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acillus velezensis GH1-13 균주액 침지와 클로렐라 경엽 살포가 씨감자 생산에 미치는 효과

        이경희(G. H. Lee),이종훈(J. H. Lee),최현우(H. W. Choi),이덕배(D. B.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씨감자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Bacillus velezensis GH1-13 균주와 클로렐라 균주(Chorella vulgaris, CHK0008)의 처리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토경 씨감자와 수경 씨감자를 Bacillus velezensis GH1-13 균주에 침지 처리하여 감자를 파종 5주후 Chlorella sp.를 경엽에 살포한 다음 씨감자의 더뎅이병과 무름병 이병율, 괴경수, 감자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경 씨감자 재배에서 GH1-13 균주의 침지처리는 무처리 대비 괴경의 더뎅이병 발생율은 16.5 % 낮추었고, 무름병 발생율도 1.0 % 낮추었다. GH1-13을 침지한 수경 씨감자 재배에서 클로렐라의 경엽살포는 더뎅이병 이병율을 12.6 % 낮추었고, 무름병 이병율도 1.1 %를 낮추었다. 씨감자 규격품인 30~330 g의 생산 개체수를 비교해보면, 무처리 대비 토경 씨감자에 GH1-13 침지처리는 ha당 5,000 개가 많았고, 클로렐라 경엽살포는 2,666 개가 많았다. 또한 수경 씨감자에서도 클로렐라 경엽 살포로 씨감자 생산 개체수는 ha당 555 개가 많았다. 토경 씨감자를 GH1-13에 침지하면 무접종 대비 수량은 ha당 1,167 kg이 많았고, 클로렐라 경엽 살포는 무살포 대비 씨감자 수량을 ha당 1,405 kg을 늘렸다. 수경 씨감자에 GH1-13 침지 처리한 다음 경엽에 클로렐라를 살포하면 무살포 대비 씨감자 생산량은 ha당 412kg가 늘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GH1-13과 클로렐라 처리는 씨감자 생산에서 더뎅이병과 무름병 방지효과와 수량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향후 동 미생물의 처리시기와 처리농도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씨눈 인식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 및 씨감자 자동절단장치 개발

        임금재 ( Geumjae Lim ),김선종 ( Seonjong Kim ),오주선 ( Jooseon Oh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밭농업의 경우 기계화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농산물의 품질, 자급률, 단가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감자 재배과정의 경우 파종 전 감자를 절단하는 과정은 여전히 인력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씨감자의 씨눈을 손상하지 않고 잘라낸 절편 내에 씨눈이 존재해야 한다는 씨감자 파종 작업의 복잡성에 기인한 것으로 지금까지의 기술로는 기계화가 불가능한 작업이었다. 하지만 최근 농업에 인공 지능 기술의 적용 및 무인 자동화 등의 연구를 통하여 농업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고 있으며, 감자 파종 작업 역시 인공지능 기술 적용을 통해 기계화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씨감자 절단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동 절단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 과정을 배치, 절단, 전송의 과정으로 정의하였으며, 씨눈을 인식하는 기술과 인식된 씨눈을 피해 씨감자를 절단하는 방법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씨눈 이미지 데이터를 인공지능 모델에 학습시킨 후 모델을 이용해 절단 알고리즘을 작성하였다. 알고리즘은 카메라로 감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씨눈을 인식하며, 이미지의 중심점과 씨눈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최적의 절단 직선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개발되었다. 최적 절단 직선은 시리얼 통신으로 씨감자 절단기로 전송되어 절단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였다. 실제 시험 결과 인공지능 모델이 씨눈을 인식하는 속도는 평균 0.4초가 소요되며 F1-score는 0.926, 절단 성공률은 80%였다. 추가 연구를 통해 씨감자의 배치와 이송 작업의 자동화, 절단된 씨감자 절편의 선별 등을 통해 씨감자 절단 과정 전체를 자동화하고자 하며, 이는 감자 재배 농가 수익의 증대 및 노동력 절감 등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에티오피아 훌라 지역에서의 ‘친환경 저투입 농업방식’을 적용한 씨감자 생산 및 증식 체계 확립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창표(Chang pyo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17 국제개발협력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에티오피아 내 훌라 지역에서 친환경 저투입 농업 방식을 지역의 소규모 농가들로 구성된 3개의 씨감자 생산자 조합들과 함께 시험적으로 적용해서 G1부터 G3 단계의 씨감자 생산 및 증식 체계 확립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했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관행방식과 친환경 저투입 농업 방식의 생산성을 2015년과 2016년 씨감자 증식 단계 G1 (Generation 1세대)과 G2 (Generation 2세대)에서 전수 조사로 비교하였고, 2017년에 G3 단계에서 100% 친환경 농업 방식을 채택해서 2차 자료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친환경 저투입 농업 방식은 최소경운, 자연재료멀칭, 토착미생물, 유기질퇴비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화학비료는 G1부터 G3 생산까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1차년도 생산성 결과는 관행의 평균생산성이 19.49MT/ha로 친환경 저투입 농업 방식의 8.41MT/ha보다 높았다. 그리고 2년차 G2 단계에서는 3개의 조합에서 각각 1ha씩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 친환경 저투입 농업 방식의 생산량이 관행방식의 생산량보다 3개 조합 모두에서 높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친환경 저투입 농업의 평균생산성은 31.86MT/ha로 관행방식의 평균생산성은 28.3MT/ha로 각각 조사되었다. 3년차는 G3 씨감자 생산에 100% 친환경 저투입 농업을 도입했고 34ha 면적에서 1190MT의 생산량과 평균생산성 35MT/ha의 결과를 얻었다. 새로운 G1 씨감자 생산은 100% 친환경 저투입 농업 방식을 총 0.6ha 재배면적에서 14.4MT의 생산량을 얻어 평균생산성이 24MT/ha로 조사되었다. G1부터 G3 생산과정에서 정부씨감자 인증을 받았다. 2015년부터 각 씨감자 생산 단계별로 정부의 씨감자 인증 과정을 성공적으로 받았다. 결론적으로 3년간 친환경 저투입 농업방식을 도입해서 무바이러스 씨감자 생산과 정부인증과정을 통과함으로써 기존의 관행 방식에서의 외부의존도가 높은 고비용 구조의 대안적 방식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co-friendly farming (EFM) method on seed potato production system in Ethiopia from 2015 to 2017. Main factors of EFM method were the application of minimum-tilllage, mulching with natural materials, enhancing of indigenous microbes in soil, and compost application. The indicators used for research were the productivity of the seed potato between conventional farming and EFM. The data of the productivity were collected from 3 seed potato production cooperatives. The productivity of G1 generation between conventional and EFM was 19.49ton/ha and 8.41ton/ha respectively. G2 was 28.3ton/ha in conventional and 31.86ton/ha in EFM respectively. For G3 productivity was 35ton/ha in EFM and the G1 productivity cultivated directly in soil was 24ton/ha with EFM. G3 and G1 productivity results were higher than the productivity of conventional way. In addition to it, all of seed potato have gone through the seed inspection process successfully without any diseases infection. In conclusion, EFM can contribute to make the seed potato production and supply system in Ethiopia sustainable with low input cost.

      • KCI등재

        가시광 및 근적외선 투과분광법을 이용한 감염 씨감자 온라인 선별시스템 개발

        김대용(Dae Yong Kim),모창연(Changyeun Mo),강점순(Jun-Soon Kang),조병관(Byoung-Kwan Cho)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5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감염 씨감자 비파괴선별 시스템을 구축하고 감염 씨감자 선별을 위한 통계적 모델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선별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선별모델 개발을 위해 토양병 및 잠복 감염의 대표적인 병원성 세균인 pectobacteruim atrosepticum을 인위적으로 씨감자에 감염시켜 씨감자 내부에 병징이 발현되도록 하여 실험하였다. 구축된 선별시스템을 통해 감염 및 정상 씨감자의 투과스펙트럼을 획득한 후 최소자승판별법(partial least square-discriminant analysis)을 이용하여 감염 씨감자 검출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정결정계수는(R<SUP>2</SUP>) 0.943이었고 분류의 정확도는 99%(n=80) 이상으로 우수한 선별성능을 보였다. 개발된 온라인 감염 씨감자 선별시스템은 씨감자 선별뿐만 아니라 다양한 농산물의 감염을 검출하는 기반기술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n online seed potato sorting system using a visible and near infrared (40-1100 nm) transmittance spectral technique and statistical model was evaluated for the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infected and sound seed potatoes. Seed potatoes that had been artificially infected with Pectobacterium atrosepticum, which is known to cause a soil borne disease infection, were prepared for the experiments. After acquiring transmittance spectra from sound and infected seed potatoes, a determination algorithm for detecting infected seed potatoes was develop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discriminant analysis metho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SUP>Rp2</SUP> ) of the prediction model was 0.943, an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above 99% (n = 80) for discriminating diseased seed potatoes from sound ones. This online sorting system has good potential for developing a technique to detect agricultural products that are infected and contaminated by pathogens.

      • 전자동 감자 파종기 지역적응성 시험

        최일수 ( Ils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 Choi ),전현종 ( Hyeonjong Jun ),강태경 ( Taegyoung Kang ),이상희 ( Sanghee Lee ),김진구 ( Jingu Kim ),유승화 ( Seounghwa Yu ),박영은 ( Youngeun Park ),조지홍 ( Jihong J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감자는 세계적으로 옥수수, 쌀, 밀,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중요 식량자원으로 국내에서도 최근 식생활 서구화로 가공용 감자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농촌 노동력 부족, 재배면적 감소로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감자 재배면적은 ’05년 32.7천ha에서 ’10년 24.9천ha, ’16년 22.0천ha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량도 ’12년 607.5천톤에서 ’14년 590.5천톤, ’16년 555.7천톤으로 감소해 자급률은 ’05년 93.1%에서 ’10년 88.5%, ’16년 76.0%까지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 감자 재배의 경우 지역별 재배양식이 다양하고 씨감자를 크기에 따라 2∼6등분한 절편감자를 파종하고 있어 자동 파종기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으로, 기계화율은 67.4%로 파종과 수확작업의 인력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감자 재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적응 재배양식을 설정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맞게 통감자를 자동으로 절단하여 파종하는 전자동 감자 파종기를 개발하고 경운· 정지에서 수확까지 감자 생산 주요 작업공정에 농기계를 투입한 전과정기계화 기술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새로 개발된 전자동 감자 파종기는 통감자를 자동으로 2등분 절단 후 소독제를 살포하여 동시에 파종하는 파종기로, 관행 농가의 재배방법(관행방법 : 씨감자 2~4등분 절단 및 큐어링 후 파종)과 차이가 있어 조기 실용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동 감자 파종기의 지역적응성 향상을 위해 신개발 기종을 투입한 주산지 중심의 지역 적응성 시험을 수행하고 기계 파종에 따른 출현율과 생리장애 등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자동 감자 파종기 지역적응성 시험은 봄감자를 대상으로 국내 감자 주산지인 경북 거창에서 수행하였으며, 재식거리(주간거리 25cm, 28cm, 30cm)를 요인으로 파종 후 결주율 등 파종성능과 출현율, 생리장애 등을 관행 인력파종 재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주간거리가 28cm일 때 결주율이 1.4%, 주간거리 29.4±4.77, 파종깊이 9.87±0.69로 파종성능과 작업정도가 양호하게 분석되었으며, 출현율은 기계파종구 96.3%, 인력 파종구 98.1%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Strategic Cost Management(SCM)를 활용한 기술의 투자가치 분석

        안두현(Doohyun Ahn),신준용(Joonyong Shin) 한국관리회계학회 2002 관리회계연구 Vol.2 No.2

        현금흐름할인(DCF: Discounted Cash Flow) 모형은 기술의 투자가치 분석에 있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실제 적용에 있어 많은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술의 투자가치 분석에 있어 DCF 모형이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SCM이 제시하는 개념적 틀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대한 사례로서 국내 농업과 생명공학의 대표적 성공사례 중 하나로 알려진 씨감자 생산기술에 대한 투자가치 분석결과가 제시된다. 사례연구에서 SCM이 제시하는 세 가지 개념적 틀 즉, 가치사슬 분석, 원가동인 분석, 경쟁우위 분석은 기술의 투자가치 분석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기술의 투자가치 분석에 있어 중요한 것은 정형화되고 수식화된 모형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 기술의 특성 및 이들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는 것에 있음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SCM은 이때 매우 유용한 분석적 틀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strategic cost management(SCM) framework can be applied usefully in valuing technology investments. The case of initial multiplication technology in seed potato is provided with empirical evidence. The exemplary case shows well that a decision of technology investments can be made in the wrong way when depending only on the base of the technological superiority itself without any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production system. It is necessary that the technological superiority itself should be also judged from the objective base like patent data as long as possible.

      • 최근 고랭지 씨감자 재배지역 진딧물 비래 동향

        권 민,김주일,홍은주,이영규,류종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감자를 기주로 하는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감자수염진딧물(Macrosiphum euphorbiae), 싸리수염진딧물(Acyrthosiphon solani),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무테두리진딧물(Lipahis erysimi), 조팝나무진딧물(Aphis citricola) 등이며, 특히 복숭아혹진딧물, 감자수염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은 감자의 잎말림바이러스(PLRV)를 영속적으로 옮기는 대표적인 매개충이다. 우리나라의 씨감자 재배단지인 강원도 평창 대관령지역(해발 800m)에서 유시성충의 비래는 4월말~5월초에 시작되며, 이 시기는 평난지 채소작물의 생육중기에 해당되고, 여기서 바이러스를 획득한 유시성충이 대관령지역으로 비래한다. 따라서 평난지 채소작물의 종류, 재배시기와 재배면적, 진딧물 방제여부 등에 따라 비래진딧물의 종류와 비래량 및 바이러스 보독률도 변동하게 된다. 최근 온난화에 따른 진딧물의 비래 동향을 5~10년 이동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과거 대비 최근의 비래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2=0.656 및 0.775). 유시 진딧물의 비래 최성기(4~6월)를 기준으로 날아오는 비래량은 과거 대비 확연한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진딧물 비래량이 평년 대비 폭증한 연도는 1985년, 1994년, 2001년, 2009년, 2014년이었다. 특히 2009년의 털진딧물(Chaitophorinae sp.)과 2014년 병진딧물(Rhopalosiphoninus sp.)의 대량발생이 특이하였는데, 이는 이상고온 현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감자 분무경 양액재배 시 베드 내 녹화처리가 괴경 수량 및 부패율에 미치는 영향

        강형식(Hyoung Shick Kang),김성용(Sung Ryong Kim),현관희(Kwan Hee Hyu),이한권(Han Gweon Lee),강영길(Young Kil Kang) 한국원예학회 2005 원예과학기술지 Vol.23 No.4

        본 연구는 씨감자 분무경 양액재배에 있어서 베드 내와 저장 중에 발생되는 괴경 부패를 줄이기 위해 베드 내 적정 녹화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양액을 공급해주면서 5, 10, 15일 동안 녹화시켰을 때 괴경 수량은 재배시기에 관계없이 양액공급 5일 녹화구와 관행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녹화기간이 10일 이상 길어질 경우 크게 감소되었다. 양액무공급 5일녹화구에서는 관행구보다 괴경 수량이 감소되었다. 2차 수확 시 관행구의 괴경 부패율은 봄과 가을재배에서 각각 4.3, 3.2%였으나 녹화구에서는 양액공급에 관계없이 2.0% 이하였다. 6주 저장 후 관행구의 괴경 부패율은 봄과 가을재배에서 각각 2.0, 2.7%였으나 녹화구에서는 양액공급에 관계없이 0.8% 이하였다. 따라서 베드 내에서 양액을 공급해 주면서 5일동안 녹화해 주는 것이 수량 감소없이 부패율을 줄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greening method in beds of a aeroponics system for se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production in order to decrease rotten tubers in beds and after the storage. When nutrient solution was supplied during greening period 5, 10 and 15 days, tuber yield did not decrease by greening of five days in the beds before the second harvest, but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greening of more than ten days regardless of growing season. When nutrient solution was not supplied for the greening period, tuber yield decreased by greening of more than five days in the beds. Tuber rotten rate at the second harvest was 4.3% in spring culture and 3.2% in autumn culture in the non-greening control plots, but decreased to less than 2.0% by the greening regardless of nutrient solution supply and growing season. Tuber rotten rate after six weeks of storage was 2.0% in spring culture and 2.7% in autumn culture in the non-greening control plots, but reduced to less than 0.8% in greening plots. These data indicate that greening for five days of nutrient solution supply in the beds can reduce tuber rotten rate without reducing tuber yield.

      • 북한의 산업기술 발전 경로와 수준 및 남북 산업연계 강화방안

        김종선,이춘근,성지은,손수정,장용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재 남북의 경색국면이 지속되고 있음· 그러나 북한의 개방을 통한 협력국면 조성 가능성도 존재함· 북한 산업의 특성 및 지속가능성 분석은 북한의 개방가능성 예측과 협력국면에서의 실질적 협력 안 도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주요 연구내용· 남북관계와 현황- 단기적으로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에서 협력국면으로 전환할 가능성은 낮음- 장기적으로는 한반도 협력국면으로 정세 변화 가능성 존재 · 북한의 산업재건 노력과 한계- 북한은 국제적 고립 속에서 강성대국 건설을 통해서 이에 대응하고 있음- 산업별로 다양한 성과를 얻었다고 자랑하고 있으나, 자원 및 인프라 부족으로 확대에는 한계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음- 산업발전의 본질적 문제인 석탄, 에너지에 대한 해결이 없어, 장기적으로 산업 성과들이 지속되기 어려움- 산업유지의 어려움은 개방정책으로 전환할 가능성을 의미함 · 북한 산업의 발전 경로 및 특성- 북한은 해방과 더불어 정치적 독립을 위한 경제적 자립을 주장하였음 * 자립적 민족경제 건설을 위해서 주체사상에 입각한 자체 완결적 경제건설과 중공업 우선 육성 전략이 채택되었음 - 제철산업은 무연탄 기반의 에너지 다소비형 특성을 가짐 * 북한에서 생산되지 않는 코크스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연탄 위주의 제철산업을 육성하였음 *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세계적으로 북한에서만 사용되는 삼화철 제조 방법이 있음 * 이러한 제철방식은 에너지 다소비형으로 비효율성이 높음 - 화학산업은 석탄기반 및 효율성보다는 당성을 중시한 독특한 산업구조를 가짐 * 북한은 석유수입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무연탄과 석회석을 통한 카바이드에서 출발하는 아세틸렌을 기반으로 화학산업을 운영하고 있음 * 세계적으로 거의 제조하지 않고 있는 비날론 섬유는 북한의 석탄기반적 특성과 당적 의미로 인해 주요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음 - 주체농법에 따른 기술적 고립 속에 낮은 효율성과 지원인프라 부족에 따른 발전 어려움의 특성을 가짐 · 북한 산업의 지속성 분석- 북한이 자랑하는 주체철 공법은 에너지난 속에서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지속가능성에는 무리가 있음 * 삼화철을 통해서 제강까지 가는 경우, 북한 전체 강철의 30%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1년 생산 전력의 10%이상을 삼화철 공정에 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음 - 비날론 산업은 매우 비효율적인 카바이드 공정에서 시작하여, 시장경쟁력이 떨어짐 * 카바이드를 통한 아세틸렌 생산을 기반으로 한 비날론의 제조원가는 에틸렌에서 출발하는 일본 공정에 비해서 가격경쟁력을 갖기 어려움 - 씨감자 산업은 초기 기술적 진보 속에 환경적 지원 어려움에 따라서 경쟁력이 미약함 * 씨감자산업과 관련된 인프라, 물자 등의 지원 부족은 경쟁력을 미약한 수준에 머무르도록 하고 있음 결론· 북한의 산업구조적 문제를 기반으로 남북산업의 연계 강화방향을 제안하였음 - 북한의 산업은 자기완결성이 높고, 석탄위주의 에너지 과소비형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남과 북이 산업협력을 할 경우 자기완결적 특성을 버리고 기술경쟁력을 배양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필요성이 높음 - 이를 고려하여 산업의 연계방향은 북한 산업의 기술수준과 남북산업의 연계효과를 고려하여 연계방향을 제시하였음 ※ 연계효과는 즉각적인 경제효과와 통일비용 감소 관점에서의 효과를 고려하였음 · 남북 산업의 연계 강화방안은 북한의 자기완결적 특성 정도를 고려하여 경색국면, 협력활성화 시기, 통일모색 시기로 구분하여 시나리오 방식으로 제시되었음 - 이러한 연계강화 방안은 북한 산업의 수준과 연계를 통한 경제적 효과, 통일 관점에서의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제안되었음 정책제언· 경색국면이 지속되는 경우 - 북한의 산업, 에너지, 석탄 등에 대한 분석사업 강화 필요 · 개방을 하는 경우 - 북한의 산업 정상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수립 - 남북한 산업연계에 대한 분석 및 연계 사업 실시 - 한반도 과학기술협력센터(가칭) 설립

      • KCI등재

        가치사슬분석법에 기초한 농업분야 공유가치창출(CSV) ODA 사례분석 -베트남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사업-

        지성태 한국농촌지도학회 2018 농촌지도와 개발 Vol.25 No.1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roject for Production Facility and Technical Support of Processed Seed-Potato (2008-2010)” based on the Value Chain Analysis (VCA) used to create and pl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e project is the earliest model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in the agricultural sector. For the case analysis, a framework was establish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impact of the CSV project based on the main factors of the VCA.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project participation by OSI was able to increase the overall utility by developing the Vietnamese potato processing industry and meeting consumer demand. Furthermore, it formed a business model to promote win-win cooperation and upgraded the value chain of the potato industry.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incomes and the quality of life of farmers and communities by providing technical guidance and purchase of contracts, as well as labor divis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activity suppor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