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이미지와 소재원산지 평가가 지역제품구입에 미치는 효과

        김해룡 ( Hae Ryong Kim ),이형탁 ( Hyoung Tark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2

        최근 지역원산지효과와 관련된 연구들이 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사과산지에서 생산되는 와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입의사를 소재원산지평가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이미지를 소재원산지평가의 선행변수로 제시하면서 지역이미지가 구입의사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살폈다. 또한 소재원산지평가가 구입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의 매개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의 인지적이미지와 정서적이미지는 모두 해당지역의 소재원산지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이미지가 구입의사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입증되지 않았다. 한편 소재원산지평가는 와인의 구입의사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와인에 대한 지각된 가치를 높이거나 지각된 위험을 낮추는 과정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구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브랜드와 제품생산과 관련된 소재원산지 단서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해당 지역에서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기업들에게 유용한 마케팅전략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a product`s country of origin(hereafter COO) can influence consumers` evaluations of the product. However, despite their importance, the studies of place-of-origin effects(hereafter POO) have remained largely neglected. Consider, though, that POO may be expected to have a large effect on product evaluation, it is unclear what process by which product evaluation is formed. The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that COO construct can be broadly understood and decomposed from a single measure to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For example, country-of-design(COD) and country-of-parts(COP) evaluations affect consumer perceptions of product quality. In the present research,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lace image, POO evaluation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 Especially, we will consider the POO evaluations, giving a highlight on the place-of-parts(hereafter POP) for the regional product. To explain how POP evaluations create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 we suggest the role of both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Specifically, this study explains how both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can mediate the effects of POP evaluations on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apple-wine). We also suggest that adding place image is needed to consider differen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s. The present study considers place image as an antecedent of consumers` POP evaluations. It also considers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lace image and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 To test the hypotheses, we took a survey with 245 adult consumers. Apple-wine was selected for the study because wine consumers are highly influenced by wine attributes such as brand and producers. POO information also c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wine consumption. We established the following hypotheses. H 1.1: Consumers` cognitive associations for the place(place imag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P evaluations. H 1.2: Consumers` affective associations for the place(place imag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P evaluations. H 2.1: Consumers` cognitive associations for the place(place imag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 H 2.1: Consumers` affective associations for the place(place imag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 H 3.1: Consumers` POP evaluation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value of the regional product. H 3.2: Consumers`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 H 3.3: Consumers` POP evaluation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isk of the regional product. H 3.4: Consumers` perceived risk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 H 4: Consumers` POP evaluation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s of the regional product. The results of measurement model indicate that the across constr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an acceptable fit to the data. We tested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data fit our conceptual model acceptably. The results show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place image have influence on POP evaluations in the positive direction. However, place image has no 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Meanwhile, POP evaluations can also have a positive direc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s. This study also found that POP evaluations increase purchase intentions, mediated by customers`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Perceived risk also has a negative relations with perceived value. This study extends the existing research stream on place marketing. Based on the COO related theories,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at POP can be a key factor in terms of building consumers` positive attitude for the regional products. This study also offers insight in to understanding of marketing strategy for the regional products. Specifically,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contention that the application of place image and product-related origin informations is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regional product`s marketing performance.

      • KCI등재

        사실적 문양과 양식화 문양의 이미지 차이 및 이미지 요인과 문양 선호도의 상관관계

        서송이 ( Song-yi Suh ),서구원 ( Koo-won Suh ),김경선 ( Kyung-s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5 No.-

        연구배경 문양 디자인은 도자기, 패션, 생활용품 뿐 아니라 광고, 캐릭터, 공간 디자인 등 매우 폭 넓은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아직은 실증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하지만, 선행연구 결과들은 문양 디자인이 소비자의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방법 사실적 문양과 양식화 문양 간의 소비자 인식과 이미지 평가어가 문양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위해,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1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도자 찻잔 꽃문양을 보고 자신의 의견을 설문지에 기입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17개의 이미지 평가어 중 10개의 평가어가 선호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개성적인 이미지와 감성적 이미지와 관련된 평가어 들이 포함되었다. 사실적 문양과 양식화 문양의 이미지 비교결과, 사실적 문양은 현대적 이미지와 관련된 평가어가 높게 나타났다. 양식화 문양은 감성적 이미지와 관련한 평가어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문양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이미지 평가어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꽃문양의 유형은 소비자의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이론적으로 문양의 유형을 활용한 시장세분화와 이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정교화해주며, 산업적 측면에서 문화 상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문양 디자인과 이미지 평가어의 유용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문양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Pattern design has been widely adopted in .various industries not only porcelain, fashion, and daily commodities, but also advertising, character, and space design. Although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attern design has an impact on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Method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perception between realistic and stylized patterns, and the influence of image words on design preference, the study performed a survey with 130 adults living in Seoul.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fter exposure to floral patterns of a porcelain tea cup set. Result Results reveal that 10 image words among 17 words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oduct preference. Characteristic and emotional image words are included. Results of a comparison of image words between realistic and stylized pattern designs show that the realistic pattern is higher in modern image, while the stylized pattern is higher in emotional image. Conclusion The study empirically explains that there are various image words which influence on consumers` pattern preference. In addition, floral pattern design has an impact on consumers` perception on design image.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result suggests the usability of pattern design and image words for enhancing competence of cultural produc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consumers` perception on pattern design through an empirical evidences.

      • KCI등재

        복합문화시설의 이미지 지각유형별 감성평가 특성에 관한 연구 -세대별 여성감성의 횡단적 분석을 중심으로-

        최계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기존 연구를 보면 정성적인 평가 내용을 정량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측정방법에 대한 점진적 탐구 없이 일회성 연구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 성과를 발전시키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감성평가 어휘를 선별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는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세분화된 설문지 구성을 통해 이미지 평가에 나타난 성별 감성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성 세대의 횡단 감성특성은 향후 기존 공간에 대한 평가는 물론 새로운 공간에 디자인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공간이미지 설문에 사용될 복합문화시설을 대상으로 사진촬영 및 이미지 선별과정을 거쳤으며, 평가어휘는 1차적으로는 기존 연구논문에서 추출하고, 2차적으로는 관련분야 전문가에 의한 선별과정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2장에 이미지 촬영 및 형용사 어휘 선정과 검증을 기술하여 정리하였으며, 설문결과는 이미지별ㆍ각 유형별, 형용사쌍별, 세대별 정리와 종합정리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3가지 지각유형 중에 ①의 우세 이미지 비율은 공간성 87.5%, 격식성 50%, 장식성 28.6%로 공간성에서 횡단세대별 공통 우세가 가장 높았으며 장식성에서 가장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내용을 볼 때 횡단 세대별 공통적인 감성평가를 갖는 지각유형은 공간성이며, 장식성에서는 세대별 우세한 특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공간성에 대한 세대별 우세 이미지 비율을 보인 형용사 7개 중에서 6개는 우세 이미지가 공통되게 나타났다. 나머지 1개에 해당하는 형용사「어두운」은 각 세대별 우세 형용사에 대한 이미지를 3ㆍ2ㆍ2번으로 다르게 선택하고 있다. 즉 동일한 형용사 어휘에서 우세특성이 나타나더라도 세대별 선택한 이미지가 다른 것이 특징이다. 셋째, 장식성은 세대별 평가어휘에 대한 우세특성을 공통적으로 보인 이미지가 3개이며 1순위와 2순위의 차이에서 큰 차이를 보이면서 세대별 공통된 이미지에 대한 감성을 가진 형용사는 「고전적인」이었다. 감성 평가값의 차이에서도 일부 형용사에서 세대별 차이가 있을 뿐 공간성에 비해 중복 우세된 세대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넷째, 장식성은 세대별 공통된 우세 이미지 비율이 공간성이나 격식성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이 특징이다. 즉 세대별 특성에서 본다면, 세대별 강한 공감대를 갖는 이미지와 형용사는 있지만, 세대별로 공통된 것은 가장 적은 지각유형을 장식성으로 볼 수 있다 . (결론) 이미지별 지각유형에 대한 감성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이미지별 감성특성이 명확하게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향후 성별 맞춤 특화 공간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찾는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시청 민원실 유니폼 이미지 평가 - 서울시와 광주시의 시청 유니폼을 중심으로 -

        임송미,이미숙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4

        세계 선진 도시들은 도시 정체성 확립과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전략적 요소로 공공유니폼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와 광주광역시의 시청 민원실 여직원이 착용하고 있는 유니폼을 대상으로 유니폼 디자인 현황을 살펴보고, 유니폼의 이미지 평가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도시 이미지와 공공유니폼, 국내ㆍ외 공공유니폼 사례, 지자체 시청 민원실 유니폼 착용 현황을 살펴본 다음, 시청 민원실 유니폼 이미지 평가를 위해 서울시와 광주시 시민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ㆍ회수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2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와 광주시의 유니폼 이미지는 활동성, 상징성, 주목성, 신뢰성, 심미성 등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시청 유니폼 이미지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 시청 민원실 유니폼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5개 이미지 요인에 대해 연령, 학력, 직업별로 상징성, 주목성은 높게 평가된 반면, 상대적으로 활동성, 심미성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응답자들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심미성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 시청 민원실 유니폼 이미지는 응답자들의 연령, 학력, 직업별로 활동성, 주목성, 신뢰성은 높게 평가된 반면, 상대적으로 상징성, 심미성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학력에 따라 신뢰성, 주목성이, 직업에 따라 활동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dvanced cities around the world use public uniforms to aid establishment of city identity and improvement of city imag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uniform designs and analyze differences in the image evaluation of uniforms of women public service staff in the city halls of Seoul and Gwangju. The methodology was first to review city image and public uniforms, public uniforms cases at home and abroad, and the status of uniforms worn in the public service office of local governments, and then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a total of 200 citizens in Seoul and Gwangju to evaluate the image of public service staff uniforms at City Hall.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turn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analyzed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PSS for windows 20.0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niform images of Seoul and Gwangju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ctivity, symbolism, attention, trust, and aesthetics. Second, differences in the image evaluation of city unifor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e image of Seoul's public service uniforms, while symbolism and attention were highly evaluated, activity and aesthetics were evaluated relatively low according to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esthetics factors according to respondents'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For the image of Gwangju's public service uniforms, while activity, attention, and trust were highly evaluated, symbolism and aesthetics were evaluated relatively low according to respondents'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ust and attention according to educati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y according to occup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age.

      • KCI등재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아파트 외장색채의 이미지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이진숙(Jinsook LEE),김한나(Hanna Kim)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기존 이미지스케일의 평가어휘에 대한 디자인 분야별 적합성 및 객관성에 대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평가 어휘간의 분류체계를 시각화한 디자인 분야별 이미지분석모델 개발을 장기적인 목표로 갖고 있다. 그 중 브랜드 아파트 외장색채의 이미지분석모델 개발을 시작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어휘를 보완하여 어휘의 체계를 분석하고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시각화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 연구에서 레파토리 그리드 발전수법을 통해 추출된 13개의 평가어휘와 본 연구에서 5개의 브랜드 아파트의 매뉴얼 컬러를 활용하여 자유배색을 통해 연상되는 어휘를 합쳐 총 148개를 수집하였고,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총 73개의 최종 아파트 외장색채 평가 어휘를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최근 5년 이내에 완공된 27개의 브랜드 아파트 외장 색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평가어휘들 간의 구조를 시각화하기위해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평가어휘간의 거리 모형을 활용하여 이미지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미지분석모델에서는 총 73개의 평가어휘를 6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그룹별로 대표어휘를 선정하기 위해 각 그룹의 어휘별 거리모형을 제시하여 대표어휘를 명명하였다. 또한 제시한 아파트 외장색채 이미지분석모델을 바탕으로 실험에 사용된 5개 브랜드 아파트의 사용색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1) ‘H사’의 경우 G, B, R계열의 화려한 강조색을 적용하여 화려하고 강렬하며 인상적인 이미지를 형성 2) ‘D사’의 경우 그레이계열의 주조·보조색과 BI걸러를 연계한 YR계열의 강조색 적용으로 따뜻하고 정감있는 이미지를 형성 3) ‘H·I사’의 경우 주조·보조·강조색이 모두 YR계열로 따뜻하고 수수한 이미지를 형성 4) ‘R사’의 경우 모던한 브라운 그레이의 톤 변화에 의한 컬러배색과 B, R계열의 강조색으로 세련미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형성 5) ‘G사’의 경우 Y, YR계열의 유사톤 배색으로 중후하고, 부드럽고 안정감있는 이미지 형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In this paper, we provide an initial result of our long-term project that aims to develop image analysis models for each design fields. Our image analysis model tries to overcome the current limitation of appropriacy and objectivity of evaluation adjectives of image scales for each design fields. As our first attempt, this paper focuses on, among various design fields, exterior color of apartment and develops image analysis model for it. We analyze the adjectives used in the previous work and complement them. We also visualize our system of adjective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We have used the following steps. 1)We extracted 13 evaluation adjectives from the previous work using repertory grid development method. 2)We complement this set with adjectives that people associated to their own free color arrangement using palette colors of 5 brand apartments. This resulted in 148 adjectives in total. 3)After examination of experts, we obtained 73 adjectives for evaluation of exterior color of apartment. 4)Based on this set of adjectives, we evaluated exterior color of 27 recent brand apartments whose completion dates are within 5 years. We have developed image analysis model that estimates the distance between evaluation adjectives. This enables intuitive visualization of evaluation adjectives making it easy to recognize their relationship and clusters. We categorized 73 adjectives into 6 clusters. For each cluster, we selected its representative adjective based on the distance model. We present the evaluation results of exterior color of 5 brand apartments using our approach. 1)H company uses green, blue and red tone colors as vivid accent colors, which form colorful, intense and impressive image. 2)D company uses gray tone colors as dominant and assort colors. Additionally, applying YR tone mixed with BI color as accent color forms warm and friendly image. 3)H·I company uses YR tone color as dominant, assort and accent colors, which form warm and simple image. 4)R company uses color palette based on changes of modern brown gray tone. In addition, they use accent colors based on B and R. This forms sophisticated and luxurious image. 5)G company’s color arrangement is based on similar tone of Y and YR. The evaluation result shows that it has dignified, soft, stable images.

      • KCI등재

        이벤트-서비스기업간의 유사성이 기업이미지와 기업속성평가,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패션형 백화점을 중심으로

        于苗(Yu Miao),박만석(Park Man Seok),김상희(Kim Sang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08 소비문화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스폰서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벤트 행사를 개최하기 위한 것으로 이벤트와 기업간 이미지 유사성과 기능적 유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벤트와 기업간 유사성과 소비자의 지각된 기업이미지, 기업속성에 대한 평가,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두 가지 유사성(이미지 유사성과 기능적 유사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기업이미지, 기업속성평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중국의 패션형 백화점‘해신광장’을 이용하는 고객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BR>  연구결과, 첫째, 이미지 유사성과 기능적 유사성은 지각된 기업이미지와 기업속성평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 유사성과 기능적 유사성이 소비자평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된 기업이미지에는 기능적 유사성보다 이미지 유사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업속성에 대한 평가에는 이미지 유사성보다 기능적 유사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지각된 기업이미지와 기업속성에 대한 평가는 이미지 유사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적 유사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본 연구결과는 이벤트 개최시 소비자에게 우수한 기업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유사성이 높은 이벤트를 선정해야 하며 기업제품이나 환경에 대한 평가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능적 유사성이 높은 이벤트를 선정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벤트의 효율적인 사용은 단기적인 촉진활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기업이미지 구축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For enhancing the long-term competitiveness of corporations and effectually sponsoring ev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image similarity and the functional similarity between events and sponsor corpor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ilarity, perceived corporate image, valuation of corporate attribute and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distinguished the difference of influence on the perceived corporate image and valuation of corporate attribute from the image similarity and the functional similarity. “Hisense Plaza” - the fashion department in China was elected for a survey of consumer consciousness research.<BR>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mage similarity and the functional similarity influence on the perceived corporate image and valuation of corporate attribute positively; the second, the image similarity influence on perceived corporate image more than the functional similarity and the functional similarity influence on valuation of corporate attribute more than the image similarity; the third perceived corporate image and valuation of corporate attribute as a partial mediation between the image similarity and purchase intention and as a full mediation between the functional similarity and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커트 스타일에 따른 20, 30, 40대 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지각과 심리적 평가의 차이 연구

        유민정 ( Min-jung You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8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커트 스타일에 따른 20, 30, 40대 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지각과 심리적 평가의 차이를 알아보고 커트 스타일의 이미지가 헤어스타일에 대한 심리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동일한 여성의 얼굴이 커트 스타일 변형에 따라 연령별로 어떠한 이미지지각의 차이와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또한 커트 스타일에서 나타나는 이미지가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이미지를 변화시키는데 커트스타일에 차이를 두거나, 커트의 종류 변화에 따라 스스로의 이미지를 제어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어, 헤어스타일만의 변화가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심리적으로도 변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자신이 긍정적일 수 있는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피실험자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적합한 헤어커트 스타일을 찾는 연령별 방향이나 목적, 기준을 나타내는 표지가 되는데 목적이 있다. 이미지지각에 대한 커트 스타일과 나이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와 커트 스타일 이미지가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그래쥬에이션을 본 20대, 30대와 레이어를 본 20대, 30대는 원랭스를 본 20대 보다 자신들이 본 커트 스타일을 앨래강스하다고 생각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그래쥬에이션을 본 2-30대와 레이어를 본 세 집단 모두는 원랭스를 본 3-40대보다 본인들이 본 커트 스타일이 더 앨래강스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래쥬에이션을 본 20대는 그래쥬에이션을 본 40대에 비교해서 그래쥬에이션 커트 스타일에 대해 더 앨래강스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트 스타일 이미지가 심리적 영향중에서 인상형 성반영에 관해 반응을 이끌어 내었으며, 앨래강스, 패미닌, 패뷸러스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반영에는 앨래강스 이미지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나이별 커트 유형에 따라 지각하는 이미지가 다양하였고 같은 커트임에도 다른 이미지를 지각하기도 하였다, 또한 헤어커트스타일에 대해 지각하는 이미지는 어떠한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앨래강스이미지의 헤어커트스타일에 의해 사람의 특성이나 성격 연령,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의복,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등을 통한 조화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헤어커트스타일의 변화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발전하는데 영향을 주고 헤어 이미지변화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에 적절한 헤어커트유형을 찾을 수 있는 연령별지표가 되길 기대한다. Analyzes the interaction of the same female face on the difference of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tyle of haircut style by age.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effect of haircut style image on hairstyle recognition (psychology,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bility, first impression), it influences the change and formation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ut type, The goal is to be an age-specific indicator that can expect a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 and find a proper type of haircut in the image that the subject w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haircut style and age on image perception and the effect of haircut style image on hair style recognition, First, layers shown to 20s, 30s, 40s showed higher levels of perceived haircut style that they viewed than their 20s, who were in their 30s. Second, 20s, 30s, who were given gradation and 20s, 30s, and 40s, who have seen layer, perceive their haircut style to be more dignified than their 30s and 40s. Third, the 20s who had seen the graduation showed that they were more dignified than the 40s who had seen the graduation. Fourth, haircut style images were found to affect the reflection of impression formation in hair style recognition, and they were influenced in order of elegance, femininity, and charm. Also, only the decent image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 refle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perceptual images vary according to the age type of cuts and perceive other images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cut. In addition, the perceived image of the haircut styl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determining the first impression of a person, while it can be interpreted as influencing the personality, personality age, and ability of the person by the haircut style of the dignified image. As the age chang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harmonious image through clothing, make-up and hair style. Changes in the style of haircuts can change the image of their own, the changes in the hair image can provide a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 의미변별법을 이용한 스마트폰 제품의 이미지변동 평가

        이진춘(Lee, Jin-Choon),오태원(Oh, Tai-Won) 한국의사결정학회 2015 의사결정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제품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 감성공학에서 사용하는 의미변별법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이미지를 평가한다. 최근 스마트폰의 판매량은 제품의 성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제품 디자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에 따라 스마트폰의 이미지는 제품의 판매량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전문가 패널들이 도출한 형용사 집합으로부터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요인분석법의 결과로 얻은 요인점수를 이용하여 형용사집합들이 규정하는 이미지 공간에서의 좌표를 평가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평가한 스마트폰의 이미지는 일반적인 목표 스마트폰의 판매량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의미변별법을 이용한 평가가 스마트폰의 판매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변화를 설명함을 알 수 있다. This tried to analyze the image of smarphones using a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hich is used in the sensory engineering in order to evaluate the personal subjective image of a product. Recently as sales volume of smarphones is not influenced by functional performance but by product design, smartphone images become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has a tremendous effect to the sales volume.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smartphone image, factor analysis is adapted in order to extract the image components from the adjective sets derived by expert panels. From the output of factor analysis, factor score is used to assess the coordinate of the object smartphones in the image space specified by the adjective sets. Concludingly, the images of smarphnones evaluated in this study is, generally, coincided with the sales volumes of tageted smartphones. Therefore, the evaluation by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used in this study can explain the described changes 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les volume of the smart phone.

      • KCI등재

        기업 이미지 무형자산 가치 측정을 위한 DBRQ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용구,김보영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자인, 브랜드, 기업 명성을 중심으로 기업의 이미지 무형자산의 범주와 요인들을 정의하여 향후 기업들의 이미지 관련 무형자산 형성 및 강화를 위한 전략적인 의사 결정과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본 연구는 20명의 디자인, 브랜드, 홍보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정성적 연구를 통한 이미지 무형자산 요인과 척도 개발을 이루었다. 디자인, 브랜드, 명성을 구성하는 총 13개 요인을 대상으로 45개 측정 문항에 대해 리 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내용 타당성을 검증하고, 2차적으로 Kendall's W 점증을 통해 신뢰도 확보를 이루었다. 이후 각각의 요인 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결과적으로 디자인, 브랜드, 명성으로 구성된 이미지 무형자산 측정 척도 모델을 제시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45개의 측정 문항 분석 결과 내용 타당성에서 최종 38개의 요인이 채택되었으며, 이를 기반하여 디자인, 브 랜드, 명성 기준의 총 13개 요인의 요인 타당성과 신뢰도를 획득하였다. 전문가 대상 100점 만점의 고정총합척도(constant sum scale) 를 통해 가중치를 산출한 결과 명성 요인이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받았으며, 디자인과 브랜드는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도를 나타냈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이미지 무형자산 측정을 위한 DBRQ 컨셉 모델을 제시하였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기술과 네트워크 무형자산 만큼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이미지 무형자산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 무형자산 요인인 디자인, 브랜드, 명성의 세부 구성요인을 밝히고, 그 가중치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이미지 무형 자산 평가 척도를 제시하고, 이미지 무형자산 강화를 위한 기업의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그러나 본 연 구는 델파이기법을 통한 전문가 중심 조사를 이룬 만큼 양적 검증을 기반 한 실증연구를 통해 측정 모델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이미지 무형자산이 실제 기업의 자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른 실증 연구와 기업 내 이미지 무형 자산 시스템 구축의 성공 사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공헌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이미지 무형자산 가치 측정 표준 모델의 개발을 위해 이미지 무형자산 분류 모델을 제시하여 기업 의 무형자산 가치의 또 다른 축으로 자리 잡은 이미지 무형자산 가치 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기준과 지표를 제시했다. 기업의 이미지 무형자산에 대한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결국 경제적 가치로서 자산화가 된다. 이에 자산 평가를 위한 척도와 평가 툴이 마련 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이미지 무형자산의 기본적인 측정을 위한 척도 도구로써 가치측정이나 평가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categories and components of corporate image-related intangible assets based on design, brand, and reputation and suggest how to improve the assets by the corporate image development and manag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article uses delphi method to develop the image-intangible evaluation scale by 20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field of corporate design, brand and PR. Total 13 factors were defined to the scale model and 45 measurement items on five Lickertis scale were used by the questionnaire to analyze content valid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by Kendall's W . Hence, the study proposed a scale standard model of corporate image-intangible assets based on design, brand, and reputation. Results/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45 measurement items's content validation, total 38 items are finally defined as the image-intangible composition factors. And total 13 sub-factors and 3 category factors, design, brand, and reputation was positive on reliability and feasibility. In summary, constant sum scale was used to weighted value analysis of each factors. Reputation had the highest weight value and design and brand indexed similar value. In these research results, DBRQ concept model suggested to measure corporate image-intangible assets.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cale standard and measurement model of corporate image-intangible assets of a firm. The firms can improve and develop the intangible assets with this measurement tools. In addition, the model will be an evaluation tool or self-check list about the assets. However this study has the research limitation is that suggest the concept model was built b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uture work/research: The research can be developed with more rigid empirical study by an extensive survey and successful case study of image-intangible assets management in the global business companies. Originality/value: Although the paper proposes a concept model, which was not invested by empirical research to measure of image-intangible assets, the model can be used as an asset evaluation tool to the firms. Also the study will be a foundation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design, brand and reputation.

      • KCI등재

        광조건 표준화에 의한 잔디의 엽색평가 이미지 분석

        이상국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4

        Visual evaluation suggested by nation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NTEP) is most widely used to measure turf color. However, there are inconsistent evaluation results because of subjective measures by evaluators and different conditions of evaluation timing. To complement visual evaluation, digital image analysis is used in recent researc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urf Color of zoysiagrass with image analysis with normalization of various brightness mean value. The nitrogen applications were made with the rate of 0 to 7 g m-2 increased by 1g m-2. The brightness mean value (BMV) level consists of a total of 5 levels which are 50, 70, 90, 110, and 130, and applying it to all images to calculate dark green color index (DGCI).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DGCI values derived from visual evaluation and image evaluation.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found at BMV 130, and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from that of the original ima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results. The difference in greenness and the increase in brightness of the image were found to be necessary requirement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isual evaluation and image analysis. 잔디의 엽색평가를 위해 육안평가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평가자들 간의 주관적 평가 차이, 엽색평가 측정 시기에 따른 차이 등 단점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디지털 이미지 분석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zoysiagrass (Zoysia spp.)의 엽색평가에서 육안평가와 표준화된 brightness mean value의 차이에 따른이미지분석 결과값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Zoysiagrass의 엽색 변화를 위해 질소가 1g N m-2 부터 1g씩 증가하여 7g N m-2까지,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8단계의 농도로 처리가 되었다. Brightness mean value (BMV) 단계는 50, 70, 90, 110, 130의 총 5단계로 구성이 되어 모든 이미지에 적용 후 Dark green color index (DGCI) 값이 도출되었다. BMV 130에서가장높은상관관계유사도가나타났으며,이미지촬영시원본이미지의 brightness 차이는 상관관계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녹색도의 차이와 이미지의 brightness 증가는 육안평가와 이미지 분석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필요한 요건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