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식력이 우수한 진적색 비모란 선인장 ‘일홍’ 육성

        박필만,김미선,이영란,박부희,유봉식,이정수 한국화훼학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4

        For breeding the cultivar of moon cactus,Gymnocalycium mihanovichii, with dark red color, it wascrossed between ‘Seolhong’ cultivar with dark red colorand ‘Huhong’ cultivar with dark red color at the cactusgreenhouse of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Science in 2008. The harvested seeds were germinated in100 mL mass flask filled with Kyoto & charcoal medium,and grown for 6 months in test tube after grafting in vitro. After re-grafting and planting in greenhouse during 2010-2012,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hreetimes. ‘Ilhong’ cultivar has flat round shape and dark redskin. In addition, it has 8 to 10 ribs and gray & brownstraight spines on the body. Its diameter was 44.7 mm after10 months from planting and bigger compared with that of‘Seolhong’ cultivar. This cultivar exhibited efficient propagationability, and produced average 18.0 offsets in 10 months. 진적색을 가진 비모란 선인장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서진적색을 가진 ‘설홍’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진적색의‘후홍’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2008년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선인장 온실에서 교배하였다. 기내에서, 수확된 종자는 100mL 삼각플라스크에 활성탄이 첨가된 Kyoto 배지에 파종하였으며, 발아된 유묘를 어린 삼각주에 접목하여 시험관에서 6개월 동안 재배하였다. 6개월 키운 유묘를 2차로 접목하여 온실에 정식하여 2012년까지 비모란선인장의 다양한 특징을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일홍’ 품종은 편원형의 모양과 진적색의 구색을 가지고 있다. 또한, 8~10개의 결각과 회갈색의 직립형 짧은 가시를가지고 있다. 정식 10개월 후 ‘일홍’ 품종의 구직경은44.7mm로 ‘설홍’ 품종에 비해 큰 편이었다. 번식 수단이되는 자구는 10개월 동안 평균 18.0개를 생산한다.

      • 수출 선인장 주요 해충 발생정도 및 피해양상

        이진구,홍순성,김진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5

        선인장은 대표적인 수출작목으로 선인장에 발생하는 해충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2008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수출 선인장 주요재배지인 고양에서 해충의 발생정도와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비모란과 삼각주에 발생하는 해충은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등 나방류, 작은뾰족민달팽이, 명주달팽이 등 달팽이류와, 귤가루깍지벌레, 꽃노랑총채벌레, 복숭아혹진딧물, 온실가루이 등이었다. 특히, 비모란에는 나방류, 삼각주에는 나방류와 민달팽이류가 주요 해충이었다. 해충 종류별 피해양상을 보면 담배거세미나방은 선인장을 갉아먹었으며, 작은뾰족민 달팽이는 표면을 핥는 듯이 가해하여 엷게 코르크화되고 피해부 주위에 달팽이 점액이 묻어 있었다. 귤가루깍지벌레는 선인장 표면에 하얀 가루가 묻어 있는 듯하고, 꽃노랑총채벌레는 흡즙하여 표면에 긁힌 흔적을 볼 수 있었다. 복숭아 혹진딧물은 수액을 빨아 가해하였으며 선인장에서 나타나는 피해는 고사보다는 이차적인 그을음증상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선인장재배시 발생하는 해충의 피해진단은 가능하였으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가 등록되어 있지 않아 향후 방제약제 등록이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경도가 높은 적색 비모란선인장 ‘Gangjeok’ 품종 육성

        권오현,박필만,이수영,안혜련,김예진 한국화훼학회 2023 화훼연구 Vol.31 No.2

        The red-colored cultivar Moon Cactus ‘Gangjeok’ which possesses many offsets and high stem firmness was b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 in 2022. For breeding this dark-red cultivar with high stem firmness, cultivars ‘Isaek’ and ‘Suyeon’ were crossed in August 2018. Seeds obtained after crossing said cultivars were sown in vitro, and 20 lines including ‘1802001’ were nurtured and maintained. In 2019, ‘1812005’ was selected for the first time for grafting and cultivating in a greenhouse.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this population were surveyed three times from 2020 to 2022 based on the guidelines of Gymnocalycium mihanovichii. The ‘Gangjeok’ cultivar is described as having a flat round shape with red tones (R46B). This cultivar has an average of 8.4 ribs. The spine in the areole was gray in color. The spine grew at about 3.5 mm in straight shape. The shape of the tubercle on the rib was projecting. This cultivar was 46.1 mm in diameter and produced an average of 18.3 offsets for 10 months from planting. The preference score of this was 4.0 on a five-point scale. 단단한 자구를 가진 적색 비모란선인장 ‘Gangjeok’ 품종은 ‘Isaek’품종을 모본으로, ‘Suyeon’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2018년에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교배 후 획득한 종자는 조직배양실에서 기내파종하여 획득한 유묘를 기내에서 삼각주선인장에 접목하여 ‘1802001’ 등 20계통을 양성하였다. 2019 년에 기내에서 양성한 20계통을 온실에서 삼각주선인장 대목에 접목하여 재배하면서 ‘1812005’ 계통을 1차 선발하였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차에 걸쳐서 특성을 검정한 후, 농산물직무육성품종 심의회에서 최종 선발하여 ‘Gangjeok’으로 명명하였다.‘Gangjeok’ 품종은 편원형의 적색 구를 가진다. 혹(tubercle)이 돌출된 형태의 모구는 8.4개의 능(rip)을가지며, 3.5mm 짧은 회색 가시가 발생한다. 정식 10개월 후‘Gangjeok’ 품종의 직경은 46.1mm이며, 자구는 평균 18.3 개 발생한다. 2022년 육성계통 평가회에서 ‘Gangjeok’ 품종은 높은 기호도 점수 4.0을 받았다.

      • KCI등재

        번식력이 우수한 진한 적색 비모란선인장 ‘Bulbit’ 품종 육성

        박필만,권오근,박부희,안혜련,이수영 한국원예학회 2019 원예과학기술지 Vol.37 No.5

        농가 선호도가 높은 진한 적색 비모란선인장 ‘Bulbit’ 품종은 진한 적색 ‘Gohong’ 품종을 모본으로, 진한 적색 ‘0708047’ 계통을 부본으로 하여 2011년에 교배하여 육성된 교배종이다. 종자를 70% C2H5OH와 2% NaOCl로 멸균처리한 후, 100mL 삼각플라스크 0.1% 활성탄이 첨가된 Kyoto 배지에 파종하였다. 발아된 유묘는 기저부를 잘라 기내에서 배양된 어린 삼각주에 접목을 하고 동일한 배지가 첨가된 시험관에 치상하였다. 6개월 재배 후 온실로 옮겨서 순화과정을 거쳤으며, 기외에서 매년 접목을 하여 총 4번을 접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Bulbit’ 품종은 편원형의 모양과분홍색의 구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9 - 12개, 평균 10.4개의 능(rip), 5.2mm의 짧은 직립형 갈색 가시, 그리고 혹(tubercle)이돌출된 형태로 모구가 구성되어 있다. 정식 10개월 후 ‘Bulbit’ 품종의 구직경은 39.7mm였으며 자구는 모구와 같은 진한 적색으로 평균 18.3개가 생성되었다. 2015년 육성계통 평가회에서 ‘Bulbit’ 품종은 기호도 점수 4.5을 받았다. 2017년 6월 12일에이 품종은 국립종자원에 등록되었으며 종자산업법에 의해 품종보호(등록번호 6753)를 받게 되었다. The cultivar of moon cactus, ‘Bulbit’ with dark red color and many offsets, was bre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 in 2015. For breeding the dark red cultivar with good propagation, ‘Gohong’ cultivar and ‘0708047’ the line with the similar color were crossed on August in 2011. Fruits were harvested after 2 months and seeds were separated from the peel. They were sterilized by C2H5OH 70% and NaOCl 2%, and then sowed in 100 mL mass flask filled with Kyoto medium + charcoal 0.1%. A young shoot was cut and root was removed, and then grafted into a young vine cactus, Hylocereus trigonus, in vitro. This grafted cactus was firstly planted into test tube with the same medium. After 6 months, a young moon cactus, only the scion, was secondly grafted into a vine cactus in vivo.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this were surveyed three times from 2013 to 2015, according to guidelines of Gymnocalycium mihanovichii. ‘Bulbit’ has flat round shape, and dark red skin (R 46B). This cultivar has average 10.4 ribs. The spine in the areole was brown color. The spine averagely grew to 5.2 mm in the straight shape. The shape of tubercle on the rib was projecting. This was 39.7 mm in diameter and averagely produced 18.3 offsets for 10 months from planting. The preference score of this was 4.5 on a five-point scale. On June 12th 2017, ‘Bulbit’ was registered (registration No. 6753) and is now protected by KoreanSeed Industry Law.

      • KCI등재

        Yellow Moon Cactus ‘Ahwang’ Cultivar with Excellent Ability of Producing Offset

        Pil Man Park,Oh Keun Kwon,Pue Hee Park,Hye Ryun An,Su Young Lee,Yae Jin Kim 한국화훼학회 2021 화훼연구 Vol.29 No.2

        비모란 선인장 ‘Ahwang’ 품종이 2016년에 국립원예특작과 학원에서 육성되었다. 증식력이 우수한 밝은 황색 ‘Ahwang’ 품종 육성을 위해서, 황색 ‘Hwangun’품종을 모본으로, 황색 ‘0930001’ 계통을 부본으로 하여 2012년 6월 25일에 교배하였다. 어린 비모란 선인장을 2014년 이전에 삼각주에 2번 접목하여 계통을 양성하였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Ahwang’ 품종의 모구는 편원형 모양에 황색 구색(Y9A)이다. 모구는 평균 8.6개의 능(rip)과 2.7mm의 짧은 직립형 회색 가시를 가지고 있고 혹(tubercle)이 돌출된 형태를 띠고 있다. 10개월 재배 후 ‘Ahwang’ 품종의 구직경은 44.5mm였으며 자구는 평균 26.9개가 생성되었다. ‘Ahwang’ 품종은 모구 능마다 황색의 자구가 3-4개가 착생되었다. 2016년 육성계통 평가회에서 ‘Ahwang’ 품종은 기호도 점수 3.9을 받았다. 이 품종은 2018년 5월 16일 국립종자원에 등록되었으며 식물신품종보호법에 의해 품종보호(등록번호 7193)를 받게 되었다. The ‘Ahwang’ cultivar of the moon cactus was b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in 2016. To breed the bright yellow, easily propagated ‘Ahwang’,’ the yellow maternal cultivar, ‘Hwangun,’ and the yellow paternal line, ‘0930001,’ were crossed on the June 25, 2012. Before 2014, a young moon cactus was grafted onto the vine cactus, Hylocereus trigonus, in vitro and in vivo, each once.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were surveyed three times, from 2014 to 2016, according to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guidelines for Gymnocalycium mihanovichii. ‘Ahwang’ has a flat round shape, yellow skin (Y9A), and an average of 8.6 ribs. The spines on the body have a gray color. The spines were straight and 2.7 mm long on average. The tubercles on the rib were projected. This cultivar was 44.5 mm in diameter, and at 10 months after planting, produced an average of 26.9 yellow offsets. This cultivar produced three or four offsets on each rib. The preference score of this was 3.9 on a five-point scale. On the May 16, 2018, ‘Ahwang’ was registered (Registration No. 193) and is now protected by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 KCI등재

        황적색을 가진 비모란 선인장 ‘Isaek’ 육성

        박필만,김미선,이영란,박부희,유봉식,이정수 한국화훼학회 2015 화훼연구 Vol.23 No.3

        해외 수출용 비모란 선인장 ‘Isaek’ 품종이 2012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황적색 계통 ‘line21’ 을 모본으로, 분홍색의 ‘Yeonhwa’ 품종이 부본으로 하여2008년에 교배되었다. 수확된 종자는 활성탄이 첨가된Kyoto 배지의 100mL 삼각플라스크에 파종하였으며, 발아된 유묘를 기내에서 접목하여 시험관에서 6개월 동안재배하였다. 포장에서 4회에 걸쳐 접목을 다시 하여 재배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Isaek’ 품종은 편원형의 모양과 적황색의 구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모구에는 8~10개, 평균 9.0개의 능과 회갈색의 직립형 짧은 가시가 있다. 능에 있는 혹(tubercle)은 돌출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정식 10개월 후 ‘Isaek’ 품종의 구직경은 40.7mm로 대조품종 ‘Honjo’에 비해 작은 편이었다. 자구는 모구와 같은 황적색으로 10개월 동안 평균 10.5개가 생성되었다. 2014년 2월 14일에 ‘Isaek’ 품종은 종자원에 등록되었으며 종자산업법에 의해 품종보호를 받게 되었다. A cultivar of bicolor moon cactus (Gymnocalycium mihanovichii), ‘Isaek’ with red and yellow colors, was bred for exporting abroa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 in 2012. For breeding new cultivar with a unique bicolor, ‘line21’, a bicolor line with red & yellow colors, and ‘Yeonhwa’, a cultivar with pink color, were crossed in 2008. After 2 months, seeds were harvested and then sterilized with C2H5OH 70% and NaOCl 2%, then germinated in 100 mL mass flask filled with Kyoto medium with Charcoal. Germinated seedlings were grafted onto Hylocereus trigonus in vitro, and then were grown for 6 months in test tube. After grafting four times in vivo for multiply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seedlings were surveyed three times from 2010 to 2012, according to guidelines for the conduct of tests for distinctness, uniformity and stability of Gymnocalycium mihanovichii. ‘Isaek’ had round oblate form and red and yellow skin colors (R 45B + Y 9A). ‘Isaek’ had 9.0 (8 ~ 10) ribs on average, which was similar to the number of ribs of ‘Honjo’. In addition, the spine on the body of ‘Isaek’ had gray & brown color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spine color of ‘Honjo’. The spine grew to length of 4.3 mm on average in a straight shape, and tubercles on the rib had protruding shape. The diameter of ‘Isaek’ was 40.3 mm at 10 months from planting, which was smaller compared with that of ‘Honjo’ cultivar. On average, ‘Isaek’ produced 10.5 offsets with two colors at 10 months from planting. The preference score of ‘Isaek’ was 3.8 on a five-point scale. On February 27th 2014, ‘Isaek’ was registered (registration No. 4822) and is currently protected by Korean Seed Industry Law.

      • KCI등재

        황적색을 가진 비모란 선인장 ‘Isaek’ 육성

        박필만,김미선,이영란,박부희,유봉식,이정수 한국화훼학회 2015 화훼연구 Vol.23 No.3

        해외 수출용 비모란 선인장 ‘Isaek’ 품종이 2012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황적색 계통 ‘line21’을 모본으로, 분홍색의 ‘Yeonhwa’ 품종이 부본으로 하여2008년에 교배되었다. 수확된 종자는 활성탄이 첨가된Kyoto 배지의 100mL 삼각플라스크에 파종하였으며, 발아된 유묘를 기내에서 접목하여 시험관에서 6개월 동안재배하였다. 포장에서 4회에 걸쳐 접목을 다시 하여 재배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Isaek’ 품종은 편원형의 모양과 적황색의 구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모구에는 8~10개,평균 9.0개의 능과 회갈색의 직립형 짧은 가시가 있다.능에 있는 혹(tubercle)은 돌출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정식 10개월 후 ‘Isaek’ 품종의 구직경은 40.7mm로 대조품종 ‘Honjo’에 비해 작은 편이었다. 자구는 모구와 같은 황적색으로 10개월 동안 평균 10.5개가 생성되었다.2014년 2월 14일에 ‘Isaek’ 품종은 종자원에 등록되었으며 종자산업법에 의해 품종보호를 받게 되었다. A cultivar of bicolor moon cactus(Gymnocalycium mihanovichii), ‘Isaek’ with red and yellowcolors, was bred for exporting abroad by National Institute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 in 2012. Forbreeding new cultivar with a unique bicolor, ‘line21’, abicolor line with red & yellow colors, and ‘Yeonhwa’, acultivar with pink color, were crossed in 2008. After 2months, seeds were harvested and then sterilized withC2H5OH 70% and NaOCl 2%, then germinated in 100mLmass flask filled with Kyoto medium with Charcoal.Germinated seedlings were grafted onto Hylocereustrigonus in vitro, and then were grown for 6 months in testtube. After grafting four times in vivo for multiplying, growthcharacteristics of seedlings were surveyed three times from2010 to 2012, according to guidelines for the conduct oftests for distinctness, uniformity and stability ofGymnocalycium mihanovichii. ‘Isaek’ had round oblateform and red and yellow skin colors (R 45B+Y 9A).‘Isaek’ had 9.0 (8~10) ribs on average, which was similarto the number of ribs of ‘Honjo’. In addition, the spine onthe body of ‘Isaek’ had gray & brown colors which wasdifferent from the spine color of ‘Honjo’. The spine grew tolength of 4.3mm on average in a straight shape, andtubercles on the rib had protruding shape. The diameter of‘Isaek’ was 40.3mm at 10 months from planting, whichwas smaller compared with that of ‘Honjo’ cultivar. Onaverage, ‘Isaek’ produced 10.5 offsets with two colors at10 months from planting. The preference score of ‘Isaek’ was 3.8 on a five-point scale. On February 27th 2014,‘Isaek’ was registered (registration No. 4822) and iscurrently protected by Korean Seed Industry Law.

      • KCI등재

        Breeding of Moon Cactus ‘ Aul ’ with Symmetric Bicolor Offsets

        Pil Man Park,Oh Keun Kwon,Pue Hee Park,Hye Ryun An,Su Young Lee 한국화훼학회 2020 화훼연구 Vol.28 No.3

        농가 선호도가 높은 진적색 비모란 선인장 ‘Aul’(Gymnocalycium mihanovichii ‘Aul’) 품종은 황적색 ‘0809067’계통을 모본으로, 진적색 ‘0828039’ 계통을 부본으로 하여 2012년 7월 7일에 계통간 교배하여 육성된 교배종이다. 어린 비모란 선인장을 2013년까지 삼각주에 2번 접목하여 계통을 양성하였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3회에 걸쳐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Aul’ 품종의 모구는 편원형 모양과 적색 구색(R44A)이다. 모구는 평균 9.7개의 능(rip), 3.0mm의 짧은 직립형 회색 가시, 혹(tubercle)이 돌출된 형태였다. 10개월 후 ‘Aul’ 품종의 구직경은 46.9mm였으며 황적색(R44A+Y9A) 자구는 평균 16.4개가 생성되었다. ‘Aul’ 품종 모구의 능마다 황적색의 자구가 1~2개가 착생되며, 형태적으로 균형미가 있다. 2016년 육성계통 평가회에서 ‘Aul’ 품종은 기호도 점수 3.8을 받았다. 2018년 5월 16일에 이 품종은 국립종자원에 등록되었으며 종 자산업법에 의해 품종보호(등록번호 7195)를 받는다. The cultivar of the moon cactus, ‘Aul’, was b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in 2016. To obtain ‘Aul’, the maternal line, ‘0809067’ with red and yellow colors, and the paternal line, ‘0828039’ with deep red color, were crossed on July 7, 2012. Until 2013, a young moon cactus was grafted twice onto the vine cactus, Hylocereus trigonus, in vitro and in vivo.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three times from 2014 to 2016,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Gymnocalycium mihanovichii of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Aul’ has a flat round shape, red skin (R44A), and average of 9.7 ribs. The spine on its body has a gray color. The spine grew on average to 3.0 mm in a straight shape. The shape of the tubercle on the rib was projecting. This cultivar was 46.9 mm in diameter, and produced 16.4 offsets on average, with red & yellow colors 10 months after planting. This cultivar symmetrically produced 1 or 2 offsets per rib. The preference score was 3.8 on a 5-point scale. On May 16, 2018, ‘Aul’ was registered (Registration No. 7195) and is now being protected by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