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병원-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용진(Yong-Jin Seo),고정아(Jung-A Ko),황태연(Tae-Yeon Hwang),오정하(Jeong-Ha Oh),염호양(Ho-Yang Youm),박혜진(Hye-Jin Park),이명수(Myung-Soo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6 사회정신의학 Vol.11 No.1

        목 적: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가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는 정신질환자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으로 연계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시행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개선하여 연계를 보다 활성화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 법: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병·의원 중 입원병상이 있는 44개 기관의 정신과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258명을 대상으로 연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연계의 장애요인 등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병원의 유형이나 직종과 관계없이 병원 종사자들은 대부분 정신의료기관과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 사이의 연계체계 구축이 매우 필요하며 지역사회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었다. 지역사회기관으로 연계를 시켜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61.6%였고, 평균 연계횟수는 8.17회(SD=10.266)이었다. 연계를 하면서 고려하는 정신보건서비스는 주간재활과 사례관리가 가장 주를 이루었으며, 이를 위해 정신보건센터에 가장 많은 대상자를 연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를 하는데 있어 장애의 요인으로는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 대한 정보부족과 체계적인 연계 방법의 미비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결 론: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은 대부분 의료기관으로부터 퇴원하는 정신질환자에 대하여 지속적인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으로 연계를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지역사회기관에 대한 정보부족과 체계적인 연계경로가 갖추어지지 않아 연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효과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수요에 따른 공급의 확대를 통한 지역별 균형적이고 충분한 인프라구축이 전제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 램의 개발, 특성화된 개별 서비스 제공, 홍보를 위한 노력을, 정신의료기관에서는 지역사회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고, 환자와 가족의 재활에 대한 동기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책적으로 다양한 연계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수정, 보완해 가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We investigated attitudes of professionals working in hospital toward linkage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y for mentally ill people who are discharged from hospital, and also their experiences of referral to community facilities. So that we want to explore the obstacles against effective linkage, and consider how to manage those problems and make linkage system more active. Methods:Total 258 psychiatrists, nurses and social workers, working in mental hospital which had inpatient unit and are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were asked to fulfil our questionnaire including attitudes toward linkage, their experience, obstacles against linkage. Results:Most staffs in hospital consider the linkage system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is essential and the role of mental health facilities in community is very important. Among the responders, 159(61.6%) staffs have referred clients to community facilities, and mean number of referral during last 1 year is 8.17 times(SD=10.266). They consider day care program, and case management service when they refer the patients to the community and for this purpose, they refer their patients to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he most. They consider lack of information on community services, and poorly organized referral system as two most serious obstacles against linkage. Conclusion:This study shows that staffs in hospital consider the linkage between hospital and community is so important and essential for continuing mental health services, but they have less information and their is no formal pathway and system of referral, so they have lots of difficulties when they perform and the linkage is not done effectively now. For making linkage system more effectively, most of all, sufficient and balanced infra-structure have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needs. And also, community staffs have to make efforts to develope education program, individual service plan, and public awareness. Staffs in hospital have to make efforts to get more information o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nd related facilities, and find ways to how exaggerate the motivation of patients and care-givers for recovery and rehabilitation. Lastly, various linkage system models have to be suggested and examined, and we have to improve and modify those models.

      • KCI등재

        국내 정신병원의 건축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 서울시립 정신병원과 일반 종합병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상복,윤재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1

        우리나라 정신 의료시설은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을 계기로 폐쇄적인 사회 환경에서 지역 개방적인 의료환경으로 확장되었다. 폐쇄적인 의료환경은 정신병 환자를 비 인권적인 의료서비스 대상으로 버려두는 사회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최근 정신 의료시설들은 정신병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비해 관련 기초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정신병원의 건축 기준과 계획적 특징을 분석하고 있으며, 면적분석을 통해 국내 정신병원과 일반 종합병원 간 시설적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정신병원은 도심형과 도외형에 따라 기능적 특징이 다른다는 점을 확인했으며, 그 밖의 정신병원 건축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The mental health facility in Korea expanded from the closed social environment to the local open medical environment with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law in 1995. A closed medical environment has a social problem that leaves mental patients with non-humanitarian health care services. Recently, mental health facilities have been trying various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ental pati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lated baseline data.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standards and characteristic of domestic mental hospitals to investigate the facility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ment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through analyzing area. As a result, mental hospitals have confirmed that their function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according to urban and non-urban type, and they provide basic data for other mental hospital building plans.

      • KCI등재

        소아ㆍ청소년 정신분열병 환자의 또래 관계에 관한 고찰 :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신성웅,조수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논문은 사춘기를 전후하여 발병하는 정신분열병의 또래 관계에 관해 사례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한 논문이다. 정신분열병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발병 전 대인관계 양상과 적응정도가 중요하며, 교사가 평가한 학교 생활과 또래 관계가 정신분열병의 발병 및 경과를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식들을 대상으로 한 고위험군 연구(high-risk study)와 장기간 추적 연구(long-term follow-up study)들을 통해 정신분열병 발병에 관여하는 전후기 아동기 성격적 행동적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였고, 정신분열병에 발병하고 난 후 나타나는 대인관계 양상과 병태생리에 대해서 서술하였으며, 이를 사회화(socialization)의 관점에서 통합하려는 시도를 소개하였다. 끝으로 사춘기에 발병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 양상을 사례별로 정리하고, 향후 진행되어야 할 연구 과제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중심 단어 : 정신분열병ㆍ또래 관계ㆍ사회화. We focused on the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ich usually occurs around puberty. Reviewing cases with schizophrenia and the literature extensively, we had co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 1) the most robust predictors among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of schizophrenia are premorbi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ive functions. 2) Especially teachers' reports about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 during school life are useful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schizophrenia in adolescents. We described characteristic and behavioral childhood features which are important in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based on high-risk studies and long term follow-up studies. Also, pathological profile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thology in adulthood were presented. We tried to integrate various aspects of interpersonal and social weaknesses of schizophrenics applying 'primary and secondary socialization' concept. Finally, five cases of adolescent schizophrenics were described briefly and proposal for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risk factors was introduced. KEY WORDS : SchizophreniaㆍRisk factorㆍInterpersonal relationshipㆍSocialization.

      • KCI등재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교정처우에 관한 연구 : 사회내 처우를 중심으로

        류은숙(Ryu Eun Sook)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1

        Mentally-disordered offenders have a significant history of offending behavior and pose a significant risk to themselves and others, requiring a special care and careful management. Legislation and practice in the placement and treatment for mentally-disordered offenders is different in countries such as Germany,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However, it is obvious that each country creates the legal frameworks and assessment, court and discharge procedures for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and tries to provide community based treatments and various diversions at all stages of criminal justice system to the offenders with mental disorders. By contrast, Korea's criminal justice system for mentally-disordered offenders depends disproportionately on correction facilities such as an institute of forensic psychiatry and prison. Furthermore, there are very few community-based treatments and alternatives such as diversions for offenders with mental disorders. These problems exacerbate the already elevated risk for re-arrest and incarceration of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in Korea. Based on this study, this researcher proposes several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rrectional treatment for offenders with mental disorders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up a more efficient and integrated regulation to provide a definition of the mentally-disordered offenders and to provide more appropriate correctional treatments for individuals who have mental health issue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riminal justice system. Second, specific regulations concerning criminal mental assessment need to be specified in the legal code. Criminal justice agencies should comply with the recommendations as well as information from the expert assessment. Third, more effective community treatments for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s soon as possible. It is critically necessary to introduce intervention programs specialized in each mental disorder and a new probation official system for mentally-disordered offenders only. Above all, diversions for offender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should be established in all stages of criminal justice procedures. Finally, community treatments for mentally-disordered offenders should make the best use of resources of the private and public mental health facilities and professionals in the respective communities. 정신장애범죄자는 다양한 범죄행동을 보이면서 동시에 정신질환과 약물남용, 성격장애, 그리고 성적인 문제와 같은 복합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주요국에서는 정신장애 범죄자들을 위한 법적 규정과 평가, 재판, 그리고 퇴소절차들을 마련해 놓고 있으며 형사사법시스템의 모든 단계에서 사회내 처우와 다양한 다이버전들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반면에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한국의 형사사법체계는 치료감호소와 교도소와 같은 교정시설에 많은 부분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들을 위한 사회내 처우와 다이버전과 같은 대안적 처우들은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에서 정신장애 범죄자들의 재범의 위험성과 범죄의 흉포성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교정처우를 발전시키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교정처우에 대한 통합적인 법적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범죄자의 정신상태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법적 규정내에 확립되어야 하고, 여기에는 다양한 정신건강전문가, 평가도구, 평가의 법적 구속력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정신건강전문가팀, 특수개입프로그램, 특수보호관찰제도, 다이버전, 문제해결법원, 그리고 중간처우시설 등과 같은 사회내 처우가 조속히 설립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내 처우는 지역사회에 있는 민간자본인 사립 및 공립 정신건강시설과 전문가들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정신병환자에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의 치료요인 비교

        윤성철,이후경,정인과,이규항,함 웅,차정화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정신병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을 조사하여, 그 치료적 특성들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방 법 : 1996년 9월부터 1997년 5월까지 낮병원에 참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총 35명의 정신병환자로 남자 22명, 여자 13명이었다. 동일한 낮병원 환자들에게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 드라마를 각각 시행한 후, 13가지 치료요인 척도를 사용하여 집단정신치료의 구성원,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 싸이코드라마의 관객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의 순위를 각각 조사하였다. 이 세 집단을 모두 상위기능 집단과 하위기능집단으로 나누어 치료요인을 비교하였다. 상위와 하위기능집단은 낮 병동에서의 생활,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을 때의 태도, 치료자와 면담하였을 때의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낮병원 치료팀 모임에서 치료자들의 합의에 의해 결정하였다. 각각의 치료 요인은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치료 요인의 순위를 매겼으며, 이 순위에 의해 집단정신치료,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 싸이코드라마의 관객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에서 나타난 치료요인에 대한 특정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싸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은 기능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카타르시스”와 “일차 가족 집단의 교정적 감정 경험”을 매우 중시하였다. 2) 싸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은 상위기능집단의 경우 “치료자의 조언”을 하위기능집단의 경우 “구성원의 조언”을 중시하였다. 3) 싸이코드라마에서 관객은 기능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치료자와의 동일시” 와 “구성원과의 동일시”를 매우 중시하였으며, 또한 보편성을 중시하였다. 4) 상위기능집단의 경우 집단정신치료 싸이코드라마의 관객 및 주인공에서 “대인관계학습”을 중시하였으며, 특히 집단정신치료에서 “대인관계학습”을 매우 중시하였다. 5) 하위기능집단에서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과 집단정신치료에서 모두 “사회화 기술의 발달”을 중시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먼저 집단정신치료나 싸이코드라마를 환자에게 시행할 때 치료자가 치료요인을 고려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는 모두 동일하게 중요한 치료법으로 실제 임상에서 널리 이용하는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의 기법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hich were applied to psychotic patients, and to compare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two therapie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of a day hospital from September 1996 to May 1997.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5 psychotic patients(22 males, 13 females). Both of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ere done to the patients of the day hospital. After these therapeutic factors were checked by the members of group psychotherapy, the protagonists of psychodrama, and the audience of psychodrama using 13 therapeutic factors scale. All three groups divided into higher functioning group and lower functioning group by mutual consent of the therapists in the treatment team meeting according to the patient's life of the day hospital, the attitude in programs, and the state during the interview with the therapist. And then therapeutic factors of higher and lower functioning group were compared. By the mean score of each therapeutic factor the rank of therapeutic factors was decided. By these ranks we compared the important therapeutic factors on the members of group psychotherapy, the protagonists, and the audienc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rotagonists of psychodrama set a very high value on “catharsis” and “the corrective recapitulation of the primary family group”, regardless of their functional level. 2) The protagonists with a higher function set a higher value on “guidance of therapists”, while those who had a lower function set a higher value on “guidance of members”. 3) The audience of psychodrama set a very high value on “identification with therapists”, “identification with members”, and set a high value on “universality”. 4) The higher functioning group of the group psychotherapy, the audience, and the protagonists set a high value on “interpersonal learning”, especially the patients of group psychotherapy set a very high value on “interpersonal learning”. 5) The lower functioning group of the protagonists and the group psychotherapy set a high value on “development of socializing techniques”.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draw some suggestions. First, if therapists take the above-mentioned therapeutic factors into consideration during the sessions of group psychotherapy or psychodrama, they can obtain more effective therapeutic outcome. Second, it is desirable that both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should be used more extensively as important methods of treatment in clinical settings. Third, the combination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e separate application of each therapy.

      • KCI등재

        정신질환유형에 따른 배경정보와 범죄현장행동특성 예측요인 연구

        조병철(Joe, Byung Chul),이상경(Lee, Sang Kyung),서종한(Sea Jong Ha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7 경찰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 하위유형에 따라 범죄현장행동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간에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을 뿐 아니라 특정 범죄현장행동 특징을 잘 예측할 수 있는 정신질환 변인들이 무엇인지 탐색적 수준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SCAS에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입력되었던 자료 중에 정신질환 진단을 받았던 경력이 있는 범죄자들 16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정신질환 범죄자 집단은 조현병, 기분장애, 조절장애, 성격장애, 지적장애 그리고 물질남용으로 총 6개 하위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다. 기본적인 배경특성과 대조집단(즉, 비진단 범죄자 집단)과의 비교분석을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했고, 비진단 집단과 정신장애 유형이 범죄현장행동 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질환 집단과 비진단 집단 간에 대조 되는 특성들이 일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신질환 집단과 비진단 집단의 가해자 배경특성에서는 가해자의 학력, 결혼여부, 동거인의 유무, 물질남용 그리고 범죄경력 및 유형, 피해자 배경특성에서는 피해자의 성별 및 연령대, 면식관계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정신질환 집단과 비진단 집단의 범죄행동특성을 비교해본 결과, 범행 장소, 상해부위(예, 수족, 몸통, 머리, 목 등), 범행도구(예, 칼, 몸둥이류, 끈 · 줄류 등) 그리고 살해방식 중 때리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범행현장행동 관련성 분석을 하였고, 각각의 정신질환 유형이 준거집단(즉, 비진단 집단)에 비해 일부분 범죄현장행동(예, 피해자 성별, 범행도구준비, 상해부위, 범행도구, 범행방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정신질환 진단 집단의 특성과 범죄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 수사 현장에서 보이는 개별 범죄현장행동이 정신질환 진단 범죄자의 범죄행동인지 판단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hat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mentally ill offenders in relation to their diagnosis were empirically explored. Along with this,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non-diagnostic) offenders and mentally ill offenders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variables to predict crime scene actions were also investigated. Crime scene information were extracted based on the data such as crime scene index, collateral information, and various investigative data extracted from SCAS registered between 2006 and 2014 and then 167 Korean offenders belonging to six different diagnostic categor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compared to non-diagnostic offenders, some of the variables in diagnosed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in concordance with previous literatures. Specifically, in terms of offender`s variables, the grade level of offenders, marriage statue, substance abuse, and criminal histo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victim`s variables, sex, age ranges and relationship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Last, in terms of crime scene behaviors between diagnostic group and non-diagnostic group, crime scene, injured part of body (e.g., hands and feet, head, neck and so on), weapon type (knife, blunt, string) and heating as a homicidal meth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Also, som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crime scene actions were distinctively identified. For example, victim`s sex, weapon preparation, injured part, weapon usage, method oprandi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especially in diagnostic group. The findings could be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of crime scene actions in mentally ill offense as well as provide initial implication or clues to assist law enforcement. Further future research’s direction and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감자>에 나타난 정신사건과 물리사건의 인과관계

        김승환 ( Kim Seung Hwa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9

        이 논문은 <감자>의 핵심사건인 복녀살인사건을 정신사건과 물리사건으로 분석한 글이다. <감자>에는 복녀의 죽음이 명료하게 묘사되어 있지 않으며 그 때문에 정신사건인 원인(복녀의 원한)과 물리사건인 결과(복녀의 죽음) 사이의 인과관계가 맞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복녀살인사건의 인과관계 상치현상을 김재권(Jaegwon KIM)과 데이비슨(D. Davidson)의 사건이론(theory of event)으로 분석했다. 복녀살인사건은 ‘어떤 시간에[t] 복녀가 왕서방에 대하여[x] 원한을 품었다[P]’는 정신사건이자 복녀 자신이 죽는 물리사건이다. 현실의 물리사건과 달리 마음의 정신사건은 믿음, 의도, 욕망, 희망, 지각, 인식, 기억, 생각, 느낌, 감정, 결심, 각성 등이 구성한 사건이다. 소설의 정신사건은 소설텍스트에서 묘사된 허구적 사건이며 현실의 물리사건과 같은 조건[x, P, t]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소설의 정신사건을 단순한 상상으로 규정하기보다 이야기 전개의 필연적 요소로 보고, 플롯의 개연성을 보완하는 소설적 장치로 볼 필요가 있다. 그것은 물리사건만으로 복녀살인사건을 분석했을 때 생기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과 불확정성을 없앨 수 있다는 뜻이다. 한편 미완의 텍스트는 창의적 독서의 주체인 독자가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 독자의 상상력이 작동하는데 이 역시 정신사건이다. 가령 ‘복녀는 왕서방에게 낫을 빼앗겼다.’로 묘사된 소설의 물리사건은 독자에게 ‘‘복녀는 왕서방에게 낫을 빼앗겼다.’고 믿는다.’로 바뀌면서 정신사건이 된다. 또한 ‘복녀는 왕서방의 낫에 찔려 죽었다.’와 같은 텍스트의 물리사건은 독자에게 ‘‘복녀는 왕서방의 낫에 찔려 죽었다.’고 믿는다.’로 바뀌면서 정신사건이 된다. 이 두 문장의 속성예화(exemplification)에서 보듯이 독자가 ‘믿는’ 독서행위 역시 일종의 정신사건이다. 이처럼 타르스키에 근거하여 대상언어(object language)와 메타언어(metalanguage)의 층위를 나눔으로써 김동인 특유의 생략과 비약이 낳은 텍스트를 완결된 이야기로 읽을 수 있다. 이처럼 소설텍스트에서도 정신사건이 존재하고 독자의 창의적 독서과정에서도 정신사건이 작용하며 작가의 창작과정에서도 정신사건이 작동한다. 물리사건과 정신사건의 이론적용은 <감자> 이외의 다른 작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is essay is to analyze kernel event of Gamza by mental event and physical event. Kernel event of Gamza is the death of Bokyne who was born with noble disposition but changed to bulger disposi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under the colony of Japanese Imperialism. In Gamza, death of Boknye has not described clearly. Climax of Gamza deviates on kernel event as in “Mr. Wang. Let you problem!” Boknye decides not to make a problem. It is anomalous causation. Actually, kernel event finished with a result of Boknye’s death. On the other hand, Boknye’s hatred[cause] - Boknye’s death[effect] is not matched. Moreover, mental event as a cause and physical event as an effect are not match well. Nobody doubt story line due to its natural story stream and organized possibility of cause and effect. We can classify as twofold; ‘①Bokyne desires to kill Mr. Wang.’, ‘②Bokyne killed Mr. Wang.’ In these structure, ①Bokyne desires to kill Mr. Wang.’ is mental event which could be or could not be happened in real world, ‘② Bokyne killed Mr. Wang.’ is physical event which could be happened in real world. The difference may be decided by synthetic predicate as;‘desires to kill’ and ‘killed.’ This synthetic difference results in the semantic difference. In event theory, mental event occurs in the human mind. Feature of mental event is not exist in real world and don’t have spatiotemporal location. Mental event in the possible world is event as well as in the actual world. Main theories of this essay based on the event theory by Jaegwon KIM and Donald Davidson. Death of Boknye consists of object[x], property[P] and time[t] as set [x, P, t]. It is twofold events; mental event and physical event. Unlike physical event, mental events are belief, purpose, perception, remember, decision, hope, recognition, thinking, feeling, awakening etc. Mental event must be read with relation to plot, causation and probability. If reader read with physical event, reader can’t get rid of uncertainty of story line. Mental event might be a good way to analyse Korean Modern short story. Mental event in Gamza is a fiction consisting of object(x), property(P), time(t) as well as in actual event. In this reason, mental event in short story is not only imagination, but necessary apparatus for plot, probability and story line. Within this theory, reader should read mental event with plot and story line. If reader read story with only physical event of Boknye’s death, reader can’t read chain of causation. There is uncertainty and unpredictability of who must be accused the killing. Reader, the subject of reading, may accomplish the text’s empty part written by writer. In the reading, reader’s imagination will work properly. As Tarski said, we can exemplify one event as object language and metalanguage. Metalanguage is language about original sentence as an event as follow; ‘Boknye was robbed of sickle by Wang’ could be rephrased as ‘Reader believes that ‘Boknye was robbed of sickle by Wang’’ It is property exemplification said by Jaegwon KIM. If we differentiate object language and metalanguage by Tarski Skema, we can read story completely. Imagination is mental event. As we see, mental event in short story is very important reading by reader, and mental event work in creative writing by writer.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Mental Health Literacy)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자아존중감, 가족지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조선영,최송식 한국보건사회학회 2017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4

        An ability to care own mental health is critical for the socio-psychological recovery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 new concept, Mental Health Literacy(MHL) is a prerequisite for self health care especially in terms of early recognition and appropriate service choice. This study has aims of examining MHL amo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identifying its disparities i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MHL,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with survey questionnaire with a scale-based measure developed by O’Connor & Casey (2015). Univariate analysi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apprehen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identify disparities of MHL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 sample of 203 people with mental disorder in South Korea found the results. As a result, the MHL level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was revealed considerably low, compared with those in Australia,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ir MHL. There are disparities in MHL level depending on their education, co-residence with family and family income. Lastly, it was identified the correlations among MHL,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which propose the need of future studies to demonstrate the detailed relationships among MHL and other variables, for instance, higher MHL may influence the better self-esteem and ability of caring own mental health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a novel approach has been suggested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o strengthen their ability to take care of their own health. 지역사회중심의 정신보건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정신장애인의 심리사회적 복귀와 지역사회통합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이 자신의 정신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Mental Health Literacy, MHL)은 치료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극복하고, 정신건강정보에 대한 비전문가들의 이해능력을 향상시켜 자신의 정신건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관리하도록 돕기 위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먼저 우리나라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다. 이어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 가족과의 동거, 가족월소득에 따라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과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필요성을 논의하고, 주요 변인들과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정신보건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시도와 접근을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정신질환 수용자들에 대한 사회적응능력향상과 재범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시와 평가 - 교정시설 정신보건센터 운영과 관련 -

        김명철,이승우,이윤호 한국교정학회 2015 矯正硏究 Vol.- No.69

        Since the prevalence of crime committed by mentally ill offenders, the Ministry of Justice has established the Correctional Mental Health Center(CMHC) affiliated with 4 regional correction headquarters since 2012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social competence and providing specialized medical or psychological care and ultimately reducing re-offend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and analyze how well the CMHC programs are promoting social competence and mental therapy and are achieving its operational goals. In this study, we present findings on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relating the CMHC and community-based health organization. Additionally,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existing treatment programs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some foreign country cases and seek appropriate ways for the CMHC effectiveness. 법무부는 정신장애자 범죄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사회적응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들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해 정신질환 수용자들을위한 정신보건센터를 2012년 이후 4개의 지방교정청관할하에 개원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질환수용자들이 정신보건센터에서 치료관련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훈련프로그램 등 각종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정신관련 치료와 사회적응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기 위해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센터의 운영방식과 교도소 내의 정신보건센터와 지역보건센터와의 연계방안을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정신질환자를 위한 보건센터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주요국의 정신질환수형자에 대한 교정처우는 어떠한지를 살펴본후 우리의 수형자를 위한 정신보건센터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초발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신질환 미치료기간에 대한 연구

        유정민,안소라,조유선,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1 정신건강연구집 Vol.2 No.-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초발정신질환자의 미치료 기간(DUP, 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을 조사함으로서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정신보건서비스 효과성 평가의 기본적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서울 지역에 소재해 있는 14개 정신의료기관에서 2007년 8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처음 치료를 시작한 초발정신병 환자로서 4주 이상의 약물 치료를 받은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DUP에 대한 설문조사와 함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정신과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의 DUP 평균은 840.3일로 나타났다. 이는 약 120주, 30개월, 2.5년에 해당하는 기간이다. DUP의 중앙값은 180일로 나타났으며, 최빈값은 60일로 나타났다. ■ 결론 : 2007년 서울지역의 급성기 정신의료기관에서 처음 치료를 시작한 초발정신질환자의 DUP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용어 : 초발정신질환자, 미치료기간, 정신보건지표 ■ Objective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UP(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 as a basic mental health indicator for monitoring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first episode psychosis. ■ Method : We recruited 97 first episode psychosis who started treatment over 4 weeks from the 14 psychiatric hospita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city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7. We investigate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psychiatr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DUP. ■ Result : The average DUP was 840.3 days compatible with 120 weeks, 30 months and 2.5 years. The median number was 180 days and the greatest in number was 60 days. ■ Conclusion : The DUP of first episode psychosis in Seoul who started first treatment in the year of 2007 was relatively longer than other wester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