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화점 휴식공간의 구성요소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by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최상헌,신동호 中央大學校 建設環境硏究所 2002 環境科學硏究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 휴식공간의 실내공간 구성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국내ㆍ외 백화점의 사례를 분석, 종합하여 이를 바탕으로 백화점 휴식공간의 올바른 실내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디자인 기준을 제안함으로써 백화점 휴식공간 계획의 디자인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취지하에 문헌고찰을 통해 본 국외 백화점 휴식공간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백화점 휴식공간의 사례조사를 문헌조사와 현장방문 조사를 병행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백화점의 휴식공간으로의 전용을 위한 실내공간 구성요소와 실내공간 디자인 방향을 공간계획의 측면과 공간의장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views theoretical backgrounds of interior space components of rest space at departmentstores and analyze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departmentstores. With the result, this paper aims at suggesting basic design guidelines for rest space design at department stores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cases of foreign department stores, and both literature review and visit survey in cases of domestic department stores. This study suggests design direction for dedicated use of rest space at department stores in terms of space planning and decoration.

      • KCI등재

        백화점 및 브랜드 점포속성이 중국인 관광객의 백화점 및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선호의 매개효과

        제갈란 ( Jegal Ran ),박민정 ( Park Minj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5

        최근 중국은 세계 최대 해외 관광 지출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에 따라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국내 소비지출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 드라마가 지속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중국 관광객들의 패션상품 구매에 있어 한류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는 가운데, 그로 인해 국내 백화점에서의 한국 패션 및 브랜드 상품에 대한 매출도 신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고객의 방한 쇼핑에 대한 기대치에 비해, 실제 구매 경험에 대해 불만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고 있어 그들의 요구에 맞는 세분화된 상품 및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백화점 점포속성과 브랜드 점포속성이 방한 중국인 관광객에게 백화점 및 브랜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종적으로 백화점 및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어 한류선호가 백화점 및 브랜드 점포속성과 점포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백화점 점포속성에서는 하위요인인 백화점 인지도를 제외하고 서비스, 쇼핑환경 및 교통이 백화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점포속성의 경우 하위요인인 브랜드 인지도를 제외하고 제품 및 디자인, 접점서비스가 브랜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어 백화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백화점 충성도 및 브랜드의 만족도를 제고시켰으며,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백화점 및 브랜드 점포속성과 백화점 및 브랜드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한류선호가 매개효과를 지니는지에 대한 검정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어 한류선호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중국 소비자 유치를 위한 백화점의 체계적인 마케팅 방안의 수립은 물론 거대한 구매 잠재력을 지닌 중국인 관광 쇼핑시장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China recently attracts world`s attention as a biggest tourist consumer and according to this situation, the domestic consumption expenditures in Korea also increases. Particularly as Korean dramas are getting more popular, the impact of Korean Wave in Chinese tourists purchasing fashion items and the sales of domestic department stores and fashion brand shops is increasing as well. B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hinese consumers can not keep up with the expectation towards shopping Korean fashion items, that is the reason we need some new detailed products and service to offer meeting their needs. This study researched how the Store Attributes of department store and brand store affect satisfaction of visiting Korea Chinese and ultimately studied how the loyalty for department store and brand store changes. Also wanted to search whether the Korean Wave has the mediating effect for their satisfaction in Store Attributes of department store and brand store. According to the empirical survey of Chinese touris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Department Store Attributes except department store recognition, department store service, shopping circumstances and transpor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artment Store Satisfaction. Except brand store recognition, in the case of Brand Store Attributes, service encounter, item quality and design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of Brand Satisfaction. Also, the more Department Satisfaction people had, the more Department Loyalty have enhancement. The Brand Loyalty is crucially effected by the Brand Satisfaction. In Korean Wave Preference case, it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Department Store and Brand Store Attributes and thos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Korean Wave Preference is demonstrated.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tion to offer the effective countermeasure for the huge potential Chinese consumers shopping business as well as establish the systematic marketing strategy for the department store to have the continuous Chinese consumers.

      • KCI등재

        백화점의 판매수수료 현황 및 정책대응 방안

        이정희(Lee Jung Hee),황성혁(Hwang Seong huyk),김성민(Kim Sung min) 한국유통학회 2010 流通硏究 Vol.15 No.5

        백화점은 우리나라 유통시장에서 전통적인 대형 유통업체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 1997년 우리나라의 외환위기 이후, 백화점은 3사를 중심으로 집중도가 높아지면서 납품업자와의 관계에서 우월적인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판매수수료이다. 판매수수료란 제조업체를 대신하여 제품 판매에 기여를 한 유통업체가 판매 가격에 일정 부분을 가져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백화점에 입점한 업체들이 제품 판매액의 일정부분을 백화점에 지불하는 것이다. 그런데 납품업체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판매수수료가 매우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 백화점은 납품업체를 대신하여 고객을 모으고 판촉활동을 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순히 판매수수료가 높다고 말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은 백화점이 직매입보다는 수수료 위주의 매장 운영을 보이기 때문이다. 백화점의 수입은 판매수수료에 좌지우지 될 수밖에 없고, 규모화와 백화점 브랜드 파워를 통한 거래교섭력 증대로, 납품업체와의 관계에서 판매수수료의 주도권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백화점의 판매수수료와 관련된 대응정책으로 백화점의 독과점 구조 심화를 방지해야 하며, 납품업체와 공정한 계약 체결을 할 수 있도록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백화점 업계의 자율적인 상생과 공정거래가 정착되도록 하는 환경조성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Department Stores have been in place as typical large-scale retailer in Korean retail market. After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market share of major three department stores has been increased and they have had a dominant position in relationship with vendors or manufacturers. Thus, they are able to control sales commission. Sales commission is defined as things that department stores which contribute to products sales instead of manufacturers take some portion of price as their revenue. In other words, vendors or manufacturers pay some amount of money from their sales by contracted ratio to department stores. The problem is that vendors or manufacturers think that sales commission is high. However, department stores have a different opinion that sales commission is not high because they generate new value from gathering customers and doing marketing activity on behalf of vendors or manufacturers. Because department stores have operated with business model of renting sales space to vendors or manufacturers instead of buying goods directly from them, this situation has been taken place. The revenue of department stores depend on sales commission. Thus, they want to get a dominant power to control sales commission in relationship with vendors or manufacturers. So, they have tried to increase their size and brand power. The considered policies related in sales commission of department stores are as following: preventing monopoly or oligopoly of department store, being strength of monitoring for department stores' unfair trade, strict enforcement of law for large-scale retailer's unfair trade, and inducing win-win strategy doing voluntarily by department stores.

      • KCI등재후보

        백화점 매출액 결정요인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신성윤(SeongYoun Shin),이숙남(SookNam Lee),위계연(KyeYeon Wi) 한국부동산학회 2023 不動産學報 Vol.89 No.-

        본 연구는 국내 전체 백화점을 대상으로 백화점 특성요인들을 포함한 매출액 결정모형을 구축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백화점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종속변수인 백화점 매출액과 독립변수들과 일련의 함수관계가 가정된 특성가격 함수모형(Hedonic Price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역 호선 수, 접면도로 수 그리고 공항·터미널·기차역 변수는 백화점 매출액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화점 운영업체는 신규 백화점 개설시 교통환경 및 시설에 대한 임대비용과 수익에 대한 효용을 비교하여야 한다. 둘째, 자가용 이용을 통한 백화점 내점이 많으며, 주차의 편리성이 확보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건축연한이 길수록 매출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백화점 업체는 리모델링이나 건축물에 대한 현대적 변경 등이 필요하다. 셋째, 면세점의 입점, 대기 명품매장 수와 명품 매장 비율은 매출액에 크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가 소비에 대한 수요충족이 보다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백화점 운영업체는 신규 백화점 개점 시 백화점이 밀집되어 있는 서울 혹은 지방 광역시 보다 경기도, 인천 그리고 지방의 핵심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established a model for determining department store sales, including departmentstorecharacteristicvariablessuchasMD,brand,andoperationmethod,alongwith locationandfacilitiesfordepartmentstoresnationwide.Inconclusion,thisstudyderivesan efficient development plan for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2)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applied the Hedonic Price Model, which assumes a seriesoffunctionalrelationshipswithdepartmentstoresalesandindependentvariables,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3) RESEARCH FINDINGS Asaresultoftheanalysis,itwasfoundthat15independentvariableshadasignificant effect on department store sales. The variables with positive coefficient are subway lines, numberofroads,airport,terminal,trainstation,parkinglot,duty-freeshop,luxurystorerate, vehicle visit, floating population density, Gyeonggi/Incheon area, and 12 other local areas 2.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First, departmentstoreoperatorsshouldcomparetherentalcostfortransportationenvironmentand facilitiesandtheutilityforprofitswhenopeninganewdepartmentstore.Second,department store companies need appropriate remodeling or modern changes to buildings. Third, it was foundthattheentryofduty-freeshopsandluxurystoreshadasignificantpositiveeffecton departmentstoresales.Therefore,departmentstoresneedstrategiestomeetthedemandfor high-priced consumption. Finally, department store operators should consider Gyeonggi-do, Incheon, and key regions of the province first when opening new department stores.

      • KCI등재

        백화점의 점포속성이 소비 삶의 질 평가(PQOLI)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영향

        정연승,최순화,김문섭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2

        백화점 업계는 경기 침체와 다양한 유통업태의 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타 유통업태와차별화된 가치 제공을 통한 매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백화점 매장 활성화의 전제 조건은 백화점에서의 쇼핑을 통해 소비 삶의 질(PQOLI, Perceived Quality of Life Impact)이 증가해야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백화점 점포속성이 PQOLI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최근 백화점 점포들이 지역과의 협력과 상생을 추진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PQOLI가 소비자의 지역사회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국 주요 6개 도시 소재 대형 백화점 방문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들이 백화점의 점포속성을 높게 평가할수록PQOLI가 향상하였다. 즉, 소비자들이 백화점의 안전성, 위치, 제품·서비스, 분위기를 높게 평가할수록 자신의 소비 삶의 질 전반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화점 소비자의 PQOLI 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도가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백화점의 점포속성이 백화점 소비자의 PQOLI를 통해 백화점 소비자의 지역사회 애착에 미치는 영향의 기제를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점포속성 요인의 조절을 통한 PQOLI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고 지역밀착형 백화점 전략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is struggling with the recession and the competition with the various retail stores, and is trying to revitalize the stores through offering differentiated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ore attributes on the PQOLI(Perceived Quality of Life Impact).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department stores are promoting cooperative and co-prosperity with local communities, this research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QOLI on consumer's community attachmen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visiting large department stores in six major cities in Korea. Empirical results show that when consumers perceived department store attributes higher they rated their PQOLI higher. Specifically, consumers evaluated the quality of their consumption life highly when they perceived the safety, location, product, service and mood of the department store highly. Moreover, the higher the PQOLI of department store consumers, the higher their community attachment. These results contribute current research by suggesting the mechanism that the department store attributes influence on the community attachment through the PQOLI.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community-based strategy for a local department store.

      • KCI등재

        스페이스 마케팅 요소를 적용한 백화점 VMD에 관한 연구

        차지은,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that favor value and experience, “space marketing” strategies that provide valuable brand experience to consumers have become important in Visual Merchandizing (VMD). In particular, the department store, which was the center of the retail market in the past, is using space marketing to provide differentiated value and experience due to competition with numerous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shopping malls and online retail. Therefore, we want to analyze the changes in space marketing at major department stores in England and France that have produced the concept of department stores and have undergone many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strategic importance and elements of space marketing in department store VMD and provide useful data for domestic department store competitiveness strategies. (Method) In this study, we first examine the concept and status of VMD in Space Marketing and department stores. Based on this, we propose a VMD analysis model of department stores that uses elements from Space Marketing and VMD. By applying space marketing, VMD analysis is divided into environmental, spatial, and semantic elements. Nine elements are derived in total: placeability, harmony, scarcity, functionality, attractiveness, experience, identity, trend, and narrative. We analyzed the exterior and VP Zone of department stores in the 2018 S/S season. (Result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marketing VMD in six target case department stores, the analysis by category appeared in order of spatial, seman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Detailed elements also appeared in order of identity, attractiveness, placeability, scarcity, functionality, experience, trend, narrative, and harmony. (Conclusions) The VMD characteristics of British and French department stores that are derived from this aggregate are as follows. First, it uses environmentally unique forms and works to have regional representation. Second, the attractive space, which forms a spatial style, is combined with the function of inducing a line of vision. The design of space is not just for aesthetic purposes, but for recognizing space and inducing natural movement. Third, stories or themes are used to form a differentiated identity for department stores. Forming a differentiated image of space, a long history, and professionalism are seen as the central measures for attracting a return visit and strengthening the brand. The analysis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derived have become a critical functional element in the case and that space marketing plays a significant strategic role in department store VMD.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used as a basis for identifying trends in modern consumption and strengthening brand strategies for commercial spaces, including domestic department stores. (연구배경 및 목적) 과시보다는 가치, 소유보다는 경험을 중요시하는 소비경향의 변화로 소비자에게 가치 있는 브랜드 체험을 제공하는 ‘스페이스 마케팅’전략이 VMD(Visual Merchandising)에서 중요해졌다. 특히 과거 유통시장의 중심이었던 백화점에서는 복합쇼핑몰과 온라인 쇼핑몰 등 수많은 유통채널과의 경쟁으로 차별화된 가치와 체험을 제공하는 스페이스 마케팅이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백화점의 개념을 탄생시킨 종주국이자 소비경향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어온 유럽의 영국․프랑스의 주요 백화점을 중심으로 그 변화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이 활용된 VMD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백화점 VMD에 있어서 스페이스 마케팅의 전략적 중요성과 요소를 추출하고 국내 백화점 경쟁력 강화전략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스페이스 마케팅과 백화점 VMD의 개념과 현황을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스페이스 마케팅의 전략 요소와 VMD 구성요소를 도출, 재구성하여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요소를 적용한 백화점의 VMD 분석모형을 제안한다. 스페이스 마케팅이 적용된 VMD 분석요소인 환경적 요소, 공간적 요소, 의미적 요소를 기반으로 세부특성인 장소성, 조화성, 희소성, 기능성, 매력성, 체험성, 정체성, 유행성, 서사성 9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주요 백화점을 중심으로 2018년 Spring/Summer 시즌 외관과 VP존을 한정하여 분석한다. (결과) 대상 사례 백화점 여섯 곳에서 스페이스 마케팅적 VMD 특성을 분석한 결과, 범주별 분석에서는 공간적 요소>의미적 요소>환경적 요소 순으로 도출되었고 세부요소는 정체성>매력성>장소성>희소성>기능성>체험성>유행성>서사성>조화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종합해 도출된 영국과 프랑스 백화점의 VMD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적 요소로서 독특한 양식과 작품을 활용해 지역적 대표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국가적 특색을 반영한 건축가나 예술가의 영향을 가미하고, 또는 역사적인 의미를 활용한다. 둘째, 공간적 요소로서 스타일을 형성하는 매력적인 공간에 시선과 동선을 유도하는 기능을 함께 이루었다는 것이다. 공간의 디자인이 단지 심미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공간을 인지시키고, 자연스럽게 동선을 유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의미적 요소로 스토리나 테마를 활용 해 백화점의 차별화된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공간의 차별화된 이미지, 그리고 오랜 역사와 전문성을 형성하는 것은 재방문 유도와 지속적인 브랜드 강화를 위한 중심방안인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모형을 통해 도출된 특성이 선정된 사례에서 전체적으로 중요한 기능요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백화점 VMD에서 스페이스 마케팅이 큰 전략적 역할을 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대 소비경향을 파악하고 국내 백화점을 비롯한 상업공간의 브랜드 전략을 강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Soft Sculpture을 활용한 백화점 디스플레이 연구 -국내·외 윈도우 디스플레이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익,안혜강,손영수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백화점 내 soft sculpture를 활용한 국내외 디스플레이 사례를 조사하여 아트마케팅으로서 백화점이라는 장소에 적용 했을 시 판매촉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국내·외 사례를 비교해 우리나라 백화점 디스플레이 현황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백화점 디스플레이는 대체로 단순하고 상품진열 위주에 소품으로써 섬유조형물을 접목 시키는 반면, 국외의 여러 나라들은 화려하고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하여 상징적인 이미지 표현 연출을 하고 있었다. 둘째, 국외의 백화점들은 아트적인 요소를 접목한 오브제들로 주제가 있는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여 매장 전체를 하나의 컨셉으로 하여 각 백화점 이미지를 강하게 어필하고 있지만 국내의 백화점은 스토리보다는 상품진열 위주로 나타났다. 현대백화점 같은 경우는, 한 가지 컨셉을 가지고 윈도우와 전체적인 실내인테리어 디스플레이를 통일시켜 점의 이미지 메이킹을 시도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에게 이미지를 어필하기에는 비쥬얼적인 요소가 약하고 연출방법 또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장의 단순한 상품 진열의 시대가 가고 VMD의 개념도입으로 디스플레이도 이제 판매촉진의 방법 중 하나로써 다양한 재료사용과 기법이 요구되는데, 우리나라의 백화점은 아직 그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섬유 재료의 활용에 있어서 다양한 재질감으로 연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섬유를 활용하기 보다는 다른 재료들을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local & foreign display examples using soft sculpture in department stores were surveyed and studied the aftereffect to the marketing if it is applied in the form of art marketing, and aimed to present a development plan upon raising the problems the present status of the display at department store through comparison with examples with local and foreign cases. First, the displays of depart stores in our country are simple and combines mainly display item with textile props in general, whereas various other countries renders symbolic representations of image by using colorful & variety objects. Second, many overseas department store provides strong image of their respective store to be made whole store as single concept with existing story line having subject being added by artistic factors whereas local department stores showed focusing on mainly item display. In case of Hyundai department store, under single concept, show-windows as well as room interior display are unified intending to be made as point image. However, it indicated that to make image appeal to consumers lacks visual elements and also had limited presentation method. Third, at present the era of simple display in store has gone as such in the display it requires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as a means of sales promotion, however, department stores in our country still lacks the utilization of such means. In terms of using textile material, it can be presented with different textures but instead of using textile it indicates of using more other materials.

      • KCI등재

        사용 후 평가를 적용한 백화점 의류매장 디자인 요소 개선 방안

        이종희(Lee, Jong Hee),김봉순(Kim, Bong S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현대는 소비 사회다. 소비자의 가치관도, 소비 공간의 형태 및 기능도 급속도로 바뀌고 있다. 소비의 정점을 보여주는 대표 공간인 백화점도 단순 상품 구매의 장소에서 문화 예술적 욕구까지도 충족시키는 다양한 생활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백화점을 찾는 소비자들의 구매활동이 가격과 품질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쇼핑의 편안함, 질 좋은 인적 서비스, 그리고 소비자의 기분을 고양시키는 정서적 만족감 역시 중요한 요인이 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상품의 진열과 판매라는 단순 도식에서 벗어나 소비가 이루어지는 매장 실내 환경 디자인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백화점의 여성의류 매장을 중심으로 매장 내의 환경디자인 요소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세계 센텀백화점, 롯데 창원 백화점, 롯데 대구 백화점의 S"브랜드 매장을 2015년 1월 10일부터 3월 4일까지 설계 및 시공한 후 3개월의 실 체험기간을 두고 판매자와 고객의 입장에서 사용 후 평가(POE)를 실시한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 요소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백화점 특성상 바닥, 천장, F/R 등은 재사용으로 비용절감 효과가 있지만 공사기간은 백화점 매출과 연관되기 때문에 백화점 실측 시 백화점 담당자와 충분한 협의가 이루어 져야 한다. 둘째, 매뉴얼 집기 적용은 백화점의 높이 및 환경적 제한이 있음을 명심하고 매뉴얼의 컨셉이나 기능을 잘 유지하도록 본사와 백화점 간의 협의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매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집기의 부착 상태나 모서리면 마감처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셋째, 사인은 브랜드를 알리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가시성이 가장 좋은 곳에 설치되어야 하며 다수의 매장이 한 공간에 모여 있는 특성상 사인의 위치, 높이, 입체감, 조명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설치하여야 한다. The contemporary era is a consumer society. The values of consumers and the forms and functions of places for consumption are rapidly changing. Department stores, which are representative places showing the peak of consumption, are changing into diverse living spaces fulfilling the cultural and artistic desires of people, from merely being a place for purchase. Such change shows not only that the purchase activities of consumers visiting department stores depend on price and quality, but that the comfort of shopping, quality human servi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enhancing consumers’ mood are also important factors. Based on such perspective, it is clear that researches are needed over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s of stores, which is where consumption is formed, from various angles by escaping the simple system of product display and sales. Based on such necessity, this research seeks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for design elements within stores, focusing on female apparel stores in department store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seeks to promote the shopping convenience of actual customers while finding a direction for environmental designs for stores that enable such convenience to lead to purchases. For this objective, based on the user evaluation (POE) from the seller and customer’s perspective that was conducted over an actual trial period of three (3) months from January 10 - March 4th 2015 following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the S’ Brand Store within Shinsegae Centum Mall, Lotte Changwon Mall, and Lotte Daegu Mall, this research suggests the improvement methods for design elements as follows: First, the reuse of floor, roof, fitting roo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department store is cost effective; however construction period is directly related to revenues requiring sufficient consultation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store before actual measurement. Second, the planner may want to plan so that consultation between the headquarters and the department store is smoothly achieved to maintain the function or concept of the manual with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or height restriction. Moreover, special care is needed for the finishing touches on the corner side and the attachment forms of fixtur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stores. Third, SIGN is an important feature in advertising a brand so it should be placed where optimum visibility is obtained. Since several stores are clustered in a limited area, careful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location, height, dimensional effect, and lighting should be made before sign installation.

      • KCI등재

        점포 속성에 따른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이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 3대 백화점을 중심으로

        김진욱 ( Kim Jinwook ),류문상 ( Lyu Moonsa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23 비교경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1990년 대 이후 국내 유통산업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중요성을 높여왔고 최근에는 특히 백화점 시장에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입 명품 브랜드를 심도있게 재조명 하고자 한다. 그동안의 명품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명품이라는 개념의 정의와 기준을 명확하게 하지 못했고 명품을 취급하는 유통채널 간의 구분도 혼재하여 명품 본연의 실무적 연구 가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사실적 문제점을 개선 하는데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 유통채널 중 수입 명품 브랜드를 가장 많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주요 백화점의 점포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과 백화점 점포 속성 그리고 점포 충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수입 명품 브랜드가 실제로 백화점의 점포 속성과 충성도와 실제적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이 백화점의 점포 속성에 따라 얼마나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백화점 별 차별적 도입 전략수립을 돕고 아울러 수입 명품 브랜드의 자산이 백화점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브랜드 자산 하위 요인별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 대상 수입 명품 브랜드의 기준을 확립하기 위해 주요 백화점 입점된 매출이 높은 브랜드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는 2022년 5월 10일부터 6월 15일까지 193건의 답변을 수집하여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 주요 백화점에 대한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점포속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 신세계 백화점(M=5.71), 현대 백화점(M=5.20), 롯데 백화점(M=4.50) 순으로 점포속성이 높게 나왔으며 둘째,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과 백화점 점포속성 그리고 점포 충성도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의 하위 요인별 인지도, 품질, 이미지는 신세계 백화점 점포속성, 현대 백화점 점포속성과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의 하위요인별 품질, 이미지는 롯데 백화점 점포속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이 백화점 점포 속성에 미치는 영향은 먼저 신세계 백화점에 있어서는 인지도(β=.449, p<.001), 이미지 (β=.328, p<.001)가 현대백화점은 이미지(β=.321, p<.001), 품질(β=.246, p<.01)이, 롯데 백화점은 품질(β=.327, p<.001)이 백화점 점포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은 모든 백화점의 점포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his study has already increased its importance through continuous growth in the domestic distribution market since the 1990s, and recently, it focuses on imported luxury brands that account for an absolute share of sales in the department store market.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uch problems by recognizing the practical problem that research related to luxury has not overcom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luxury goods and that the standards are wide in the distinction between distribution channels.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find out whether imported luxury brands are actually related to store attributes and loyalt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department store attributes, and store loyalty. Through this, we will help establish a discriminatory introduction strategy for each department store by looking at how differentially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affect store loyalty by sub-factors of brand assets. On the other hand, the imported luxury brands to be studied are intended to set uncertain standards for existing luxury brands by selecting only brands that are currently operated mainly in major department stores in Korea. The study collected 193 answers from May 10 to June 15, 2022, and statistically process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PSS v.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e attributes perceived by consumers for major department store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hinsegae Department Store (M=5.71), Hyundai Department Store (M=5.20), and Lotte Department Store (M=4.50)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recognition, quality, and image by sub-factors of imported luxury brand assets.001), the quality and image of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were also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Lotte Department Store’s store attributes (p<.05). The effect of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on the attributes of department stores is first recognized by Shinsegae Department Store (β=.449, p<.001), images (β=.328, p<.001) Hyundai Department Store has an image (β=.321, p<.001), Quality (β=.246, p<.01)The quality of Lotte Department Store (β=.327,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department store attributes. Finally,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tore loyalty of all department stores (p<.05). 투

      • KCI등재

        신세계백화점의 새로운 도약

        최진아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4 국제경영리뷰 Vol.18 No.2

        한국의 대표적인 소매유통기업인 (주)신세계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상품구색, 그리고 이러한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독특한 기업문화와 인적자원 교육 시스템 등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해온 할인점 부문과는 달리 백화점 부문에서는 선발기업임에도 불구하고 후발업체들에 밀려 오랫동안 업계 3위에 머물러 왔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신세계백화점은 과감한 확장 전략을 펴고 있다. 강남점의 약진 을 바탕으로 본점을 확대 개장했고, 센텀시티점, 타임스퀘어점 등에 복합쇼핑몰을 신설하는 등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과거 협소한 매장에서도 높은 면적당 매출을 추구하던 신세계가, 경쟁사보다 넓은 매장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선회한 것이다. 또 다채널화를 통해 매출 증가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신세계백화점은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 사례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추구하게 된 소매업의 환경 변화와 신세계 백화점의 성장과정과 전략 및 경쟁우위 요소,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기술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mpetitive strategy of Shinsegae Inc., with the focus on the department store business. In particular, the department store's strategy and core competence were examined. Shinsegae department store ranks as number two, though it is the first entrant in department store industry. It, however, is pursuing aggressive expansion, and is now known as the ultimate 'luxury' shopping mall famous for its spacious, fashionable stores. It is known to have gained a rare success with its expert manager system among Korea's leading companies, based on its unique corporate culture, sustained efforts for innovation, differentiated services and merchandise strategy, as well as multi-channel strategy. The paper also discusses recent trends of Korean department store industry, the emergence of new businesses, and domestic expa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