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도가자의 문화재청 검증에 대한 문제점 - 조판 실험의 광곽 크기를 중심으로 -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3 No.-

        본 연구에서는 증도가자의 진위 여부를 가리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 문화재청의 조판 실험 가운데 광곽의 크기에 대한 문화재청의 주장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광곽의 크기에 대한 활자본과 번각본의 관계에 대해서 『향례합편』을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청의 수치상 조판실험 가운데 가장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조판 실험(제2차 실험 가운데, 평균 크기의 활자와 번각본의 최대 광곽 변화율이 적용된 실험)에 의거한다면 증도가자의 조판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능할 것으로 판명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향례합편』의 활자본과 번각본의 광곽 길이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는데, 활자본의 경우는 그 번각본에 비해 평균 0.52㎝가 길고, 가장 많이 긴 경우(제42장)는 0.95㎝가 길며, 가장 적게 긴 경우(제40장)는 0.15㎝가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번각본의 평균 광곽 길이를 가지고 활자본의 광곽 크기로 추정하는 문화재청의 『증도가』 활자본 광곽 크기의 추정 방식이 잘못된 것임을 증명해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sistence and question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bout the Printing Plate size in the process of the Administration’s experiment of Typesetting, which becomes important grounds for finding out the truth of Jeungdoga-type. Also, it specifically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hwaljabon and beongakbon to the Printing Plate size targeting Hyangryehappyun. The conci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proved that the Typesetting of Jeungdoga-type is not impossible but possible on the basis of the most realistic and reasonable experiment of Typesetting, which includes the average sized hwalja and the most Printing Plate rate of change in the second experiment, among the experiments of the figure from the Administration. Secondly, it is investigated that in the case of hwaljabon, it is 0.52cm longer than the beongakbon on the average, 0.95cm longer in the longest case (chapter 42), 0.15cm longer in the least long case (chapter 40) from the investigation contents about the results of the length of Printing Plate of hwaljabon and beongakbon of Hyangryehappyun.

      • KCI등재

        조직역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화재청을 대상으로

        전인석,채경진,손지은,조일형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정관리연구 Vol.14 No.3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pet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carries out the special tasks of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and preservation in South Korea, revealed the competencies necessary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ways to enhance these capabilities. The analytical data of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or the official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conclusion was made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rganizational capacity and environmental response capacit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property committee's capa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ici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profession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ion and operating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officials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ion. Second, there’s needs to be found out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in order to reinforce the capacity of member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본 연구는 조직역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재 관리 및 보존이라는 특수한 업무를 수행하는 문화재청을 사례로 하여 조직성과를 증대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밝히고 이러한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동 연구의 분석자료는 문화재청 공무원들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결과이며 회귀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조직구성원 역량과 환경대응 역량은 조직효과성과 조직효율성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문화재청 업무에서 특수한 성격을 갖는 문화재위원회 역량은 조직효과성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효율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청 조직구성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교육훈련기관 설립 및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필요성과 문화재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군부대 문화재 관리 및 보존에 관한 연구

        김태산 ( Kim Tae San ),김회동 ( Kim Hoe Dong ) 공군사관학교 2018 空士論文集 Vol.69 No.1

        본고는 현재까지의 군부대 내 문화재 현황과 군사 문화재에 대한 처리 및 관련 법령의 개선사항을 다루고 있다. 대표적인 군부대 문화재 조사에는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된 조사사업이 있다. 최전방 군부대 및 군사보호시설 내의 군사문화재를 조사대상으로 한 이 사업은 군부대 내 문화재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전 군부대 내 문화재 조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향후 지속적으로 군부대 내 문화재 목록이 최신화되어야 하며 군사문화재 발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새로운 문화재가 발견된다면, 일반 문화재일 경우 발견자는 문화재청장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보고해야 하며 군부대 내 문화재 발견 시에는 발견자를 비롯해 발견한 부대의 장은 문화재청장 및 국방부장관에게 해당 사실을 보고하여야 한다. 보고된 문화재에 대해서는 국방관련 문화재로 등록 신청 후 군사재로 지정받을 수 있다. 군문화재보호 훈령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등록문화재 또는 군사재로서의 가치 여부는 부대의 장에게 위임되어 있다. 또한 부대의 장이 문화재 관리 및 보존의 책임까지 지고 있는데, 이런 문제점들은 제도적 보완이 요구되는 사항들이다. 이외에도 군문화재보호 훈령의 문제점으로 문화재라는 대상을 중심으로 규범을 제정하면서 모든 경우를 포괄하다 보니 실제로 실행 간의 혼선이 발생할 여지가 남아 있다. 요컨대, 현실에 맞게 문화재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절차가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부대활동 간 매장문화재 발견 시 해당 경찰서장에게 7일 이내에 신고하도록 하고 국방부장관에게 즉각적으로 보고하도록 한 법규도 재고의 여지가 있다. 본고는 군부대 및 군 활동간 발견된 문화재 처리 절차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없는 현실에서 군사문화재에 관한 활발한 연구의 단초일 뿐 아니라 문화재 보존 및 처리에 대한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통일 이후 문화재 처리 절차가 반드시 필요할 것을 대비하여 군사문화재 처리에 대한 길잡이의 역할을 할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current situa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the military camps as well as the rules or regulations concerned which deal with caring of the cultural properties. During 2006 through 20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CHA) supported the research of the cultural properties in the military camps or sectors. Through this research, even approximate one could understand current situa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If military person discovered cultural property or thing expected such kind of, the person and his or her commander who is responsible for such area should report it to Minister of Defense as well as Head of CHA. Such a reported property can designate as ‘military cultural legacy’ after registering it as military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rules and regulations concerned, during such a process, it depends on the commander whether or not the discovery is cultural property or such kind of. In addition, the commander should preserve or protect such a cultural property in his or her area. Current rules and regulations concerning cultural properties are some defects. For example the regulations are too broad to cause confusions with each provision. Thus such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This paper may suggest the managerial implication concerned with preserving or protecting the military cultural properties which located military region. There is no such research dealt with this kind of problem, thus this paper will be the beginning of preserving or protecting the military cultural properties and suggest the direction how to manage the process if he or she found cultural properties or such kind of. Especially, after Unification of Korea peninsular, the measures of caring of cultural properties in North Korea area will be indispensible and this paper may help deal with such kind of problems.

      • KCI등재

        판소리의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최동현(Tong hyon Choe)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에 선정된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 정리하고자 집필되었다. 2008년 6월 무형문화유산 당사국 총회에서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협약 운영 지침’이 제정되었다. 이 지침은 총 3장으로 되어 있는바, 긴급보호목록(Urgent Safeguarding List)과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등재 절차, 기금과 국제기금, 협약에 참가한 기관 및 단체 등을 자세하게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 경위는 다음과 같다. 2000년 10월 17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정식 신청 종목 한 종목과 잠정목록 5종’을 선정하였다. 이에 앞서 ‘사단법인 유네스코 순천협회’ 이태호 회장은 2000년 7월 <건의서 - 무형문화재 구전문화(판소리), UNESCO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사업계획(안)>을 만들었다. ‘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회장 윤석길)에서도 2000년 9월 14일 ‘걸작 등록 추진에 따른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2000년 10월에는 남원에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주최하는 ‘무형문화재 보존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문화재청이 판소리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에 신청하기로 결정한 다음 전라북도는 판소리학회와 손을 잡고 사업을 진행했다.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판소리학회 회장 대행을 맡고 있던 김진영 교수가 집필위원을 구성하였다. 집필위원은 김진영 교수, 최동현 교수, 김종철 교수, 김현주 교수, 박일용 교수 등 5명으로 구성되었고, 이보형 선생이 자문을 했다. 영어 번역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생이었던 나수호(본명 Charles La Shure. 현 서울대학교 국문과 교수)에게 맡겼다. ‘관리’와 ‘실천 계획’은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에 요청해서 받은 ‘한국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과 ‘보존관리와 활용에 관한 문화재 기본 계획’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전라북도와 문화재청은 2002년 2월 6일 ‘걸작 등록신청서 작성 관련 회의’를 갖고, 신청서 및 사진첩 제작은 전라북도가 담당하고, 영상물 제작은 전라남도와 문화재청이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을 했다. 사진첩 제작은 ‘한국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가 맡았다. 영상물 제작은 KBS의 최공섭 PD가 담당했다. 문화재청과 외교통상부는 2002년 6월 14일 판소리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후보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본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은 2003년 6월 30일에 이루어질 예정이었으나 지체되어 11월 7일에야 이루어졌다. 판소리가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언된 것을 언론이나 판소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창조적인 인간 천재의 걸작으로서의 뛰어난 가치”에 주목한다. 그 결과 마치 걸작 선언이 자국문화의 상대적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조치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그런 뛰어난 가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것이 다른 문화에 대한 우월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님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how pansori was proclaimed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and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In June 2008, UNESCO’s General Assembly of the Partie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acted th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se guideline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stipulates in detail the procedures for registration, an urgent safeguarding list, and representative list; the second concerns funds and international funds; and the third chapter lists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agreement. Accordingly,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project was launched. The process for pansori was as follows. On October 17, 2000, one officially applied list and five provisional lists of Masterpieces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were selected. Prior to this, in July 2000, Lee Tae-ho, the Chairman of the UNESCO Suncheon Association, created a plan for registration of pansori as UNESCO World Heritage. On September 14, 2000, the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Chairman Yoon Seok-gil) held a “policy meeting according to the promotion of masterpiece registration.” In October 2000, a workshop hosted by the UNESCO Korean Committee was held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ft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cided to apply for the registration of pansori as a Masterpiece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Jeollabuk-do teamed up with the Pansori Society to implement the project. In order to complete the application, Professor Kim Jin-young, who was acting chairman of the Pansori Society, formed a writing committee consisting of five members: Professors Kim Jin-young, Choi Dong-hyun, Kim Jong-chul, Kim Hyun-joo, and Park Il-yong, with Lee Bo-hyung consulting. The English translation was entrusted to Na Soo-ho (real name Charles La Shure), currently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t that time a graduat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management and action plans were prepared based on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and “Basic Cultural Heritage Plan 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received upon request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Jeollabuk-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eld a meeting on February 6, 2002, where it was decided that Jeollabuk-do would be in charge of the applications and photo albums, while Jeollanam-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ould produce the videos. The photoalbums were produced by the Korean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KBS producer Choi Gong-seop was responsible for producing the video. On June 14, 2002,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ubmitted an application for pansori to be included in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proclamation was originally scheduled to take place on June 30, 2003, but it was delayed and only took place on November 7. When pansori was declared a “Masterpiece of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media and pansori lovers noted the statement of its “outstanding value as a masterpiece of creative human genius.” Furthermore, there is a tendency for a masterpiece declaration to be taken a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measure of the relative excellence of its culture. Of course, while it is true that this recognition indicates great worth,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is does not presuppose superiority over other cultures.

      • KCI등재

        무형문화재 보유단체 분열에 대한 인식(認識)의 재고(再考)를 요(要)함 -양주별산대놀이 사례 중심-

        정필섭 ( Jeon Pil-seub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 No.43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양주별산대놀이는 2010년 보유단체 구성원이 두 개로 쪼개진다. 이전시기부터 진행된 단체의 내분이 폭발한 것이다. 연구주제는 그 분열을 다룬 것이다. 연구목적은 첫째, 양주별산대놀이 분쟁의 원인ㆍ전개ㆍ일단락에 대한 기록이다. 둘째, 중재에 나선 문화재청이 취한 행정조치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이다. 셋째, 본 연구가 문화재청이 단체분쟁에 대처할 원칙수립에 기여함이다. 넷째, 본 연구가 여타 보유단체 분쟁해결의 참고 사례로 기능하길 바란다. 연구결론은 전승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유단체분쟁을 해결해야 함을 행정당국이 인식하고 원칙을 세우고 대응해 가야한다는 주장이다. 그 내용은 해제에 대한 제도구성이다. 분쟁을 다루는 것도 학문의 영역이라 여긴다. 저자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본 연구가 학문에 기여하고 사회에 기여하길 바라며 상정한다. The members of the holding group ‘YangjuByeolsandae-nori’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2010. This means that the internal groupwhich has been going on since the previous period exploded. The subject of the researchis to deal with thedisruption. The first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cord the causeㆍdeploymentㆍending of the ‘YangjuByeolsandaeTalnori’. The second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viewthe appropriateness of the administrative measures taken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in intervention. The thirdpurpose of the researc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principles to cope with group disruption. The fourth purpose of the researchis to serve as a reference to the resolution of the disruption of other preservation group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on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flict of the ownership over the group must be resolved in order to boost the overall success of the project, and must establish and respond to the principles. The content is a reconstruction of the explanation. To deal with divisions is also considered to be a field of study. The research which deals directly with the main researcher's problems is put forward in hopes of contributing to the study and contributing to society.

      • KCI등재

        미국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최선영,이승휘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9

        A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is a cultural heritage, which is also part of our history until the present. Documentation is thus considered an irreplaceable method to preserve our cultural heritage as it may be the last resort of preservation. The study analyzed the Historic American Buildings Survey (HABS) on the Heritage Documentation Programs of the National Park Servi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mparison and documenta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 implemen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specifically detailed regulations of the legal system are supposed to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documentation of modern architectural buildings. Second, it is suggested that a general plan for continuous documentation be made. Last, by setting up a collection method, an information service needs to be provided for the public. 근대건축물은 현재까지 우리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문화유산이다. 이런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록화를 들 수 있다. 기록은 보존의 마지막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근대건축물 기록화로 생산된 사진, 실측도면, 보고서 등은 일반 대중에게 근대건축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자들에게 연구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화재나 다른 재난에 대비해서 문화재 수리, 복원 자료 등으로 활용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미국 국립공원관리청의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 중 역사적 건축물 조사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문화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근대건축물 기록화에 대한 세 가지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문화재청의 근대건축물 기록화 사업은 법적인 의무로 시행되고 있지 않아 모든 근대건축물이 기록화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않다. 근대건축물 기록화가 법적인 의무로 시행될 수 있도록 법 제도의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기록화가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근대건축물의 외·내부 변경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화가 시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컬렉션 구축을 통해 일반 대중들을 위한 정보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駐美 朝鮮公使館 개설과 ‘자주외교’ 상징물 연구

        한종수(Han, Jongso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본고는 19세기말 고종의 내탕금으로 미국 워싱턴 D.C. 현지에 매입한 주미조선공사관 내외부 사진자료와 공문서 등 새롭게 발굴한 사료를 통해 당시 공사관 개설 시기를 바로잡고, 공사관 내외부 사진에서 보이는 상징물을 통해 ‘자주외교’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조선과 미국은 1882년 조미수호조약을 체결한다. 조약조항 중 특히 주목되는 조항은 제 1조의 ‘居中調整’과 2조 ‘公使級 外交官 派遣과 領事館 開設’ 조항으로, 이후 양국은 시기적으로 차이는 있지만 常駐 公使를 파견함으로써 주권국가로서 인정을 받고 ‘자주외교’를 펼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게 된 것이다. 미국은 그 이듬해인 1883년에 푸트를 초대전권공사로 파견하였으나, 조선은 淸의 방해와 경제적인 사정 등으로 4년 뒤인 1887년에서야 주미특명전권공사로 박정양을 파견하여 1888년 1월, 워싱턴 D.C.에 주미조선공사관을 최초로 개설하였다. 기존 연구는 공사관 관련 내용보다는 한미관계를 중심으로 한 외교사, 정치사, 사상사 분야에 집중되었고, 초대특명전권공사 파견과 1891년에 구입한 공사관 건물이 ‘자주외교’의 상징물로서 운영 되다가, 1905년 을사늑약,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일제에 의해 강제적으로 약탈당하고, 결국 미국인에게 팔려간 내용을 주로 다루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2012년 10월, 문화재청이 문화유산국민신탁과 협력하여 국민의 염원을 모아 재매입하여 다시 대한민국의 품으로 102년 만에 돌아오게 되었다. 이어 2013년 1월 31일자로 문화재청 산하 재단인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관리 및 위탁을 맡겨 운영하게 하였는데, 필자가 공사관 복원 및 층별 전시 계획을 수립하고, 2016년 개관 준비를 위해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수집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발굴하고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기존연구의 오류는 새롭게 바로잡고 사료를 공개함으로써 공사관 관련 연구가 더욱 확장되기를 바란다. 이에 필자는 『미국무부문서』, 『주미내거안』, 헌팅턴라이브러리 공사관 내외부 사진자료, 독립기념관 소장 사진자료 등을 기본사료로 하여 태극기, 공사관 내부 인테리어, 가구에서 보이는 상징성을 찾고, 건물 구조와 활용용도 등을 추적하였다. This paper is on the Korean legation at Washington D.C. purchased by Korean government with the privacy purse of the King Gojong. The historical meaning of opening of Korean legation will be discussed here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records which has been newly discovered such as photos of Korean legation building and official documents produced by the U.S. and Korean governments. Previous researches on Korean legation at Washington D.C. pointed out that it had been run as the core of diplomacy of Korean government as an independent nation till Korea had been deprived the sovereign right on diplomacy by the conclusion of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in 1905 since it was purchased and opened in 1891. Joseon signed Korean-American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in 1882. Article 1 and 2, which clarified the role of the U.S. on deplomatic mediation between Joseon and the third country and set up of Korean consulate and appointment of Korean minister and attaches to the US served the background of autonomous diplomacy of Joseon. The US dispatched Lucius Harwood Foote to Seoul as the first minister while the first Korean minister of Korea Park, Chung Yang was appointed in 1887 and opened its legation at Washington D.C. in 1888 due to the interference of Ching China and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governmen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ime when Korean legation at Washington D.C. was first opened should be modified from 1891 to 1889 on the basis of the documents of the U.S. department of state and photos of Korean legation building possessed by Huntington library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so,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various kinds of symbols of independent diplomacy of Korean government out of the old tributary ties to China with the support of some historical documents inside the files of foreign ministry of Joseon which had been neglected so far.

      • KCI등재

        등대유산의 가치 및 활용정책 연구 - 문화재청 및 해양수산부 등대유산을 중심으로 -

        손현기(Hyeongi Son)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3

        이 연구는 근대문화유산인 등대유산의 역사를 살피고,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건축사적 가치, 구술사적 가치, 경관적 가치, 공동체적 가치)를 해석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근대식 등대는 청일전쟁(1894-95년)을 겪으면서, 함선 운용의 필요성 때문에 시작되었다. 등대 는 역사적으로 대한제국 시기부터 서구열강, 일본 등 외국 선박이 우리영토를 출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광복 이후에는 해양을 통해 국제사회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해 주었다. 1903년 최초의 근대식 등대인 인천 팔미도등대가 건설된 이래, 120여 년의 시간 동안 등대는 항로표지시설의 기능뿐만 아니라 근대 해양건축 및 기술이 집약된 문화유산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등대유산을 보호․관리하는 주요 부처는 문화재청과 해양수산부이다. 현재 두 기관은 등대유산의 보호와 함께 지역공동체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유산 활용사업에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유산 관점에서 등대유산의 체계적이고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중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d the history of lighthouse heritage, as a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interpreted the values as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Sino-Japanese War(1894-95), Joseon Dynasty identified an urgent need for constructing and the raising of awareness in the modern lighthouses due to the necessity of fleet bases. Historically, lighthouses have been used by foreign ships such as the Western powers and Japan for the purpose of sailing our territory since the Daehan Empire(大韓帝國) Period, and after liberation, they provided a bridgehead for spreading the other countries via the sea.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modern lighthouse, Incheon Palmi Island Lighthouse, in 1903, the lighthouse has included not only the function of beacon but also the value of modern marine architecture and technology as a cultural heritage. The main authorities that safeguard the lighthouse heritage ar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Currently, The authorities are actively engaged in project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local communities along with the protection of lighthouse heritage. In addition, mid- to long-term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enable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lighthouse heritage in ter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GIS를 활용한 문화경관의 관리

        이주영,정준호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2

        The cultural landscape means complex landscape where natural landscape and human landscape are ever mixed. Management of Cultural Landscapes has a limit in terms of its mere description and cataloging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Landscape, accordingly a method spotlighted is the use of GIS.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o use the GIS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situation in the UK and Japan, whose historical․archaeological infrastructure seems to that of Korea.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utilizing GIS has the advantage in that the subject has been subdivided, but has the limits of transfer of simpl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ituations in the UK and Japan suggest that the management of the cultural landscape using GIS improved with provision of integrated information and more seamless public service. Based on this, if GIS is utilized for the management of cultural landscapes, it will be the basi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ultural landscapes and reasonable use of cultural landscapes. 문화경관이란 자연적 경관과 인문적 경관이 혼합된 복합적 경관을 뜻한다. 이러한 문화경관은 특성상 그 관리가 단순한 설명과 목록화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각광받는 방법이 바로 GIS의 활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GIS의 활용을 문화재청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역사적․고고학적 인프라가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영국과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문화재청의 GIS활용은 주제가 세분화되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단순한 문화재 정보의 전달에만 있었다는데 그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영국과 일본의 사례는 앞으로 GIS를 활용한 문화경관의 관리가 통합적인 정보 제공과 좀 더 원활한 대국민 서비스로 가야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하여 GIS를 문화경관 관리하는데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문화경관의 관리와 합리적인 문화경관의 활용의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駐美 朝鮮公使館 개설과 ‘자주외교’ 상징물 연구-공문서 및 사진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종수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This paper is on the Korean legation at Washington D.C. purchased byKorean government with the privacy purse of the King Gojong. The historicalmeaning of opening of Korean legation will be discussed here on the basisof the historical records which has been newly discovered such as photos ofKorean legation building and official documents produced by the U.S. andKorean governments. Previous researches on Korean legation at WashingtonD.C. pointed out that it had been run as the core of diplomacy of Koreangovernment as an independent nation till Korea had been deprived thesovereign right on diplomacy by the conclusion of Japan-Korea ProtectorateTreaty in 1905 since it was purchased and opened in 1891. Joseon signed Korean-American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in 1882. Article 1 and 2, which clarified the role of the U.S. on deplomatic mediationbetween Joseon and the third country and set up of Korean consulate andappointment of Korean minister and attaches to the US served the backgroundof autonomous diplomacy of Joseon. The US dispatched Lucius Harwood Foote to Seoul as the first minister while the first Korean minister of Korea Park, Chung Yang was appointedin 1887 and opened its legation at Washington D.C. in 1888 due to theinterference of Ching China and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governmen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ime when Korean legation at Washington D.C. was first opened should be modified from 1891 to 1889 on the basis of thedocuments of the U.S. department of state and photos of Korean legationbuilding possessed by Huntington library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so,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various kinds of symbols of independentdiplomacy of Korean government out of the old tributary ties to China withthe support of some historical documents inside the files of foreign ministryof Joseon which had been neglected so far. 본고는 19세기말 고종의 내탕금으로 미국 워싱턴 D.C. 현지에 매입한 주미조선공사관 내외부사진자료와 공문서 등 새롭게 발굴한 사료를 통해 당시 공사관 개설 시기를 바로잡고, 공사관 내외부 사진에서 보이는 상징물을 통해 ‘자주외교’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조선과 미국은 1882년 조미수호조약을 체결한다. 조약조항 중 특히 주목되는 조항은 제 1조의‘居中調整’과 2조 ‘公使級 外交官 派遣과 領事館 開設’ 조항으로, 이후 양국은 시기적으로 차이는 있지만 常駐 公使를 파견함으로써 주권국가로서 인정을 받고 ‘자주외교’를 펼칠 수 있는 기반을조성하게 된 것이다. 미국은 그 이듬해인 1883년에 푸트를 초대전권공사로 파견하였으나, 조선은 淸의 방해와 경제적인 사정 등으로 4년 뒤인 1887년에서야 주미특명전권공사로 박정양을 파견하여 1888년 1월,워싱턴 D.C.에 주미조선공사관을 최초로 개설하였다. 기존 연구는 공사관 관련 내용보다는 한미관계를 중심으로 한 외교사, 정치사, 사상사 분야에집중되었고, 초대특명전권공사 파견과 1891년에 구입한 공사관 건물이 ‘자주외교’의 상징물로서운영 되다가, 1905년 을사늑약,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일제에 의해 강제적으로 약탈당하고, 결국미국인에게 팔려간 내용을 주로 다루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2012년 10월, 문화재청이 문화유산국민신탁과 협력하여 국민의 염원을모아 재매입하여 다시 대한민국의 품으로 102년 만에 돌아오게 되었다. 이어 2013년 1월 31일자로 문화재청 산하 재단인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관리 및 위탁을 맡겨 운영하게 하였는데, 필자가공사관 복원 및 층별 전시 계획을 수립하고, 2016년 개관 준비를 위해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수집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발굴하고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기존연구의 오류는 새롭게 바로잡고 사료를공개함으로써 공사관 관련 연구가 더욱 확장되기를 바란다. 이에 필자는 『미국무부문서』, 『주미내거안』, 헌팅턴라이브러리 공사관 내외부 사진자료, 독립기념관 소장 사진자료 등을 기본사료로 하여 태극기, 공사관 내부 인테리어, 가구에서 보이는 상징성을 찾고, 건물 구조와 활용용도 등을 추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