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재생 R&D 사업의 비시장적 편익 추정에 관한 연구

        정기철,황석원,이민규 국토연구원 2009 국토연구 Vol.62 No.-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urban regeneration R&D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and producers, and the benefits of consumers imply the non-market benefits which city-dwellers will obtain from the R&D. This study implements conjoint analysis on the assumption that non-market benefits derived from the R&D should be measured as the amount of money which consumers will pay to have effects of the R&D. Non-market benefits of the R&D consist of health effects, social configuration, the incidence of crime, the proportion of resettlement, the system for inhabitant participation, and the control system of microclimate. This study estimates the utility function by applying mixed logit model to consumers' stated preference data obtained from Korean seven large city dwellers, and calculates marginal willingness to pay non-market benefit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yearly non-market economic benefits of seven large city households are measured from 133.7 billion won to 1,366.3 billion won by scenarios. Given delphi survey results, yearly non-market economic benefits of the R&D are calculated to 431.3 billion won. Especially, this study can be used as appraisal of the R&D and decision of project procedures, and the analysis method can be applied to non-market benefit assessment of other R&Ds. 도시재생 R&D 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소비자와 공급자의 두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소비자 측면의 편익은 도시재생 R&D 사업을 통해 도시 주민들이 받게 되는 비시장적 편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R&D 사업의 비시장적 편익이 도시재생 R&D 사업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를 제공받기 위해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으로 측정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재생 R&D 사업의 비시장적 편익은 건강 요인, 사회통합, 범죄건수, 주민 재정착율, 주민참여 시스템, 미기후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전국 7대 도시 주민으로부터 조사한 소비자 진술 선호 자료에 혼합로짓 모형을 적용하여 효용 함수를 추정하였으며, 비시장적 편익의 속성별 한계지불의사액을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시나리오에 따른 7대 도시 전체 가구의 연간 평균 경제적 편익은 1,337억 원에서 1조 3,663억 원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전문가 델파이 설문조사를 고려한 결과, 도시재생 R&D 사업의 비시장적 편익은 연간 4,313억 원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 R&D 사업의 평가, 사업 추진의 순서 결정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연구 방법론은 다른 R&D 사업의 비시장적 편익 측정에 응용될 수 있다.

      • KCI등재

        AHP를 이용한 항만 리모델링 비시장적 편익요인 분석연구

        양창호(Yang, Chang-Ho),여기태(Yeo, Gi-Tae),정현재(Jung, Hyun-Jae),김호균(Kim, Ho-Kyun),손유리(Son, Yoo-Le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3 No.1

        녹색물류 개념의 등장으로 항만산업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시점에, 기존의 항만 리모델링 경제성 분석의 연구들은 주로 시장적 가치요인들을 비용-편익분석등과 같은 분석기법을 통해 경제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였고, 환경적 가치와 같은 비시장적 가치요인들에 대한 분석들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되어왔던 해양환경과 친수시설, 이용자들의 후생과 관련된 요소들로 분류된 비시장적 편익요인을 중심으로 추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하여 비시장적 측면에서 인천내항의 리모델링 타당성 분석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At this point that port industry brings a new change as the concept of 'Green Logistics' appears, studies on an economic analysis of existing port Re-modeling have normally been conducted focused on market value factors such as Benefit-Cost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analysis of Non-market value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val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establish a Feasibility analysis model of Incheon inner port Re-modeling in the aspect of Non-market Benefit Factors classified by related factors such as, marine environment, waterfront facility and welfare of users by using AHP methodology based on the extracted result through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