정체성과 미국인으로서 경험하게 되는 국가정체성을 조화롭게 유지하지 못하고 모순적으로 양자가 충돌함으로서 생겨나게 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이민 1세대가 스스로 민족적 정체성에 대해 특별히 자녀들에게 가르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언어나 문화의 차이에 따른 이민생활의 고단함이나 어려움 등에 따라 오히려 자녀들이라도 적극적으로 빠른 시간 안에 미국인으로서 미국화가 되기를 바란 부모세대의 방조도 한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코리안 아메리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은 한국의 옛것만을 고집하는 전통적인 한국인도 아니고 미국 사회에 철저히 동화된 미국인도 아닌 새로운 절충형의 모습이 될 것이며 미국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임을 다하며 동시에 모국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갖고 있는 새로운 정체성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이들은 이중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고 이중 문화권에서 살아감으로써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에서 아무런 제약이나 문제없이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을 뿐 아니라 또한 스스로를 새로운 코리안 아메리칸으로 인식하며 확고한 자아의식을 가지고 문화적 정체성의 혼란을 당당히 극복한 자랑스런 우리의 ‘미래’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질적연구로의 질적 전환: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를 사례로

        서근원,이미종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4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youth identity studies from quantitative things to qualitative ones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to determine what poin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es properly, including youth identity studies. According to Erickson (1968), Identity is a psychological social phenomenon that has properties of uniqueness, sameness, and persistence. Most of psychologists regarded identity as a reality in the individual’s mind and tried to explain the rules of identity by scientific research method. But the method could not make them comprehend the unique identities of individuals. For this reason, some psychologists have recently been trying to redefine concept of identity as a narrative recently. And they are trying to research the identity by narrative research method. It is an appropriate attempt to study identity as a psychological social phenomenon presented by Erickson. But they do not draw an entire picture of participant's unique identity because of their scientific research approach. This means that still there have not yet been any established methods suitable for researching narrative identity. To adequately study the identity as narrative, research methods should be consistent with research subjects. Narrative identity inquiry can be an appropriate alternative. The transitional way to qualitative research is in field, not in book. 본 연구는 심리학 분야에서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정체성의 개념과 연구 방법이 양적인 것으로부터 질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가는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청소년 정체성 연구를 비롯하여 여타 분야의 질적연구가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릭슨(Erickson, 1968)에 따르면 정체성은 심리사회적 현상으로서 고유성, 동일성, 지속성의 속성을 가진다. 심리학계에서는 그러한 정체성이 개인의 내면에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간주하고, 그것을 과학적인 연구 방법에 의해서 법칙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각 개인의 고유한 정체성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런 이유에서 근래에 이르러서 일부 연구자들이 정체성을 내러티브로서 재정의하고,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 방법으로 정체성을 연구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것은 에릭슨이 제시한 심리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적절한 시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내러티브로서의 정체성을 과학적인 논리를 기반으로 연구함으로써 각 개인의 정체성을 충실하게 밝혀내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내러티브로서의 정체성을 적절히 연구하려면 연구 방법이 연구 대상에 일관되어야 한다.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가 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질적연구로의 전환은 언어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질적연구는 글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깨닫는 것이다.

      • KCI등재

        정체성 갈등 시대 정체성 정치문화에 대한 소고 : 자기 동일성으로서의 정체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중심으로

        유용민(Yongmin Ryu)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정체성 정치는 현대사회 상이한 정체성 사이의 공존과 상호 인정을 도모하는 민주적 기획으로 환영할 수 있지만 동시에 정체성 사이의 과도한 긴장과 갈등을 불러오는 폭력적인 가능성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복합적인 성찰을 필요로 한다. 이 글은 정체성 정치에서 정체성 개념이 특권화되고 과잉 도덕화되는 경향이 정체성 정치에 갖는 의미에 주목해 보았다. 정체성은 불변하는 자아를 지지하는 관념인 것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있지만 자아의 동일성과 지속성에 대한 현대철학적 사유들은 실체로서 주체가 갖는 의미가 고정적이지 않음을 일깨운다. 정체성 정치가 자기 동일성에 대한 지나친 믿음에 기초할 때 그러한 정체성 정치가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제공하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 글은 자기동일성에 대한 데이비드 흄의 철학과 정체성 논쟁을 정치철학적으로 제기한 토머스 홉스 그리고 우연적 자아의 개념을 도입해 본질주의적 정체성 개념을 비판하고 비본질주의적인 주체의 개념을 상정하는 미국 프래그머티즘 논의를 탐색하면서 완벽한 정체성의 추구를 부르짖는 정체성 정치의 위험성을 진단한다. Identity politics is a controversial concept that requires complex reflection. The reason is that it has the violent possibility of causing excessiv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differentt identities.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the tendency for the concept of identity to be privileged and overmoralized in identity politics. Identity tends to be perceived as an idea that supports an immutable self. However, modern philosophical thoughts awaken that the meaning of the subject as a substance is not fixed in relation to the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self.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identity politics for their relationship to democracy when it is based on an over-belief in self-identity? This article examines David Hume’s philosophy on self-identity, Thomas Hobbes who raised the identity debate as a political philosophy, and American pragmatism that criticizes the essentialist concept of identit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contingent self and assumes the concept of a non-essentialist subject. Exploring the discussion, this author criticizes the dangers of identity politics calling for the pursuit of perfect identity.

      • 민족정체성, 그리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

        정영훈 ( Young Hun Jeong ) 한국민족학회 2010 민족학연구 Vol.9 No.-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질문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주제이면서 실천적 의의 또한 중요하다. 한말의 국학이래 민족정체성에 대한 탐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나 아직 만족스럽 해명은 나오지 않은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민족정체성 문제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에 토대하여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지 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려한 문제는 다음의 세가지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1) 민족정체성이란 말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속성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민족정체성이 개인이나 집단에게 제기되는 정체성의 한 양상이라는 점과 역사적으로 형성되어온 어떤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서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그것의 유지·존속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민족정체성이 민족주의와 불가분의 관련이 있음을 감안하여,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을 제기하는 가운데 민족정체성이 가지는 의의를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민족이론들을 염두에 두면서 민족정체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3) 한민족은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나름의 대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한민족이라는 용어에 대한 고찰에 이어, 한민족이 갖고 있는 종족적·문화적·언어적·역사적 특징으로의 외적 정체성과,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하는 내적 측면의 정체성에 대해 살피고, 한민족의 민족정체성에 대해 연구자 나름의 요약된 결론을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The identity of Hanminjok is a very controversial and ambiguous theme. Its historical origin and range are the questions under debate. Moreover there are many critical evaluations around national identity. In recent years post modernists insist that the national identity is the invented tradition, which was built up by the modern governmental power or the romantic nationalists with the purpose of national integration and state building. More numerous anti-nationalists asserts that national identity is a dangerous and harmful mechanism for world peace. Of course for these opinions many objections are exist. This article examines some basic problems which must be dealed before the full-scale study on the identity of Hanminjok, the Korean nation. The interests of this paper will be summarized as following 3. (1) The first question is what is the concept and meaning of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As the national identity is a kind of identity, this paper starts the discussion with the meaning of identity. (2) The second question is why the national identity is necessary for mankind. This paper examines the disputes on nationalism because the national identity has inseparable ralation with nationalism. (3) The third question is who is the Korean nation and how can we define the identity of Hanminjok.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 of the term of Hanminjok and examines the ethnical, cultural, linguistic and historical character of Hanminjok. Hanminjok`s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in Korean history is also checked.

      • KCI등재

        다중 조직정체성 관점에서 조망한 현대그룹 3사의 60년 사

        장용선(Yong-Sun Chang)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2

        다중 조직정체성 관점을 통한 기업 집단과 경제·사회적 상황과의 관계 분석은 둘 사이를 보다 긴밀하고 심층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정주영 창업자가 창업한 현대건설,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등의 현대그룹 3사를 중심으로 60여 년 동안 한국 사회의 경제·사회적인 변화에 따른 이들 기업의 다중 조직정체성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행동가 관점과 다중 조직정체성 이론을 토대로 현대그룹 3사의 다중 조직정체성을 메타정체성개념으로 분석하였다. 각 시기의 시대적 상황과 다중 조직정체성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역사적 흐름에 따른 기업집단의 발전과 변화 과정을 설명해준다. 전쟁복구 및 경제재건기(1948-1960년)는 메타정체성의 여명기이다. 이 시기 현대건설의 초기 사업방식은 성공적이었고, 향후 현대그룹 계열사의 메타정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경제개발 및 고도성장기(1961-1979년)에 현대그룹은 메타정체성을 형성하였다. 현대그룹은 이 시기에 현대건설을 모기업으로 하여 1967년 현대자동차, 1973년 현대중공업을 창립하였다. 현대그룹의 3개 회사에서 대담한 목표설정 및 강인한 추진력, 국제화, 자립화 및 역량강화의 공통적인 메타정체성이 나타났다. 자율개방 및 시장경제기(1980-1997년)에 정부의 경제정책은 안정 위에서 성장기반을 다지는 것으로 변화되었고, 전 시기 정부 주도 경제체제에서 민간주도의 시장경제를 모색하였다. 이 시기는 메타정체성이 정착되는 시점이다. 이 시기 현대그룹 3사의 경영은 그룹 회장 중심에서 각 사의 자율성이 높아진 형태로 변화하였다. 현대그룹 3사는 현대그룹의 메타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각 사의 고유한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경제위기 극복 및 경제체질 개선기(1998년 이후)에 한국 경제는 외환위기를 겪었고 이를 벗어나기 위해 한국의 기업 집단은 계열사를 대폭적으로 조정하였으며 기업 경영 방식을 바꾸었다. 이 시기 현대그룹 관계사의 성숙된 메타정체성은 조정이 필요하였다. 한국 기업들은 대기업 집단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다. 대기업 집단이 과거 60여간 어떤 과정을 통해 다중 조직정체성을 형성해 왔는지에 대한 이해는 한국 경제와 기업 정체성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economic evolution and multiple organizational identities of Hyundai conglomerate. Qualitative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sources included historical documents, relevant literatures and research.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es creation of organizational identity, social actor perspective on organizational identity and multiple organizational identities. According to the social actor perspective, organizational identity resides in a set of institutional claims. This study introduces meta-identity concept that involves constructing a superordinate self-categorization as the multiple organizational identities. This research found Hyundai’s meta-identities including audacious goal-setting, internationalization, and self-reliance · competency building. The periods of Korean war recovery and economic reconstruction (1948-1960) were in the dawn of the meta-identities. In the period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highest growth (1961-1979), Hyundai Group built a basic form of metaidentities. In the periods of voluntary and open market economy (1980-1997), the meta-identities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periods of escape from the financial crisis and restructuring economy (since 1998), meta-identities were mature and needed to be reorganized. Korea companies have developed through conglomerates. Analysis of multi-organizational identities through the past 60 years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economy and conglomer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