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ow Is God Known? : General Revelation in the Theology of Abraham Kuyper

        유정모(Jeong Mo Yoo)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타락 후 일반계시의 중요성 및 불충분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아브라함 카이퍼(1837-1920)의 일반계시론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특별히 본 논문은 카피어의 일반계시론을 개혁주의 전통의 배경 속에서 이해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개혁파 신학자인 존 칼빈(1509-1564)과 헤르만 바빙크(1854-1921)의 일반계시론과 비교하여 연구한다. 이러한 비교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보여준다. 첫째, 카이퍼, 칼빈, 바빙크는 타락 후에도 일반계시가 인간에게 여전히 주어지고, 이를 통해 불신자들도 어느 정도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타락 이후에도 여전히 유용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들 모두는 타락의 영향 때문에 특별계시를 통한 중생이 없이는 인간이 일반계시를 통해 구원에 이르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 모두 동의한다. 이러한 사상들은 카이퍼의 일반계시론은 칼빈이나 바빙크의 일반계시론과 본질적으로 일치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전 학계의 평가와는 달리 카이퍼의 일반계시론은 칼 바르트(1886-1968) 보다는 역사적 개혁주의 전통과 연속선상에 있다. 둘째, 카이퍼, 칼빈, 바빙크는 일반계시론에 있어서 대체로 일치되는 견해를 보이지만 칼뱅과 바빙크는 카이퍼보다 일반계시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타락 후에도 계속되는 일반계시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에서 분명하게 확인된다. 하지만 이 세 신학자들의 비교연구는 이들의 일반계시론에서 발견되는 차이점이 크지 않고, 전체적으로 볼 때 카이퍼의 일반계시론이 전통적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음을 입증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braham Kuyper’s (1837-1920) doctrine of general revelation, focusing on his understanding of the insufficiency and the significance of general revelation for a post-Eden humanity. In order to perform substantive study of Kuyper’s doctrine of general revelation in the context of Reformed tradition, this study particularly compares Kuyper with two representative Reformed theologians, John Calvin(1509-1564) and Herman Bavinck(1854-1921). The comparative study of doctrine of general revelation between Kuyper, Calvin, and Bavinck shows two things in detail. First all three theologians agree that even after the fall, God continues to reveal Himself through general revelation and human beings see and comprehend it both inside and outside one’s own being. Despite the objective sufficiency of general revelation, however, the effects of sin are so devastating that general revelation never produces any saving knowledge of God apart from regeneration through special revelation. All three theologians also affirm the ongoing utility of general revelation after the fall. Thus, contrary to previous scholarship on Kuyper’s general revelation, Kuyper is essentially in agreement with Calvin and Bavinck on the subject of general revelation. Namely, Kuyper’s view of general revelation is more in continuity with the classic Reformed tradition than with Karl Barth’s(1886-1968). Second, even though all three theologians essentially agree on the subject of general revelation, there is a more positive attitude of general revelation in Calvin and Bavinck than in Kuyper. This is particularly clear in their discussions of the ongoing significance of general revelation after the fall. Despite some differences, however, the similarities far outweigh the differences. Kuyper is different from Calvin and Bavinck in some minor points, but he still works as a Reformed theologian.

      • KCI등재후보

        칼빈 신학과 학제간 통찰 신학

        정동곤 ( Dong Gon Jung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6 No.-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D`ou venons-nous?) 우리는 누구인가?(Qui sommes nous?)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Ou allons-nous?). 이런 질문은 이 땅의 유한한 인생을 살고 있는 우리 인간들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본질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며, 가치중립적인 과학을 넘어서 인간으로 하여금 이생에서 내세 즉, 종교적 세계에 대해서 근본적인 의문을 가지도록 유도한다. 이상의 질문에 대한 답을 우선 우리의 이성에서 찾지 않고, 먼저 하나님의 계시에서 찾는 것이 신학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신학의 분야인 창조와 자연이라는 주제는 신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을 비롯하여 많은 학문적 연대를 요구하고 있다. 신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신학자들이 신앙과 특별계시인 성경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학문은 필요가 없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우리에게 특별계시인 성경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 일반계시의 영역인 자 연과 일반 학문을 연구하고 고찰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편협한 신학은 일 반계시를 인정하지 못하고 특별계시인 성경만 인정한다. 성경만 가르치 는 것이 진정으로 성경적인가? 우리가 특별계시인 성경만 인정하고 일반 계시를 부정할 때 아이러니(irony, die Ironie)하게도 우리는 성경도 부정 하게 되는 모순을 가지게 된다. 사람들이 일반계시의 필요성을 인정하던 지, 아니면 부정하던지 간에, 우리는 일반 학문들의 제반 영역들, 예를 들 면, 언어, 수학, 과학, 법학 그리고 의학 등을 배워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 가 신학을 전공한다고 해서 일반학문을 멸시하거나 무시할 수 있는 권한 이 없는 것이다. 이제 신학은 일반계시의 영역인 자연과학을 비롯하여 일반 학문과의 학제간 연구를 적극 수용하고 인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자연과 일반학문 도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일반적인 계시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필자 는 신학과 일반학문의 다리를 놓음으로써 『학제간 통찰의 신학』을 제시한다. Who are We? Where do We come from? Where are We going? This question always makes us think about something essential ultimately in this earthly finite human life, leading just beyond the value-neutral science to the fundamental curiosity of the afterlife in this life as a human, which is, the world of religions. We can call it theology that above all we must look at God`s revelation, without finding out the solution to the above questions from our first reason. The field of creation and the nature as the subject of theology, however, requires a lot of academic solidarity, including the natural sciences as well as theology. Even though theologians have both faith and the Bible as special revelation in their studying work, they cannot deny the necessity of the other studies. We should even much more study and review the nature as the area of the general revelation and the other sciences, because we have the Bible as the special revelation. Narrow-minded theology, however, does not recognize the general revelation, only acknowledging special revelation. Is it really biblical for us to teach only the Bible? When we deny the general revelation and recognize only the special revelation, which is, the Bible, we ironically come to face the contradiction that we deny the Bible. We have to learn about the various areas of these general studies, for example, the language, mathematics, science, law and medicine, and so forth, whether people admit the necessity of the general revelation or not. There is no right to despise or ignore the general discipline to study, even if we study theology. Now theology must recognize and embrace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natural sciences and general studies, which belong to the area of general revelation, because God has already given us nature and all the other sciences as the general revelation. It is why the writer proposes an interdisciplinary theological insight by making bridge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 KCI등재

        신학과 심리학 통합의 근거로서의 일반은총에 대한 고찰

        김경준 ( Kim Kyoungjun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8 복음과 상담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학과 심리학 통합의 근거로 제시됐던 일반계시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은총 교리를 통합의 근거로 제시하는 데 있다. 통합론자들은 모든 진리는 하나님의 진리라는 명제를 근간으로 일반계시 영역인 심리학 연구가 하나님의 진리와 통일성을 이룬다는 것을 통합의 근거로 삼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장은 일반계시의 원래 목적이 창조된 세계를 통하여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존재를 드러내고 후에 하나님을 몰랐다고 핑계할 수 없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 근거가 정당하지 못함을 논증하였다. 또한, 일반계시에 다른 학문의 발견을 통합하려는 시도는 일반계시의 해석학적 분석으로 그 부당함이 드러남을 지적하였다. 일반은총은 모든 인류에게 공통으로 베푸시는 하나님의 호의라고 간단히 정의될 수 있으며 성경적인 여러 증거를 가진다. 일반은총은 하나님께서 인간의 타락에도 불구하고 성령을 통하여 인간들 안에 이성과 이해력을 보편적 선물로 주심으로 말미암아 학문을 통하여 진리를 탐구할 수 있는 은총을 주심을 말한다. 신학도 일반은 총의 도움으로 발전되며 또한 심리학적 연구를 통해 유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일반은총에 대한 Calvin, Bavinck, Kuyper의 진술을 살펴봄으로써 일반은총이 신학과 심리학 통합의 근거로 적합함을 논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as a ground of the integration of Theology and Psychology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ness of general revelation. Historically, several scholars have presented general revelation as a foundation for integration on the basis of the old saying, “truth is God’s truth.” The claim that psychological research, which is a realm of general revelation, can achieve unity with God’s truth was disputed by arguing that the purpose of general revelation is to reveal the existence of God through the created world and to prevent people from excusing that they did not know God. In addition, the attempt to include the findings of other sciences into general revelation was negated by the analysis of hermeneutics for general revelation. God gives common grace to human beings by bestowing them with reason and understanding despite of the Fall through the Holy Spirit. Also, this paper presented the fitness of common grace as a foundation for the integration of Theology and Psychology by examining the statements of Calvin, Bavinck, and Kuyper who argued that Theology develops by the help of common grace and it can gain benefit through the psychological research.

      • KCI등재

        종교관계의 전통적 근거와 선교신학적 근거 연구 - 계시와 관계성 신학을 중심으로

        송영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2

        The religious relationship of today has shown many faces like indifference, exclusion, conflict and religious pluralism. This paper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those situations and then examines the traditional theological foundation of religious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s of general revelation. Based on various Christian views on general revelation in history, the thoughts on the revelation, which are the common basis of the religious relationship, also have different viewpoints: the emphasis on general or special revelation; the particularity of universal invitation by admitting the values of both revelations;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by means of general revelation in addition to special revelation. Even in the similar views of general revelation there is conflict between the groups who emphasize objective revelation and subjective human existence. A traditional subject-object diagram in the understanding of revelation has limitations as the basis for the religious relationship because it has led to conflict or extreme fusion between religions. Accordingly,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and problems of subject-object theology, this paper presents the theology of relation as the basis, as well as an alternative to the theology of mission, which overcomes the subject-object diagram. Beyond the subject-object distinction on general revelation, theology of the religious relationship should be built on the relational nature and analogy grounded on the image of God. On the grounds of the analogy of the relationship realized in the humanity of Christ, a theological basis for the religious relationship can be found in the relationship of the encounter between God and humans and meetings between humans. Through the theology of relation, theological confrontations can be connected, organic and holistic beyond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오늘날 종교관계는 무관심, 배타와 갈등, 종교다원주의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종교관계 상황을 간략히 서술하고 종교관계의 전통적인신학적 근거를 계시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관계성의 신학을 선교신학적 근거로 제시한다. 기독교 역사에서 일반계시에 대한 극단적 또는 포용적 여러 주장들이 있어왔으며 이러한 이해들을 배경으로 종교관계의 공통적 근거라 할 수 있는 계시에대한 입장도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다. 즉 일반계시 또는 특별계시 중 하나를 축소 또는 강조하거나,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가치들을 인정하며 보편적 초대의특수성을 주장하거나, 특별계시 뿐 아니라 일반계시를 방편으로 한 구원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등의 입장이 존재해 왔다. 일반계시에 대한 유사 주장들 안에서 객관적 계시에 초점을 둔 입장과 인간의 주관적 실존에 주안점을 둔 입장이 상충하기도 한다. 특별계시와 일반계시를 모두 인정하는 입장들 안에서의 일반계시에대한 이해에서도 주객관적 도식이 나타난다. 그러나 계시 이해에 있어 전통적 주객관 도식은 종교 간 분리 혹은 융합으로 이끌었기에 오늘날 종교관계를 위한 근거가 되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는 주객관 도식을 넘어서는 관계성의 신학을 선교신학적 근거와 대안으로 제시하며, 하나님 형상을 기반으로 하는 관계적 본성과 유비, 즉 만남이나조우로서 관계성 속에서 종교관계의 근거를 찾는다. 그리스도의 인간성 속에서실현되는 관계성의 유비를 근거로 종교관계는 신과 인간의 그리고 인간과 인간의 만남이라는 관계성에서 신학적 근거를 찾을 수 있으며 기존의 대치적 신학 흐름은 관계성의 신학을 통해 연결되고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오늘 날 종교신학은분리와 논쟁을 유발하거나 융합으로 이끄는 주객관 도식을 넘어 관계성으로 가야할 것이다.

      •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이원론적 계시인식론 비판: 기독교 계시인식 모델들과 그 비판을 중심으로

        임영동 ( Rim Young Do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8 No.-

        이 글의 중심 사상은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E. McGrath, 1953∼)가 본 `신적 계시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 논지 안에는 중세 신학에서 이해한 초월적 계시와 자연계시, 그리고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 이해한 일반계시와 특별계시라는 이중 계시를 통합하여 보게 하는 일원론적 계시인식론의 의미가 들어 있다. 이원론적 계시사상은 기독교 신학 안에서만 보면 별문제 될 것이 없어 보이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 이원론적 계시인식에 의한 문제는 시대마다 끊이지 않게 나타났다. 계시의 이원론은 영지주의, 범신론, 그리고 범재신론, 현대에 이르러 과정신학이라는 사상들을 낳았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가장 큰 예가 바로 기독론인데, 범신론, 범재신론, 영지주의는 항상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론문제를 잘못 해석하여 기독교 안에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다. 이러한 문제는 현대에 이르러 과학철학과 종교적 관념이 혼합된 예술과 문화로 나타나 기독교 신앙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과학주의와 신 다원주의, 그리고 상대주의인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는 기독교 사상에 큰 위협을 가하고 있다. 기독교 자연신학은 아직까지 과학과 철학에 대한 지식이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배타적 세계관을 가지고 상대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계시는 특별계시인 성경만이 아니라 인간, 역사, 그리고 자연을 통해서도 드러나고 있다. 즉 성경 안에서뿐 아니라 성경 밖에서 나타나고 있는 하나님의 계시와 연결되어 있음을 생각해봐야 한다. 이 계시 사상은 사실 기독교 신학에서 그렇게 장려되지 않았다. 이러한 태도는 상황을 좋게 만들지는 않았다. 이신론적 계시인식은 성경에서 주장하는 계시인식론을 버리고 과학적 신 인식론, 즉 이신론으로 나간 것을 말하는데, 그 결과는 다원주의적 종교와 전통들을 모두 수렴(收斂)하는 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독교 신학과 세상과의 괴리감만 더 갖게 하였다. 기독교 계시인식론, 즉 특별계시와 일반계시를 일원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위의 문제들은 영원히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이 세상은 두 왕국이 아닌 하나님의 한 왕국으로서 세워가야 한다. 본 연구가 이 논지를 채택한 근거는 초대 교부들과 종교개혁가 존 칼빈(John Calvin)에게서 이미 신적 계시인식을 일원적 목적으로 나아간 데에서 기인되었다. 옛날에는 이러한 작업이 시대적으로 불가능 하였으나 이제는 가능하다고 본다. 맥그래스는 이원론적 계시인식을 일원론적 계시인식이라는 신학 방법론을 세워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고는 맥그래스가 본 계시인식의 모델들을 통해서 이원론적이며 파편화된 계시인식을 일원론적으로 볼 수 있는 문을 열고자 한다. The central idea of this paper is a study of divine revelation epistemology of Alister E. McGrath(1953). McGrath has deeply studied the new trinitarian natural theology that is able to unify the dualistic revelation epistemology of general revelation and special revelation. The former means the nature that gives the information about God the Creator, while the latter means the Word of God that is related to the salvation of triune God. For a long time have the dualistic revelation epistemology been accept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Christianity have understood the revelation on the basis of the prospect to divide special revelation and natural revelation. The Reformed theology followed the dualistic revelation epistemology too. However the dualistic revelation perception has brought about some problems a long time. The dualistic revelation epistemology have caused side effects that is gnosticism, pantheism or panentheism. Moreover it has spawned ideas of process theology in modern times. Pantheism, Panentheism, and Gnosticism have always raised not a little effects in the Christianity by misinterpreting the relation of the divinity and humanity of Jesus Christ. This problem is still lasting until the present day, confusing the faithful chris-tians by art and culture mixed with philosophy of science and religious ideas. Scientism, neo-Darwinianism, and relativist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on also take a serious threat to Christian thought. Christian natural theology has not coped with an exclusive world, because traditional Christianity have not accepted the knowledge of developed science and modern philosophy. But God`s revelation is revealed not only through the Bible, which is a special revelation, but also through human, history and nature. This revelation idea was not really able to be accepted in Christian theology. These results made the Christian theology more distant from the world. If we do not solve dualistic revelation epistemology, namely, special revelation and natural revelation, the above problems will not be resolved forever. This world must be established as a kingdom of God, not two kingdoms.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the first fathers and the reformer John Calvin had already gone out of the divine revelation for a unified purpose. Especially McGrath has contributed greatly to unifying the dualistic revelation problems by establishing the theological methodology of trinitarian reve lation perception.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open the door to unify dualism and fragmented revelation perceptions through new model of revelation perception by McGrath.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과 『정치 강령』 사이의 신학적 인식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유태화(Tae Wha Yoo)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4 No.-

        이 논문은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과 『정치 강령』 사이의 신학적 인식의연속성과 불연속성에 관심을 기울였다. 『영역주권』은 특별계시에, 『정치 강령』은일반계시에 기반하여 제안되었기에 신학적 인식의 문제는 바로 이 문제와 직결된다. 이 논제는 다시 교회와 국가 사이의 신학적 인식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영역주권』 배후에는 교회가, 『정치 강령』 배후에는 국가가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내용상으로는 교회와 국가 사이의 관계로, 형식상으로는 특별계시와 일반계시의 문제로 논의될 수밖에 없다. 일반계시에근거하여 표현되는 국가의 건강한 모습이 군주나 민중에게 권력이 환원되는 것이아니라 의회민주주의의 형태로 구현되어야, 결과적으로 국가에 하나님의 절대주권이 구현된다고 보았다. 반면에 교회는 특별계시에 근거한 공동체로서 구원의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을 받아들여 순종함으로써 예배할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로 말미암는 구원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국가와 교회의구별을 통하여 한편으로 우주의 중심이 절대적인 주권자 하나님이라는 사실이 사회에서 구현되는 길이 열리고, 다른 한편으로 교회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죄인을구원하시는 하나님이 또한 우주와 그 가운데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시라는 사실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으로 자신의 실존을 구현하는 길이 열린다. 국가는 교회의 고유한 의무를 중요하게 여기고 보호해야 하며, 일반계시에 근거하여 창조질서를 존중하는 정치를 구현하는 일에 힘써야 하고, 교회는 그런 국가를 후원하고 위하여 기도하되, 그렇지 않을 경우 국가를 교훈하고 온전한 통치를 구현하도록권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에 자신의 주권을 드러내신 주권자 하나님이 국가와 교회의 중심에 서게 된다.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present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Abraham Kuyper’s theological cognition between Souvereiniteit in Eigen Kring and Ons Program. The issue of theological cognition between two books indicates to the relationship of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 for Souvereiniteit in Eigen Kring and Ons Program depends upon special revelation and general revela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this issue has to be regard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for church needs to be considered within the context of special revelation and state within the context of general revelation respectively. Proper status of state based upon general revelation has not to be reduced to totalitarian one as well as to popular democratic one, but to be established upon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e Creator. Rather church as the congregation formed with special revelation has not only to witness the Gospel of Jesus Christ, but also to accept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e Redeemer. With this way church in state guides people to follow moral value stemmed from God the Creator and to admit the Sovereignty of God the Creator. State should not only recognize the way of church and protect the core value of the witness of church, but also present herself in line with the natural law which is the reflection of the Law revealed in the time of creation. In this way church and state are able to go hand in hand, and to represent the Sovereignty of God which is revealed in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

      • KCI등재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 헤르만 바빙크의 영혼불멸론에 대한 앤써니 후크마의 평가 재고

        전광수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2 역사신학 논총 Vol.40 No.-

        후크마(Anthony A. Hoekema)가 평가하는 영혼불멸론에 관한 개혁신학자들의 견해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칼빈을 비롯한 개혁주의 전통의 신학자들과 바빙크 및 벌카우어와 같은 신학자들 사이에 “명백히 상충되는 견해들”이 있다고 강조하는 점이 그러하다. 후크마에 의하면, 칼빈이나 벌코프와 같은 개혁신학자들이 영혼불멸론을 성경이 말하는 바와 일치한다고 보는 반면, 바빙크는 훨씬 더 신중한 접근을 취하여 둘 사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본다는 것이다. 또한, 후크마는 바빙크가 영혼 불멸 교리를 성경적 근거보다는 철학적 사유에 기초한 혼합조항(articulus mixtus)으로 제시한다고 주장하여 바빙크가 영혼 불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것처럼 묘사한다. 본고는 이러한 후크마의 주장에 대해 인용된 바빙크의 글의 문맥들과, 영혼불멸론에 관한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증거들, 그리고 혼합조항에 관한 바빙크의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후크마의 주장의 타당성을 재고하려는 시도이다. 먼저, 바빙크가 영혼불멸론에 대한 성경적 근거가 부족한 것을 언급하는 것은 사실이나, 동시에 그는 여러 곳에서 영혼의 불멸을 인정할 수 있는 성경적 근거가 충분하다고 밝힌다. 더불어, 자연계시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영혼불멸론 역시 역사적, 이성적, 철학적 증거들이 그 자체로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근거(ground)는 아니더라도 증거(witness)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혼합조항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바빙크는 여러 곳에서 이 조항 자체가 특별계시와 일반계시 혹은 각 계시에 근거한 신학과 철학 모두의 지지를 받는 것이지, 성경적 근거 없이 철학적으로만 주장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이 점은 후크마의 주장과 달리 영혼불멸론에 대한 바빙크의 견해가 칼빈이나 벌코프를 비롯한 여러 개혁신학자들의 견해와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들 모두 철학과 이성을 이용한 자연계시에서 얻는 지식으로서의 영혼불멸론이 성경이 말하는 것과 상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결국,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를 언급하는 후크마의 주장은 수정되어야한다. Anthony A. Hoekema’s reading of the Reformed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s problematic. He claims that there are “apparently conflicting reactions from Reformed theologians” on this issue. According to his argument, prominent Reformed thinkers such as John Calvin, A. A. Hodge, Louis Berkhof, and William G. T. Shedd accepted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consistent with the biblical understanding. In Hoekema’s summary, however, Herman Bavinck claims that the doctrine of the soul’s immortality is not compatible with the biblical view because the scripture barely mentions it and its main interest is not abou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ut the resurrection of the human body. Moreover, for Hoekema, Bavinck suggests this doctrine as a mixed article of faith (articulus mixtus), “the truth of which is demonstrated more by reason than by revelation.” Based on these reasons, Hoekema concludes that Bavinck does not take the doctrine as a biblically trustworthy doctrine. However, this argumentation needs reconsideration seriously in some points. First of all, Bavinck never rejects this doctrine in his biblical discussions. Although he admits that the scripture does not say much about this doctrine, he clarifies that we can find biblical sources enough to recognize this doctrine as biblical. Secondly, Bavinck also accepts this doctrine based on the validity of philosophical reasoning derived from natural revelation. For Bavinck, historical, reasonable, and philosophical reasons can be “witnesses or indications” rather than proof to support this doctrine. Finally, this is evident in his usage of the term articulus mixtus. Unlike Hoekema’s negative comment on the term and his intention to antithetical aspects between biblical reasoning and philosophical reasoning, Bavinck himself uses the term in his Reformed Dogmatics positively without disregarding the superiority of the scriptures over philosophical reasons.

      • KCI등재

        설계시공일괄방식 프로세스 성공모델에 관한 연구

        김정훈,구교진,현창택,Kim Jeong-Hoon,Koo Kyo-Jin,Hyun Chang-Tae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4 No.3

        오늘날 프로젝트 수행방식 중 설계시공일괄방식은 전통적 수행방식의 대안으로 점차 선호되고 있다. 1995년 처음 도입된 설계시공일괄방식은 아직까지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켜오고 있다 초기 선행연구보고서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계시공일괄방식 프로젝트 수행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해 왔으나, 아직까지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시공일괄방식 프로젝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해 4단계에 걸쳐 설계시공일괄방식 성공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연구를 위한 적절한 모델링 방법을 찾고, 둘째로 설계시공일괄방식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황모델을 만든다. 셋째로 현황모델과 기존연구들을 분석하여 문제점 모델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해외 설계시공일괄방식을 분석하여 성공요소와 환경을 찾아 성공적인 설계시공일괄방식의 모델을 구현한다. Among project delivery methods, Design-Build method is becoming an increasingly prefer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contracting method. The Design-Build delivery method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1975. But it still has been producing many problems. The previous researches had been suggested several ways to improve the Design-Build project delivery but it seemed to have had no effect whatsoever. This research proposes the success model for Design-Build delivery method through the 4 steps. First, find the proper modeling method. Second, establish the As-Is model for analyzing the circumstances of Design-Build method. Third, to begin with analyzing the As-Is Design-Build model and previous researches, establish the problem model. Finally, find success factors and circumstances through the overseas Design-Build system, and then establish the success Design-Build model.

      • KCI등재

        칼뱅과 자연과학 - 자연과학은 하나님의 창조 비밀을 더 깊게 들여다보게 한다

        김선권(Sun-Kwon Kim) 한국기독교학회 202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2 No.-

        이 글은 자연과학에 대한 칼뱅의 신학적 이해가 어떠한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연과학은 창조와 섭리라는 창조주 하나님의 사역에 대한 것이다. 이것은 또한 계시론의 주제 곧 계시의 두 방편인 자연과 성경의 주제와 관계된다. 자연을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는 신앙을 전제로 할 때, 계시에 참여할 수 있다. 칼뱅에 따르면, 성경은 자연과학을 직접적으로 가르치지 않는다. 성경과 과학 사이에 영역의 구별이 필요하다. 하나님의 진리가 연약한 인간 수준에 조정되었기에, 성경의 진리는 실재의 진리가 아닌, 외양의 진리를 가리키기도 한다. 자연과학은 성령이 주시는 일반 은혜의 선물이다. 진리의 유일한 원천이 성령이기에, 진리에 대한 멸시는 성령에 대한 멸시이다. 자연과학이 성령의 일반 은총에 놓여 있기에, 자체 발전 가능성을 가진다. 하지만 그의 자리는 스스로 주인이 되는 곳이 아닌, 하나님을 섬기고 영화롭게 하는 종의 자리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으로 평가한 진화 창조론: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을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은 과학의 연구 결과를 “일반계시”와 혼동하는 오류를 보여주고,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기 때문에 반기독교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으며, 주요 교리에 있어서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심각한 불협화음을 일으키기에 개혁신학이 받아들일 수 없다. 첫째, 우종학은 성경이 특별계시라고 한다면, 자연과학의 발견들은 일반계시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심각한 개념적 오류이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이런 근본적인 혼동에서부터 출발함으로써 점차로 잘못된 논변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는 과학자를 마치 일반계시의 설명자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전혀 다른 주장이다. 일반계시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특별계시인 성경이기 때문이다. 둘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는 경향성이 있다. 그가 비록 신(新)무신론을 비판하긴 하지만, 창조과학을 비판하는 지점에 가서는 거의 신(新)무신론과 다를 바 없는 입장을 전개한다. 이것은 논리적 모순일 뿐 아니라, 자연주의적이며 반기독교적인 세계관에 빠질 위험이 있다. 셋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기독교의 주요 교리와 조화되기 힘들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아담과 언약에 대한 가르침을 왜곡시키며, 그로 인하여 원죄론은 설 자리가 없게 되고, 구원론 역시 타격을 받게 된다. 또한, 신론에 있어서는 이신론과 범신론을 왔다갔다 하며,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가르침 역시 침해당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전통적 개혁신학은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presen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is unacceptable in Reformed theology because his theory shows the errors of confusing the results of science with “general revelation,” includes an anti-Christian worldview that is too attached to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and discords seriously with major doctrines of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First, Jong-Hak Woo claims that the discoveries of natural science are general revelation, if the Bible is special revelation. This is a serious conceptual error.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starting from this fundamental confusion, gradually moves on to the wrong argument. He regards a scientist as a describer of general revelation, which is an entirely different argument from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for general revelation is found in the Bible which is special revelation. Second,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Jong-Hak Woo has a tendency to be affiliated too much with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Though he criticizes New Atheism, he formulates arguments that are very similar to New Atheism when he criticizes Creation Science. This not only is a logical contradiction but has the risk of falling into a naturalistic and anti-Christian worldview. Third, it is difficult for Jong-Hak Woo’s evolutionary creationism to harmonize with the major doctrines of Christianity.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distorts traditional Reformed doctrines of Adam and covenant, and in so doing loses a proper place for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strikes a blow to soteriology. Additionally, in the doctrine of God, i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ism and pantheism and also damages the doctrine that the human being is the image of God. For these reasons,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should not accept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formula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