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애덤 스미스의 진화 메커니즘으로서의 “보이지 않는 손”과 자연적 질서에 대한 소고

        이성규 한국애덤스미스·공공선택학·새마을운동교육연구소(구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소) 2024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 Vol.10 No.1

        애덤 스미스의 인간학(人間學)은 ‘변화’를 전제로 하여 ‘인간 진보의 원인’을 탐구하였으므로 ‘진화론’이라고 할 수 있다. 애덤 스미스의 생각에는 ‘진화 메커니즘’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는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에 의해 표현되었다.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말은 한편으로는 놀라운 통찰력으로 인해 크게 찬양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는 오해로 인해 공공연히 비난받아 왔다. 애덤 스미스의 여러 저서들에 서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문구에 대한 언급은 딱 ‘세 번뿐’이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자연선택의 결과로 ‘아래로부터 생겨 나는 자연적 질서’이며, 그러한 질서는 개별 결정들이 가져다준 ‘의도하 지 않은 결과’이다. 따라서 본 소고에서는 현대에서의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오해,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언급, 그리고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진짜 애덤 스미스’의 생각을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Adam Smith’s science of man is an evolutionary theory because it is based on the premise of change and explores the causes of human progress. Inherent in Adam Smith’s thought was a mechanism of evolution, which was represented by an invisible hand. The phrase “invisible hand” has been widely praised on the one hand, and publicly criticised on the other. There are only ‘three’ references to the phrase ‘invisible hand’ in Adam Smith’s various writings. For Adam Smith, the ‘invisible hand’ is the spontaneous order that emerges ‘from the bottom up’ as a result of natural selection, and that order is the unintended consequence of individual decisions. This short paper will briefly examine (i) the modern misunderstanding of Adam Smith’s invisible hand, (ii) his three references to the “invisible hand”, and (iii) Adam Smith’s real thought on the invisible hand.

      • KCI등재

        애덤 스미스와 민주주의

        이황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23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Vol.29 No.2

        애덤 스미스는 근대 경제학과 분리할 수 없는 이름이다. 그러나 그의 학문적 삶에서 가장 근본적인 목표는 법과 통치의 원리에 관한 연구에 있었다. 그는 이 목표를 공식적으로 밝혔고, 평생 변함없이 추구했으며, 그를 불후의 사상가로 만드는 데 기여를 한 『국부론』도 기실 그가 이 목표를 위한 부분적인 작업으로서 저술한 것이다. 스미스는 민주주의 연구에 헌신한 학자가 아니었지만, 그는 법과 통치의 원리를 탐구했던 까닭에 그의 저서에는 정치적 의사결정 문제에 관한 풍부한 논의가 담겨 있었고, 이 속에는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이해를 추론할만한 대목들도 적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그러한 대목들을 다수 의사의 실현과 제한이라는 관점으로 재구성해 살펴보았다. 스미스는 다수 의사가 정치적 의사결정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다수 의사를 실현하는 방식으로서 선거의 역할을 중시했지만, 이것이 다수 의사의 실현 경로가 선거에 국한된다는 의미는 아니었다. 본 논문에서는 오히려 스미스가 다수 의사의 중요한 실현 수단으로서 공적 논의(public deliberation)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여론의 역할에 주목했다고 평가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미스는 중상주의 채택의 원인으로서 사회경제적 조건에 따른 여론의 계급적 편향 문제를 제시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역할을 인정했다. 스미스의 이러한 논의는 오늘날 민주주의에서도 여전히 지적되는 국민의 제한적인 정치적 역할이라는 문제, 자유를 침해하는 부당한 정책의 시행을 막기 위한 정치적 자유의 적극적 행사 필요성 등에 관하여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그와 동시에, 스미스는 다수 의사의 제한에 대한 가능성도 함께 다루어 나갔다. 통상적으로 다수 의사는 대의적 방식으로 수행되는 입법을 통해 실현되는데, 스미스는 이러한 의회의 입법(실정법)이 인간의 본성에 따른 공감작용에서 비롯되는 자연적 정의(justice)의 규칙과 일치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봄으로써, 실정법의 내용을 지도하는 상위의 규범적 내용이 존재함을 인정했다. 또한 스미스는 내치(police)의 영역에서 입법의 방향을 지도하는 규범적 원리로서 국가의 평등한 대우 의무가 존재함을 강조했다. 스미스의 이러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대의제 방식의 의사결정이 그보다 더 근본적인 규범적 내용에 의해 구속받고 제한됨을 인정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스미스는 그 제한의 원천을 전체 국가구성원들로부터 연유하는 도덕적 원리 혹은 정치적 의사로부터 찾음으로써, 결국 대의적 의사결정의 제한과 다수 지배의 이념이 서로 모순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평가된다. 스미스의 입장은, 국민주권에 기초한 헌법을 법률보다 더 고차적인 다수 의사, 즉 더 근원적인 민주적 의사결정의 산물로 봄으로써, 비록 현상적으로는 헌법이 대의적 방식의 입법을 제한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궁극적으로는 다수 의사의 지배이념과 조화될 수 있다는 현시대의 논의와 논리적 구조가 유사성을 보인다. The name of Adam Smith is inextricably linked with modern economics. The most fundamental goal of his academic life, however, was the study of the principles of law and government. He formally declared this goal, pursued it throughout his life, and wrote The Wealth of Nations as a partial fulfilment, contributing to his immortality as a thinker. Although Smith was not a scholar dedicated to the study of democracy, he did explore the principles of law and goverment, and his writings contain rich discussions of political decision-making issues from which we can infer his understanding of democracy. This paper reconstructs them through the lens of realising and limiting majoritarianism. While Smith's view was that majoritarianism should be at the centre of political decision-making, and he emphasised the role of elections as a means of realising majoritarianism, this does not mean that the path to majoritarianism is limited to elections. Rather, this paper argues that Smith saw the role of public opinion in influencing public deliberation as an important means of realising majoritarianism. In this regard, Smith identified the problem of class bias in public opinion based on socioeconomic conditions as a reason for the adoption of mercantilism, and recognized the role of the state in addressing this problem. Smith's discussion has significant relevance to the problem of the limited political role of the people in today's democracies, and the need for the active exercise of political liberty to prevent the implementation of unjust policies that violate liberty. At the same time, Smith also touched on the possibility of the limiting majoritarianism. Majoritarianism is typically realised through representative legislation, and Smith recognized the existence of a higher normative content that guided statutory law by regarding such parliamentary legislation as aiming to be consistent with the rules of natural justice that arise from the sympathy of human nature. Smith also emphasized the existence of the state's duty of equal treatment as a normative principle that guides legislation in the area of police. Essentially, Smith recognized that representative decision-making is constrained by more fundamental norms. On the other hand, by locating the source of this limitation in the moral principles or political will emanating from the members of the state as a whole, Smith is credited with showing that the limitation of representative decision-making and the ideology of majoritarianism may not be incompatible. By viewing a constitution based on popular sovereignty as a product of the will of the majority, being higher democratic law-making than ordinary legislation, Smith's position has a similar logical structure to the current debate that even if a constitution appears to limit representative legislation, it can ultimately be reconciled with the ideology of majoritarianism.

      • KCI등재

        애덤 스미스의 공감 개념과 통합의 윤리

        김명식 ( Kim Myung-si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3

        이 글은 스미스의 윤리학을 개괄하고, 그의 윤리학이 갖고 있는 통합적 측면을 조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른바 애덤 스미스 문제를 다룰 것이다. 애덤 스미스 문제는 스미스가 윤리학에서는 이타적 측면을 강조한 반면 경제학에서는 이기적 측면을 강조해 상호모순 되는 주장을 했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것은 아담 스미스의 핵심개념인 공감 개념에 대한 오해라고 보고, 공감 개념을 분석할 것이다. 그 다음 스미스가 공감 개념에 기초해 통합의 윤리를 지향한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여기에는 전통적인 윤리학의 주요이론인 이기주의, 공리주의, 의무론, 덕윤리가 망라된다. 이를 통해 스미스는 복잡한 현실을 어느 하나의 원리로 환원시키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분석하는 유연하고 매우 종합적인 사상가라는 점을 보일 것이다. This article outlines Smith's ethics and highlights the integral aspects of his ethics. Firstly we will deal with the so-called Adam Smith problem. The Adam Smith problem is that Smith made contradictory arguments by emphasizing the altruistic aspect in ethics, while emphasizing the selfish aspect in economics. I will analyze the concept of sympathy, seeing it as a misunderstanding of Adam Smith's sympathy. Secondly I will show that Smith pursues an ethic of integr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sympathy. This includes egoism, utilitarianism,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which are the main theories of traditional ethics. Thus, it will be shown that Smith is a flexible, highly comprehensive and realistic thinker who does not reduce complex reality to a single principle, but analyzes complex reality as it is.

      • 애덤 스미스 사상 체계의 구조 및 함의

        김승욱(Seung-Wook Kim) 공공선택학회 2023 공공선택학저널 Vol.2 No.1

        애덤 스미스의 사상을 경제학의 출발 사상으로만 추적하는 것은 그의 광범위한 논리 체계의 지엽적 해석에만 그칠 우려가 있으며, 경제학 사상 그 자체도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가 정립한 계몽주의 사회 사상을 신학, 윤리학, 법학 및 경제학으로 확장하고, 나아가 이런 외적, 제도적 국면을 넘어 인간의 내적, 행복과 관련된 정의와 불평등 및 행복에 관한 그의 철학적 논리들로 연관시키며, 이것이 소위 ‘자연적 자유 체제’와 연면되는 종합적이고도 맥락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애덤 스미스가 이야기한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기 위한 여러 전제조건 중 중요한 조건은 시장이 경쟁적이고, 수급에 대한 정보가 원활히 공유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정부의 역할이 커지고 사회주의적 노동 개념에 기반한 법안들이 만들어짐에 따라 시장에서는 자연스러운 경쟁이 사라지고, 수급 또한 자생적 질서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애덤 스미스가 지적했듯이, 사회의 풍요는 인간 본성에 따른 사익이 원동력이 되고 사익과 공익이 조화를 이루게 만드는 ‘보이지 않는 손’이 살아 움직여야 한다. 인간 사회는 인애의 덕만으로는 질서가 잡힐 수 없고, 정의의 법도 중요하며, 나아가 최소한의 물질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국 사회는 애덤 스미스보다 카를 마르크스의 영향이 점점 더 커져, 계급 갈등과 증오로 정의를 이룩할 수 있다는 인식도 상당하다. 생산의 주체인 자유 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경쟁의 긍정적인 측면을 망각하고, 다시 중상주의 시대의 규제 만능주의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다. 자유주의를 자유에서 책임이란 요소가 누락된 자유방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이런 오해 때문에 그의 자유 사상이 인도할 풍요한 경제 및 자유로운 사회 질서에서 멀어져 갔는데, 이를 바로잡겠다며 오히려 반(反)스미스적 국가주의 처방으로 나아간다. 애덤 스미스 탄생 300년을 앞에서 한국이 주목할 그의 통찰의 초점이 여기에 있다. Narrowly interpreted, broad ideas Adam Smith developed was simply related to founding father of economics. Those conventional way of thinking could lead his thoughts to fragmented cognition and/or misunderstanding on his works. This paper tried a comprehensive and contextual analysis on his ideas, categorizing them into ‘social institution,’ ‘unequality and justice,’ and ‘wealth and happiness.’ When his theology, ethics, jurisprudence, justice, and cognition on happiness are well connected, they can contribute to right understanding and correlations on his thoughts. For his ‘invisible hands’ to well activate, some conditions are necessary. Above all, it requires competitive market structure and sharing information over demand and supply. As governments grow rapidly, however, market competitions are disappearing, and worse, ‘visible hands’ are getting more powerful. Human society cannot stand exclusively on benevolence, or exclusively on coercion. It requires just law system and minimum level of material resources. In Korea, Marx’s slogan, rather than Smith’s, get more and more attraction among people. Relying on these, progressive plus leftist governments would emerge and retreat. They tried so-called ‘reforms’ via Non-Smithian logic and then fail and get situation worse. Normally, another leftist government comes to solve them, via more drastic leftist policies, and result in far worse failure. Smithian ideas are not target to drive out but are sound cure for the today’s Korea is to drive toward. 300 year old Smith is still alive in his good intellectual insight, which today’s Korea and world as well are eager to find.

      • KCI등재

        행정학자의 시각에서 본 아담 스미스: 스미스의 사회경제사상에 대한 행정학적 해석

        구교준 한국행정학회 2010 한국행정학보 Vol.44 No.1

        Adam Smith's economic liberalism is the most important ideology to influence academic and policy discourses throughout the industrialized era. The recent rise of neo-liberalism also has its roots in Adam Smith. However, Smith's thoughts ranged from economics and politics to ethics, law, and theology. Liberalism alone, therefore, is too narrow a definition.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Smith from the perspective of a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 In particular, the paper uncovers new aspects of Smith that value “publicness” and the role of government.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최근까지의 산업경제를 지배했던 사상은 아담 스미스의 경제적 자유주의이다. 최근의 경제담론과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또한 그 뿌리를 스미스에 두고 있다. 스미스는 자유주의 사상과 경제체제의 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인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스미스의 사상을 자유주의만으로 재단하는 것은 신학, 윤리학, 법학, 정치학, 경제학을 아우르는 종합학문적 성격을 띈 그의 사상을 너무 좁게 해석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본 연구는 지난 수세기 동안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로 추앙 받아 온 아담 스미스의 사상을 행정학자의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그 동안 잊혀져 온 스미스의 또 다른 얼굴을 찾아보려 한다. 스미스의 사상은 현대 경제학이 담아내고 있는 것보다 보다 훨씬 깊고 광범위하다. 따라서 스미스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이해를 위해서는 기존의 경제학적 해석으로부터 한 걸음 떨어져서 스미스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질서자유주의 측면에서 본 오이켄과 스미스

        김강식 한국질서경제학회 2019 질서경제저널 Vol.22 No.4

        How does Walter Eucken, who represents Ordoliberalism and the Social Market Economy, have an ideological relationship with Adam Smith? Eucken describes in his book ‘The Principles of Economic Policy’ Smith as among the fathers of the doctrine of the invisible hand, and as the originator of lassez faire and Paleoliberalism, Eucken argues that lassez faire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inherent tendencies of social power to proceed as monopoly and cartels, and the invisible hand of self-governance makes it impossible for both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to be compatible. Smith's freedom and justice represent the transitional nature of his moral philosophy and economic theory, which combines active and passive elements of freedom, and exchange and distribution justice. The same applies to the tasks and duties of the state. Smith here integrates the elements of personal and institutional ethics. Smith's political philosophy is based on Aristotle's economic, ethical, and political trinity theory, which is multi-layered and complex. Eucken, on the other hand, has a dual concept and adds Smith's control mechanism to his order policy. Smith's competitive order policy is not as systematic and intentional as Eucken, but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classical liberalism and order liberalism, but Smith and Eucken show distinct similarities: monopoly structure and strong rejection of cartel domination, market and price mechanisms, and competition and freedom. preference for power, empowerment and monopoly privileges, disapproval of rent-seeking groups and special interest groups, preference for order policy over process policy, preference for unprivileged competition. Eucken's and Smith's commonalities also go hand in hand with the concepts of freedom and justice. Both Eucken and Smith were primarily concerned with exchange justice and passive freedom (free from state intervention, absence of coercion), distributive justice and active justice. Eucken, however, is calling for checks and balances, especially at the constitutional leve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Ordoliberalism, a functioning and human socioeconomic order beyond Smit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ucken and Smith, but there is a great commonality between the two thinkers. 질서자유주의와 사회적 시장경제를 대표하는 발터 오이켄은 애덤 스미스와 사상적으로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오이켄은 자신의 저서 ‘경제정책 원칙’에서 스미스를 보이지 않는 손의 원리의 주창자, 즉 자유방임주의와 고자유주의의 창시자로 기술하고 있다. 오이켄은 스미스에 대해 그의 자유방임주의는 독점 및 카르텔로 진행하려고 하는 사회 권력구조와 그러한 고유의 경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며, 보이지 않는 손은 사익과 공익의 양립을 불가능하게 하는 바, 이는 오직 ‘경쟁질서’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대해 비판하고 있다. 스미스의 자유와 정의는 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 또 교환정의와 분배정의를 결합하는 자신의 도덕철학과 경제이론의 과도기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국가의 과업과 의무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스미스는 여기에서 개인윤리 요소들과 제도윤리 요소들을 통합하고 있다. 스미스의 정치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제, 윤리, 정치 삼위일체론에 기반한 것으로 다층적이고 복합적이다. 반면 오이켄은 이원 개념을 들고 자신의 질서정책에 스미스의 통제 메커니즘을 더하고 있다. 스미스의 경쟁질서정책은 오이켄처럼 체계적이고 의도적이지 않고, 또 고전적 자유주의와 질서자유주의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미스와 오이켄은 다음과 같이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독점과 카르텔에 대한 강한 거부, 시장과 가격 메커니즘, 경쟁과 자유에 대한 선호, 권력화 및 독점적 특권, 지대추구집단과 특별 이익집단에 대한 반대, 과정정책이 아니라 질서정책을 선호, 특권 없는 경쟁질서 선호. 오이켄과 스미스의 공통점은 이뿐만 아니라 자유와 정의의 개념에도 있다. 오이켄과 스미스 둘 다 특히 교환정의와 소극적 자유(국가의 개입으로 부터의 자유, 강압의 부재)를 중시했다. 그렇다고 해서 분배적 정의와 적극적 (칸트주의) 정의(발전, 자아실현, 자기결정, 극기, 자율)를 무시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오이켄은 스미스를 넘어서서 잘 기능하고 인본적인 사회경제질서라는 질서자유주의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 특히 헌법수준에서 견제와 균형을 요구하고 있다. 오이켄과 스미스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지만 공통점도 매우 크다.

      • KCI등재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와 사익: 애덤 스미스를 중심으로

        신중섭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4 OUGHTOPIA Vol.39 No.1

        ‘사익과 공익’에 관련된 근대 논의의 출발점은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중심 인물 가운데 하나인애덤 스미스다.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과『국부론』에는 그 시대의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 당시 스코틀랜드는 경제적으로 성장하여 빈곤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애덤 스미스의 문제의식은 ‘경제를 통해 모든 사람이 최소한의 생활 이상을 누릴 수 있는 물질적 토대를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지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었다는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사익과 공익’의 문제와 관련하여 ‘이기심, 자기애, 공감, 시인과 부인, 공정한 관찰자, 자애, 정의, 보이지 않는 손, 의도하지 않은 결과’ 등 다양한 개념들을 재해석하였다. 애덤 스미스의 ‘사익과 공익’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우선 일반적인 계몽주의와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를 간단하게 논의하고, 애덤 스미스의 경제 사상을 사익과 공익, 시장, 보이지 않는 손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생활필수품은 상인과 토지 소유자들의 사치와 탐욕에서나온다는 애덤 스미스의 주장에 주목하였다. The starting point for the modern debate on self-interest and the common good is Adam Smith, one of the central figures of the Scottish Enlightenment. His Theory of Moral Sentiments and The Wealth of Nations reflected the concerns of his time. At the time, it was important for Scotland to grow economically and escape pover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Adam Smith's problem was not to solve the problem of inequality, but rather how the economy could provide the material basis for everyone to enjoy more than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self-interest and the common good’, he reinterpreted a number of concepts, including self-interest, sympathy, impartial observer, benevolence, justice, the invisible han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Adam Smith's ‘self-interest and the common good’, we will first briefly discuss the Enlightenment in general and the Scottish Enlightenment in particular, and then examine Adam Smith's economic ideas, focusing on self-interest, the common good, the market, and the invisible hand. We will then focus on Adam Smith's argument that the necessities of life come from the luxury and greed of merchants and landowners.

      • KCI등재

        Rethinking of the Adam Smith Problem and Impartial Spectator

        이상빈 ( Lee Sangbin ) 한국비교경제학회 2023 비교경제연구 Vol.30 No.2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공리성, 또는 자기이익의 극대화라는 의미가 부여된 경제인가설로서 과학으로서의 근대 경제학이 확립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효용성의 의미를 담고 있는 공리성은 흄의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 및 도덕에 관한 일반 원칙으로 다루어졌으며, 이 원칙은 공리주의 학설의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다. 아담 스미스의 도덕 철학은 흄이나 벤담의 공리주의 전통과는 다르다. 아담 스미스는 두 권의 저작, ‘도덕감정론’(1759)에서나 ‘국부론’(1776)에서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공리주의 원칙을 거부한다. 국부론에서 등장하는 푸줏간 주인이 단순히 자기 이익만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이기적인 인간에 대한 가정을 전제하였다고 설명한다면, 국부론은 단순히 공리주의이론이 자칫 범할 수도 있는 인간적 이기심에 대한 왜곡된 주장을 반복할 뿐이다. 또한 아담 스미스의 도덕이론과 경제이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공감, 자애, 그리고 이기심에 기초한 자기애에 대한 설명이 두 권의 저작에서 일관되지 못한 설명을 전개하고 있다고 단정하게 된다. ‘아담 스미스의 문제’는 인간 본성과 인간 행동의 묘사에 관한 도덕감정론과 국부론 사이에서 아담 스미스 주장의 상호 모순성을 지적하는 의미로, 19세기 독일학자들 사이에서 ‘Das Adam Smith Problem’으로 명명 되었다.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에서 나타나는 인간 본성에 대한 설명이 경제학에서 가정하고 있는 합리적 경제인, 즉 자기애 혹은 자신 이익에 대한 관심이 인간 본성의 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신중함과 절제 역시 가지고 있는 인간이라고 전제한다면, 그리고 사회적 공감과 ‘공정한 관찰자’에 의한 도덕적 판단과 그에 따른 인간 행동의 교정을 가정한다면, 오히려 도덕감정론과 국부론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성을 발견하게 된다. 국부론에서 아담 스미스의 설명은 자연적 자유를 상정하고 있다. 자연적 자유는 정의, 신중, 자애라는 세 가지 덕성을 포함하며, 이는 긍정적인 법과 시민 윤리에서 강화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 자연적 자유의 체계는 자유시장과 경쟁, 그리고 거래 및 상호교환을 통한 물질적 진보에도 의존한다는 점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아담 스미스의 도덕적, 사회심리학적 분석에 그 초점을 두고, 사회문화적 맥락과 시장교환을 매개로 한 개인의 이익추구가 경제성장과 사회적 호혜의 결과에 어떻게 기여하게 되는지를 설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경제학에서는 강조하고 있는 ‘보이지 않는 손’ 뿐만 아니라, 스미스의 도덕이론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공정한 관찰자’의 역할, 그리고 그 기능들의 상호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We find that homo economicus alway works to maximize the utility found in modern economics. Today utilitarianism or utility-maximizing self-interest plays an important part in economics. But Adam Smith’s moral philosophy is further from utilitarianism than Hume, or Bentham’s utilitarianism. Smith rejects the idea that our assessments or decisions should aim at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in his two books, the Moral Sentiments(1759) and the Wealth of Nations(1776). If we assume that the butcher in the Wealth of Nations is simply an economic man, it might merely support a generalized claim to self-interest, linking men through a narrow utilitarian social theory. Scholar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the consistency between sympathy, compassion, benevolence and self-interest of Smith’s moral philosophy, and the Adam Smith problem refers to a claimed inconsistency between both the Moral Sentiments and the Wealth of Nations, regarding the portrayal of human nature and human behavior. In the 19th century a debate originated among German scholars over what came to be called Das Adam Smith Problem. If the economic man is the prudent man in the economic sphere, and the economic man also is under the sway of social sympathy and the ruling of the impartial spectator in the Moral Sentiments, what conclusion follows as to its connection with the Wealth of Nations? Smith’s analysis in the Wealth of Nations presumes a system of natural liberty, which includes the three main pillars of the virtues of justice, prudence and benevolence defined and enforced by positive law and civic ethics, but the emergence of the system of natural liberty is in turn dependent on humankind’s material progress. Smith also was the first thinker to place markets, competition and market exchange at the center of economics. Our purpose of this paper focused on Smith’s analysis of moral and social psychology which explain how far the pursuit of individual self-interest through cultural and market exchange can yield economic growth and socially beneficial outcomes. And then we also focused on if there are obvious mistakes of individual perspective and judgement, what is the function of the impartial spectator within Smith’s system to correct for them.

      • KCI등재

        ‘자기애’와 ‘보이지 않는 손’의 일관성으로서의 애덤스미스문제 연구 : 『국부론』과 『도덕감정론』의 전자문서 텍스트분석을 병행하여

        박길환 한국제도경제학회 2023 제도와 경제 Vol.17 No.2

        ‘애덤스미스문제’(Das Adam Smith Problem)는 19세기 중후반 독일의 역사학파에서 촉발되어 영국으로 이어졌던 『국부론』과 『도덕감정론』 간의 비일관성 여부의 문제이다. 근대정치경제 학을 태동시키며 경제학을 위시하여 현대 사회과학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쳐온 『국부론』과 애덤 스미스 자신이 말년까지 개정을 통해 학문적 애착을 보였던 『도덕감정론』 간에 인간본성과 도덕적 행위에 관한 명백한 철학적 관점의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논쟁의 역사는 150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이는 선행연구자들의 치밀한 해석과 이론적 비교분석에도 불구하고 『국부론』에 단 1회 비유적인 표현으로 부정관사와 함께 등장하는 ‘보이지 않는 손’(an invisible hand)의 다양한 해석 예처럼 아직 다양한 관점의 해석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부론』과 『도덕감 정론』을 포함하여 애덤 스미스의 주요 저작들의 전자문서를 전수 검색하여 선행연구에서 주목되어 온 핵심개념들의 추출 빈도와 문맥 상 위치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개념들의 중요성과 원작자가 의도한 관계를 보다 객관적으로 해석하여 이론적 결론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Adam Smith Problem’ as the consistency of ‘self-love’ and ‘invisible hand’ throughout The Wealth of Nations (1776) and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 Utilizing both the electronic textual analysis of Adam Smith’s books and concept-by-concept interpretation of the comparative sentences and contexts, it examines whether the logics and definitions of philosophical concepts or principles in Adam Smith’s scientific explanations had been changed between these influential books in light of his other writings. Analysis results imply that Adam Smith both conceptualized and theorized the Aristotelian and Newtonian self-love with the principle of sympathy based on the sense of propriety favoring such virtues as prudence, benevolence, self-command, and justice. The impartial spectator, whose moral capability helps him or her sympathize with the little grief (as much as great grief) and the great joy (as much as little joy), selfishness and selfish passions should be guided toward the principle of sympathy, which inter-subjectively constitutes the moral system with the sympathetic passions from ‘self-love’ among myself, yourself (themselves), and (eventually) ourselves. Further, Adam Smith theorized the ‘love of virtue’ as the most desirable self-love and the ‘love of true glory’ as the worldly self-love that could also enhance the moral system of exchange in both markets (as emphasized in The Wealth of Nations) and social psychology (as expounded i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