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옥은 조장된 두려움인가? 연옥에 대한 조직신학적 이해

        명형진(Hyeongjin Myeo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2 No.1

        그리스도교 신앙 안에서 교회는 “사람은 죽자마자 자신의 삶을 그리스도께 셈 바치는 개별 심판으로 그 불멸의 영혼 안에서 영원한 갚음을 받게 된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1021항)고 가르친다. 나아가 “이러한 대가는 정화를 거치거나, 곧바로 하늘의 행복으로 들어가거나, 곧바로 영원한 벌을 받는 것”(『가톨릭교회 교리서』, 1022항)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인간은 죽음을 통해 하느님과의 만남의 여정을 지속해 나가며 자신이 지은 죄에 대한 용서의 기회를 맞이하게 된다. 그것이 연옥이다. 그리스도교 전통안에서 연옥은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또한 그것은 연옥의 두려움을 가중시키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 따라서 연옥은 죽은 이들이 가야할 장소와 그곳에서 벌어지는 불의 형벌을 겪어내야 하는 시간으로 여겨졌다. 그리하여 연옥은 지상 실재와 구분되지 않고 실체적으로 묘사되고 그려졌으며, 그것은 연옥을 두려움의 장소와 고통의 시간으로 묘사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통해 본 논고는 ‘왜 연옥은 두려움으로 다가와 있는 것일까?’, ‘연옥은 과연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 놓은 두려움의 도구인가?’라는 물음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그 해답을 찾아가기 위해 조직신학적 성찰을 시도한다. 교회의 역사 안에서 발생된 연옥에 대한 믿음이 두려움이 아니라 희망이라는 것을 밝혀 낼 때, 그리스도인들은 삶과 죽음을 넘어서 구원을 향해가는 하느님 나라의 희망의 순례자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향한 여정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연옥은 더 이상 죽음 이후에 가야하는 고통의 불 지팡이가 들어 올려진 두려움의 장소일 수 없다. 정화의 고통은 오직 축복받는 아픔으로 그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에게 연옥은 그들에게 마련된 구원의 기회이며 자비를 입는 상태이며, 하느님을 마주하기 위한 준비의 순례라는 것을 기억할 때, 연옥의 정화는 조장된 두려움에서 벗어나 희망으로 고백될 수 있을 것이다. In Christian faith, the Church teaches “Death puts an end to human life as the time opens to either accepting or rejecting the divine grace manifested in Christ.”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21) And it explains further “either entrance into the blessedness of heaven - through a purification or immediately - or immediate and everlasting damnation.”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22) Therefore, human being continues his journey to meet God through death, has the opportunity to be forgiven his sins. That is purgatory. In the Christian traditions, the concept of purgatory was not free from time and space. That became the background to accelerate the fear of purgatory. So, purgatory was considered as to the place where dead man ought to go, and the time to experience the fire punishment. Therefore, purgatory was not divided from earthly reality, was described substantively, and became to be portrayed as to the fearful place and the painful time. This study started from these two questions; Why purgatory came to be the fear? Is purgatory really self-made tool of fear? And tried systematic theological introspection to find the answer. When finding out the faith about purgatory which arouse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was not the fear but the hope, Christians could live for salvation, passing over life and death, as a hopeful pilgrim to kingdom of God. We Christians, on the journey of completion for kingdom of God, purgatory can no longer be a fearful place to go after death, where painful fire cane lifted. Because the pain of purification means only the blessed suffering. Therefore, for Christians, when they remember purgatory is the prepared opportunity for salvation, the divine grace status, and the preparational pilgrim to face God, the purification of purgatory can be confessed as to hope, not an incited fear.

      • KCI등재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의연옥 관념과 의례 실천

        조현범 ( Hyeong Beom Cho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받아들였던 연옥 관념과 이에 입각한 연옥 관련 의례 실천들을 다루었다. 새로운 종교적 관념과 실천이 도입되었을 때 발생하는 전형적인 반응이 배타적 거부와 전면적 수용 사이의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조선 후기에 천주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이 제사 문제로 전통적인 세계관을 따르는 주류 사회와 충돌을 빚은 이후에 사후 세계의 문제에 대해서 어떠한 대안을 형성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특별히 연옥이라는 독특한 교리와 그 의례적 실천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연옥에 대한 관념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당시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천주교 교리서에 근거하여 개괄하였다. 그런 다음에 연옥 관념을 실천하는 의례적 장치로서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를 탐구하였다. 전례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천주교 의례의 일반 구조를 따라 설명하지 않고, 사람의 생애 주기를 축으로 하여 천주교 연옥 의례들을 나열하였다. 먼저 가장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식사기도, 하루의 일과 시간을 세분하여 진행하는 성무일도, 일 년 단위의 전례력 속에 들어 있는 추사이망첨례, 그리고 초상이 났을 때 행하는 상장예절 등에서 연옥 의례가 어떤 실천되는지를 순서대로 서술하였다. 그런 다음에는 연옥 관념을 의례라는 형식으로 실천함으로써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의 의식 속에 어떤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논하였다. 새로운 공동체 구성 원리의 등장과 새로운 종교성의 출현, 저승의 지리학에서 발생한 변화, 고통의 회계학이라 부를 만한 수량적 사고의 등장, 박해와 순교를 감내하는 종교적 원동력의 생성 등을 지적하였다. 조선 천주교사 속에서 연옥이라는 주제를 연구할 때 앞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연옥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이다. 연옥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은 연옥 개념과 연옥 관련 의례 실천 그리고 연옥 내러티브를 구성된다. 선행 연구에서 연옥 개념이 지닌 역사적 변천을 밝혔다면, 이 글에서는 의례 실천에 대해서 살펴본 셈이다. 하지만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연옥에 관한 관념 내지 상상의 세계를 전체적으로 밝히려면 연옥 내러티브, 즉 연옥에 관한 관념들을 구체적이고 생생한 모습으로 형성화하는 이야기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 notion of purgatory was first introduced in the devoted adherents of Korean Catholic Church from the last decades of the 18th Century of Korea. And they were taught to think that the ritual practices of purgatory would help their deceased ancestors to reduce the weight of punishment which should be imposed after death. These ideas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ordinary thought about the after-death world at that time in Korea. When the new religious notion and practice were imported in the traditional society, we could imagine that these caused a striking confusion or a negative response or a creative mixture among the people. We had examined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urgatory in another article. This article traced the ritual practices of the doctrine of purgatory from the documents of the Sacraments, the Blessing, the Mass. They were in the Benediction of Table (Grace after Meals), the Vespers of Divine Office, the Commemoration of all the Faithful Departed, lastly the Funeral and Burial Rites. If Korean Catholics accepted the doctrine of purgatory and practiced the purgatory ritual, what happened in their religious imagination? The influences of the religious idea could be estimated in four points. First, the new ordered community which transcend the board line of life and death emerged. Second, the geography about the world of the dead transformed. Third, came out the accountancy of pain which bring up the balance sheet for measuring the Indulgence. Lastly, the purgatorial idea and ritual gave the religious motivation for bearing up the persecution and martyrdom. Nevertheless we must admit the omission of one important procedure in this article. It is the analysis of the popular narratives about purgatory. The discourses of purgatory consists of the idea, the ritual and the narrative. The last part of the examinations on the purgatory is left out for the forthcoming study. We expect to understand the whole world of Korean Catholic imagination for the purgatory through the tripartite research.

      • KCI등재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의 역사적 해석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3 西洋中世史硏究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 system and symbol system of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nd to examine its mean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The message, that the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were trying to deliver by dramatically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is not limited to the didactic dimension. The first clue can be found in ‘the symbolic change of the main character’s status’. In both stories, the protagonist's initial status in this world is ‘a nobleman and a knight’. Afterwards, those who went to the underworld and stood before God’s judgment were not noblemen, but mere ‘sinners’. However, unlike Tnugdal, who remains a sinner throughout his journey to the underworld, Owein, who entered the purgatory pit of St. Patrick, becomes a ‘knight of Christ’. Behind this is the Conquest of Jerusalem and the Third Crusade. The second reason why the story could function as a political propaganda can be found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Tnugdal’s Journey is a ‘Journey of Repentance’ that enumerates the sins committed by living humans and reflects on them one by one. However, Demons do not tell Owein why he must be tortured. So his pain feels more like a torture to test his faith or a hardship to overcome than a punishment. This shows that Owein’s journey is not in repentance but in ‘Conquest’. The third clue can be found in ‘the symbolism of the background of the story’. Purgatory of Owain the Knight is a ‘real space’ managed by an Irish monastery, and at the same time a ‘virtual space’ revealed by Christ for St. Patrick. By the way, the white plains, a symbol of heaven in the Celtic tradition, have changed to the black plains of hell, and the emphasis on Ireland's savagery and insufficient Christianization shows that Hell, where Owein confronts the devil, actually symbolizes Ireland itself. Even, Gerald Wales, a servant of King Henry II, inserted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mong his works related to his political journey in Ireland and Wales.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by the symbolic system of Tractatus de Purgatorio Sancti Patricii and the works of Gerald Wales surrounding it suggest that the story of Owein's journey to the underworld played a political role in England in the late 12th and early 13th centuries. Just as Owein conquered Purgatory, English monarchs and priests wanted to conquer Ireland, Wales and Jerusalem. This shows that purgatory in the Middle Ages was not only a didactic space where punishment(fear) and purification(hope) coexisted, but also a real space where the political desires of the ruling powers were realized or frustrated. 자크 르 고프는 중세 사람들의 머릿속에 연옥이라는 공간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에서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이 『트누그달의 환시』와 함께 맡았던 역할을 중시했다. 그러나 중세 저승 여행담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극적으로 넘나들면서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교훈적 차원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이야기의 가치체계와 상징체계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당대의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첫 번째 실마리는 ‘주인공 신분의 상징적 변동’에서 찾을 수 있다. 『트누그달의 환시』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모두에서 주인공의 이승에서의 최초 신분은 ‘귀족이자 기사’이다. 그러나 저승으로 넘어가 신의 심판대에서 이들은 고귀한 나리님이 아니라 한낱 ‘속세의 죄인’일 뿐이다. 그런데 저승 여행 내내 속세의 죄인으로 남는 트누그달과 달리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 구덩이로 들어간 오웨인은 용맹한 기사가 된다. 그는 자신의 죄를 정화하고 회개하는 것보다는 ‘그리스도의 기사’로 거듭나 색다르고 범상치 않은 무훈을 발휘하는 데 더 관심이 많아 보인다. 이러한 오웨인의 모습 뒤에는 살라딘의 예루살렘 정복과 3차 십자군 모집이라는 현실이 있다.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이 정치적 선전물로 기능할 수 있었던 두 번째 이유는 ‘저승 여정의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 트누그달의 지옥 여정은 살아 있는 인간들이 저지르는 죄들이 나열되고, 그 하나하나를 반성하는 ‘회개의 여정’이다. 그러나 오웨인의 연옥에는 죄인은 있지만 ‘죄목’은 없다. 악마들은 오웨인에게 왜 고문을 당해야 하는지 말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그의 고통은 형벌이라기보다 믿음을 시험하는 고문이나 극복해야 하는 고난처럼 느껴진다. 죄목이 없으니 반성도 없고, 오로지 악마들의 고문을 이겨내고 승리하라는 소명만 남을 뿐이다. 기사가 회유에 흔들리지 않고 고문을 통과할 때마다 악마들은 힘을 잃고 물러난다. 이것은 오웨인의 여정이 회개가 아닌 ‘정복’에 있음을 보여준다. 세 번째 실마리는 ‘이야기의 배경이 지닌 상징성’에서 찾을 수 있다. 중세 여행담의 가장 큰 특징은 이야기 안에서나 밖에서나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흐릿하다는 것이다. 오웨인의 모험이 펼쳐지는 연옥은 아일랜드 수도원이 관리하는 ‘현실의 공간’인 동시에, 그리스도가 성 파트리키우스를 위해 드러낸 ‘가상의 공간’이다. 아울러 켈트 전통에서 천국의 상징인 하얀 평원이 지옥의 검은 평원으로 변한 것과 아일랜드의 야만성과 미흡한 기독교화가 강조되고 있는 부분은 오웨인이 악마와 대결을 벌이는 공간이 실상 아일랜드 자체를 상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헨리 2세의 신하인 제럴드 웨일스는 아일랜드와 웨일스에서 행한 자신의 정치적 여정과 관련된 저작들 사이에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을 끼워 넣기까지 한다. 요컨대, 『성 파트리키우스의 연옥』의 상징체계가 드러내 보이는 특징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제럴드 웨일스의 저작들은 오웨인의 저승 여행 이야기가 12세기 말과 13세기 초 잉글랜드에서 정치적인 역할을 맡고 기능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오웨인이 연옥을 정복하듯 잉글랜드 군주와 성직자들은 아일랜드, 웨일스,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싶었던 것이다. 중세의 연옥은 처벌(두려움)과 정화(희망)가 공존하는 교훈적...

      • KCI등재

        ‘연옥’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시대적 고찰 : 마리 드 프랑스의 『성 파트리스의 연옥』 연구

        유승주(YU Seungju) 프랑스학회 2020 프랑스학연구 Vol.0 No.91

        마리 드 프랑스의 『성 파트리스의 연옥』은 『단시집』과 『우화집』에 이어 1189년 이후 집필된 작가의 마지막 저작으로 여겨진다. 『성 파트리스의 연옥』이 12세기에 인기를 얻었던 ‘연옥’에 관한 전설을 제재로 삼아 다시 쓴 작품이라는 사실은 12세기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작품을 다시 읽게 한다. 또한, 이 작품이 프랑스 불문학에서 ‘연옥’을 처음으로 로망어[프랑스어]로 옮긴 작품이라는 사실은 작가가 이 제재를 차용하게 된 배경과 전설의 다시쓰기를 통해 행하고자 한 문학적 시도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본 논문은 『성 파트리스의 연옥』의 「프롤로그」와 주인공인 기사 오웬의 여정을 중심으로 12세기의 흔적을 찾는 과정을 통해 문학의 제재와 작품에서 드러나는 시대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고는 우선 『성 파트리스의 연옥』의 「프롤로그」를 다시 읽는 과정을 통해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성 그레고리우스를 거쳐 12세기에 체계화된 ‘연옥’이라는 개념을 살펴보고, 시대의 변화가 개념의 발전에 끼친 영향과 마리 드 프랑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마리 드 프랑스가 기존 전설에서의 인물의 여정에 변주를 더한 부분을 작가가 변모한 시대를 반영하여 그리고자 한 이야기와 연결지어 분석하였다. ‘연옥’이라는 신학적 모티프는 마리 드 프랑스의 손을 거쳐, 종교의 공간뿐 아니라 문학의 공간으로 확장되고, 시대를 반영한 공간이자 문학적 가능성을 실현하는 공간이 된다. L’Espurgatoire de Saint Patrice de Marie de France est considéré comme la dernière oeuvre de l’écrivaine, rédigé sans doute après 1189, à la suite des Lais et des Fables. Sachant que cette oeuvre réécrit ‘la légende de Saint Patrice’ popularisée à la deuxième moitié du 12ème siécle, il nous faut la relire dans son cadre historique. Par ailleurs, le fait que ce récit de Marie de France est la première oeuvre traitant “le purgatoire” dans la littérature française, nous amène à nous focaliser sur l’influence historique du contexte dans lequel l’écrivaine choisit sa source. Dans notre étude, afin de trouver la trace du siècle et la modification littéraire sous l’influence du contexte historique, nous nous sommes concentrés sur le Prologue et ‘l‘itinéraire d’Owein’. Dans le processus de relecture du Prologue de l’Espurgatoire de Saint Patrice, en examinant le concept de ‘purgatoire’ systématisé dans le 12ème siècle via Saint Augustin et Saint Grégoire, nous avons découvert un rapport entre l’évolution du siècle et la transformation de ‘la légende du purgatoire’ par Marie de France. Ensuite, en poursuivant le voyage du Chevalier Owein, nous avons remarqué la modification de la légende effectuée par l’écrivaine et le but littéraire qu’elle y recherche.

      • KCI등재

        《련옥략셜》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조현범(Cho, Hyeon-Beom) 한국교회사연구소 2017 敎會史硏究 Vol.0 No.50

        한국교회사연구소 자료실에는 《련옥략셜》이라는 한글 필사본 하나가 소장되어 있다. 그 서지사항을 보면 저자 불명으로 나와 있다. 누가 그리고 언제 이 필사본을 만들었는지 추정할 수 있는 정보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자료실에는 《련옥략셜》과 함께 한문본《연옥약설》(煉獄略說)이 소장되어 있다. 이것을 보면 《련옥략셜》은 한문본의 번역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한글 필사본 《련옥략셜》의 정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우선적으로 한문본 《연옥약설》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였다. 1871년에 처음 간행된 한문본 《연옥약설》에는 중국인 예수회원 이문어(李問漁, 1840~1911) 신부가 저자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1862년 5월 29일 예수회에 입회하여, 1872년에 사제로 서품되었다. 따라서 한문본 《연옥약설》은 그가 사제로 서품되기 직전에 집필 간행되었다. 《연옥약설》은 총 8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8편의 제목과 세부 장절을 보면, 연옥 교리에 관한 모든 가르침을 집대성하여 주제별로 배치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각 편의 세부 장절 아래에 연옥 관련 예화들을 고적(故迹)이라는 제명으로 한두 편을 실어 놓았다. 그 예화들은 대부분 서양에서 전해지는 이야기들인데, 단 두 편만이 중국의 예화들이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자료실에 소장된 《련옥략셜》에 대한 기록은 모리스 쿠랑의 저서 《한국서지》에 처음 등장한다. 쿠랑이 제시한 서지 사항이 정확하게 일치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는 쿠랑의 저서가 《련옥략셜》의 존재가 처음 기록된 자료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쿠랑의 기록을 신뢰한다면 1892년 이전에 《련옥략셜》이 주교관의 도서관에 비치되어 있었을 것이다. 이는 적어도 한문을 잘 아는 조선인 신자가 프랑스인 사제나 주교의 감독 아래에 교회의 공적인 목적을 위하여 번역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말하자면 한문본 《연옥약설》이 조선인 교우들의 신앙생활에 유익한 점이 많다고 판단하여 조선에서도 이를 번역 간행할 의향을 갖고 준비하는 중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어찌 된 연유인지는 알 수 없지만 《련옥략셜》의 인쇄 간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A Korean manuscript about purgatory is owned in the library of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RFKCH). It’s title is Ryeon-Ok-Ryak-Syeol which means an outline of purgatory. In bibliographic data there is written of unknown authorship. Who made this manuscript? And when? The library has no information about it. In which locus was it stayed before registration into the storage of the library of the RFKCH? What is the first record about the document which is at issue here? To put it briefly, when was born the RORS, where it has lived, and finally to exist in now and there? Fortunately we have one clue to the mystery of our manuscript. That is, the library retains a chinese book with the same name. Regarding that it is the original version of the Korean manuscript, we undertook the task for discovering the curriculum vitae of the RORS. The Chinese book, Lien Yu Lio Choe(煉獄略說) which was published in 1871 by the young Chinese jesuit, Fr. Li Wen Yu (李問漁, 1840~1911) could be estimated for the mother of the RORS. The LYLC consists of eight chapters which gathered, classified and disposed logically all the teachings and arguments about the doctrine of purgatory. Specially we could find two or three stories which are titled ‘Old Story’ in the end of each chapter. As European Catholic fables or legends, they are passed down from the medieval era, even dated to the ancient era. Therefore, we could find out a kind of imaginative world-making and describing the life after death in the Western societies, and examine the adequacy of the application of the same scheme to the East Asian societies. Now let us turn to the Korean case. In the book of Maurice Courant, french diplomat and author, Bibliographie Coréenne, there is the first record of the RORS. Its bibliographical information has an accurate consistency with the formal character of the manuscript of the library. So evidently the RORS was deposited in the library of french bishop of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before the year of 1892. Moreover we incline to the suggestion that an anonymous Korean layman who was so intelligent as to translate Chinese literature to Korean, did it for the ecclesiastical purpose under the direction of French bishop or priest. But the RORS was not published for the unknown motive, left the only manuscript to sit crouched on the worn-out bookshelf, waiting for the eyes of researchers.

      • KCI등재

        광물성 한약으로 이용되는 양기석, 연옥, 음기석의 분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

        김선옥,박맹언,정율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 자원환경지질 Vol.35 No.4

        양기와 음기를 보하는 약재로 알려진 양기석과 음기석 및 연옥에 대한 의료적 활용을 파악하고, 광물학적 특성, 분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X선 형광분석,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 적외선 분광분석, 핵자기 공명분석 및 감응자기력을 실시하였다. 광물성 한약으로 사용되는 양기석은 양기석으로 확인되었으뗘, 연옥은 투각섬석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음기석은 주로 질석으로 구성되며, 소량의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함유하였다. 사슬형 규산염 중 각섬석군에 속하는 이들 연옥과 양기석은 유사한 범위의 분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연옥은 40℃에서 방사에너지가 큰 반면, 양기석은 150℃에서 방사에너지가 크다 음기석은 각섬석군의 광물보다 40℃와 150℃에서 모두 낮은 방사에너지를 나타내었다. 광물성 한약을 증류수에 20일간 침적한 후에 측정한 NMR분석에서의 선폭은 음기석, 양기석, 연옥의 순으로 감소되나, 80일이 경과한 후의 결과는 음기석, 연옥, 양기석 순으로 감소하였다. 양기석과 음기석은 가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응 자기력 값이 대체적으로 증가하고, 연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광물별로는 상온과 가열시 모두 음기석, 양기석, 연옥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Mineral medicines are single or mixtures of minerals and rocks which have been used to treat disease. Recently, their application has been increased by emphasizing the physical properies of the medicines, in addition to their chemical properies. In this study, mineralogical, chemical, spectroscopic and magnetic properties were measured using X-ray diffraction analysis,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FT-Infrared spectroscopy,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ass magnetic susceptibility. Experiments were done using these properties to evaluate application of traditional mineral medicines such as Yanggiseok, Yeonok and Eumgiseok. Mineralogical study proves that Yanggiseok, generally known as tremolite, consists of actinolite. Yeonok for medical usage mostly consists of fine grained tremolite. Eumgiseok is mainly composed of vermiculite and minor kaolinite and halloysite. Yeonok and Yanggiseok, belong to the amphibole group among inosilicates and both have similar emission power properties. The intensity of emission power, calculated from FT-IR measurements, follows in the order of Yeonok, Yanggiseok and Eumgiseok at 40℃ and Yanggiseok, Yeonok and Eumgiseok in such order at 150℃. As a result of NMR analysis after 20 days in distilled water, the three mineral medicine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Eumgiseok, Yanggiseok and Yeonok. However, the same minerals decreased in the order of Eumgiseok, Yeonok and Yanggiseok after 80 days. In response temperature, magnetic susceptibility of Yanggiseok and Eumgiseok systematically increased by heating to 25℃, 100℃ and 700℃. Magnetic susceptibility of Yeonok shows a decreasing pattern due to heating.

      • KCI등재

        지역 특산물 인지도 구축을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 춘천 연옥(軟玉)을 중심으로 -

        조소영,남용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3

        The world’s only white nephrite mountain is located at Wolgok-li, Dong-myeon, Chuncheon-si and Daeil Mining Company has developed and provided a variety of products using Chuncheon nephrite stone as well as service. To improve awareness of nephrite stone which is regional speciality of Chuncheon and increase its value, this study selects several good cases of regional character such as ‘Big Baby in Ulsan-si’, ‘Goyang Cat in Goyang-si’and ‘Goma Bear & Princess in Gongju-si’ to carry out case study and analyz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ir storytelling and strategy. Analysis results show that storytelling of these three cases interconnects various characteristics of region in pursuit of distinction and regionality and also, SNS and offline activity for regional promotion are continuously exposed to local people and tourists through personification of character so that they can feel more familiar with and improve awareness. Such research findings are applied to improve awareness in Chuncheon nephrite stone.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nephrite stone and the lakeside city, these two subjects are associated with ‘water’. If taking the image of lakeside city and using the story to expose Chuncheon nephrite stone which is regional specialty through online and offline activity to local people and tourists continuously, it comes up with distinction from other regions and increase value of Chuncheon, the lakeside city and its regional specialty, nephrite stone as well. 춘천 동면 월곡리는 세계 유일 연옥(백옥) 광산이 있으며 대일 광업에서는 춘천 연옥을 활용한 제품 개발 및 판매, 다양한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춘천 특산물인 연옥의 인지도 및 가치 상승을 위해 지역 캐릭터 중 우수사례인 울산광역시 ‘울산큰애기’ ․ 고양시 ‘고양고양이’ ․ 공주시 ‘고마곰과 공주’의 스토리텔링 및 활용 전략 중심으로 사례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사례의 스토리텔링은 지역 속 여러 특성을 연계하여 타 지역과 변별성 및 지역성을 두었으며 의인화를 통해 SNS와 지역 홍보를 위한 오프라인 활동을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지속적으로 노출하여 친근감 및 인지도를 형성 하였다. 이를 춘천 연옥의 인지도 구축을 위해 적용하였다. 춘천 연옥과 춘천시의 특성인 호반의 도시를 조사한 결과 두 소재는 ‘물’과 연계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춘천시 호반의 도시 이미지와 연계하여 춘천 특산물 춘천 연옥을 스토리를 활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지속적으로 노출할 경우 타 지역과 변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춘천시 호반의 도시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춘천 특산물인 연옥의 가치와 인지도 또한 상승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유의지의 장소로서의 연옥: 단테를 중심으로

        이재훈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4 외국문학연구 Vol.- No.9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urgatory in medieval Christianity as a place of free will according to Jacques Le Goff’s ‘Long Medieval Ages’, and to analyze Dante’s Divine Comedy. Purgatory is a representative case of Long Medieval Ages. So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basis of purgatory as free will, trace the mental and material origins of free will, and examine the aspects reflected in purgatory. Its mental origins can be found in Thomas Aquinas. It discussed by Plato, Aristotle, Stoicism and Augustine. Also its material origins are confirmed in the formation of medieval autonomous cities. So free will, composed of the principles of autonomy and freedom, is fully realized in purgatory, and completed in Dante’s Divine Comedy. Dante dreamed of a future in which the active use of free will by human subjectivity would be realized, and he created purgatory as a place where humans can learn free will to choose and act fully on their own. 본 연구는 자크 르 고프의 ‘장기 중세’론에 따라 중세 기독교의 연옥을 자유의지의 장소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단테의 신곡 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날학파의 역사학자 자크 르 고프는 중세와 근대 사이에 르네상스로 인한 단절은 없다며 ‘장기 중세’를 주장한다. 즉, 기독교 세계라는 근본적인 구조가 근대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연옥은 그 대표적인 예로, 르 고프는 단테의 신곡 을 통해 완성된 연옥이 근대까지 지속되었던 중세적 특성 중 하나라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중심으로 연옥의 근간을 자유의지로 보고, 자유의지의 정신적·물질적 기원을 추적하여 연옥에 반영된 양상을 살필 것이다. 먼저 정신적 기원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찾을 수 있다.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와 스토아주의에 의해 논구되었던 자유의지는 아우구스티누스를 거쳐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중세 기독교에 맞게 정립되었다. 그런가 하면 물질적 기원은 중세 자치도시의 형성에서 확인된다. 아날학파에 따르면 중세 도시에서 상업과 수공업이 발달하면서 도시는 왕과 영주로부터 자치권을 보장받아 자치도시로 나아갔고, 여기서 자율성과 자유가 나타났다. 이렇게 자율성과 자유의 원리로 구성되는 자유의지는, 단테의 신곡 으로 완성된 연옥에 오롯이 구현된다. 단테는 인간 주체성에 의한 자유의지의 능동적 활용이 구현된 미래를 꿈꾸고자, 인간 스스로 온전히 선택하고 행위하는 자유의지를 터득하는 장소로서 연옥을 마련했던 것이다.

      • KCI등재

        예이츠의 연옥과 단테의 신곡의 “연옥편”의 비교연구

        고준석,조동렬 한국예이츠학회 2019 한국예이츠 저널 Vol.58 No.-

        W. B. Yeats specifically presents his afterlife ideas in Purgatory, depicting how souls become purified more systematically than thos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purification process of souls is Dreaming Back and Return in A Vision. Souls are purified from their karma by repeating this process many times. And Dante Alighieri, in his Divine Comedy’s “Purgatory,” elaborately presents the scenes in which souls are purified from their sins by being in terrible torture so as to cleanse themselves of their karma such as the lives of arrogance, jealousy, anger, laziness, greed, and prodigality. Yeats and Dante depict how souls are purified from their sins, or karm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thical life. 예이츠는 연옥 에서 자신의 내세관을 구체적으로 재현하여 로마 가톨릭교회보다 더욱 체계적으로 영혼들이 어떻게 정화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그 영혼의정화 과정은 비전 의 꿈으로 돌아가기와 회귀이다. 영혼들은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그들의 업을 정화하고 있다. 단테는 신곡 의 “연옥”에서 교만, 질투, 분노, 나태, 탐욕, 탐식, 방탕의 삶을 살았던 영혼들이 자신들이 지은 업을 정결하게 하기 위하여끔찍한 고통을 당하면서 그들의 죄를 정화하는 장면을 세밀하게 제시한다. 그래서 예이츠와 단테는 영혼들이 연옥에서 어떻게 그들의 죄 혹은 업을 정화하는지를 묘사하여 윤리적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