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시에서 "숭고"의 위상

        윤의섭 ( Eui Seoup Yo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근대시가 ‘미’의 미학을 중심으로 전개된 점은 근대시사에서 ‘숭고’의 요소를 드러내는 시가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재고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근대시에 나타난 ‘숭고’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독자에게 형성되는 ‘숭고한 감정’의 요소에 주목하고 그것을 초월적 상상력과 민족의식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근대시는 ‘미’를 주요 가치로 삼으면서 전개되었지만 ‘숭고’에 대한 인식 역시시와 시론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근대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숭고’를 고찰하는 것은 ‘미’의 미학에 대한 편중성에 의해 자칫 간과할 수 있는 ‘숭고’의 가치를 부각시키기 위한 과정인 것이다. ‘숭고’를 형성하는 여러 요소 중 ‘초월적 상상력’은 민족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시에서 중요한 방식으로 쓰이고 있다. ‘숭고’가민족의식을 고양시키는 시에 자주 나타나는 것은 ‘민족’이 ‘숭고’를 형성하는 ‘초월적 상상력’이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는 무한한 가변성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이다. ‘초월적 상상력’을 통해 독자는 ‘숭고한 감정’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독자는 시에 나타난 ‘민족적 숭고성’을 도덕적이면서 당위적인 수용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숭고’는 근대시사에서 ‘미’를 중심으로 한 가치평가와 기술 방식에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즉 숭고를 드러낸 ‘저항시’의 저항의식과 그 시의 예술성을 구분하여 기술하거나 저항의식의 측면만을 기술하는 방식 외에 ‘숭고’의 영역에서 저항의식과 예술성을 통합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는 것이다. 근대시에서 ‘숭고’의 위상은 새롭게 고려돼야 할 미학적 관점으로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데 있다.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blimity in modern poetry. Modern poetry emphasized ``beauty`` and the theory of poetry was developed from the aesthetics of ``beauty``. Considering that certain poems in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carry the element of ``sublimity``, it is worth reillumin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ublimity`` in modern poetry through the ``sublimity`` theories suggested by Longinos, Kant, etc. Especially the paper focuses on the element of ``sublime`` sentiment formed in the readers which is examin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of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Modern poetry had been developed around ``beauty`` as the main value until the 1940s since its beginning and the perception on ``sublimity`` emerges from poems and theories of poetry. To examine ``sublimity`` in modern poetry is to emphasize the value of ``sublimity`` which could be easily ignored because of inclination towards the aesthetics of ``beauty``. ``Transcendental imagination``, one of the many elements to form ``sublimity``, has been an important means to portray national consciousness in poems. Frequent use of ``sublimity`` in poems that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shows not only the reality of Japanese occupation but also ``the nation`` of unlimited variability that can facilitate ``transcendental imagination`` that forms ``sublimity``. Readers develop ``sublime sentiment`` through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accept ``national sublimity`` in terms of ethics and appropriateness. ``Sublimity`` suggests another perspective for value evaluation and narration focusing on ``beauty`` in modern poetry. It means that there could be other ways to integrate within the realm of ``sublimity`` than to separate the sense of resistance in ``resistance poetry`` from artistic values of the poems. The status of ``sublimity`` in modern poetry can be identified in terms of a few perspectives: modern poetry was developed under Japanese occupation; national consciousness and ``resistance poetry`` are closely linked; ``sublimity`` can be seen in other literatures than ``resistance poetry``; and value evaluation or understanding can be ignored by focusing only on ``the aspects of beauty``.

      • KCI등재

        Sublime et verticalité : le motif de la montagne dans la poésie française contemporaine

        미셸 콜로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1 불어문화권연구 Vol.21 No.-

        1세기의 위(僞)‐롱기누스pseudo‐Longin가 그의 저서에서 숭고sublime를 다룬 이후 서양의 사상적 전통에서 숭고sublime의 문제는 다양한 표현으로 거듭 제기되어 왔다. 위‐롱기누스의 책 『숭고에 대하여Peri hypsous』는 17세기에 부알로Boileau에 의해 번역되었으며, ‘숭고’는 18세기에는 막 태동하고 있던 미학의 주요 문제 중 하나로 부상하였다. 이후로는 낭만주의 예술과 문학이 숭고에 대한 문제의식을 상속 받는다. 숭고의 문제는 오랜 기간 잊혀져 오다가, 당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들이었던 들뢰즈, 데리다, 리오타르 등의 숭고개념 재검토 작업을 통해, 1960년 이후로는 프랑스 철학의 전면에 부상하게 된다. 그들은 특히 칸트의 숭고 개념 분석을 다시 읽는 것으로써 낡은 미학적 범주였던 ‘숭고’를 현대의 사상적 쟁점, 그리고 현대의 문학적⋅예술적 쟁점을 염두에 두면서 재평가 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비판자들은, 이 철학자들이 현대적 문제의식 아래 숭고에 대한 (특히 칸트의) 고전적 명제들을 왜곡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는 숭고를 염두에 두지않은 여러 예술적˙문학적 실천들에 억지로 숭고 개념을 덧씌운다고 비판하였다. 숭고의 문제가 현대에 부활하는데 가장 돋보이는 기여를 한 곳은 그 자신 시인이자 철학자였던 미셸 드기Michel Deguy가 주관하는 잡지 「포에지Po&sie」였다. 이 잡지에서는 1984년에서 1986년까지 ‘숭고 분석Analytique du sublime’을 연재하는데, 이 글들은 1988년에 한 데 묶여『숭고에 대하여Du sublime』라는 단행본으로 출간된다. 미셸 드기를 제외하면 이 책의 공동 저자들은 모두 철학자들이며, 그들은 현대시에서 단 한줄의 예도 빌려오지 않았다. 이런 동향을 철학에 대한 프랑스 시의 종속으로 간주하며 ‘시철학poésophie’이란 이름으로 규탄하는 움직임도 있었다. 반면에 알랭 바디우Alain Badiou같은 경우는 같은 현상으로부터 거꾸로 시에 대한 프랑스 철학의 종속을 보았다. 숭고에 관계되어 과연 시와 철학 중 어느 쪽이 다른 어느쪽에 종속되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현대 철학이 재정의한 숭고 개념과 20세기 후반기의 프랑스 시의 한 경향이 수렴되는 어떤 지점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먼저 숭고개념의 재정의가 제기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숭고와 언어의 관계. 위‐롱기누스부터 유래하는 전통적 숭고개념은 수사학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훌륭하고 고상한 언어의 완성을 뜻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칸트의 분석을 거쳐 숭고 개념이 미학적 범주로 넘어감에 따라, 숭고는 언어와 더욱 문제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숭고는 이미지의, 언어의 그리고 오성entendement의 힘을 넘어가는, 재현할 수도, 언급할 수도, 나아가 형언할 수도 없는 경험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부정적으로만 정의될 수 있는 숭고는 이미 낭만주의 문학에 나타나고 있으며, 시를 언어의 한계 탐구로 삼는 프랑스 현대시의 몇몇 경향 역시 숭고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시는 기존의 언어 규약을 위협하면서 언외언言外言의 영역을 향해 나아간다. 이로부터 특히 1970년대의 에페메르Ephémère지와 텔켈Tel Quel지의 대립이 유명하게 만든 두 상반된 경향인 현대 프랑스시의 해석학적herméneutique경향과 신비주의적hermétique경향이 갈리게 된다. 2) 숭고로 인해위협받는 예술 규칙. 특히 오랫동안 예술적⋅문학적 창조를 지배해온 ‘아름다움le Beau’의 이상이 위협받는다. 칸트에 따르면 아 ...

      • KCI등재

        숭고와 사진 이미지

        김현아 ( Hyeon A Kim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3

        숭고는 인간이 파악할 수 없는 절대적인 현실을 의미한다. 이것은 장-프랑수아 료타르가 강조한 재현할 수 없는 것을 재현해 내는 형이상학적 개념이다. 필자는 현실, 죽음, 경이로움과 같은 추상적인 관념을 표현해낸 사진을 통해 숭고 철학을 고찰할 것이다. 칸트는 예술 작품을 감상하면서 숭고한 체험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숭고는 현실을 사실적으로 재현해내는 사진 예술을 이해하는 주요한 사상이다. 에르베 기베르의 자화사진(1984년)은 현실과 사진과의 관계를 잘 보여준다. 양탄자가 깔린 방 안에 그림자로 비춰진 기베르의 모습은 음화사진처럼 보인다. 소파 위에는 편지들이 널브러져 있고, 하얀 소파 덮개와 대비된 검은색상의가 놓여있다. 숭고 사상은 기베르의 존재를 증명하는 그림자에서 엿볼수 있다. 그림자는 현실의 흔적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그 지시적인 기능을 초월한다는 면에서 숭고와 관계가 있다. 사라지고 없는 지시대상이 인간의 유한성을 인식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 사진은 숭고하다. 시간에 대한 성찰은 사진과 죽음의 관계를 유추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숭고와 통한다. 버크는 공포심을 일으키는 모든 것은 숭고의 근간을 이룬다고 한바 있다. 따라서 인간에게 죽음의 공포를 낳게 하는 시간은 숭고와 연관된다. 로베르 카파가 찍은 사진(1937년)은 숭고사상의 핵심이 되는 사진과 죽음의 문제를 잘 드러낸다. 감상자는 죽음이 임박한 스페인 병사를 찍은 사진 앞에 서 동정심과 연민을 품게 된다. 동시에 병사의 불행 앞에서 자신은 그와 같은처지가 아니라는 안도감도 느낀다. 버크는 고통과 쾌락이 동시에 수반되는 이러한 감정을 숭고라고 역설했다. 사진 속 병사는 살아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죽고 없는 시체의 이미지만 상기시킬 뿐이다. 여기서 사진은 숭고한 감정뿐만 아니라 환멸감도 불러일으킨다. 또한 사진은 경이로움과 신성한 것 나아가 신의 존재를 증명하기도 한다. 성 수의(Saint suaire)의 음화 사진(1931년)이 그 예이다. 사진을 보는 이는 넋이 나간 상태에서 경이로움을 느끼는데 론긴은 이를 숭고한 감정으로 여겼다. 가시적이지 않는 현실 앞에서 놀라움과 전율에 사로잡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롤랑 바르트가 명명한 “놀라움”을 야기하는 푼크툼(punctum)과도 연관된다. 칸트는 미적 감정과 달리 숭고한 감정은 외적인 대상이 아니라 인간 의 내면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다. 한편 이 사진 이미지는 예수가 생존했던 초자연적인 흔적이라는 측면에서 부활의 이미지를 상기시키기도 한다. 예수의 흔적인 성 수의 사진은 신성한 것과 미학적인 것의 조우에서 생기는 형이상학적인 숭고를 드러낸 것이다. 사진은 지시대상을 숭고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추한 대상을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냄으로써 숭고미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이는 숭고함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판단 능력과 표현 능력사이의 거리를 없애버린다. 숭고 철학은 현실을 경이롭게도 하고 추하게도 하는 사진의 속성과 맞물려 그 진가가 발휘된다.

      • KCI등재후보

        숭고의 데자뷰, <레 미제라블>

        김응교 영상예술학회 2013 영상예술연구 Vol.22 No.-

        프랑스 혁명 100년사와 한국 민주주의 역사, 한국의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87년 6월 항쟁 등과 유사하다. 그래서 뮤지컬 영화 <레 미제라블>에는 ‘한국 현대사의 데자뷰’라는 말이 많이 쓰였다. 그렇지만 필자는 이 글에서 영화 <레 미제라블>의 흥행을 근원적으로 숭고미의 반복으로 보았다. 이 글에서 필자는 임마누엘 칸트의 두 가지 숭고미, 곧 수학적 숭고와 역학적 숭고를 설명하고, 슬라보예 지젝이 말했던 위로부터의 숭고와 아래로부터의 숭고를 설명했다. 이 작품에서 숭고하지 않은 존재는 없다. 첫째, 미리엘 신부의 삶은 이 작품 전체를 숭고미로 감싼다. 영화에서는 잠시 등장하는 미리엘 신부이지만 소설에서는 전체 분량의 1/10 정도 될 만치 중요하다. 둘째, 장 발장의 숭고미는 처절한 인간의 밑바닥 삶부터 시작되는 ‘아래로부터의 숭고’로 보여준다. 악만 남아있던 장 발장이 변한다. 장 발장의 삶이 더럽고 끔찍하고 비참할수록 역설적으로 그의 삶이 갖는 숭고성을 강화된다. 셋째, 자베르 경감은 법질서를 숭앙하는 ‘위로부터의 숭고’를 보여준다. 넷째, 부차적인 인물들인 시민들의 숭고는 ‘혁명적 숭고미’를 보여준다. 바리케이드 장면이야말로 ‘혁명적 숭고미’를 극대화시킨 장면이라 할 수 있겠다. 버려졌던 깃발이 군중들에 의해 높이 들어 올려 진다. 영화의 중요한 노래들은 기도문으로 이루어졌고, ‘사랑-신앙-혁명’의 일치를 노래하고 있다는 것도 밝혔다. 결국 주제는 죄와 용서와 구원이지만, 이는 인간에 대한 궁극적 질문이다. The 100-year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is similar with South Korea’s democratic history, like Korea’s 4․19 of 1960,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June Democratic Protest of 1987. So Media is used to broadcast that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is the ‘dejavu’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 However I criticized the Les Miserables as the repetition of the sublime beauty in this article. According to Immanuel Kant, He suggested the mathematical sublime and the dynamical sublime. Through the mathematical sublime and dynamics sublime, Immanuel Kant explained the aesthetical judgement about absolute immensity from human deliberation. Slavoj Zizek wrote the Downward-Synthesis on Christinity. And I sugested the Downward-Sublime and the Sublime from above. In this musical movie, Everybody is sublime. First of all, The life of the Bishop Miriel wrapped the entire work with Downward-Sublime. The Bishop pretends he has given the plates to Jean Valjean and tells him he forgot the silver candlesticks. The Bishop briefly appeared in the movie. But in the novel, He is very important exitence who appeared the 1/10 of full amount of the Novel. Secondly, Jean Valjean was an illiterate son of a tree-pruner from a small peasant family. After both his parents had died, at age 25 he was left to care for his elder sister who had raised him, a widow with seven children aged one to eight. He possessed a gun and did a bit of poaching. His life started from the bottom of the desperated life. We can see the Downward-Sublime in his life, miserable, horrible, dirty. Third, Captain Javert tried to keep the order of law. Javert is the primary antagonist. His life show the sublime from above. Fourth, the secondary characters who are citizens in Paris show the revolutionary sublime. The barricade scene maximize the revolutionary sublime beauty scene. The abandoned flag was raised by the crowd. Most of the important song in this film is the pray song, they sing the coincidence of ‘love-faith-revolution’. After all, the theme of this musical movie is the sin and forgiveness and salvation, and this is the ultimate question for human beings.

      • KCI등재후보

        숭고의 데자뷰, <레 미제라블>

        김응교 영상예술학회 2013 영상예술연구 Vol.0 No.22

        프랑스 혁명 100년사와 한국 민주주의 역사, 한국의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87년 6월 항쟁 등과 유사하다. 그래서 뮤지컬 영화 <레 미제라블>에는 ‘한국 현대사의 데자뷰’라는 말이 많이 쓰였다. 그렇지만 필자는 이 글에서 영화 <레 미제라블>의 흥행을 근원적으로 숭고미의 반복으로 보았다. 이 글에서 필자는 임마누엘 칸트의 두 가지 숭고미, 곧 수학적 숭고와 역학적 숭고를 설명하고, 슬라보예 지젝이 말했던 위로부터의 숭고와 아래로부터의 숭고를 설명했다. 이 작품에서 숭고하지 않은 존재는 없다. 첫째, 미리엘 신부의 삶은 이 작품 전체를 숭고미로 감싼다. 영화에서는 잠시 등장하는 미리엘 신부이지만 소설에서는 전체 분량의 1/10 정도 될 만치 중요하다. 둘째, 장 발장의 숭고미는 처절한 인간의 밑바닥 삶부터 시작되는 ‘아래로부터의 숭고’로 보여준다. 악만 남아있던 장 발장이 변한다. 장 발장의 삶이 더럽고 끔찍하고 비참할수록 역설적으로 그의 삶이 갖는 숭고성을 강화된다. 셋째, 자베르 경감은 법질서를 숭앙하는 ‘위로부터의 숭고’를 보여준다. 넷째, 부차적인 인물들인 시민들의 숭고는 ‘혁명적 숭고미’를 보여준다. 바리케이드 장면이야말로 ‘혁명적 숭고미’를 극대화시킨 장면이라 할 수 있겠다. 버려졌던 깃발이 군중들에 의해 높이 들어 올려 진다. 영화의 중요한 노래들은 기도문으로 이루어졌고, ‘사랑-신앙-혁명’의 일치를 노래하고 있다는 것도 밝혔다. 결국 주제는 죄와 용서와 구원이지만, 이는 인간에 대한 궁극적 질문이다.

      • KCI등재

        헤겔의 상징적 예술 형식에서 숭고 개념에 관한 연구 - 칸트, 리오타르, 지젝과의 연관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김창준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1 No.-

        숭고의 미학사에서 헤겔은 핵심 인물로 평가되지 않은 것은 물론, 현대로 올수록 그 반 대편 인물로 더 많이 언급된다. 그러나 헤겔 미학에서 숭고 개념은 의미와 표현의 불일치를 특징으로 하는 상징적 예술 형식의 주요 범주이고, 근년 들어 부정성이나 무 개념과 함께 재조명되고 있다. 숭고는 고대 그리스의 ‘탈아’나 ‘망아’ 등에서 기원하여 로고스적 합리성이나 고전주의의 한계를 보완하는 균형추 역할을 해왔다. 롱기누스의 수사학적 숭고를 거쳐 버크에 이르면, 숭고는 무질서하고 무형식적인 대상에서 촉발되는, 고통과 쾌락이 결합된 강렬한 감정으로 체계화되고, 칸트의 수학적․역학적 숭고로 이어진다. 칸트의 숭고는 ‘현시할 수 없는 것의 현시’로서, 오성의 범주를 벗어나는 대상을 상상력이 이성 개념과 연관시켜 일어나는 무규정적 이성 개념의 현시이다. 헤겔 미학에서 숭고는 상징적 예술 형식의 주요 범주를 이룬다. 헤겔은 예술을 이념의 구현으로서 가상으로 규정하고, 예술 형식 또한 이념(내용)과 형태(형식)의 통일(구현)인 가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다. 상징적 예술 형식은 내용과 형식이 일치를 이루지 못하는, ‘불완전’하고 ‘불충분’한 가상으로서 예술, 예컨대 이집트나 동방의 종교적 예술과 문학, 알레고리나 비유적 표현들이 전형을 이루며, 장르로는 재료적 특성이 정신성의 구현에 한계로 작용하는 건축이 대표적이다. 헤겔의 숭고개념은 상징적 예술 형식이 갖는 내용과 형식, 구현 이념과 질료적 형태의 불일치를 의미하므로, 예술 작품의 의미 내용과 표현 사이의 불일치를 주로 표현하는 현대예술 일반과 연관된다. 리오타르는 칸트의 숭고에 주목하여 묘사할 수 없는 것, 즉 인식 능력 밖에 있는 것을 묘사하고자 하는 모순적 시도의 가능성을 숭고에서 찾는 반면, 지젝은 헤겔의 부정성과 무 개념을 소환하여, 물자체가 실은 근본적인 부정성이라는 것, 즉 표상 너머에 존재하는 것은 물자체가 아니라 순수 무이므로, 주관과 대상의 불일치를 통한 물자체의 경험이라는 칸트적 숭고는 ‘무의 구현물’에 다름아닌 것이라 진단함으로써, 헤겔의 숭고를 재해석할 통로를 만든다. In the aesthetic history of sublime, Hegel is not the key, and as it comes to contemporary times, it is more often referred to as the opposite. However, in Hegel’s aesthetics, the concept of sublime is a major category of symbolic art-type characterized by a disharmony of meaning and expression, and recently it is newly considered with the concept of negativity and nothing. Sublime from ancient Greece has played a role in complementing the limits of logos or classicism. When it reaches Burke through the rhetorical sublime of Longinus, the sublime is organized into intense emotions combined with pain and pleasure, triggered by disordered and informal objects, and embodied by Kant’s mathematical and mechanical sublime. Kant’s sublime is a manifestation of the undefined concept of reason, which occurs when the imagination associates the concept of reason with an object outside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 Hegel defines art as the unity of the idea (Idee) and the configuration (Gestalt), that is, appearance (Schein). The symbolic art-type is a step in which the content and form of art do not coincide. Here, art remains with an ‘incomplete’ or ‘insufficient’ appearance that has not fully realized the idea. Hegel seeks the typical models of symbolic art in Egyptian and Eastern religious arts and literature, allegories and allegorical expressions. The genre is an architecture in which material properties act as a limit to the realization of mentality. Hegel’s concept of sublime means the disharmony between the content and form, that is, the idea and expression of the symbolic art-type. Therefore, it is related to the general art of contemporary art, which mainly expresses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meaning content and the object of expression. Lyotard pays attention to Kant’s sublime and finds the possibility of contradictory attempts to describe what cannot be described, that is, beyond what he perceives. On the other hand, Žižek reinterprets Hegel’s concepts of negativity and nothing, revealing that ‘thing-in-itself’ is in fact a fundamental negativity, that is, what exists beyond the representation is ‘pure nothing’ rather than ‘thing-in-itself’. Through this, Kant’s sublime, that is, the ‘thing-in-itself’ experienced through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s diagnosed as a composition of nothing, thereby creating a pathway to reinterpret Hegel’s sublime.

      • KCI등재

        칸트의 숭고미에 대해

        김종대(Kim,Jongd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3

        본고에서는 칸트의 숭고미(崇高美)에 묘사된 예술의 정치성에 대해 논한다. 숭고미를 쾌(快)의 감정과 연계해 논의한 다음, 낭만주의 시대 ‘천재 예술론’을 예술의 정치화 과정으로 이해해본다. 또한 사진 전시회, 추상회화 등 현대 예술에 나타나는 비구상과 병렬성의 기원을 칸트의 숭고미 및 횔덜린의 시 예술작품론에서 찾아본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거의 확신에 가까운 기대감으로 현실의 모순과 한계를 기꺼이 극복할 수 있다는, 낭만적 사유와 행동을 보여 준, 낭만주의자들은 예술론의 근원을 미와 추(醜)가 종합적으로 체험되고 사유된 숭고미에서 가져온다. 과도한 열정과 상상력으로 무장한 그들에게 낭만적 시도란 다름 아닌 사회적 시스템의 불안정과 분열된 자아를 넘어서, 빌둥 Bildung을 통한 자아 탐색, 공동체 의식 등을 찾아 나서면서 낭만적 아이러니를 경험하는 것이었다.<br/> 숭고미 이론을 통해 예술의 경향은 구상에서 비구상으로 전환된다. 열림과 탐색, 혼돈, 비정형화, 반추 과정을 통한 새로운 생명력의 발견 등 낭만적 사고방식을 적절히 묘사하는 예술 방법론으로 비구상이 선택되고, 예술은 낭만화의 단계를 거쳐 현대의 사진 전시에 나타난 미디어의 퍼포먼스 기능으로 역할이 확대된다. 본고에서 숭고미를 쾌의 범주에 두고, 병렬성, 비구상적 예술 및 사진 전시간의 상관성을 밝혀 낭만성의 현대적 해석 가능성을 모색해본다.<br/> 숭고미의 정치성을 횔덜린의 시에 나타난 병렬성과 연계해 논의하면서, 횔덜린의 병렬적 사유 방식이 지향하는 정치성을 다름 아닌 현상에 대한 안티노미적 예술 판단을 극복해 보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시어의 병렬적 구성이 숭고미 예술의 비구상적 요소와 함께 어떻게 낭만적 사유와 행위로 구체화되어 나타나는지 살펴 볼 것이다. In the German romantic era many genius artists thought that the nature of the art could be politic. Immanuel Kant" political opinion of the art is revealed in the discussion about "the sublime". I analysed the political effect of the art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sublime by Kant. This article took a dialectic research method when trying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the man. On the idea of "thing in itself" Kant describes of the unexplainable moment in the nature. The man tends to rely on the reason. But the nature cannot be overcome only by the reason. This explains Kant‘s political viewpoint regarding "the sublime". According to his concept of the sublime the art can be understandable as politic. Kant"s political opinion on the sublime derives from the appearance of nature. In『Critique of Pure Reason』he explains the originality of nature: by means of sense, a property of our mind, we represent to ourselves objects as outside us. Inner sense, by means of which the mind intuits itself or its inner state, yields indeed no intuition of the soul itself as an object; but there is a determinate form in which alone the intuition of inner states is possible, and everything which belongs to inner determination is therefore represented in the relation of nature. Regarding the political opinion in the realm of art Holderlin"s poem also shows the form of parallelism as the romanticism and the modernity. 본고에서는 칸트의 숭고미(崇高美)에 묘사된 예술의 정치성에 대해 논한다. 숭고미를 쾌(快)의 감정과 연계해 논의한 다음, 낭만주의 시대 ‘천재 예술론’을 예술의 정치화 과정으로 이해해본다. 또한 사진 전시회, 추상회화 등 현대 예술에 나타나는 비구상과 병렬성의 기원을 칸트의 숭고미 및 횔덜린의 시 예술작품론에서 찾아본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거의 확신에 가까운 기대감으로 현실의 모순과 한계를 기꺼이 극복할 수 있다는, 낭만적 사유와 행동을 보여 준, 낭만주의자들은 예술론의 근원을 미와 추(醜)가 종합적으로 체험되고 사유된 숭고미에서 가져온다. 과도한 열정과 상상력으로 무장한 그들에게 낭만적 시도란 다름 아닌 사회적 시스템의 불안정과 분열된 자아를 넘어서, 빌둥 Bildung을 통한 자아 탐색, 공동체 의식 등을 찾아 나서면서 낭만적 아이러니를 경험하는 것이었다.<br/> 숭고미 이론을 통해 예술의 경향은 구상에서 비구상으로 전환된다. 열림과 탐색, 혼돈, 비정형화, 반추 과정을 통한 새로운 생명력의 발견 등 낭만적 사고방식을 적절히 묘사하는 예술 방법론으로 비구상이 선택되고, 예술은 낭만화의 단계를 거쳐 현대의 사진 전시에 나타난 미디어의 퍼포먼스 기능으로 역할이 확대된다. 본고에서 숭고미를 쾌의 범주에 두고, 병렬성, 비구상적 예술 및 사진 전시간의 상관성을 밝혀 낭만성의 현대적 해석 가능성을 모색해본다.<br/> 숭고미의 정치성을 횔덜린의 시에 나타난 병렬성과 연계해 논의하면서, 횔덜린의 병렬적 사유 방식이 지향하는 정치성을 다름 아닌 현상에 대한 안티노미적 예술 판단을 극복해 보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시어의 병렬적 구성이 숭고미 예술의 비구상적 요소와 함께 어떻게 낭만적 사유와 행위로 구체화되어 나타나는지 살펴 볼 것이다. In the German romantic era many genius artists thought that the nature of the art could be politic. Immanuel Kant" political opinion of the art is revealed in the discussion about "the sublime". I analysed the political effect of the art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sublime by Kant. This article took a dialectic research method when trying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the man. On the idea of "thing in itself" Kant describes of the unexplainable moment in the nature. The man tends to rely on the reason. But the nature cannot be overcome only by the reason. This explains Kant‘s political viewpoint regarding "the sublime". According to his concept of the sublime the art can be understandable as politic. Kant"s political opinion on the sublime derives from the appearance of nature. In『Critique of Pure Reason』he explains the originality of nature: by means of sense, a property of our mind, we represent to ourselves objects as outside us. Inner sense, by means of which the mind intuits itself or its inner state, yields indeed no intuition of the soul itself as an object; but there is a determinate form in which alone the intuition of inner states is possible, and everything which belongs to inner determination is therefore represented in the relation of nature. Regarding the political opinion in the realm of art Holderlin"s poem also shows the form of parallelism as the romanticism and the modernity.

      • KCI등재

        1800년경 독일어권 음악담론과 칸트의 주관화된 숭고개념

        허효정 ( Huh Hyo Jung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연구 Vol.37 No.-

        본고는 1800년 경 독일어권 음악담론이『판단력 비판』으로 구체화된 칸트의 숭고이론을 흡수하여 ‘음악적 숭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도출한 사유의 과정을 추적하고 분석한다. 숭고를 ‘대상이 지닌 특성’으로 보았던 기존의 관점과 달리, 칸트는 숭고를 ‘주체의 정신 안에서 일어나는 작용’으로 본다. 칸트의 숭고개념을 예술에 적용하고자 한 당대 이론가들에게, 칸트의 이런 관점은 풀기 어려운 숙제를 던졌다. 숭고를 ‘주체’의 정신 안에서 일어나는 작용으로 보는 칸트의 이론과 달리, 예술이론에서의 숭고란 특정한 작품이라는 ‘대상’이 지닌 특질이었기 때문이다(2장). 본고는 이것이 당대 음악적 숭고에 대한 담론에도 혼선을 야기한 것으로 보고, 코흐의 ‘숭고’ 항목을 통해 당대 음악적 숭고담론이 어떠한 논리적인 난관을 마주대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한다(3장). 다음으로 미카엘리스의 논의를 통해 당대의 지성이 이 난관을 어떻게 극복하였는지를 살피고, 그것이 음악비평에 남긴 결과를 살핀다. 미카엘리스는 ‘주체’의 정신 안에서 일어나는 숭고와 구체적인 음악적 특성이라는 ‘대상’ 사이에 ‘상상력의 확장과 실패’라는 매개를 넣는다(4장). 이를 통하여 ‘상상력의 확장과 실패’를 일으키는 음악적인 요소들이 음악적 숭고의 조건으로 부상하게 되며, 이것은 독일어권 음악계에서 기악음악을 중심으로 한 ‘클래식 음악의 이상(理想)’에 미학적인 정당성을 제공하는 결과를 낳는다(5장). This paper traces and analyzes the process of thinking that drew a new concept of ‘musical sublime’ by absorbing Kant’s sublime theory, which was embodied in the Critique of Judgment, in German-speaking music discourse around 1800. Contrary to the existing view that saw the sublime as ‘the characteristic of an object’, Kant sees the sublime as ‘acting within the mind of the subject’. For contemporary theorists who tried to apply Kant’s concept of the sublime to art, this view of Kant poses a difficult task to solve. This is because, unlike Kant’s theory, which sees the sublime as an action occurring within the mind of the ‘subject’, the sublime in art theory is a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of a specific work (Chapter 2). This paper sees this as causing confusion in the discourse on the musical sublime at the time, and analyzes what logical difficulties the contemporary discourse on the musical sublime faced through Koch’s ‘sublime’ entry (Chapter 3). Next, through the discussion of Michaelis, the paper examines how the intellect of the time overcame this difficulty, and the results it left behind in music criticism. Michaelis inserts the mediation of ‘expansion and failure of imagination’ between the subjective sublime and the objective musical characteristics(Chapter 4). Through this, musical elements that cause ‘expansion and failure of imagination’ emerge as a condition of the musical sublime, which provides aesthetic justification for the ‘ideal of classical music’ centered on instrumental music in the German-speaking world(Chapter 5).

      • KCI등재

        현대건축에 있어서 숭고의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 에드먼드 버크의 숭고론을 중심으로

        류주희,성기문,김형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1

        18세기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에 의한 숭고의 미학적 성과는 처음으로 아름다움과 숭고의 미적 범주를 구분함으로써, 그 전까지 하위개념이었던 숭고의 개념을 구체화시키고, 또한 그것을 현대미학에서 대안적 가치를 갖는 하나의 개념으로 확대 가능하게 한 것이다. 버크의 숭고론은 후에 칸트의 숭고와 리오타르의 아방가르드 숭고미학에 이르기 까지, 그 개념을 정립하고 확대해나가는데 논의의 기반을 제공했다. 버크의 숭고론에 따르면, 공포는 숭고의 지배적인 감성이며 사람들은 공포가 안도로 전환되면서 쾌를 느끼는 과정을 거친다. 이는 생리적으로 근육의 긴장과 수축을 자아내며, 숭고는 이것이 해소되면서 나타난다. 버크가 서술한 숭고의 감성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대상들을 재배치하고 범주화 하면, 건축적 범주들은 크기, 재료, 형태, 구축, 빛의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크기는 대조적 크기와 개별성의 부각으로, 재료는 의외적 결합과 질감으로, 형태는 기하학적 단순성으로, 구축에 있어서는 구축의 경이로움으로, 빛은 간헐적인 빛으로 현대건축에 있어서 숭고의 미가 적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두 가지 유형

        양정현(Yang, Jeong-Hyeon)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28 No.-

        본고는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두 가지 유형의 미적 특질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이청준 소설의 숭고에 대한 연구들을 받아들이는 한편, 특히 낭만주의 시를 숭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는 토마스 와이스켈의 논의 가운데에서 은유적 숭고와 환유적 숭고에 관한 논의를 참고하고자 한다. 이청준의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두 가지 유형을 은유적·독자적 숭고와 환유적·저자적 숭고로 나누고, 소설의 주 대상과 그것이 제기하는 인식론적 토픽이 소설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양상을 구별할 것이다. 주 대상이 지니는 인식론적 토픽을 소설 전체 구성상의 구조로까지 확장해나가는 차원에서 볼 때, 「가수」는 주 대상인 주영훈이 보여준 은유적 숭고가 반복·배가되는 반면, 「시간의 문」에서 이러한 복잡한 해석과 주체와 대상 사이의 횡단은 온전히 실천되지 못하고 기의가 과잉되고, 수동적인 ‘설득’의 대상의 자리에 소설의 담화적 구성이 놓이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between two types of sublimity in Lee Cheong-jun’s works of fiction and their aesthetic properties. While considering current bodies of research on the sublime in Lee’s works of fiction, this essay will focus on the discussion of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sublime in the discussion of Thomas Weiskel. This character is particularly analyzed within the context of romantic poetry in terms of the sublime or sublimity. The two types of studied sublimity in Lee’s works of fiction will be divided into metaphorical (and reader’s) sublimity, and metonymical (and author’s) sublimity, and the aspects of the main theme and its meta-fictional duplication throughout all fiction will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ublimity described previously. From the standpoint of observing the duplication of the epistemological topic of the main theme to metafictional structure, the metaphorical sublime in A Feigned sleep is repeated and doubled, while the metonymical sublime in The Gate of Time shows that a crossover between the interpretation and the theme of fiction ends up in a failure of combination, with an overflowing number of signif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