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주거공간의 오방색 선호에 관한 연구

        김희성,조인숙,신화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Colors are an important means of creating design identities. Recent design trends have attempted to construct an identity through traditional culture. As such, interests have been raised in traditional colors that have evolved with regional historical backgrounds. Traditional colors used in modern living spaces construct residential ident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red traditional colors in modern living spaces and to present data on how such colors should be applied in the future. (Method) Adults in their 20s and 50s tend to use traditional colors in their living spaces. Data were collected with quotas considering gender and age. A web survey was implemented for one week starting on July 24, 2018. The survey examined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the participants, such as their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income level. We examined their preferred color scheme and preferred colors in five spaces of a home: the entrance, living room, bedroom, kitchen, and bathroom. The data were analyzed by taking the mean and frequency and conducting a cross analysis. (Results) Of the five color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from, blue was generally the most preferred. The preferred color of the entrance was white, with differences in sex and age. The respondents preferred white in the living room, and there were generally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the five colors and groups. White was preferred in the kitche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age and generally preferred colors. White and blue were preferred for bedroom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 and generally preferred colors. Bathrooms were also highly preferred in white, with group differences in gender and age. (Conclusions) The preference for living space colors varied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age of the double was different in preference for all spaces. Colors are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time and are influential in age. The generally preferred color was blue, but the preferred spatial color was white in all spaces studied. Bedrooms have been shown to be similar to the general preferred color and preference color for space. A bedroom is a representation of one's own identity and is therefore designed with one’s preferred colors. This research is limited in the application of color design to residential spaces by examining the overall color image of each spac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indoor color schemes based on the preferred variety of colors by space, and to study color systems based on five colors. (연구배경 및 목적)색은 시대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디자인에서 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해 중요한 수단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색은 한 지역에서 역사성을 갖고 발전해온 것이며, 전통의 색은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최근 전통문화를 통한 우리의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전통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 주거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선호하는 전통색에 대한 연구함으로써 우리의 주거공간 정체성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생활문화의 토대인 현대 주거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색의 선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거공간디자인 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조사대상은 20대부터 50대까지 전통색을 주거공간에 디자인하고자 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할당표집하였다.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도구를 웹설문도구로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7월 24일부터 일주일동안 진행되었다. 둘째,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결혼상태, 소득 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 계열과 현관, 거실, 침실, 주방, 욕실 등 5개의 공간으로 한정하여 각 공간별 선호하는 오방색에 대해 조사하였다. 셋째, 분석방법은 평균, 빈도,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은 청색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관의 선호하는 오방색은 백색이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실도 백색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계열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도 백색을 가장 선호하였고, 연령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실은 백색과 청색의 선호가 높았으며, 연령과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실도 백색의 선호가 높았으며, 성별과 연령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주거공간에 선호하는 오방색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중 연령은 조사대상 모든 공간에서 선호하는 오방색의 계열이 다르게 나타났다. 색은 그 시대를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로 연령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오방색은 청색으로 나타났으나 현관, 거실, 주방, 침실, 욕실 등 조사대상 모든 공간에서 대체로 백색의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침실은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색이 침실공간의 선호하는 색과 유사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침실은 다른 공간과 다르게 개인적 공간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색을 통해 자신만의 정체성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각 공간별 전체적인 색의 이미지를 통해 조사하여 주거공간의 색채 디자인 적용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방색은 청, 적, 황, 백, 흑의 5가지 계열색으로 구분하고 있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색체계와는 다른 색의 구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공간별 선호하는 오방색 계열을 토대로 실내배색계획방안 모색과 더불어 오방색의 5색을 기준으로 한 색체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부분 색인을 이용한 효율적인 색인 재구축 기법

        곽동욱,정영철,유병섭,김재홍,배해영,Kwak, Dong-Uk,Jeong, Young-Cheol,You, Byeong-Seob,Kim, Jae-Hong,Bae, Hae-Young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7 No.3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공간정보를 주제 중심적이고 통합적이며 시간성을 가지는 비 휘발성 자료로 저장하여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구축기와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는 구축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적재하기 위해 사용자 서비스를 정지하고, 사용자의 빠른 응답시간을 위해 적재된 데이터로 색인을 구축한다. 색인 구축을 위한 기존 기법에는 벌크 삽입 기법과 색인 전송 기법이 있다. 벌크 삽입 기법은 색인을 구축하기 위한 클러스터링 비용이 크며 검색 성능도 떨어진다. 색인 전송 기법은 주기적인 소스 데이터의 변경을 지원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의 부분 색인을 이용한 효율적인 색인 재구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부분 색인을 직접 전송, 기록하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상하여 기록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색인 재구축 기법이다. 구축기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공간의 근접도가 아닌 색인의 구조에 맞게 클러스터링하며, 생성된 각 클러스터를 부분 색인으로 구성하여 페이지 단위로 전송한다.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에서는 전송된 부분 색인을 저장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연속된 공간을 예약하고 예약된 공간에 부분 색인을 기록한다. 기록된 부분 색인을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의 기 구축된 색인에 삽입함으로써 색인 재구축을 위한 검색, 분할, 재조정 비용이 최소화된다. A spatial data warehouse is a system that stores geographical information as a subject oriented, integrated, time-variant, non-volatile collection for efficiently supporting decision. This system consists of a builder and a spatial data warehouse server. A spatial data warehouse server suspends user services, stores transferred data in the data repository and constructs index using stored data for short response time. Existing methods that construct index are bulk-insertion and index transfer methods. The Bulk-insertion method has high clustering cost for constructing index and searching cost. The Index transfer method has improper for the index reconstruction method of a spatial data warehouse where periodic source data are inserted. In this paper, the efficient index reconstruction method using a partial index in a spatial data warehouse is proposed. This method is an efficient reconstruction method that transfers a partial index and stores a partial index with expecting physical location. This method clusters a spatial data making it suitable to construct index and change treated clusters to a partial index and transfers pages that store a partial index. A spatial data warehouse server reserves sequent physical space of a disk and stores a partial index in the reserved space. Through inserting a partial index into constructed index in a spatial data warehouse server, searching, splitting, remodifing costs are reduced to the minimum.

      • KCI등재

        예배공간에서 빛과 색에 관한 신학적 의미

        이정구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6

        교회는 건축술과 재료의 발달에 힘입어 빛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예배공간을 조성하려는 노력을 한다. 초대교회건축에서 부터 빛과 색은 성서와 그리스 사상을 토대로 하여 하나님과 그분의 현현을 상징했다. 건축술과 재료, 그리고 빛에 관한 신학이 조우하고 미적으로는 조화와 균형이라는 개념으로 건축에서 꽃을 피운 것이 중세 유럽의 고딕양식이다. 모자이크와 색유리를 활용하여 가톨릭 교리의 화체설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현대 개신교회의 건축 설계가들은 환경 친화적이며 영적인 예배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자연채광과 인공조명을 활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지만 개신교의 신학과는 깊이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교회건축에서의 빛과 색에 관한 신학적이며 도상학적인 상징적 의미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하여 현대 한국개신교회건축에서 적절한 예배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신학적인 조명이다. 대다수 개신교회는 색 유리창을 신학과는 무관하게 단순히 공간 분위기 창출과 장식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빛과 어둠에 대하여 이원론적으로 공간을 분절해오는 서양교회건축의 도상학과 가톨릭의 화체설을 근간으로 하여 창출된 색 유리창에 관한 신학을 극복하고, 이미지를 배척하는 개신교 예배의 말씀 중심의 신학과 동양 사상에서의 음 양의 조화를 신학적으로 해석하고 이것을 개신교회 공간 안에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는 한국교회건축과 예배학 분야에서 풀어가야 할 토착화의 과제이기도 하다. 최근 개신교회 안에서 예배공간을 극장식 공간으로 재정비하여 ‘빛과 색’ 보다는, ‘말씀’ 보다는, ‘소리’를 우선하는 듯한 '열린예배' 혹은 'emerging worship' 이라는 예배 양태의 유행을 보면서 잃어가는 상징성을 기억하며, 개신교회 예배에 적절한 빛을 활용한 공간분절과 한국의 전통적인 오방색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통해 교회가 이를 활용할 수 있기를 바라는 제안이다.

      • KCI등재

        도시공간 LED조명환경 색온도 도출 방향 연구

        양정순 ( Yang Jung 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최근 수년간 에너지 효율성과 시공 편의성만을 고려한 관주도의 무분별한 LED 가로등 및 보안등 교체작업으로 인한 부적합한 색온도 연출의 문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먼저 색온도 오적용 사례에 대한 자료 수집과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적정 색온도 연출의 중요성과 색온도의 파급효과를 찾아보았다. 또한 국내외 관련기준과 지침을 조사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색온도는 생리적 · 심리적 · 기능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재확인하였으며, 이에 야간 도시공간의 LED조명 색온도의 연출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비교 사례연구를 위해 조명산업이 선진 발달된 유럽의 주요도시 중 2000년대 이후 활발하게 경관사업이 진행된 곳과 국내 도심지의 광물리량을 조사하였다. 측정조사 결과 유럽의 경우 색온도 3000K정도(독일 주요도시2900K~3600K, 프랑스 파리 2300K~4000K, 네덜란드 로테르담 3000K~3600K)이다. 서울의 일반도로와 보행로의 LED조명은 5600K~6000K이고, 대전은 5000K로 유럽 범위보다 크게 높은 색온도로 연출되고 있다.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야간 도시공간의 경우 활동성이 중요한 특정한 공간을 제외하고 4000K이하의 색온도 연출을 통해 건강·인지·심리와 심미적 측면에서 더욱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보행자 중심 공간은 3000K 이하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현재 국내 높은 색온도를 낮출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자 한다. 야간 도시환경에 있어 바람직한 색온도 계획은 도시공간의 공간구조와 질서를 확립하여 도시 위계를 형성하고 도시공간의 조화로움과 통합된 도시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과 동시에 인간에게 생리적 신체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색온도에 대해 더욱 세심하고 깊이 있는 연구들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과정 및 결과는 관련 조명산업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its research based on the recognition of inadequate color temperature in urban space. That was due to the government-led inconsiderate replacement project of LED in street lighting fixture, which had only considered energy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installation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parts, which include; First, researching cases and the academic papers on the importance of proper application and the influence of color temperature in urban space. Second, survey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guidelines. During the process, the study reaffirmed that color temperature plays a diverse range of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roles. Therefore, finding out the optimal direction of color temperature application of LED lighting in urban space wa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For comparative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c quantities of urban areas in developed European cities where active studies on landscape lighting design are taking place in urban design since 2000s. The survey had resulted in conclusion that the average color temperature in Europe was around 3000K levels. In comparison, Korea has an average color temperature that is much higher than Europe. Through reviewing the academic papers and case analysis, urban spaces are more functional in terms of health, cognition, psychology and aesthetics when color temperature below 4000K levels are applied, except for specific space for certain activity. Especially, walking spaces are more optimal with below 3000K levels. Therefore, it appears to be necessary to lower the overall color temperature through out its urban areas in Korea. Color temperature plan in urban space establishes the spatial structure and order of the urban space and forms the urban hierarchy. In addition, it creates a harmonious and integrated urban image of the urban space, which has physi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n human beings. Therefore, more in-depth studies are required for color temperature pla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itizen's lives. I hope that this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c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other related studies in lighting industry.

      • 빛과 색을 이용한 공공공간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김미진,조벽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2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공공공간에 대한 연구 속에서 이제는 공공공간이 단순히 물리적인 장소의 개념에서 벗어나 공간과 인간, 사회, 문화가 소통하고 감성과 새로운 경험이 창출되는 복합적 공간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자는 점차 공간의 연출에서 생명력을 좌우하는 소재로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빛과 색을 소통의 매체로 제시하여 공공친화적 공공공간에 대한 개념 정리와 사례에 대한 분석, 분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할 공공공간에 대한 방향을 연구 하였다. 그 결과 빛과 색을 이용한 상호 소통의 목적에 따라, 정보전달 인티머시를 위한 Informative Interaction (I-I), 시각적 인티머시를 위한 Visual Interaction(V-I), 경험적 인티머시를 위한 Experiential Interaction(E-I), 의 세 가지 기준이 도출되었다. 위 세 가지 소통 목적에 대한 사례 의 분석을 통해 빛과 색을 상호복합적으로 사용하여 공공공간에 적용시킨다면 퍼블릭 인티머시가 나타나는 공공공간이 디자인 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Recently, the study of public space design is actively progressing and now, the concept of public space design is not simply about physical location but creating new experiences of space by human, society, and culture. Moreover, it is considering as a complex space that communicating with other cultures and emotions. In this perspective, the investigator conveys the light and color as a communicating medium that highly affecting the atmosphere of space and analyzing the actual concept of public space intimacy, plus study to progress this concept by analyzing it. And the result of following study shows that due to the purpose of interaction of light and color, we can confine 3 ways intimacy; informative intimacy for Informative interaction(I-I), visual intimacy for visual interaction(V-I), amd experimental intimacy for Experiential interaction(E-I). These three following communication purpose concept analysis replete the interaction of light and color, and when these concept applied on public space design then the public intimacy will showed up in the public space design.

      • 유사 이미지 검색을 위한 시그너처 기반의 색-공간 정보 표현 방법

        조성택 경민대학 산학기술연구소 2001 경민대학연구논총 Vol.2 No.1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duce search space and similarity evaluation cost as well as to enhance recall and precision in color-spatial image retrieval. Towards this goal, we propose representation scheme of color feature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using signatures. The key idea is DCC(dominant color composition) signature and DCD(dominant color distribution) signature: (a) DCC signature being constructed for regionally representative color set of an image; (b) DCD signature being derived from horizontal and vertical axis to represent spatial distribution of each dominant colors in DCC signature. We use DCC signatures as filter in early stage of image retrieval to narrow search space before the cost intensive comparisons are performed. Spatial similarity of dominant colors is evaluated using DCD signatures by calculate ratio of the overlapped bits counts.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an image database of over 6,034images with prototype system, which adopts DCC and DCD signatures as index key forc olor-spatial image retrieval

      • KCI등재

        DOT 색인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조인 기법

        백현(Hyun Back),윤지희(Jee-Hee Yoon),원정임(Jung-Im Won),박상현(Sang-Hyu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4 No.5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공간 조인 연산자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색인 기법의 선택이 중요하며, 대표적인 색인 기법으로는 R<SUP>*</SUP>-tree를 이용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DOT(DOuble Transformation) 공간 색인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조인 처리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R<SUP>*</SUP>-tree를 이용한 공간 조인 처리 기법과 비교한다. DOT 공간 색인 기법은 공간 객체의 MBR 정보를 공간 순서화 곡선을 사용하여 하나의 1차원 값으로 변환한 후 그 값을 검색 키로 갖는 B<SUP>+</SUP>-tree 색인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이용하면 전통적인 데이타베이스의 주 색인을 적용할 수 있다는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객체의 MBR 정보를 하나의 1차원 값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 순서화 곡선의 규칙성을 분석함으로써 공간 변환 연산의 횟수를 대폭 감소시킨 효율적인 DOT 색인 기반의 공간 조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공간 변환 연산의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질의 영역을 공간 순서화 곡선이 연속 운행하는 가능한 최대 크기의 면적으로 분할하는 쿼터 분할 기법을 사용한다. 다양한 분포와 크기를 갖는 데이타 집합을 대상으로 R<SUP>*</SUP>-tree를 이용한 공간 조인 처리 기법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약 3배의 성능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hoice of an effective indexing method is crucial to guarantee the performance of the spatial join operator which is heavily used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The R<SUP>*</SUP>-tree based method is renowned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ndexing method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spatial join technique based on the DOT(DOuble Transformation) index, and compare it with the spatial join technique based on the R*-tree index. The DOT index transforms the MBR of an spatial object into a single numeric value using a space filling curve, and builds the B<SUP>+</SUP>-tree from a set of numeric values transformed as such. The DOT index is possible to be employed as a primary index for spatial objects. The proposed spatial join technique exploits the regularities in the moving patterns of space filling curves to divide a query region into a set of maximal sub-regions within which space filling curves traverse without interruption. Such division reduces the number of spatial transformations required to perform the spatial join and thus improves the performance of join processing. The experiments with the data sets of various distributions and sizes revealed that the proposed join technique is up to three times faster than the spatial join method based on the R<SUP>*</SUP>-tree index.

      • KCI등재

        제임스 터렐의 빛과 색에 나타난 공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김소영 ( Soyoung Kim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들어서 디자인 전반에서 예술가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문화현상을 만들어 내고 있다. 라이트 아트의 미니멀한 공간에서 빛과 색으로 공간을 표현하는 공간 표현 방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라이트 아트의 공간 표현은 빛으로 보다 자유로운 상상력을 통해 공간을 표현하고 경험하게 한다. 특히 공간에서 빛과 색의 실재성과 표현 형식에 따라 공간의`모호성`이 나타나는데,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의 모호성은 건축과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모호성과 비슷하지만 감성적 차별화가 느껴진다. 이런 관점에서 터렐의 작품은 우리 공간디자이너들이 작업에 임할 때 어떤 감성과 태도를 가져야하는지 힌트를 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모호성`의 개념과, 공간의 모호성을 고찰하여 터렐의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의 `모호성`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제임스 터렐의 작품 경향을 조사 하고 빛과색의 시지각적 공간이 주는 공간의 `모호성`의 관계에 대해 문헌 조사와 방문 조사를 통해 연구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서 빛과 색으로 나타나는 공간의 모호성과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사례분석의 결과로 터렐에 공간의 모호성은 비물질적 이지만 상당 부분 물질적 특성과 비슷하게 인식 되었다. 특성으로는 첫째 경험적 공간의 모호성, 둘째 관찰적 공간의 모호성, 셋째 경계적 공간의 모호성으로 분류 되었고, 작품 시리즈에 따라 모호성의 빈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이상의 연구를 통해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에 `모호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빛과 색으로 표현 된 비물질적공간의 모호성은 현대건축과 공간 표현의 일시적 현상이 아닌 창조적인 공간 창출의 요소로서 발전 가능성을 기대한다. 공간 사용자들의 감성인식과 경험은 우리가 디자인하는 공간 이상의 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표현 요소임을 다시 한 번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빛의 비물질적 공간 표현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작품이 아닌 실재 공간에서 활발하게 표현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Recently, a new design culture phenomenon has been created in overall design through artist collabo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of expressing space that represents the space with light and color in a minimal space of the light art.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light art allow people to experience more liberal imagination in a space with ligh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ambiguity of space, the appearance of which depends on the reality of light and color in the space, and method of expression. The spatial ambiguity showed in the works of James Terrell is similar to the ambiguity seen in architecture and space, but with palpable emotional differentiation. In this perspective, the works of James Terrell give hints on the sensibility and attitude space designers should adopt when they engage in work.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ambiguity” of space and characteristics in Terrell`s works by exploring the concept of “ambiguity,” particularly spatial ambiguity. (Methods)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ndencies of James Terrell`s work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visual perception of light and color with spatial “ambigui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visiting.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mbiguity with light and color that appear in the works of James Terrell are identified though comprehensive case analysis. (Results)The comprehensive case analysis revealed the Terrell`s spatial ambiguity was immaterial but recognized similarly to materialistic characteristic to a certain extent. Th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first, the ambiguity of experiential space, and second, the ambiguity of observed space. The ambiguity of boundary space and frequency of the ambigu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ries of works. (Conclusions)The study determined the spatial “ambiguity” in Terrell`s works. The immaterial spatial ambiguity expressed by light and color may have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creative spatial creation rather than a temporary phenomenon of modern architecture and space expression. The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users indicated that design gives value to physical space. Future studies may focus on the expression of immaterial space of light made in a variety of ways and expressed in actual space rather than in works.

      • sRGB 색공간과 상용 모니터의 색영역 비교

        김홍석 ( Hong Suk Kim ),박승옥 ( Seung Ok Park ),김정우 ( Jung Woo Kim ),김성현 ( Sung Hyun Kim ),박진희 ( Jin Hee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00 추계학술대회 Vol.2000 No.-

        HP를 비롯한 장치나 소프트웨어 관련 업체들은 인터넷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모니터들의 평균이 되는 sRGB 색공간을 제안하고 이를 기본 색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RGB 색공간과 XYZ 색공간 사이의 변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웹 안전색으로 통용되고 있는 216가지의 디지털신호에 대해 sRGB 색공간에서 재현될 XYZ 색좌표를 예측해 보았다. 또한 실제로 두 대의 모니터에 216가지의 디지털 신호를 입력시켰을 때 재현된 색의 XYZ 색좌표를 측정하여 예측된 결과와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sRGB 색공간의 실효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색각이상자를 위한 지도색채배열 분석

        신휴석,조현정,박기호 한국지도학회 2012 한국지도학회지 Vol.12 No.2

        이 연구는 색각이상자의 정보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색채배열의 색차 측정 및 최소 색차 기준설정이라는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에 기초한 지도색채배열 분석방법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연구에서 지적된 불균등한 색공간 사용과 색역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CIELAB 색표시계와 sRGB 색공간을 활용한 색차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색채배열을 색각이상자의 지각 방식으로 모사한 후, 정량적 데이터를 전달하는 지도의 특성을 고려하여 색각이상자의 공간정보 오인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안전한 색채배열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색채배열 분석방법은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색각모사 도구와 함께 색각이상자의 특성에 따른 색채배열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방법론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analysis methodology of map color scheme for the color vision impaired in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ways. We tried to help solving problems related in using uneven color space and gamut indicated in existing studies. Consequently, we suggested the color-difference measurement method using CIELAB color system for the uniform color space and sRGB color gamut for setting the standard color space. Also, we set minimum color-difference standards for the color vision impaired to prevent misunderstanding color schemes on maps. We analyzed the variation of minimum color-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simulation of color vision impairment and recommended safe color schemes for them. The proposed color-difference measurement method with the simulation tool of color vision impairment developed in our previou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commendation of map color schem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or vision defici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