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진하(兪鎭河)의 학문(學問)과 문인(門人)들의 민족운동

        김상기 ( Sang Ki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유진하는 유중교한테 수학한 화서학파 유학자이다. 그는 경기도 고양에서 태어나 경기도 광주와 충청도 진천을 거쳐 서산의 거성리 추계마을에 정착하였다. 1896년에는 화서학파 동문인 유인석이 제천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정인설을 추천하여 대장 종사로 활약하게 하였다. 그는 의병에 직접 참전하지는 못했으나 서산에서 서당을 차리고 인근의 유학자들과 교유하면서 향약을 중수하는 등 향풍의 진작을 위하여 힘썼다. 1905년에는 최익현이 노성의 궐리사에서 강회를 개최함에 시국의 대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를 대신하여 격문을 작성하기도 하였다. 1906년에는 당진의 의령남씨들이 설립한 도호의숙(桃湖義塾)에 강장(講長)으로 초빙되어 척사론에 입각한 강의를 했다. 그는 송시열의 존주론에 입각한 위정척사론에 철저하였다. 그는 단발령으로 인하여 중화의 맥이 끊어졌다면서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을사늑약이 강행됨에 일본은 중화의 적이고 을사5적은 임금의 적이라면서 이들을 토벌함은 춘추의 대의라고 하였다. 그는 서산에 정착하여 이철승과 정재학 등 많은 문인을 양성하였다. 그의 가르침을 받은 문인들 역시 존화양이론에 철저한 면을 보인다. 특히 음암 출신의 이철승의 척사론이 두드러진다. 유진하는 도호의숙에 초빙되어 경학만이 아니라 사기를 강의하였다. 도호의숙에서 수학한 남주원 등이 1919년 대호지 3.1운동을 주도하여 옥고를 치렀다. 거성리에서 수학한 허후득은 운산면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여 역시 옥고를 치렀으니 이는 그의 민족교육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의 가르침을 받은 문인들이 일제강점기 서산과 당진 등지에서 항일투쟁을 주도하였으니 그의 척사운동은 이 지역 민족운동의 연원이 되었다 할 수 있다. Yu Jin-ha(兪鎭河) is a Confucian scholar of the Hwaseo(華西) School who was taught by Yu Jung-kyo. He was born in Goyang, Gyeonggi-do. He settled in Geoseongri, Seosan(瑞山). He recommended Jeong In-seol(鄭寅卨) as a officer when Ryu In-seok (柳麟錫), an alumnus of the Hwaseo school, raised a Righteous Army at Jecheon(堤川) in 1896. However, he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y in person. Instead, he established a Seodang(書 堂) in Geoseongri and made efforts to preserve local customs by attaching a great importance to Hyangyak(鄕約) and associating with other Confucians. In 1905, he suggested a way to handle the their political situation at a meeeing at Gwoli Shrine(闕里祠) in Noseong(魯城), which was organized by Choi Ik-hyun(崔益鉉), and also drew up a manifesto in his place. In 1906, he was invited as a schoolmaster in Tohouisuk(桃湖義塾), and gave a lecture based on the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Theory. He was well-versed in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Theory based on Sinocentrism(中華論) of Song Si-yeol (宋時烈). He thought that because of Topknot Cutting Order(斷髮令), the flow of Sinocentrism had been cut off, which is why he was strongly opposed to it. Moreover, he maintained that after the Eulsa Treaty (1905), the Japanese Empire became an enemy of Sinocentrism and the Eulsa five enemies (1905) an enemy of the king, so suppressing them is follwing a great cause. He settled in Seosan city and trained lots of disciples such as Yi Cheol-seung(李喆承) and Jeong Jae-hak(鄭在學). The disciples taught by him also adhered strictly to Sinocentrism. Yi Cheol-seung was one of them. Yu Jin-ha was invited to Tohouisuk and lectured not only on the Confucian classics, but also on history books. Nam Joo-won(南柱元), who studied in Tohouisuk, suffered in prison for leading the March First Movement at Daehoji(大湖芝) in Dangjin(唐 津) city in 1919. Heo Hu-deuk(許後得), who studied in Geoseongri, also led the March First movement in Unsan(雲山) and became imprisoned for that incident. These were the effects of Yu Jin-ha``s nationalist education.

      • KCI등재

        환경으로 본 안데스 전통문화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

        박호진 ( Hojin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은 안데스 ​​전통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두 지역의 환경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유교의 관계성의 원리를 안데스 전통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특히 환경-문화 관계론, 특히 쌀 문화권 대 밀 문화권이라는 이분법적 문화론을 제기한 이철승의 문화-환경론의 관점에서 동아시아 문화가 안데스 전통 문화와 상대적으로 유사한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분석을 통해 강력한 협업 문화는 벼농사 문화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물 공급과 자연재해와 같은 어려운 환경적 요인을 갖는 안데스 전통 문화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을 통해 동아시아 학자들이 안데스의 독특한 문화와 환경에 대한 학문적 지평을 넓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seeks to compare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in the Andean traditional culture and in East Asian culture, and it argues that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hould stem from the environments of the two regions. For this purpose, the Confucian principle of relationship,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ast Asia culture, was compared with the Andean principle. On the base of this comparison, this paper analyzes why East Asian culture has relative similarities to Andean traditional culture relying on the viewpoint of the environment- culture relationship especially expounded by Cheolsung Lee (2021). He distinguishes East Asian rice farming culture from wheat farming culture. But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strong cooperative culture does not originate only from rice farming culture but other styles of farming is also accompanied with a cooperative culture, as Andean traditional culture proves. In this culture difficul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stable water supply and natural disasters make Andean farmers keep such a strong cooperative culture as East Asian’s.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East Asian scholars give an attention to the Andean pecular culture and environment.

      • KCI등재

        해방 후 우익 학생운동 연구

        이준영 역사학연구소 2019 역사연구 Vol.- No.37

        This research aims to define characteristics of the right-wing student movement after Korean Liberation in 1945 by examining its aspect of organization and process of division within it.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served as a decisive moment for the student movement to divide it completely from general youth movements and induce its schism between left and right. Lee Cheolseung’s faction of private college students from South Korea held dominant power of National Student’s League for Anti-trusteeship (NSLA, 反託學聯) and National Student’s League(NSL, 全國學聯), both of which was representative group leading the right wing student movement. The arbitrary operation, excessive terroristic line, and power-oriented stance of Lee Cheolseung faction caused the NSLA and the NSL’s internal divisions. The above-mentioned mechanism to make the NSL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the right-wing student movement, in particular, consisted of the internal hegemony seized by violence, the financial support of right wing politicians and pro-Japanese capitalists, and it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olice force of U.S Military Government. The nonmainstream forces such as National Student’s League for Construction(NSLC, 建設學聯) and North Korea Student's League(NKSL, 以北學聯), which opposed mainstream force and broke away from that, sought to plan another right-wing student movement different from the NSL but failed it and disbanded. The disbandment of the NSL and the establishment of Student National Defense Corps(SNDC, 學徒護國團) obviously showed the deterioration of student movements in which powerful anti-communist fascist nation took the autonomy of the movement and employed them as its lower organizations de facto. After the Liberation, the right-wing student movement’s reorganization into the SNDC was an inevitable consequence for the major force, which abandoned independence and autonomy by being subordinated to mechanisms of violence, funds, and power, thus consequently embroiled in the politics external to the campus. 본 논문은 해방 후 우익 학생운동의 조직화와 분열의 양상을 탐구함으로써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해방 직후 초기 학생운동은 청년운동과 미분화 상태였으나, 1945년 9월 개학 후 캠퍼스를 기반으로 점차 일반적인 청년운동 범주와는 분명히 구분되는 특수한 성격의 부문운동으로 성장해 나갔다. 학생운동이 청년운동에서 완전히 분화하고 좌·우로 분립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전국적인 반탁운동이었다. 우익 학생운동을 주도한 대표적인 단체인 반탁학련과 전국학련의 실권은 남한 출신 사립 전문학교 학생들로 이루어진 이철승 계 학생들이 장악했다. 반탁학련과 전국학련은 이러한 조직구조 상의 한계와 더불어 이철승 계 주류 세력의 독단적 조직운영, 과도한 폭력주의 노선, 지나친 권력지향성으로 인해 수차례의 내부분열을 겪었다. 이철승 계 우익 학생운동 주류 세력은 내부 주도권 다툼을 승리로 이끌게 한 폭력, 우익정치인·친일자본가들로부터의 금전적 지원, 그리고 미군정 경찰 권력과의 밀착으로 설명될 수 있는 폭력·자금·권력의 메커니즘을 통해 전국학련을 우익 학생운동의 대표조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성공했다. 우익 학생운동 주류 세력에 반발하여 이탈한 건설학련과 이북학련 등 비주류 세력은 전국학련과는 다른 우익 학생운동을 기획하고자 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소멸했다. 정부 수립 후 우익 학생운동은 이승만 정권의 하부 동원기구로 재편되었다. 전국학련의 해체와 학도호국단의 창설은 자율성을 갖지 못한 학생운동의 주체가 강력한 반공국가에 포섭되어 동원기구로 전락하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해방 후 우익 학생운동이 학도호국단이라는 국가 동원체제에 편입된 것은 해방 이래 스스로 독자성과 자율성을 포기하고 폭력·자금·권력의 메커니즘에 종속되어 캠퍼스 밖 현실정치에 매몰되었던 우익 학생운동 주류 노선의 필연적인 귀결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