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無窮花 營養繁殖에 따른 生育 및 開花特性 變異에 關한 研究

        李忠求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4 公州敎大論叢 Vol.31 No.2

        우리나라 國花인 무궁화(Hibiscus syriacus L.) 중에서 矮性種인 ‘월산’ 品種에 대한 插木 과 接木으로 營養繁殖했을 때의 生育 및 開花 特性變異를 조사하여 植栽目的에 맞는 苗木 을 生產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련의 試驗을 수행하였다. 本 試驗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挿木區보다 接木區에서 開花始가 빨랐으며,‘루시’接木區에서 開花持續時間이 다른 處 理區보다 2시간 더 길었다. 2. 個體當 開花總數와 開花持續期間은 ‘새한’接木區에서 가장 높았고 ‘루시’接木區,揷木 區 順으로 그 수치가 낮아졌다. 3. 花幅,雌蕊長,雄蕊數는 ‘루시’接木區에서 가장 컸으며 1〜2年生보다 3年生이 더 컸다. 3年生 ‘루시’接木區의 花幅은 ‘새 한’接木區보다 약 1cm,挿木區보다 2cm 더 컸다. 4. 葉長,葉柄徑은 ‘새 한’接木區에서 가장 큰 수치를 보였으나 枝當 葉數와 個體當 葉數는 ‘루시’接木區에서 가장 컸다. 5. 枝數,枝長,節間長 및 節間數도 ‘루시’接木區에서 월등히 컸고 挿木區에서는 가장 낮 은 수치를 보였다. 3年生 枝長은 ‘루시’接木區가 ‘새한’接木區보다 2배,挿木區보다 4배 더 컸다. 6. 着蒴數,結蒴數는 ‘새한‘接木區가 가장 많았고 挿木區 1〜2年生과 ‘루시 ‘接木區 1年生 에서는 着蒴數는 전혀 없었다. 7. ‘새한’接木區의 3年生은 蒴 當 種子數가 32個 1,000粒重은 14요으로 가장 높았고 ‘루시’ 接木區,挿木區 順으로 낮았다.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useful sapling production of Hibiscus syriacus L. by vegetative propagation, H. syriacus ‘Wolsan’ was propagated under cutting and grafting. Growth and flowering patterns of the results obtained could be summerized as follws: The first flowering date of grafting treament was earlier than that of cutting treatment, and the flowering time of ‘Lucy’ rootstock was delayed for two hours than those of cutting and ‘Saehan’ rootstock. The number of flowers per plant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aehan’ rooteock, followed by ‘Lucy’ rootstock and the least in cutting. The flower diameter, the pistil length and the number of stamens were the highest in ‘Lucy’ rootstook. The leaf length and the petiole diameter of ‘Saehan’ rootstock were higher than those of different treatments, but the number of leaves per twig and per plant were higher in ‘Lucy’ rootstock. The number of twigs, twig length and intemode length were also the highest in ‘Lucy’ rootstock, and the twig length of ‘Lucy’ rootstock was about 2 times higher based on the twig length of ‘Saehan’ rootstock, about 4 times higer based on that of cutting. The number of capsule sets and seed 9e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aehan' rootstock, and the number of capsule sets did not show in 1.2 year old plant of cutting and 1 year old plant of ‘Lucy’ rootstock. The number of seeds per capsule and the weight of 1,000 grains were the highest by 32 seeds, 14g in 3 year old plant of ‘Saehan’ rootstock, respectively.

      • KCI등재

        접목활착 기간 중 온도·상대습도 및 광조건이 고추 접목묘의 활착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장윤아(Yoon-Ah Jang),문지혜(Ji-Hye Moon),이지원(Ji-Weon Lee),김승유(Seung-Yu Kim),전창후(Changhoo Chu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4

        접목 후 활착환경의 관리는 접목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활착초기 접목부위의 캘러스 분화를 촉진하고 식물체의 지나친 위조를 막기 위해 25~30℃ 정도 온도와 90% 이상의 높음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관리하다가 활착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온도 및 상대습도를 낮추고, 광 조사량을 늘려주는 환경관리방법이 제시되고 있다(Kim 등, 2001). 본 연구에서는 고추 접목묘의 활착 및 생육향상을 위한 활착단계별 환경조건을 제시하고자, 활착기간 중 온도, 상대습도 및 광 조건이 접목활착률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암조건 하에서 총 6일간의 접목활착기간을 3단계로 나누어, 활착 1단계는 온도30℃, 상대습도 95% 조건하에서, 활착 2, 3단계에서는 온도(20℃, 25℃, 및 30℃) 및 상대습도(75%, 85%, 및 95%) 조건을 달리 처리하였을 때, 접목활착률 및 생육을 조사하였다. 고추 접목묘의 활착을 위해서는 활착 초기 30℃, 95% 상대습도 조건에서 2일 정도 관리한 후, 이후 4일간은 온도와 상대습도 조건을 각각 20~25℃, 75~85% 정도로 낮추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접목활착기간 동안 온도 30℃, 상대습도 85% 및 암 조건을 대조구로 하여, 활착기간 중 온도(25℃ 및 30℃), 상대습도(65%, 75%, 및 85%) 및 광 조건(광 조사 유무, 광 조건 45 ± 2μmolㆍm?²ㆍs?¹)을 달리하여 처리하였 때, 접목활착률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활착기간 중 저온ㆍ저습의 광조사 기간이 길수록 생육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5℃ 온도조건하에서 저광 조사 및 65% 까지의 저습 조건이 고추 접목묘의 활착 및 생육촉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light conditions during healing and acclimatization on the graft-take and growth of grafted peppers (Capsicum annuum L.), in order to propose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healing and acclimatization of grafted peppers. The healing and acclimatization period was for six days and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Stage Ⅰ, Ⅱ and Ⅲ), of which each period was two days. Grafted peppers were healed under the condition of 30 and 95% relative humidity (RH) during Stage I. During Stage II and III, grafted peppers were healed and acclimatiz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20℃, 25℃, or 30℃) and RH conditions (75%, 85% or 95%). The growth of grafted peppers was greater under lower temperature and lower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The graft-take just after the end of healing and acclimatization was greater grafted peppers under high RH condition. However, the graft-take of peppers which were healed and acclimatized under 30℃ and RH 95%, dropped by about 10 percent on day seven after healing and acclimatization. And also, grafted peppers were healed and acclimatized under the different temperatures (25℃ or 30℃), RH conditions (65%, 75% or 85%), and light condition (dark or light). Lower RH (to 65%) and light condition at 25℃ during healing and acclimatization promoted the graft-take and growth of grafted peppers.

      • KCI우수등재

        차세대 전자소송과 개인정보 보호 - 지능형 챗봇・사법정보 공유 절차에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안을 중심으로 -

        이찬양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4

        Recently, a plan to build a next-generation electronic litigation system was announced. However, there is a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hrough third-party hacking in the intelligent chatbot and judicial information sharing procedure among this system. In both procedures, when blockchain is appli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stitutions or centers must, in principle, obtain consent from user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if the permission block chain is applied to both procedur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sers' consent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exempted.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the intelligent chatbot process, private, consortium, and public blockchain introduction plans have been reviewed, and the public introduction is the most reasonable. In the case of public grafting of intelligent chatbot procedures, it is most suitable for the next-generation company-wide litigation system in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such as users and chatbots. The goal of decentralization was by introducing public and private keys to users and chatbots in the intelligent chatbot procedure. Even when considering these points, public gives safety in terms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public key, there is a risk in terms of personal information as it is linked to the user's IP in the future. However, this hacking technology takes a long time to succeed and it takes a long time to be commercialized. Therefore, public grafting is more reasonable for intelligent chatbot procedures.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judicial information sharing proces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private, public, and consortium block chain grafting plans have been reviewed, and the consortium grafting plan is reasonable. In the case of a consortium grafting plan to the judicial information sharing procedure, the sharing status is maintained under security between authorized users, the judicial information sharing center, and various organizations. Therefore, the risk of leakag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low and the work speed is fast. Since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re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cost of sending and receiving electronic documents, etc., can be set cheaply. Of course, in the case of a consortium, there are some insecure factors in term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ut the advantages over these limitations are considerable. It is also encouraging that the chain can offset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by grafting Germany's dmail system. Therefore, the consortium grafting proposal is more reasonable in this procedure. 최근 법원은 차세대 전자소송시스템 구축계획을 발표하였는바, 지능형 챗봇 및 사법정보 공유절차에서 제3자의 해킹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상존한다. 양 절차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고자 블록체인을 접목할 경우 먼저 기관이나 센터는 원칙적으로 이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 양 절차에 퍼미션 블록체인을 접목할 경우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가 면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지능형 챗봇 절차에서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프라이빗, 컨소시엄, 퍼블릭 블록체인 도입안을 검토하였는바, 퍼블릭 도입안이 가장 합리적이다. 지능형 챗봇 절차에 퍼블릭 접목안의 경우 이용자와 챗봇 등 제한이 없다는 면에서 차세대 전사소송시스템에 가장 부합한다. 지능형 챗봇 절차에서 이용자와 챗봇에 공개키와 개인키 도입으로 탈중앙화를 꾀했다는 점에서도 개인정보의 측면에서 안전성을 준다. 다만, 공개키의 경우에도 향후 이용자의 IP와 연계되어 개인정보의 측면상 위험도 상존하나 본 해킹 기술은 성공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상용화까지도 다소 많은 기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지능형 챗봇 절차에는 퍼블릭 접목안이 조금 더 합리적이다. 사법정보 공유절차에서도 개인정보의 유출 가능성이 있고 이를 극복하고자 프라이빗, 퍼블릭, 컨소시엄 블록체인 접목안을 검토하였는바, 컨소시엄 접목안이 일응 합리적이다. 사법정보 공유절차에 컨소시엄 접목안의 경우 허가된 이용자와 사법정보 공유센터, 각종 기관 간 보안 하에 공유상태를 유지하므로 이용자의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이 낮으며 업무 속도도 빠르다.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의 기관들은 서로 경쟁 관계로 구성되므로 전자서류 등의 송・수신 비용도 저렴하게 책정될 수 있다. 물론 컨소시엄도 다소 개인정보 보호 상 불안요소가 있으나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는 장점이 상당하다. 본 체인에 독일의 데메일시스템 접목을 통해 개인정보 보안상 문제를 상쇄할 수 있는 점도 고무적이다. 따라서 본 절차에는 컨소시엄 접목안이 조금 더 합리적이다.

      • KCI등재

        인공광 기반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과 고온 조건의 플라스틱 온실 육묘에서 참외 접목묘 생육 특성 비교

        송욱진,구희웅,이규원,김현문,박경섭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4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을 활용한 참외 접목묘의 안정적인 생산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과 고온 조건의 플라스틱 온실에서 육묘한 접수와 대목, 접목묘의 생육을 비교 분석하였다. 접목활착후 육묘 환경에 따른 참외 접목묘의 생육과 묘소질을 0일, 4일, 7일, 11일, 14일째에 비교하였다.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에서는 주야간 온도를 25/20°C, 상대습도를 70%로 설정하여 재배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였으며, 플라스틱 온실 내의주야간 평균온도는 28.1/15.4°C로 주야간 온도차(DIF)가 더크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참외 접목묘의 초장은 플라스틱 온실 육묘 처리구에서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 처리구보다더 길게 나타났다. 참외 접목묘 조직의 충실도는 지상부 건물중을 초장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육묘장에서 접목한 묘는접목 후 7-10일 경과하여 활착이 완료되고 초장이 10cm 내외일 때 출하하여 정식에 이용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접목활착 후 7일째에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에서 재배된 묘의 충실도는 44.9±2.64mg/cm으로 나타났으며, 플라스틱 온실 육묘 처리구에서는 24.4±1.56mg/cm로 나타났다. SPAD 평균은 플라스틱 온실 육묘에서 30.5,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에서 41.1 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컨테이너 육묘 시스템의 활용이 고온기 또는 저일조 시기와 같은 육묘 환경에서도 고품질모종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공광을 이용한 육묘 시스템의 활용 범위가 앞으로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growth of grafted seedlings produced in a container-type farm system and a greenhouse to stably produce high-quality seedlings. For 14 days after graft-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elon grafted seedlings were compared by container farm and greenhouse. The container seedling system maintained a stable day/night temperature (25/20°C), relative humidity (70%), and light environment (PPFD 200μmol·m-2·s-1, photoperiod (16/8h). The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DIF) was relatively large, with a mean temperature of 28.1/15.4°C in the high-temperature greenhouse. Plant height of the korean melon seedling was longer in the greenhouse than in the closed seedling system, and the average SPAD value was 30.5 and 41.1 in the greenhouse and closed seedling system, respectively. To calculate the compactness of the graft seedlings, the shoot dry weight was divided by the plant height, and the value was 44.9±2.64 mg/cm and 24.4±1.56 mg/cm in the closed seedling system and the greenhouse treatment, respectively, 7 days after graft-taking. To produce high-quality seedlings during high-temperature or low-photo periods,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the key factors that affect growth characteristics and transplanting growth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losed seedling system based on post-transplanting growth and yield.

      • 접목모종 자동공급 시스템 연구

        강동현 ( Donghyeon Kang ),이시영 ( Siyoung Lee ),박민정 ( Minjeong Park ),김종구 ( Jonggoo Kim ),윤성욱 ( Sung-wook Yun ),손진관 ( Jin Kwan So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작물재배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최근 공정육묘 농가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접목작업은 최근에 토양환경 및 우수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농촌진흥청에서는 기 연구되었던 반자동 접목시스템에 모종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육묘장에서 주로 이용하는 접목방법은 집게를 이용한 합접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합접 방식은 박과모종과 가지과 모종에 대해 방법이 차이가 있다. 박과모종은 주로 단근 편엽합접방식을 이용하고, 가지과 모종은 합접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모종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박과 및 가지과에 대한 접수와 대목모종을 공급할 수 있도록 4가지의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지과대목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개발된 대목공급장치는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트레이 이송부, 모종을 잡는 그립부, 모종을 접목시스템으로 이송시키는 직선이송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고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이송부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트레이의 하단부를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하여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하였고, 그립부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트레이 상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모종의 줄기부를 잡을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직선이송부는 트레이의 각 셀간 거리 및 개수를 입력하면 셀 중심에서 정지하여 그립부가 모종을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제어부는 접목시스템과 통신을 통해 모종 공급장치의 모종 공급위치 정지에 도착신호를 송출하면 접목시스템에서는 모종 잡고, 접목시스템에서 완료신호를 송출하면 다음 모종을 잡기위해 이동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대목공급장치의 성능시험을 위하여 50, 72, 105, 128공 트레이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 정지시험을 실시한 결과 정확한 위치에서 그립퍼가 정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접목시기인 모종에 대해 대목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모종 취출시험을 실시한 결과 뿌리돌림이 완전치 않은 50, 72공 트레이의 경우 상토부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대목 육묘 시 105공 이상의 트레이를 이용하거나, 종이포트를 이용하여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발된 대목공급장치와 접목시스템을 이용하여 모종 전달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립부에서 취출된 모종을 정확히 전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부유" 단감의 묘목 생산에 관한 연구

        정순재,이용재,김혜진,이영병,이용문 東亞大學校附設 農業生命科學硏究所 1999 農業生命資援硏究 Vol.8 No.1

        '부유' 단감의 접목시기별 묘목의 생장과 토양 깊이별 접목 후의 생장을 알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목싹은 접목시기가 늦을수록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접목 활착율은 시기별로 보아 5월 21일까지는 차이가 없었고 5월 30일은 7%정도 약간 낮았다. 접목일수와 접목활착일의 차이는 접목시기가 늦을수록 단축되었다. 접목 일자가 빠른 4월 25일, 5월 1일 접목구의 신초장은 상지보다 하지가 5.17cm 5.33cm가 더 길었다. 그리고 그 외는 대부분 상지가 하지보다 좋은 현상을 나타내었다. 시기별 접목에 관계하지 않고 근의 직경이 큰 구가 신초 신장이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토양의 깊이별 묘목 생장은 25cm 구가 신초의 직경이 크고 신초장이 가장 길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Fuyu' grafted nursery plant according to various grafting time and soil depth. The earlier grafting time was taken, the more shoots were got rid. The cv. 'Fuyu' was grafted on the rootstock of Kyungsan Bansi cv. After grafting, graft-take rates was not showed any difference until on may 21 however it was little bit low on may 30. The later grafting time was taken, the more graft-take days were shortened. Bottom shoot length of scion was 5.17cm longer than top's on April 25 and 5.33cm longer than top's on April 1. Top shoot length was longer than bottom shoot length most of other day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rsimmon seeding was related to root we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rsimmon tree according to the soil depth showed beter results in the 25cm treatment than any other treatments.

      • KCI등재

        충북 음성군 접목선인장의 글로벌 상품사슬

        張美花(Mi-Wha Jang),韓柱成(Ju-Seong Han)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1

        본 연구는 원예작물로서 수출상품으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는 음성군지역의 접목선인장을 대상으로 글로벌 상품사슬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접목선인장 재배를 위한 자재구입지역을 살펴보면, 음성군지역 내 네트워크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접목선인장은 선진국에 비해 값싼 노동력을 이용해 재배하고 수출되는데, 이는 월러스틴의 세계 시스템론에 비추어 볼 때 반주변지역에서 핵심지역으로의 노동의 공간적 분업이 이루어짐을 의미하고, 수입국가에서 재수출하는 경우에도 핵심지역 또는 반주변지역으로 노동의 공간분업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또한 구매자 주도형 상품사슬은 상업자본이 접목선인장 판매망을 통해 대부분의 사슬을 주도하여 노동의 공간적 분업으로 이윤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음성군지역 접목선인장의 고품질화를 통해 상품사슬의 공간적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lobal commodity chains of the grafted cactus of Umseong reg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uying materials for cultivating the grafted cactus is based on the intra- Umseong local network. In addition, exporting grafted cactus using cheaper labor force means spatial division of labor from semi-periphery region to core region in terms of Wallerstein’s world system theory. It is thought that buyer-driven commodity chains of farm products profit by division of labor caused by a sales network of the grafted cactus. And such situation means that high quality of the grafted cactus in Umseong maintains the spatial continuity by commodity chains.

      • 목단줄기를 접목시킨 작약근과 목단피의 생태적 특성조사 및 성분분석에 의한 품질 비교

        장기운,최강주,고성룡,김현경,Chang, Ki-Woon,Choi, Kang-Ju,Ko, Sung-Ryong,Kim, Hyoun-Kyo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2 한국농화학회지 Vol.45 No.3

        약용식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지상부 꽃은 관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의 일환으로 목단 줄기에 작약 뿌리를 접목시켜 생육생태를 관찰하고 유효지표성분외에 무기성분, 지방산, 유기산등 성분변화 및 향미 관능검사등을 비교한 결과 생육생태를 볼 때 지상부는 목단줄기에 목단꽃이 피었으며 지하부 뿌리는 작약뿌리와 목단뿌리가 혼재하여 생성되었으며, 작약뿌리와 목단뿌리의 혼재비율은 약 3:1정도로 나타났다. paeoniflorin및 paeonol 분석결과 건조시킨 작약근의 함량은 대건물 시료(g)중 9.91 mg/g및 0.80 mg/g,접목 작약근은 11.71 mg/g 및 0.35 mg/g, 목단피는 10.81 mg/g 및 2.84 mg/g, 접목 목단피는11.26 mg/g 및 3.28 mg/g으로 유사한 경향이었다. 무기성분별 10종 함량은 대체로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Fe함량은 시료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작약근은 86.06 mg/g, 접목 작약근 127.36 mg/g, 목단피 75.05 mg/g, 접목 목단피는 140.63 mg/g으로 함량 차이가 현저하였다. 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및 ole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총 11종을, 유기산은 oxalic acid, citric acid 및 mal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총 6종을 각각 분석하였으나 함량 조성은 대체로 유사한 경향이었다. 한편, 향미 관능평가 결과 작약근과 접목 작약근은 대체로 유사한 향미 패턴을 나타내었으나, 작약근은 작약근 향미 및 떫은맛이 다소 강하였으며, 목단피와 접목 목단피도 거의 유사한 향미를 나타내었으나, 목단피가 목단피 향미, 쓴 맛, 화한 맛 및 떫은 맛이 다소 강하였다. Graft cultivation of Paeonia and Moutan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harvest yields of medicinal parts of the plants. When Paeonia root was grafted with Moutan stem, the harvest yields of underground roots showed 35% increase, with Paeonia radix and Moutan cortex ratio of 3 : 1 paeoniflorin and paeonol contents among grafted Paeonia radix (11.71 and 0.35 mg/g, respectively), Paeonia radix (9.91 and 0.80 mg/g, respectively), and Moutan cortex (10.81 and 2.84 mg/g, respectivel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aeonia radix grafted with Moutan stem was cultivate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properties and to compare index components, including minerals,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The contents of 10 major minerals among the samples were very similar, whereas those of Fe were different, showing 86.06, 127.36, 75.05, and 140.63 mg/g for (Paeonia radix, Paeonia radix grafted, Moutan cortex, and Moutan cortex grafted) contents and GC profiles of 11 fatty acids including linoleic, palmitic, linolenic, and oleic acids and those of 6 organic acids including oxalic, citric, and malic acids were very similar.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s were very similar between Paeonia radix and Paeonia radix grafted or Moutan cortex and Moutan cortex grafted showed astringent taste, and stronger sensory intensity of Paeonia radix than Paeonia radix grafted showed bitter taste, and stronger sensory intensity of Moutan cortex than Moutan cortex grafted.

      • KCI등재

        Effect of Different Rootstocks on Wilting Occurrence, Plan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Melon

        Joo Hyun Lee(이주현),Joon Kook Kwon(권준국),Kyoung Sub Park(박경섭),Yun Chan Huh(허윤찬),Chai Il Lim(임채일),Dong Kum Park(박동금),Kwan Dal Ko(고관달)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2

        무네트멜론 ‘홈런스타’와 네트멜론 ‘얼스엘리트’를 ‘강건토좌’, ‘신토좌’, ‘특토좌’, ‘조이너스’, ‘레인보우’, ‘에이스’, ‘엘리트’ 등의 7종류의 대목에 접목한 접목묘와 무접목묘를 공시하여 시듦증 발생, 생육, 수량, 과실당도, 유리당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시듦증 발생은 ‘홈런스타’ 무접목묘 100%, 대목 ‘레인보우’ 83%, ‘엘리트’ 55%, ‘조이너스’ 22%, ‘신토좌’ 16%가 발생하였고 ‘강건토좌’, ‘특토좌’, ‘에이스’ 대목에서는 발생되지 않았다. ‘얼스엘리트’는 ‘레인보우’ 72%, ‘엘리트’와 ‘조이너스’에서 6% 발생하였으며, 다른 대목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홈런스타’의 과중은 ‘강건토좌’, ‘신토좌’, ‘특토좌’ 대목에서 높고, ‘얼스엘리트’는 접목처리에서 높은 경향을 보여 ‘에이스’ 대목에서는 실생에 비해 과중이 28% 증가하였다. ‘홈런스타’ 과실의 가용성 당함량은 실생이 가장 높았으며, 시듦증 발생이 많았던 ‘조이너스’와 ‘레인보우’ 대목에서 유의적으로 함량이 낮았고, 다른 대목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얼스엘리트’의 가용성 당함량은 ‘에이스’ 대목에서 가장 높았고, 무접목묘, ‘특토좌’, ‘신토좌’, ‘강건토좌’ 대목 순으로 높았으며, ‘조이너스’, ‘레인보우’, ‘엘리트’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홈런스타’는 실생에서 ‘얼스엘리트’는 ‘에이스’ 대목에서 유리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원성 당인 sucrose대비 비환원성 당인 glucose와 fructose의 합의 비율(S/G+F)은 홈런스타 대목재배에서 2.2-2.5, 실생재배 1.5로 접목재배가 실생에 비해 과실내 환원당인 glucose와 fructose의 비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멜론 두 품종의 접목재배에서 시들음증 경감, 수량 및 과실 품질 등을 고려할 때, ‘홈런스타’는 ‘강건토좌’ 대목이 ‘얼스엘리트’는 ‘에이스’ 대목이 적합하였다. Key growing characteristics of melon cultivars, ‘Homerunstar’ and ‘Earl’s elite’ were investigated after they were grafted onto Cucurbita rootstocks ‘Gangguntozwa’, ‘Shintozwa’, ‘Teuktozwa’, ‘Joinus’, ‘Rainbow’, ‘Ace’, and ‘Elite’.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in wilting incidence, plant growth, fruit quality and fruit yield depending on various rootstocks. No wilting symptom was observed when cultivar ‘Homerunstar’ was grafted onto ‘Gangguntozwa’, ‘Teuktozwa’ and ‘Ace’ rootstocks, whereas the symptom occurrence was 83, 55, 22, and 16%, respectively, when grafted onto ‘Rainbow’, ‘Elite’, ‘Joinus’, and ‘Shintozwa’. Occurrence of wilting symptom was 100% when the cultivar was grown without grafting. The occurrence of wilting symptom in cultivar ‘Earl’s elite’ was 6% when it was grafted onto ‘Elite’ and ‘Joinus’ rootstocks, whereas it was 72% when the cultivar was grafted onto ‘Rainbow’ rootstocks. The highest soluble-solid content (°Brix) was observed when cultivar ‘Earl’s elite’ was grafted onto ‘Ace’ or ‘Joinus’. When the cultivar ‘Homerunstar’ was grown without grafting, the soluble-solid content was 1 °Brix higher than that of grafted one; however, a higher ratio of sucrose to glucose+fructose (S/G+F) was observed in the fruit. Total fruit yield was higher when the two cultivars were grafted onto ‘Gangguntozwa’, ‘Shintozwa’, ‘Teuktozwa’, and ‘Ace’ rootstocks than those of non-grafted 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st rootstock for cultivar ‘Homerunstar’ is ‘Teuktozwa’ and for cultivar ‘Earl’s elite’ is ‘Ace’.

      • KCI등재

        LED 램프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이 오이접목묘의 엽록소형광, 엽록소함량, 활착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김형곤(Hyeong Gon Kim),이재수(Jae Su Lee),김용현(Yong Hyeo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대목과 접수의 결합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오이접목묘의 엽록소형광반응, 엽록소함량, 활착 및 생장 특성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활착실 내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은 25, 50, 100, 150μ㏖·m<SUP>-2</SUP>·s<SUP>-1</SUP>의 4수준으로 설정되었고, 기온, 상대습도 및 LED 램프의 광주기는 각각 25℃, 90%, 16h·d-1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목의 최대양자수율은 0.84-0.85로서 광량에 따른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은 접목 후 2일째에 0.81-0.82로 낮게 나타났으나, 3일째부터 광량이 높을수록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이 증가하였다. 활착 후 4일째에 측정된 접수의 엽록소함량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오이접목묘의 활착율은 광량이 100μ㏖·m<SUP>-2</SUP>·s<SUP>-1</SUP> 이하일 때 90-95%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나, 150μ㏖·m<SUP>-2</SUP>·s<SUP>-1</SUP>의 처리구에서는 80% 정도로 저하되었다. 광주기에 따라 다르나, 오이접목묘의 활착에 적합한 한계 광량은 플러그 트레이 표면에 조사된 광량을 기준으로 100μ㏖·m<SUP>-2</SUP>·s<SUP>-1</SUP>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 처리된 광강도 하에서 활착된 오이접목묘의 발근에 최소 2일이 소요되었고, 이 기간에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은 최저치로 나타났다. 활착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량에 따라 대목과 접수의 변이형광과 최대양자수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목의 발근을 촉진하고, 접수의 최대 양자수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광 및 습도 등의 물리적 환경이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향후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대목의 발근, 통도조직의 결합 상태, 수분의 이동에 따른 엽록소함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구명할 필요가 있다. Chlorophyll fluorescence, chlorophyll content, graft-taking and growth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a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of LED lamp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our PPF levels, namely 25, 50, 100, 150μ㏖·m<SUP>-2</SUP>·s<SUP>-1</SUP> were provi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chlorophyll content, graft-taking and growth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hotoperiod for graft-taking were maintained at 25℃, 90%, 16h·d<SUP>-1</SUP>, respectively. Maximum quantum yield (Fv/Fm) of rootstock as affected by PPF was found to be 0.84-0.8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v/Fm. Even though Fv/Fm of scion measured at 2 days after grafting was lowered to 0.81-0.82, after then it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PPF. At 4 days after grafting, the chlorophyll content extracted from sc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PPF. Graft-taking ratio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was 90-95% as PPF was ranged from 25μ㏖·m<SUP>-2</SUP>·s<SUP>-1</SUP> to 100μ㏖·m<SUP>-2</SUP>·s<SUP>-1</SUP>. However, the graft-taking ratio of grafted seedlings healed under PPF of 150μ㏖·m<SUP>-2</SUP>·s<SUP>-1</SUP> was decreased to 80%. Maximum PPF measured required for smooth joining of rootstock and scion was assumed to be 100μ㏖·m<SUP>-2</SUP>·s<SUP>-1</SUP>. At healing stage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Fv/Fm of scion decreased and at least two days after grafting were required for rooting of grafted seedlings.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 of rootstock and scion was linked to light irradiati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physical environment including light and humidity during healing process of grafted seedlings should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o facilitate root formation and to prevent scion from lowering Fv/Fm.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ot development and joining of vascular bundles of grafted seedlings on the chlorophyll content of sc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