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윤리의 도덕교육적 위상정립 연구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0

        현재 세계는 지구적, 민족-국가적, 지방적 힘과 자원이 급속히 합류되고 있다. 세계화의 심화는 민족-국가적 시민성과는 다른 세계시민성 윤리를 대두시킨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윤리교육에서 세계윤리 교과과정의 위상의 정립이 절실해졌다. 이는 곧 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 개념과 스트로슨의 ``맥락``개념을 횡단 매개한 개념이다. 다시 말하면 세계의 생활세계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구조계기와 전개과정을 설명하려는 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과 스트로슨(Strawson, P.F.)의 특수문화의 다양함과 특수성을 화용하기 위한 맥락보편화용 원리에 근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다중정체성과 세계시민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구성함에 세계윤리의 도덕교육적 위상정립의 관건이 있다. 세계시민성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다중 정체성을 가지고 평화로운 공존의 문화와 다른 세대들에 대한 책임윤리를 촉진할 수 있는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다. 세계시민성 교육을 받은 세계시민은 자신의 다중 정체성을 확신하고 지역공동체, 민족-국가, 지구적 차원에서 평화, 연대성, 관용, 사랑, 인권, 민주주의와 같은 보편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시민을 말하며, 이는 곧 제 8차 도덕교육과정 개편에 반영될 과제이다. 역사적으로 근대 시민성교육에서는 개체존엄성이 부각되고, 탈근대 시민성 교육에서는 다원유기성이 강조된 반면에, 세계윤리에서는 공공양심에 토대를 둔 공공적 문제와 지구공동체 문제들에 대해 보다 의미 있고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하는 통합적 관점과 자세를 절실히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8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세계윤리교육을 위한 내용과 방법의 개발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세계윤리 교과과정의 개편에 즈음하여, 개체존엄성, 다원유기성, 세계시민성을 함께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계윤리 교육내용의 여러 영역 가운데 본고에서는 맥락보편화용방법의 접근의 범례로서 세계윤리의 출발점이 되는 종교윤리와 생명윤리의 화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게 된다.

      • KCI등재

        도덕과에서 환경윤리교육의 내실화 방안 - 생태 시민성 논의를 중심으로 -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본 연구는 인류세, 기후 변화 등으로 대변되는 환경 위기의 시대에 대응하여 도덕과의 교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생태 시민성 개념의 도입을 통해 도덕과의 환경윤리교육을 내실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태 시민성은 비-영토성, 비계약적이고 비호혜적인 책임과 의무, 공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적 영역에서의 실천, 생태적 덕성을 강조하는, 생태적으로 재구성된 새로운 유형의 시민성 개념이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이러한 생태 시민성의 특성을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지만, 비-영토성, 생태적 덕성과 같은 생태 시민성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균형 있게 반영하는 데는 부족한 면이 있다. 그리고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올바른 자연관 교육에 중점을 두면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다른 교과의 환경교육과 구분되는 도덕과 환경윤리교육의 정체성 및 규범성과 실천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도덕과 환경윤리교육은 인간과 자연의 올바른 관계와 자연 속에서 인간의 올바른 위치와 역할을 알려주는 자연관을 교육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생태 시민성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균형 있게 반영함으로써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생태 시민의 역량을 기르는 데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by applying ecological citizenship as well as by maintaining the identity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Ecological citizenship is an ecologically reconstructed new concept of citizenship that emphasizes non-territorality, historical responsibility and duty, the practice in the public sphere as well as in the private sphere, and ecological virtues.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include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citizenship, but do not systematically reflect such characteristics as non-territoriality and ecological virtues. Sinc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emphasize effor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focusing on educating the right views of nature, they are evaluate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in other subjects. Accordingly,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strive to enhance the competencies of ecological citizens to devote themselves to ecological sustainability not only by educating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human-being and nature, but also by systematically reflecting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citizenship.

      • KCI등재후보

        한국 시민윤리교육 실태조사 (Ⅰ) : 14세 학생의 시민윤리적 지식과 개념을 중심으로

        박효종,손경원 한국국민윤리학회 2003 倫理硏究 Vol.54 No.1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는 시대정신으로 부각되고, 한국 역시 민주주의의 공고화 단계에 진입한 이시기에, 민주주의 확립과 발전을 위한 민주적 시민의 자질과 시민윤리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의 교육방향을 설정하는데 좌표가 될 수 있는 한국의 14세 학생이 갖는 민주주의와 시민성에 관한 지식과 개념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28개국의 IEA 시민윤리교육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보다 분명하게 한국 학생이 갖는 지식과 개념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14세 학생들의 시민윤리적 지식과 개념에 관한 조사결과, 시민윤리교육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개선의 요구들이 동시에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한국의 14세 학생들은 개략적이지만 민주주의의 기본제도와 원리를 알고 좋은 시민의 개념을 파악하고 있으며, 선거나 환경, 공동체 돕기와 같은 활동에의 참여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의 공고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감안한다면 학생들의 지식과 개념의 이해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에 시민윤리교육의 방향에 대해 세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14세 학생들의 민주주의와 시민성에 대한 지식과 정보해석능력은 국제평균에 비해 상당히 낮기에, 민주주의와 시민성에 관한 지식과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가 피상적이고 권리 중심적이어서 민주주의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권리에 수반되는 책임의 인식이 요구된다. 셋째, 준법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요구되며,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알고 긍정적 태도를 지니고 있으나 계속적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다. As interactive toward democratic reform took place across world, Korea, entered the phase of consolidating democracy,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ions of democratic relationship and civic edu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mportance of preparing young people for democratic citizenship, this actually attempted to examine civic knowledge and civic concept of young people at age fourteen in Korea. It's approach is comparative in the sense that civic attitude of Korean young people is compared to that of young people in 28 countries that IEA civic education investigated. This actually dealt with civic knowledge and civic concept with regard to young people at age fourteen in Korea. The scales of civic knowledge and concepts included student's knowledge test of civic content and the skills of interpreting information, civic concepts such as democracy and citizenship, government responsi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young people demonstrated a satisfactory level of basic civic knowledge and concept of democracy and citizenship, although their understanding sometimes appear superficial. This actually concludes that revival of civic engagement needs to develop any young people at age fourteen in Korea. Moreover, with regard to civic Knowledge and concept of democracy and citizenship, they need to be encouraged to fully understand and to be inculcated. We should improve their conception of obeying the law as well.

      • KCI등재

        동양 윤리교육의 현황과 진로 -2007 개정교육과정의 윤리교과와 관련하여-

        이동희 ( Dong Heui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1

        근자 2007 개정교육과정(7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윤리교과``, 특히 ``동양윤리`` 부분에 대해 검토 및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교육``은 원래 ``국민윤리교육``이었는데, 그 교육목표는 불행한 근대 한국 역사에서 누락되고 지체(遲滯)된 근대적인 ``국민의식``의 배양, 주체적인 근대화와 국가 발전, 아울러 근대적 산업 발전에 맞는 근대적 ``시민의식``의 배양이었다. 동양윤리(동양의 전통 사상과 윤리 및 문화) 분야가 이 교육목표 아래 도입되었으므로 동양윤리 교육의 문제도 이 원래의 교육목표와 연관하여 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이데올로기 부분 빠진 데 응용윤리로써 보충한다고 하지만,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응용윤리를 윤리로써만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물론 그러한 윤리교육이 윤리적 사고 교육에 계몽적인 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다. 동·서양 윤리 이론들이 적절히 함께 참여하도록 고려되면서 이슈(문제) 중심의 주제 설정과 사고력 배양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셋째, 동양철학은 윤리교육이라는 측면에서 전통문화로서의 보호 전승, 시민윤리와의 접합 및 국가발전을 위한 전통의 혁신, 사상으로서의 장단점 분석 및 계승 발전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잘 구별하여 연구해야 한다. 동양사상의 현대적 해석에는 인류 보편의 문명사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동서비교철학적 방법도 원용해야 한다. 넷째, 전통윤리(동양윤리)의 학교 교육과 사회에서의 사회윤리(시민윤리) 교육은 상호 보완적이므로 병행되어야 한다. 사회윤리의 확립은 역시 서구의 시민사회의 윤리가 될 수 밖에 없다. 이것과 전통윤리의 절충이 바람직하나, 역시 시민윤리가 주가 되어야 하고, 전통윤리는 창의적 해석을 통하여 큰 지혜를 얻고,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적 토양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동양윤리는 성리학이 보여준 우주에 대한 깊은 통찰, 유교 윤리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합리적 인식, 그리고 종교적 수양과 인격 함양, 그리고 한국 전통의 고급문화(양반문화)로서의 예의범절의 문화 의식은 중요한 내용이 된다. In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ethics curriculum``, in particular review and direction of ``Oriental ethics`` is presented as follows. We look to ways of an educational direction of ``Oriental ethics`` for practical school education preparing correction & supplement in the coming days or the revision of the 8th curriculum. First, ``ethics education`` was originally ``national ethics education``. That education aimed at developing modern ``public awareness`` missed & delayed in unfortunate Korean modern history, modernizing independently & developing the nation and building up ``civic awareness`` suitable for modern industrial development. It`s advisable that Orient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connected to its original goal of education because Oriental ethics (traditional oriental thoughts, ethics and culture) is introduced under the same educational goal. Second, applied ethics is said to supplement a part which misses ideology in the 7th curriculum but there is a limit as to what applied ethics requiring specialized knowledge is dealt with as only ethics. The ethics education, of course, can play an illuminating role in education of developing ethical thinking. Considering Eastern and Western ethics theories are balanced well together, it`s good to combine setting up an issue (problem)-centered subject with education of developing thinking ability. Third, Eastern philosophy, in the side of ethics education, has to be studied distinctively in three aspects: conservation and transmission as traditional culture, tie with civic ethics & innovation of tradi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 succession & development as a thought. Modernized interpretation of Oriental thought has to keep the perspective of civilization of universalism and adopt the method of Eastern and Western comparative philosophy. Fourth, traditional ethics (Oriental ethics) education in school and social ethics (civic ethics) education in society should keep pace with each other because they are mutually complimentary. Establishing social ethics has no option but to follow ethics of Western civic society. It`s desirable civic ethics and traditional ethics should compromise, yet civic ethics has to play the most active part. Then we Koreans get the great wisdom from traditional ethics by creative interpretation and make it cultural soil. Therefore, Oriental ethics contains important contents including insight into the universe like Neo-Confucianism, Confucianism`s rational awareness towards human and society, cultivating one`s mind religiously & building up one`s character and cultural awareness about manners as traditional Korean high culture (yangban culture).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민주시민성의 위상과 과제

        조주현(Cho Joo hy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0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구현되었던 시민성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도덕과교육에 있어서 바람직한 민주 시민을 위한 윤리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주 요 목표다. 아테네 시민성은 현대 민주시민성의 원천이라고 할 만큼 그 영향력이 지대하다. 아 테네 민주주의는 ‘이소노미아’와 ‘이세고리아’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 전통은 현대 민주주의에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그간 아테네 민주시민 성의 특징은 페레클레스의『추도연설』처럼 인상적으로만 묘사되어 왔다. 과연 페리클레스의 민주주의가 표방한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성은 성공한 모델인가.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아테네 민주주의는 지나친 격정과 흥분이 이성 의 힘을 무력화 시키고, 결국 잘못된 방향의 결정을 초래했다는 결함이 있었음에 주목하였다. 아루기누사이 해전사고는 이에 대한 전형적 사례다. 하지만 가장 심각한 사례는 소크라테스의 처형이었다. 이 사건들이야말로 본질적으로 절제가 결여된 아테네 시민의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여준 사건이다. 따라서 도덕과교육에서 시민 윤리교육을 할 때 이제 새롭게 주시해야할 대 목은, 아테네 민주시민성의 결함에 관한 함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본 연구는 절 제된 시민성을 제안한다. 도덕과교육에서는 ‘절제’를 주요 덕목으로 삼는 민주 시민성을 교육 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some important suggestions for moral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by paying keen attention to Athenian democracy and its citizenship. Democratic Athens has been depicted as a wondrous regime of freedom, self-rule and creativity rather than as a warning about chaos and tyranny of mob rule. Many works on Athenian democracy exemplify a familiar effort to draw from the experience of ancient Athens lessons for a modern world, one which often sees itself as the heir to Athens' democratic principle and self-rule. In contrast to the popular view of modern times, this study argues that Athenian democracy tended to produce irrational and passionate citizens rather than resonable and responsible one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thos of unbridled greed is not only Athenian democracy's chronic problem but also modern democracy's nagging problem. Temperance has been depicted as the foundation of democratic values. However, it is regarded as a negligible or unimportant virtue in modern times. This study's conclusion is that the ethos of self-control and self-restraint in democratic citizenship should be promoted vigorously in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한국 시민윤리교육 실태조사(Ⅱ)

        박효종(Park Hyo-Chong),손경원(kyungwon Son),김항인(Hang-In Kim),서은숙(Seo Eun-Soo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시민참여는 책임있는 민주시민의 중요한 자질이다. 시민참여는 실천적 참여경험을 통해 학습되기에 청소년들의 시민참여에 대한 태도와 경험여부는 성인기의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한국의 14세 학생들의 시민윤리적 참여와 행동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학교, 시민윤리적 단체의 참여기회에 대한 학생의 견해를 조사하고, 시민윤리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조사 결과 향후 시민윤리교육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개선의 요구가 동시에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14세 한국 학생들은 사회운동참여에 적극적이며, 학교참여효과에 대해 긍정적이며, 시민윤리학습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낮은 정치적 관심을 보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영역 전반에 부정적 태도를 보인다. 더욱이 시민윤리적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개방된 교실분위기에서의 토론의 경험이 적은 것으로, 학생회조직 및 각종단체의 참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민윤리 교육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학생들에게 더 많은 시민윤리와 연관된 참여 기회를 확대하며 동시에 참여의 종류와 참여들간의 연계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관습적 정치참여에 대한 관심을 높일 대응책이 요구된다. 둘째, 시민참여에 긍적적 영향을 주는 토론을 위한 개방적 교실 분위기를 만들고, 토론의 참여를 권장하는 계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견해가 다른 타인의 이해 및 선거참여에 대한 학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student's views of opportunities for civic engagement in classrooms, schools and civic related organizations as well as student's civic engagement and political activities at age fourteen. It also looks into implication of civic education We found the negative aspects as well as optimistic for the future civic education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rt of all, the result indicats the optimistic aspect. Korean youth at age fourteen appear to have positive view of social movement and the value of participation in organized school groups, and they respond to have the opportunity of civic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egative implication in civc Education. They represent to have low political interest and negative attitude of politics. They respond to have scarcely had the chance of discussion with open classroom climate, and had relatively low in civic participation. This study points out improvement to be made in future civic education. First, teachers have to try to expand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concerned to civic Education for student. Also, they need make an effort to connect youth's interest of social- movement related engagement with convention engagement. Second, they must Foster an open climate classroom for discussion, and encourage student to participate. It require to strengthen Civc Curriclum that prescrive for youth to learn to another with different view, and the importance of voting.

      • KCI등재

        세계시민의식과 도덕 교육의 이론적 관계 정립 : 세계시민이론과 중학교 도덕 교육과정 분석

        김진희,차승한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3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moral education to enhance global citizenship as espoused within a moral education context.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Researchers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on global citizenship theorists such as Kant, Arendt, Nussbaum and Appiah. Findings/Results: Major findings showed that global citizenship should be meaningfully implemented while engaging aspects of moral education. Particularly, global ethics should form a central component to imbed it properly within the curriculum. Also,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urrent national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s already adapted to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to some degree. However, devotion and engagement in the public sphere is poor when compared to other elements. Valu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oral education and could contribute to nurturing global citizenship in practice by utilizing a specific subject. 본 연구는 국제사회에서 세계시민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세계시민의식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도덕 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성의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세계시민의식 함양이 도덕 교육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고, 현행 중학교 도덕 교육에 세계시민의식의 내용을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칸트, 아렌트, 너스봄, 아피아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분석하였고, 각 이론에서 중시한 ‘세계관찰자, 도덕적 공동체, 뿌리내린 세계시민’ 담론을 세계시민적 정체성(belonging), 세계시민적 태도(attitude), 세계시민적 개입(engagement)과 연계지어 논리적으로 정련함으로써 도덕 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세계문제에 대한 다양한 쟁점을 다루는 글로벌 윤리 개념이 세계시민의식과 도덕 교육 사이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한국의 현행 도덕 교육과정은 세계시민의식과 관련한 내용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나, ‘공적 영역에 대한 헌신’을 반영하는 내용 요소는 빈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의 상황에 맞는 세계시민의식의 개념 정립을 위해 학교교육의 장면 중 중학교 도덕 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을 내실화하는 단초를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민주 시민성 교육에 관한 예비 초등 교사의 인식과 도덕교육적 함의

        배서현(Bae, Seo H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본 연구는 학생들이 ‘현재의 민주 시민’으로 성장함에 있어 중요 영향 요인이 될 수 있는 교사가 민주 시민성 교육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도덕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총 26명의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인식 현황이 담긴 과제물 보고서를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 교사들은 민주 시민성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할 좋은 시민의 모습에 관하여 민주 시민적 지식·이해, 민주 시민적 가치·태도·성향, 민주 시민적 기술ㆍ기능 측면의 3개 범주에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예비 초등 교사들은 현행 학교 교육에서의 민주 시민성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하여 교육 내용적 측면, 시간적 측면, 방법적 측면, 환경적 측면의 4개 범주에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과에서 민주 시민성 교육에 관한 보다 풍부한 논의와 연구 결과에서 드러난 인식 상의 구성요소나 범주 측면을 고루 고려하는 실질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of teachers, which can be an important influence factor in students" growth as “current democratic citizens”, and to derive mor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it.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 total of 26 prospectiv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llect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recognized in three categories: democratic civ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democratic civic values, attitudes, tendencies, democratic civic skills, and functions. Second,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recognized in four categories of education content, time, method and environmental aspects as to the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current school edu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a more abundant discuss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moral education academic community and for practical improvement in the aspects of recognition and categories that have been revealed i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시민불복종과 그 도덕교육적 함의에 대한 연구

        이진희(Jin Hee Le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본 논문은 동서양의 시민불복종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시민불복종이 지니고 있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동서양의 시민불복종의 사례를 안티고네, 맹자, 소크라테스, 소로우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둘째, 우리의 전통 교육에서 강조되었던 충(忠)의 의의를 주희와 조남국의 관점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셋째, 앞서 다룬 시민불복종의 여러 사례와 존 롤스, 칼 코헨, 위르겐 하버마스 등의 이론을 토대로 하여 시민불복종의 의미와 정당화 이론 및 조건을 검토함으로써 충과 시민불복종이 양립가능하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 윤리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도덕교육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고 시민불복종을 도덕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도덕과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도덕과에서 시민불복종을 다룸으로써 책임 있는 시민의 형성이라는 도덕과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verse examples of civil disobedience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I reviewed the examples of civil disobedience through Mencius, Antigone, Socrates, Thoreau. Up to now, fidelity(忠) has been emphasized in moral education of Korea. I investigated the meaning of fidelity in the respect of Chu Hee and Cho Namkuk. The original meaning of fidelity is not unconditional obedience for nation or absolute loyalty for ruler but something close to sincerity. Therefore it is to be sincere to oneself, others and nation. By exploring the meaning of civil disobedience and its justification and conditions, I showed that civil disobedience was in compatible with fidelity. The theory of J. Rawls, C. Cohen, W. Habermas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show that dealing with civil disobedience in moral education contribute to foster citizenship.

      • KCI등재

        민주시민 역량으로서 반성적 성찰의 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양해성(Yang Hae Su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7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주체간의 다양한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실질적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시민성에 대한 범사회적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으며, 교육계 내부에서도 민주시민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도덕과 교육 또한 교과의 정체성을 잘 반영한 민주시민 교육의 실효성 확보 전략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교육을 통한 민주시민 교육은 도덕함을 중심으로 하는 시민윤리교육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시민윤리교육으로서의 도덕과 교육은 민주시민 역량으로서의 도덕적 탐구 역량과 성찰 역량 및 실천 역량을 고루 발달시키는데 기여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탐구 역량과 성찰 역량 및 실천 역량 중에서도 특히, 성찰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 전략의 마련이 시급하다. 메타 인지 능력으로서의 성찰 역량은 다원화 된 사회의 갈등을 해결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중요한 민주시민 역량이다. 개인의 도덕적 판단은 왜곡된 정보와 암묵적 요소 및 비도덕적 욕구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에, 성찰이 결여된 탐구 능력의 발달은 편향된 판단과 자기기만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다원화된 가치를 추구하는 개인 및 집단 간의 갈등을 심화시킬 위험성마저 내포하게 된다. 이러한 성찰 역량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성찰 역량을 효과적으로 길러주기 위한 교육 방안이 아직 충분하게 마련되지 못하였으며, 교사들 또한 학생들에게 성찰을 지도함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개인 및 집단이 반성적 성찰을 함에 있어, 인지적 왜곡이나 확증 편향 등 다양한 심리적 장애 요인이 존재하기에, 진정한 의미의 성찰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심리학적 고려가 풍부하게 반영된 교육 전략의 마련이 요청된다.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ethics educ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citizen ethics education.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entered on ‘Doing Moral’, reflective delibera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However, due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gnitive distortion, biased emotional response, and confirmation bias, it is difficult to derive reflective delibera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educate reflective deliberation through methods to provide emotional persuasion. Theref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persuasion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