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자치경찰의 특별사법경찰사무

        최은하(Choi, Eun Ha)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7 경찰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사법경찰직무법」에 나타난 자치경찰사무로서 특히 「제주특별법」 제90조 제4호의 특별사법경찰사무의 개념과 내용 및 성격을 재검토하고 지역특성에 맞는 실질적 치안서비스로서 자치경찰의 특별사법경찰사무에 대한 바람직한 해석과 방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Ⅱ. ‘자치경찰사무’에서는 국가경찰의 권한이양을 중심으로 본다면 자치경찰사무는 위임사무에 해당하지만, 자치경찰의 자기책임 원칙을 그 기준으로 한다면 자치경찰사무는 고유사무가 될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자치경찰사무는 자치경찰의 본질에 부합하도록 주민에게 어디까지 지역특성에 맞는;일련의 실질적 치안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할 것인가에 그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Ⅲ. ‘제주자치경찰의 특별사법경찰사무’에서는 검사장의 지명에 의한 특별사법경찰은 검사의 지휘만을 받는, 변칙적 형태의 사법경찰사무취급이라고 할 수는 있어도 경찰은 아니다. 제주자치경찰은 사법경찰사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사무에 관한 한 특별사법경찰이 아닌 일반사법경찰이라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제주자치경찰의 특별사법경찰사무는 일반사법경찰사무로서 자치경찰의 치안서비스의 관점을 고려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제주자치경찰의 특별사법경찰사무를 지명에 의한 특별사법경찰과 통합적으로 운영한다면 더욱 더 효율적인 수사를 행할 수도 있으므로, 다른 지역의 특별사법경찰과는 차별화된 제주자치경찰의 특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제주자치경찰의 본질적 사무에 특별사법경찰사무와 즉결심판청구사무까지 적극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제주자치경찰을 완전한 ‘행정경찰형’의 실 질적인 자치경찰로 그 기능을 일반화하게 되고, 지역특성에 맞는 치안서비스도 실질적인 치안서비스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그 기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autonomous police affairs pursuant to 『The Judicial Police Duty Act』 by reviewing the idea, detail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Judicial Police affairs pursuant to Article 90(4) of the Special Ac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e purpose of this study, by doing so, is to present a desirable interpretation and way-forward in regards of the special judicial police affairs of autonomous police to provide a more locally-customized practical policing service. With respect to the affairs of autonomous police, the focus is placed on the authority transfer from the national police. In this sense, the affairs of autonomous police are entrusted duty. Based on the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however, the affairs of autonomous police become its original duty. From this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the autonomous police duty is to provide locally-customized series of practical policing services on the continued bases in line with its essential nature. Under the Jeju Autonomous Police and Special Judicial Police Affairs,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designated by Chief of Prosecutor are viewed as unusual form of judicial police duty treatment, who receive order of prosecutors only. But they are not police officers. Since the Jeju Autonomous Police is to perform the judicial police affairs, Jeju police is normal judicial police and not special judicial police with regards to the corresponding duty. In this sense, it is viewed that the special judicial police affairs of Jeju Autonomous Police took the perspective of public policing service as general judicial police affairs of autonomous police. If the special judicial police duties of Jeju Autonomous Police is integrated with other designation-based special judicial police duty, more efficient investigation would become possible. Thus, the Jeju Autonomous Police could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regional special judicial polices. In addition, the Jeju Autonomous Police could include the special judicial police duty and summary trial request duty in its essential affairs. By doing so, the police could generalize its functions as a fully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local policing body while providing practical policing service for the region to satisfy the demand for basic public policing.

      • KCI등재

        일원제 자치경찰제도 도입 모델에 대한 자치성 검토

        김원중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0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0 No.3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continuously been discussing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he 21st National Assembly announced the introduction of a unified autonomous police system by retreating from the regional autonomous police system that had been working in discussion so far. Although the introduction was announced as a legislative bill by the National Assembly, it can be regarded as a common bill of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for it is pushed ahead through consultations with the government. The unified self-governing police system is to introduce a system in which the national police agency deals with the affairs of self-governing police, unlike the existing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hich was reviewed to strengthen existing local autonomy.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unified self-governing police system really fits with local autonomy. In other words, it is doubtful if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is the autonomous police th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ndles some of the local police affairs related to life safety as autonomous affairs. Local autonomy is responsible for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with its own independent will. In the modern democratic society, all local residents cannot directly participate in their local affairs, so a person with local representativeness is elected to deal with those affairs. Therefore, it is local autonomy that local residents‘ intentions are directly reflected in their local affairs and the local affairs are handled independently. However, the unified self-governing police system legislation being currently in the works is a system in which the national police agency of the central government copes with the affairs of the self-governing police without a method for direct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utonomous police affairs use the expression of local self-governing police, but its executive agency is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is also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gency. In order for a true self-government police system to be completed, local residents should participate in self-governing police affairs on their own and local government should have its responsibility. Theref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unified self-governing police system really fits with local autonomy. This study reviewed the legislative bill proposed by the National Assembl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autonomy. 문재인 정부는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21대 국회에서는 그동안 논의되었던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도에서 일보 후퇴하여 일원화된 자치경찰제도 도입을 발표하였다. 국회에서 의원입법안으로 발표하였으나 이는 정부와 협의를 통하여 추진하는 것으로 정부와 국회의 공통된 법안이라 볼 수 있다. 일원화된 자치경찰제도는 기존의 지방자치성 강화를 위해 검토되었던 자치경찰제도와 달리 국가경찰기관에서 자치경찰사무를 추진하는 제도 도입이다. 이러한 일원화된 자치경찰제도가 과연 지방자치에 부합하는 가에 대하여 의문이다. 즉, 국가경찰기관이 지역의 경찰사무 중 일부 생활안전과 관련되는 사무를 자치사무라 하여 그 사무를 처리하는 것이 자치경찰이라 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지방자치는 지역민이 스스로 자주적인 의사를 가지고 주민의 복리를 처리하는 것으로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모든 지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없어, 지역의 대표성을 가지는 자를 선출하여 지역사무를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는 지역민의 의사가 직접 지역사무에 반영되어 자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일원화된 자치경찰제도 입법안은 지역민의 직접 참여 없이 중앙정부의 국가경찰기관이 자치경찰사무로 정한 사무를 처리하는 제도이다. 자치경찰사무는 지방자치경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집행기관은 국가기관이고 행정청 또한 국가기관이 담당하고 있다. 진정한 지방 자치경찰제도가 완성되기 위해서는 지역민이 스스로 자치경찰사무에 참여하고 지방자치단체가 그에 대한 책임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일원화된 자치경찰제도가 과연 지방자치에 부합하는지가 의문이며, 본 연구는 지방자치라는 자치성 관점에서 국회에서 입법안으로 발의된 내용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자치경찰사무의 법적 성격을 토대로 현행 자치경찰제에 대한 법리적 검토

        성홍재 한국경찰법학회 2022 경찰법연구 Vol.20 No.2

        According to the Police Act, which has been fully amended and came into effect on January 1, 2011, police affairs were divided into national police affairs and autonomous police affairs. Autonomous police affairs include affairs related to safety activities for residents in the local area, affairs related to traffic activities in the area, affairs related to traffic congestion and safety management related to large gathering events in the area, and investigations on school violence, child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crimes. However, the legal nature of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is not clear whether it is an autonomous work of a local government or a delegated work. In relation to this, if we look at the pro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and the Police Act, it seems to closer to delegated than autonomous work.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affairs, the following is a look at whether the current Police Act properly implements the purpose of local autonomy. First, at the level of self-governing right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self-governing rights from an organizational point of view, and in terms of personnel, they are quite limited. In the legislative aspect, the autonomy of local councils is guaranteed, while the autonomy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 is limited. It addition, self-governing rights are guaranteed from a financial standpoint. Second, the authority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in directing and supervising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are quite limited, and most of the authority is exercised by the Autonomous Police Authorities. Third, the local council’s control over autonomous police affairs is limited to the right to audit the affairs involving the local budget and to request attendance and data submission of the presidents of the Authorities. Fourth, while the Authorities exercise most of their powers except for promotion and appointment right to inspectors and senior inspectors, there are few provisions under which they are controlled. Therefore, as an alternative to this,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exclude the investigation of crime and focus on crime prevention activity. Second, measure to control the Autonomous Police Author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regulation that recognizes institutional litigation for re-resolution by the Authorities, and the right to request cancellation or suspension and the right to reque st an order to perform duties according to the legal nature of delegated affairs. The current Police Act contains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legal nature of autonomous police work. However, rather than the view that it should be converted to a dual model or return to the national police system, it seem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settl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into a so-called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by gradually resolving the problems. 2020.12.22. 전부 개정되어 2021.1.1.부터 시행된 경찰법에 따라 경찰사무는 국가경찰사무와 자치경찰사무로 구분되었다. 자치경찰사무는 지역 내 주민의 생활안전활동에 관한 사무, 지역 내 교통활동에 관한 사무, 지역 내 다중운집 행사 관련 혼잡 교통 및 안전관리에 관한 사무 및 학교폭력·아동폭력·가정폭력범죄 등에 대한 수사사무로 세분된다. 그런데 자치경찰사무의 법적 성격은 지자체의 자치사무인지, 위임사무인지 명확하지 않다. 이에 대해 지방자치법과 경찰법 조문을 살펴보면, 자치사무보다는 위임사무에 가까우며, 자치사무 중 수사사무는 기관위임사무로, 그 외 사무는 단체위임사무에 해당하는 듯 하다. 이러한 자치사무의 성격을 토대로 현행 경찰법이 지방자치의 취지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치고권이 보장되는지 여부에 있어서 조직적 측면에서 자치고권은 인정하기 어렵고, 인사측면에서 자치고권은 상당히 제한받고 있으며, 입법적 측면에서 자치고권은 시도의회의 자치고권은 보장되는 반면 지자체장의 자치고권은 제한된다. 또한 재정적 측면에서 자치고권은 보장받고 있다. 둘째, 자치경찰사무와 관련하여 시도지사의 지휘·감독 여부에 있어서 시도지사의 권한은 상당히 제한되고, 대부분의 권한은 시도자치경찰위원회가 행사하고 있다. 셋째,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지방의회의 통제는 지자체 예산이 수반되는 사무에 대한 감사 및 시도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에 대한 출석 및 자료제출요구권으로 제한된다. 넷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는 경위·경감으로의 승진임용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권한을 행사하는 반면 통제받는 조항은 거의 없는 형국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치경찰사무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특정 범죄에 대한 수사사무를 배제하고 범죄예방활동으로 변경함으로써 단체위임사무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를 통제하는 방안으로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재의결 사항에 대한 기관소송을 인정하는 규정을 신설하고, 단체위임사무의 법적 성격에 따라 취소·정지요청권과 직무이행명령요청권 등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현행 경찰법은 자치경찰사무의 법적 성격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이원적 모델로 전환하거나 국가경찰체제로 환원해야 한다는 견해보다는 현행 자치경찰제의 문제점을 점진적으로 해소함으로써 소위 ‘한국형 자치경찰제’로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할 듯 하다.

      • KCI등재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합리적 사무배분 방안

        김영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지방자치는 현대 국가에서 민주주의 이념을 구현하는 헌법적 가치를 갖는 제도로 평가된다.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자치경찰제 문제는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고,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일부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치경찰 도입 논의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사무범위의 문제이다. 국가경찰과의 사무배분은 기관간의 첨예한 대립을 야기할 수 있고, 자치경찰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지역에서의 자치경찰 사무는 주민들의 공공복리를 위한 사무이면서 동시에 공공의 안녕과 사회질서유지라는 국가적 목적을 갖고 있고, 그 자체가 일련의 경찰활동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져 있어, 사무의 성격을 획일적으로 규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계를 설정하여 국가경찰의 사무인지 자치경찰의 사무인지 구분하기도 곤란하다. 이런 이유에서 학계와 실무에서 자치경찰사무는 상당부분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공동으로 하는 사무로서 대표적 공동사무로 인정하고 있다. 이런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자치경찰제 도입의 쟁점인 사무배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Local autonomy is evaluated as a constitutional value system that implements democratic ideology in modern countrie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Korea, the issue of municipal police system has been a subject of controversy for a long time and it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debate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Municipal Police System is the distribution of the policing affairs between national police and municipal police. It could cause a sharp conflict between two police and it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municipal police. The local police work concerns not only welfare interest of the citizens but also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order, and it is conducted in the series of diverse police activitie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efine clearly the character of police work and separate the functions of national police from those of municipal police. That is why the academic field and the practical field recognize municipal police affairs as jointly affairs between national police and municipal pol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sirable way of the distribution of the policing affairs between national police and municipal police.

      •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법률안 제ㆍ개정에 관한 연구

        이현우,송상훈,이미애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7

        1995년 지방자치의 부활이후 여러 시행착오를 경험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발전을 이룩해 오고 있다. 그러나 치안활동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주민의 생명과 안전 및 재산을 보호 하는 것이 당연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경찰체제는 국가경찰체제로 지방자치와는 별개로 관리,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치경찰제 도입에 대한 논의 및 입법화는 정부수립 이후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수없이 많은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견 등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자치경찰법 개정안의 비교분석을 통해 광역단위의 자치경찰제 도입 법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치경찰제 도입에 있어 주요 쟁점 사항인 실시단위, 조직체제, 인사권, 사무배분, 재정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단위는 치안여건 및 능률성을 고려하여 광역단위인 「시ㆍ도」 단위로 실시한다. 이는 광역 치안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최소의 조직개편ㆍ비용으로 자치단체의 치안행정의 관여를 담보할 수 있도록 광역자치단체에 자치경찰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둘째, 조직체제는 경찰행정의 중립성을 확보하고 국가치안과 지역치안의 조화를 위해 일원제를 채택하였다. 구체적으로 행정안전부 소속의 국가경찰위원회(6인)와 시ㆍ도지사 소속의 시ㆍ도 경찰위원회(5인)를 설치하는 「합의제 위원회」 제도를 도입한다. 합의제를 통해 경찰에 대한 정치적 압력을 배제하고 경찰이 중립적인 입장에서 민생치안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인사권은 지방경찰청장은 경찰청장이 시ㆍ도 경찰위원회의 동의 및 시ㆍ도지사협의를 거쳐 대통령 임명하며, 경찰서장은 시ㆍ도지방경찰청장의 제청으로 경찰청장이 임명한다. 또한 경찰공무원으로 시ㆍ도 지방경찰청 소속 경정급 이상은 국가 공무원으로 하고, 경찰청장의 제청으로 대통령 임용하며, 시ㆍ도 지방경찰청 소속 경감이하는 지방공무원으로 하고, 시ㆍ도지방경찰청장이 임용한다. 넷째, 국가경찰은 경찰청 소관사무, 정책 입안적ㆍ총괄적 사무, 국가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에 관한 사무, 전국적 통일을 요하는 사무 등을 담당한다. 한편 자치경찰은 시ㆍ도 경찰운영에 관한 사무, 범죄의 예방활동 사무, 지역교통의 안전과 소통사무, 지역경비 사무, 범죄의 진압 수사 사무, 국가경찰의 협력 및 응원에 관한 사항, 기타 법령에 의하여 시ㆍ도 경찰사무로 정한 사항을 시ㆍ도 경찰의 사무로 한다. 다섯째, 경찰재정은 시ㆍ도 경찰비 특별회계를 설치하여 시ㆍ도 경찰에 소요되는 경비는 시ㆍ도 경찰재정교부금 및 보조금,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로부터의 전입금, 기타 시ㆍ도 경찰수입으로 충당하도록 한다. 이는 경찰행정의 안정성을 위한 임시적 조치로 자치경찰제가 정착될 때까지 재정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를 통해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 시대에 걸 맞는 지역적 특성의 반영과 경찰재정의 안정성 확보를 통해 지방 실정에 적합한 자치 경찰제를 도입함과 동시에 국가전체의 치안행정과 지방자치단체의 치안행정 상호간의 효율성을 제고 하고자 하였다. <그림>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 법률안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의 공법적 검토

        강주영(Kang, Joo-Young)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東亞法學 Vol.- No.60

        자치경찰제의 장단점은 동전의 양면처럼, 제도가 가지는 장점이 동일한 이유로 단점이 되는 속성을 가진다. 지역밀착성은 ‘지역유착’이라는 부작용으로 귀결될 수 있는 바, ‘치안행정의 공정성 저해’ 그리고 ‘경찰기관의 부패’ 등의 문제점을 파생시킬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경찰기관 및 조직의 지역화는, 다시금 경찰사무의 수행주체가 광역성을 가질 때 감당할 수 있는 수행영역에 있어서의 제한성을 초래한다. 그러나 자치경찰제를 도입했을 때 드러나는 제한성은, 극복될 수 없는 본질적 문제라 할 수 없으며, 이는 법제도적 보완을 통해 충분히 개선 가능하므로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국가경찰제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자치경찰제의 장점을 극대화 하여야 할 것이다. 제주자치경찰의 사무는 제주특별법 제108조에 의한다. 그러나 같은 법 제110조에서 법 제108조의 사무 중 특사경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사무는 국가경찰과의 협약을 통해서 사무를 분장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따라서 자치경찰의 업무는 크게 법 제108조에 의한 법률사무와 법 제110조에 의한 협약사무로 구분된다. 법률사무는 구체적으로 생활안전사무, 지역교통사무, 지역경비사무 그리고 특사경사무로 나뉜다. 제주자치경찰은 제주특별법에 의해 비교적 광범위한 경찰사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법령을 면밀히 검토하면, 범죄의 수사 등, 경찰기관으로서의 핵심적 작용은 국가경찰만이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외의 경우에도 국가경찰과의 공법상 계약인 업무협약을 통해서만이 자신의 사무로 수행할 수 있는 중대한 제한을 받고 있다. 제주자치경찰의 법제개선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것은, 업무협약을 폐지하여 제주특별법 제108조 상의 법정사무를 자치경찰이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국가경찰과 제주자치경찰과의 기능·역할조정을 통하여 업무협약에 해당하는 사무분장의 결과를 법률에 규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주운전단속권한의 부여, 통고처분 불이행자의 처리가능 그리고 지역유착으로 인한 자치경찰의 부패 방지를 위한 법적 통제장치의 강화등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자치경찰법제 선진화 방안

        강기홍(Kee-Hong Kang)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3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3 No.2

        자치경찰은 주민의 생활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궁극적 목적인데, 현행 「경찰법」에 근거하여 전국적으로 광역단위에서 시행 중인 자치경찰제는 헌법상 핵심가치인 인간의 존엄성 존중과 기본권의 최대한 보장을 통해 경찰민주화를 실현하고, 주민치안을 근거리에서 확보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검토를 자치경찰에 대한 사무, 조직, 재정을 중심으로 그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이라는 체계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다음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 「경찰법」상 수사사무를 자치경찰 사무라고 규정한 사항을 명료히 할 필요가 있다. 실질적으로 범죄 사건이 지역에서 발생된 경우,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112 신고단계에서 협력을 통해 국가수사본부의 지휘 하에 결말이 나야할 사무의 경우는 국가경찰이 출동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 주취자 신고나 단순 주취자 신고였으나 현장에서 수사가 후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우선 자치경찰이 출동하여 초동조치를 취하고 이를 국가경찰에 이관하는 효율적인 협력체계가 필요하고, 초동조치에 필요한 권한이 자치경찰에게 주어져야 한다. 둘째, 자치경찰의 조직 및 도입 단위는 시·군·구 기초중심으로 하는 것이 일원화 자치경찰제의 한계를 정상화하고 주민근거리 치안을 확보하는 것이다. 생활안전이 광역적인 사무(광역교통, 광역적인 다중운집행사 등)에 대해서는 광역자치경찰이 담당하고, 주민근거리의 생활치안은 기초단위의 자치경찰이 담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자치경찰제는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에 두고 실시되어야 한다. 광역자치경찰은 기초자치경찰이 수행하기에 한계가 있는 광역적 주민치안사무를 보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시·도지사 아래에 자치경찰본부를 두고, 시·도자치경찰위원회는 광역단위의 자치경찰 정책을 심의·의결하도록 하며, 시·군·구에 자치경찰단을, 그 아래에 읍·면·동자치경찰대를 두는 것이 주민치안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이라 사료된다. 112 신고접수로 인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동시에 출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조율하기 위해 112치안종합상황실에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공동 근무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112치안종합상황실의 명령에 읍·면·동단위에서 경찰사무를 수행하는 지구대·파출소는 시·군·구 단위의 자치경찰단으로 이양되어야 한다. 경찰기동대 및 경찰특공대는 광역국가경찰이 운영하되 광역이나 기초자치경찰의 요청이 있을 시 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시·도 경찰청 및 시·군·구 경찰청 내 생활안전을 담당하는 국가경찰은 자치경찰로 이양되어야 한다. 자치경찰과 사무 및 권한에 있어 중복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현 정부가 국정과제로 설정한 자치경찰강화를 실현하기 위해, 위의 모형을 제주도와 세종시 (2층제 행정체제: 중앙-시·도), 강원도와 최근 특별자치도법이 국회를 통과한 전북도(3층제 행정체제: 중앙-시·도-시·군) 4곳에 시범실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시범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해당 지역과 소통하며 T/F 등을 통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자치경찰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자치경찰에 대한 재정이 확보되어야 한다. 자치경찰 사무는 지방자치단체가 자기 고유사무로 처리하는 것이므로 지방자치단체 자체 예산으로 재정을 감당하여야 할 것인데, 재정적 자립이 이루어질 때까지 국가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덧붙여, 가칭 자치경찰법을 신규 제정하는 것은 신중히 검토하여야 한다. 신법의 제정은 자치경찰에 소요되는 재정의 안정적 확보, 사무와 조직의 형태 완비 등에 기여할 수 있으나 동시에 중앙정부의 규제가 발생함으로서 자치경찰 사무집행에 따른 국가의 자치권 침해 소지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지방분권적 자치경찰 이원화가 실질적으로 정착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약 신법이 제정되는 경우 지방자치단체에게 자치경찰에 관한 포괄적인 권한 행사가 가능하도록 하고, 책임을 명료히 지도록 하며, 세부적이고 실질적인 사항을 지역법(Ortsrecht)인 조례 및 규칙으로 정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ultimate goal of the autonomous police i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esidents. Based on the current 「Police Ac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being implemented nationwide at the metropolitan level, is the core value of the Constitution: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the maximum guarantee of basic rights. As there is a limit to realizing democratization,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at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nd legal level. The important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anding the introduction unit of the autonomous police to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base normalizes the limitations of the unified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secures public order near residents. It is necessary for the metropolitan police to be in charge of wide-area affairs related to living safety (wide-area traffic, wide-area multiple traffic enforcement events, etc.), and the local autonomous police to take charge of public order in the vicinity of resi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atters that the 「Police Act」 stipulates that the investigation work is the work of the autonomous police. In fact, when a criminal case occurs in a region,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al police to mobilize in the case of affairs that must be conclud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at the 112 reporting stage. Third, in order for the autonomous police to operate normally, finances for the autonomous police must be secured. Local governments handle the affairs of the autonomous police as their own affairs, so local governments must finance their own budget. Fourth, new enactment of the tentatively named Autonomous Police Ac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e enactment of the new law can contribute to securing stable finances for the autonomous police and perfecting the form of affairs and organization, but at the same time, regulation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may occur, which may cause infringement of the state's autonomy due to the execution of administrative police affairs.

      • KCI등재

        지구대(파출소) 운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자치경찰제도 실효성 확보를 중심으로-

        정세종 한국공안행정학회 202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1 No.4

        개정된 「경찰법」이 시행됨에 따라, 치안업무는 ‘국가경찰사무(공공안전)’, ‘범죄수사’, ‘자치경찰사무’로 3원화되고, 국가경찰사무는 경찰청장이, 범죄수사는 국가수사본부장이, 자치경찰사무는 시‧도자치경찰위원회가 각각 지휘‧감독하게 되었지만, 경찰은 지구대(파출소)를 부당하게 운용함으로써 「경찰법」의 입법취지를 몰각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가 기획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① 지역경찰업무의 법적 성격, ② 지역경찰 지휘계통의 불합리성, ③ 「경찰공무원 임용령」상 자치경찰사무를 담당하는 경찰관의 범위, ④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실효적 지휘·감독권 행사와 같은 네 가지 쟁점을 도출하고 아래와 같은 논평을 전개하였다. 첫째, 지역경찰은 범죄수사에 관한 초동조치 업무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시간을 자치경찰사무에 할애하고 있다. 둘째, 사실상 대부분의 자치경찰사무를 수행하는 지역경찰의 지휘선상에서 자치경찰업무를 전담하는 자치경찰부장이 배제된다면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지휘·감독권이 유명무실하게 될 우려가 크다. 셋째, 「경찰법」 제24조 제1항 제3호에서는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소관 사무로 “자치경찰사무 담당 공무원의 임용, 평가 및 인사위원회 운영”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상당부분의 자치경찰사무를 수행하는 지역경찰을 「경찰공무원 임용령」 제4조 제1항에서 “시·도”의 “자치경찰사무를 담당하는 경찰공무원”의 범주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자치경찰사무 담당 공무원에 대한 인사권한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넷째, 「경찰법」 제28조 제3항에서는 “시·도경찰청장은 자치경찰사무에 대해서는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지휘·감독을 받아 관할구역의 소관 사무를 관장하고 소속 공무원 및 소속 경찰기관의 장을 지휘·감독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① 지역경찰업무를 자치경찰부가 아닌 112치안종합상황실에서 관장하고, ② 지역경찰을 “시·도”의 “자치경찰사무를 담당하는 경찰공무원”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지역경찰이 수행하는 자치경찰사무에 대해서는 시·도자치경찰위원회가 지휘·감독권을 행사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었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정책적 제언으로 ① 「행정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활용, ② 자치경찰부(경찰서) 생활안전과와 112치안종합상황실의 협력체계 구축, ③ 시·도자치경찰위원회와 시·도경찰청간의 인사시스템 공유, ④ 시·도자치경찰위원회와 지역경찰간의 의사소통 채널 구축, ⑤ 자치경찰사무의 명문화. ⑥ 「경찰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각각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경찰 직장협의회의 역할과 자치경찰사무의 범위

        강지은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2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atic situation that occurred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Police administration is responsible for protecting people's lives and properties and maintaining public order.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se duties, police have been excluded from the composition of Public officials’ council. However,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Act in December 2019, it became possible to establish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police and monitoring internal police organizations and from June 2020,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s were launched.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s entered another phas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n July 1, 2021.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grants police power to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idea of ​​decentralization, which is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of the police.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in determining the scope of autonomous police affairs have recently become prominent.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conflict is that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are determined through local ordinances and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directly intervenes in the process. At present, there is a lack of clear legal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on the scope of autonomous police affairs and the setting of limits on the role of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Within the normatively permitted range,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hould be put in line with the ideology of the autonomous police and legislative efforts should also be made. The scope of autonomous police affairs should be clearly grounded in the laws, and the system under Public Officials’ Council Act needs to be improv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organization and work of Police Public Officials’ Council. 본 연구는 경찰 직장협의회의 활동이 자치경찰사무의 확정과 관련하여 야기되는 분쟁 사례와 관련 쟁점들을 시론적으로 고찰한다. 경찰 행정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치안 등의 사회의 질서 유지를 담당한다. 이와 같은 역무의 특수성으로 그간 직장협의회의 구성 대상에서는 제외되어 왔다. 그러나 지난 2019년 12월 10일 공무원직협법 개정을 통하여 공무원직장협의회에 가입할 수 있는 공무원의 범위에 경감 이하의 경찰공무원이 추가되면서 경찰 직장협의회 설립이 가능하게 되었고, 2020년 6월부터 경찰 직장협의회가 출범하였다. 경찰 직장협의회는 2021년 7월 1일 자치경찰제가 시행되면서 또다른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자치경찰제는 지방자치제도 도입 목적인 분권의 이념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경찰권을 부여하고, 경찰의 조직ㆍ인사ㆍ예산ㆍ운영 등에 관한 책임을 지방자치단체에 부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경찰청의 사업 예산 확보가 중요해졌으며, 자치경찰사무의 범위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경찰 조직이 갈등을 빚는 사례가 최근 두드러지고 있다. 조례를 통하여 자치경찰사무가 정해지고, 의견수렴 절차 가운데 경찰 직장협의회가 직접적으로 나서며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자치경찰사무의 범위와 경찰 직장협의회의 역할의 한계에 대한 명확한 법리적 해석과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규범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자치경찰의 이념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자치경찰제의 운용의 묘를 기해야 하며, 입법적 개선 노력도 함께 있어야 한다. 자치경찰사무의 범위에 관하여 상위법령에 보다 명확한 근거를 두어야 할 것이며, 경찰 직장협의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협의 사항의 내용을 분명히 하고, 실효성 있는 운영을 보장할 수 있도록 공무원직협법의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주제어 경찰행정, 경찰 직장협의회, 공무원직장협의회, 자치경찰제, 자치경찰사무, 조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