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문인화 작품에 담긴 치유적 의미에 관한 고찰

        정꼬슬란(Jeoung Koseulan),최선남(Choi Sunnam)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한국의 문인화 작품의 분석을 통해 문인화를 미술치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치유적 가치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문인사대부들이 시와 글씨, 그림으로 자기표현을 촉진시켰던 사상적 배경과 작품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문인사대부들은 일상생활에서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는 것을 즐겨하며 예술을 통해 심신의 수양을 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문인화가 문인사대부들에 의해 향유되었지만 문인화를 그들의 전유물로만 볼 수 없는 것은 그들이 문인화를 통해 추구하려 했던 가치가 자기성숙을 이루기 위함 이였다. 이것이 미술치료에서 문인화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여섯 작품의 한국 문인화의 내용을 분석해서 작품에 담긴 치료적 요인을 세 가지 함의로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문인화의 창작은 자기 존재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둘째, 문인화는 그림 그리는 이의 핵심감정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게 해서 성찰을 유도하며 자신이 갖고 있는 가치관에 새로운 시각을 부여할 수 있다. 셋째, 문인화는 작품 감상을 즐기는 교류 활동으로 타인과의 소통이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치는 한국의 옛 선조들이 시서화(詩書畵)를 통해 자기 치유적 삶을 영위하고자 했던 사실을 알게 된 점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ealing value of art therapy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literary works. To this end, our study intended to interpret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work in the Chosun Dynasty, primarily by poetry, writing, and painting. The nobles of the Chosun Dynasty enjoyed drawing, poetry, and painting in their everyday lives and wanted to cultivate mind and body through art. Although Korean literary paintings were enjoyed by literary men and women, literary paintings can not be seen only as their exclusive property, the values they intended to pursue through literary painting were aimed at attaining self-maturity. This is why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literary art in art therapy.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Korean literary works of six works, we derived the therapeutic factors contained in the works and identified three implications. First, the creation of literary work can lead to self-reflection. Second, the literary art can express the key emotions of the painter in a metaphorical way, inducing reflection and giving a new perspective to the painter s own values. Third,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can be actively carried out by literary interchange activity that involves the appreciation of works. The value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reveals that the ancient ancestors of Korea tried to carry out self-healing through poetry.

      • KCI등재

        1950년대 전향자-문인의 자기서사 재구성 양상 : 김기진, 백철의 문단회고를 중심으로

        김준현 ( Kim Jun-hyu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4

        이 논문은 김기진과 백철의 자기서사를 통해서, 1950년대 문학 장의 구체적 특성 일면을 반추해보는 목표를 지닌다. 자기서사의 재구성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자기서사의 내용 자체를 알아보는 것보다는 이들이 자기서사를 구성하는 논리와 동기를 부여하였을 당시 문학 장 자체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존재하였고, 또 변화하였는지를 살피는 작업이 기도 하기 때문이다. 김기진과 백철은 ‘전향자-문인’의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카프 경력’, ‘친일 경력’, ‘해방기 때의 문건 활동 경력’ 등을 이력으로 갖고 있었다. 그리고 단독정부 수립과 한국전쟁을 거친 한국 사회의 새로운 문학 장이 형성되면서, 이러한 이력들은 해당 장의 일원으로 편입되는 데 치명적인 난점을 제공하는 문제들이었다. 이들은 1950년대에 발표된 자기서사에 해당하는 문건들 중에서 친일 경력보다는 카프 가입 및 활동의 의미를 재구축하려고 부단히 노력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1950년대 문학 장이, 그들이 그 일원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친일경력보다는 카프 경력, 혹은 좌익문인으로서의 경력을 더 문제 삼았다는 사실을 반추하도록 해 주는 사실이기도 하다. 비슷한 원리로, 그들은 해방기 문단에서 좌익 문인 중심의 ‘문건’이나, 혹은 좌우대립의 이분법적 선분을 가로지르려고 노력했던 ‘좌파’, 혹은 ‘(좌파적) 중간파’로부터 거리확보를 하였었음을 증명하는 것을 당대 문학 장에 의해 요구받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재구성된 자기서사를 통해서도, 당시 문학 장이 좌익 경력을 가진 문인들을 어떻게 취급했고, 그것의 이론적 바탕/명분은 무엇이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iniscences of Baek Cheol and Kim Ki-jin and the literary field in 1950’s. They restructured their self-narrativ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of the literary fields in each period from 1945 to 1960. So, to review the aspects of the self-narratives is a way to grasp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literary field in the times. Kim Ki-jin and Baek Cheol are major representatives of converted literary persons. They shared problematic careers to enter the literary field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like joining KAPF, practice pro-Japanese activities, and becoming a member of the left-wing literary people. They put their major efforts to restructured (or erased) the selfnarratives about careers of KAPF and the activities of left wing writer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mpared to the effort to get rid of the memories of pro-Japanese activities. By this, we can infer that the literary field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took issue with the former than the latter when literary people were trying to enter it. For similar reason, the literary people were demanded to prove that they were assure distance from left wing writers, and even from the neutrals or the independents in the liberation period. We can also find out how the memories of the left-wing and neutral literary people were dealt in the literary field in 1950’s.

      • KCI등재

        자기치유적 관점에서 본 월전 장우성의 문인화 작품연구

        정꼬슬란,최선남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5

        In this study, a total of 17 pieces of Chang, Woo Sung’s literary works were selected to see how heexpressed his a pro-Japanese painter complex through poetry, writings, paintings, and how he overcame it. These works were divided into early period-literary period, middle period-literary period and lateperiod-literary period. Key words, core feelings, and content analysis were analyzed by analyzing poetry. Inaddition to analyzing the contents, I examined the material and form of literary paintings. The integratedthemes of the early works were “eternity,” “impermanence,” 'integrity,” and “justice”. It was an attempt toequate the writer with the literary person by entrusting his mind to the material appearing in the work. The integrated themes of the middle of the works were “empathy,” 'incision,” 'jizo,” and “satire.” Therewere figurative expressions about the value of the literary people in the eyes of the world such as humanduty or the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and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 The integratedthemes of the latter part of the work were “reality satire,” “reality criticism,” and “political criticism.” Hewrote a poetry that was more controversial than reality in the middle works. As I moved from the early tothe late period, I could see that the themes of the works were shifting from the artist himself to society. 본 연구는 월전 장우성이 자신의 친일화가 컴플렉스를 어떻게 시․서․화로 표현하고 이를 극복해 나갔는지살펴보기 위해서 그의 문인화 작품 17점을 선정하였다. 이들 작품을 시대별로 초기- 문인화 입문기, 중기-문인화 정착기, 후기-문인화 원숙기로 나누어 화제(畵題)를 해석하여 핵심어와 핵심감정,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과 함께 문인화의 재료와 형식도 함께 살펴보았다. 초기 작품들의 통합된 주제는 ‘영원성’, ‘결벽함’, ‘고결함’,‘정의감’ 이였다. 작가가 작품에 등장하는 소재에 자신의 마음을 의탁하고 문인과 자신을 동일시 하려는 시도였다. 작품 중기의 통합된 주제는 ‘측은지심’, ‘절개’, ‘지조’, ‘풍자’ 였다. 인간의 도리나 삼강오륜과 같은 세상을바라보는 시선에서 문인들이 지켜야 할 가치에 대한 비유적 표현들이 나타났다. 작품 후기의 통합된 주제는‘현실풍자’, ‘현실 비판’, ‘정치비판’이다. 작품 중기에 비해 더 현실비판성이 짖은 화제(畵題)가 등장한다.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차츰 작품의 주제가 작가자신에서 사회로 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마음의 도자기[心磁]’ : 동양 문인자기(文人磁器)에 대한 철학적 고찰 - 주자학의 성즉리(性卽理)와 양명학의 심즉리(心卽理)를 중심으로-

        조민환 ( Jo Min-hwan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4

        본 연구는 도자기를 단순 실용적 차원의 기물이 아니고 동양 문인들의 철학과 미학이 표현된 기물이라 점에서 '마음이 표현된 도자기[心磁]'라고 규정한다. 이같은 ‘심자[心磁]’로서 도자기는 그것이 제작된 시기의 정치적 상황뿐만 아니라 제작을 요구한 지배층의 철학적 사유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시대 상황에 따른 도자기의 변모를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동양의 문화와 철학의 변천과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고는 특히 청대 구왈수(裘曰修)가 “도자기라는 기물로써 그 시대에 정치가 어떻게 행해졌는지를 안다[因器以知政]”라고 말한 것에 주목하였다. 도자기는 후원세력과 재정적인 지원 여부가 자기의 품질과 양식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어떤 미술작품보다 그 시대의 정치, 경제, 문화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도자기의 색이나 문양 등은 철학의 변천 및 한 시대에 영향을 끼친 철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당대 당삼채(唐三彩)는 성당(盛唐)시대의 화려함과 풍요로움을 상징하고, 송대 백자는 ‘성즉리(性卽理)’를 중심으로 한 주자학의 득세와 관련이 있고, 명대의 다양한 문양과 색채가 운용된 풍성한 도자기[五彩磁器, 赤繪磁器]들은 ‘심즉리(心卽理)’를 강조하는 양명학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처럼 미시적 관점에서 살펴본 중국과 한국에서 유행한 도자기는 생필품이란 차원을 넘어 한 시대의 정치적 상황이나 철학 사유의 변천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문자기(人文磁器)’, ‘인문기물(人文器物)’ 및 ‘심자(心磁)’ 차원의 도자기’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선조의 경우 백자에 대한 극심한 사랑은 이런 점이 더욱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조선조의 이같은 백자중심주의를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면 삐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말하는 일종의 ‘구별짓기’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considers Oriental literary porcelain not merely a practical object. Oriental literary porcelain is defined as ‘a porcelain with an expression of heart’. In that it is an artifact that expresses the philosophy and aesthetics of oriental literary porcelain. This ‘heart-expressed porcelain’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it was produced, as well as the philosophical reasons of the ruling class that demanded it to be produced. In this regard, this school sought to examine the changes and trends of Eastern culture and philosophy by approaching the transformation of porcelai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from a micro-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paper noted that Qiúyuēxiū say “I know how politics was practiced in those days as an object of porcelain.” Oriental literary porcelain has a lot of influence on its quality and style, whether it is supported by sponsors or financially.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o reflect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ituations of the era more comprehensively than any other artwork. For example, the white porcelain of the Song Dynasty is related to the rise of Neo-Confucianism centered on ‘nature as truth’, and the rich porcelain of various patterns and colors of the Ming Dynasty is related to YangMingPhilosophy, which emphasizes ‘heart as truth.’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we could see that the porcelain popular in China and Korea were ‘humanistic porcelain,’ ‘humanistic objects,’ and ‘heart-expressed’ porcelain, which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and changes in philosophical reasons of an era. In particular, Joseon Dynasty's extreme love for white porcelain is more strongly revealed, and if Joseon Dynasty approaches this white porcelain-centerednes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Pierre Bourdieu refers to as a kind of ‘distinction.’

      • KCI등재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聲華集』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

        서은숙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5 No.-

        본고는 그림에 제하거나 그림을 대상으로 한 題畵詩의 특성에 비추어볼 때 墨竹의 형상성이나 형상 과정이 잘 묘사될 수 있다고 여겨, 宋代 제화시를 수록한 대표적 제화시집인 聲畵集에 실린 ‘대나무’ 제화시를 통해 북송대 이후 묵죽화의 발전 양상과 그것의 도상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묵죽화 발전 양상과 그 유형을 살펴보면, 북송대에는 당시 御府에 148축의 묵죽화가 있었다고 전해질 정도로 묵죽화가 성행했다. 화면 속에 등장하는 묵죽의 모습, 즉 그림 속의 ‘도상’은 와룡처럼 누운 橫竹이나 교룡처럼 굽은 紆竹이 많이 등장하고, 특히 많은 대나무가 겨울에 서리를 맞고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송대에 오면 ‘대나무’ 도상에 대한 인식은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라는 보편적 인식과 더불어, 대나무를 자기표현의 한 수단으로 여기고 문인사대부 특유의 문인성을 표현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게 된다. 그 결과, 전업화가들이 丹靑과 形似에 몰두해 그린 대나무가 아니라 문인 사대부 즉 자신들이 ‘묵죽’을 창작하고 감상하는 것을 최고로 여겼다. 묵죽에 대한 송대 문인사대부의 애호와 관심에는,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 외에 시련에도 불요불굴하는 의지의 구현자이자, 부귀와 공명이 아니라 사회를 위해 도덕적인 책임과 문화적 과제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는 진정한 ‘문인성’의 체현자라는 인식이 그 바탕에 깔려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how bamboo paintings developed and what is the iconographical meaning of them through bamboo Ti-hua-shi(poems on paintings) found in Sheng-Hua-Ji, a leading compilation of Ti-hua-shi(poems on paintings) of Song Dynasty. Bamboo paintings give shapes in a simpler and more direct way in drawing, which means bamboo paintings reveal concretely more characteristics of Ti-hua-shi (poems on paintings). Bamboo paintings, which flourished during Northern Song Dynasty, often had the image of the dragon, specially a lying dragon or a winding dragon, which suggests a great man in obscurity. Snow-laden bamboos were also a symbol of a great man, very wise man in Confucian tradition. This shows Confucian ideal examples were embodied through bamboo paintings. Another aspect of bamboo paintings is that bamboo paintings were regarded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which identified Confucian sadaebu (scholar-officials) who advocated simplicity and austerity in their life. Contrary to professional painters, who added color and decoration to their paintings, Confucian scholars of Song Dynasty reduced color and embellishment in their bamboo paintings in black-and-white to reveal their own identity, focusing on spirituality rather than the image itself. Therefore, drawing and appreciating bamboo paintings were highly respectable pastime among the literati of Song Dynasty. In short, Bamboo paintings in Song Dynasty were not only a Confucian symbol of a wise and virtuous man but also reflected the taste of Song sadaebu class who thought of bamboo as a symbol for moral and cultural responsibility of Confucian society.

      • KCI등재

        조선후기 문인화가의 예술·철학적 특징 一考 - ‘윤두서’와 ‘조영석’을 중심으로 -

        우지연(禹知延)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7

        풍속화란 선사시대 벽화에서 시작되어 祈願의 의미로부터 일상적인 삶의 모습, 그리고 시대상과 인물의 성격 및 계층 간의 모습 등을 보여주며 당시의 다양한 생활상들을 기록하며 발전해온 그림이다. 따라서 ‘풍속화’는 기록물적인 의미에서 당시의 생활상을 확인해볼 수 있는 역사적 가치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풍속화는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쳐 발전을 거듭하며 ‘우리 것’의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표현방식으로서의 자리를 굳히게 되었으며, 18세기 후반에는 그 절정의 시기를 맞이한다. 여기에는 조선후기 사회의 변화, 즉 신흥 富民層이 등장하면서 경제적 발달과 함께 신분 계층의 변동이 일어나면서, 문예의 주도세력마저 변화의 움직임을 맞이하게 된다. 새로운 계층으로 부각하기 시작한 ‘中人’들은 ‘양반’층에 대한 신분적인 갈망과 열등감을 문화적 욕구로 승화시키면서 ‘文藝’의 방면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주었다. 그런데 이러한 대내외적 변화는 신진사대부들에게 당시 통치이념이었던 성리학의 한계와 새로운 사상으로의 갈망을 낳게 하면서, 정치와 학풍은 물론, ‘문예’를 통한 사회 전반에 새로운 변화의 조짐을 낳게 했다. 이 같은 변화들은 성리학적 기반 위에 보완ㆍ수정되며, 사실적이고 실리적인 모습으로 드러나며 신분의 귀천과 관계없는 인간 마음의 性情을 여과 없이 보여주려고 하였다. 이것은 ‘성정’의 진실성을 강조한 天機論의 관념과 더불어 人物性同論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인간 본연지성의 형태에 민중의 삶을 애민의 시선과 문예의 정감을 통하여 표현하려 하였다. 이러한 표현들은 사대부 문인들이라 할 文人畵家를 중심으로 비롯되었는데, 이들은 기존의 전통적 성향에 사실성과 현실성을 장착하여, 심미적이고 감성적인 기능을 부가시키며 일상의 소재들을 통해 인물의 표정과 동작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문예사조의 특성을 담보해내려 하였다. 예컨대, 18세기 조선후기의 대표적 文人畫家라 할 수 있는 ‘恭齋尹斗緖’의 實物과 實得하는 自己化의 창작 태도는 조선후기 회화의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는 신선함이라 하겠다. 그는 당시 사대부에게서 찾아보기 힘든 ‘인물성동론’을 바탕으로 인간주의적 감성을 문예로 표출하려 하였다. 이러한 기풍은 ‘觀我齋趙榮祏’으로 이어지며 사대부로서의 자존심과 정통성을 고수하는 가운데, ‘인물성동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개별적 가치와 존재의 순수성을 實寫같이 표현함으로써 ‘인간’ 그 자체의 가치에 대한 존중성을 폄훼하려 하지 않으려 했다. 이들의 기풍은 어쩌면 實心ㆍ實學을 추구하는 ‘實學’의기풍과도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며, 비록 조선에 양명학이 존재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인간 개별 주체의 진면목 –良知– 을 자유롭게 발휘하려는 당시의 감성적인 분위기와도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자득적ㆍ창생적인 창작의 예술적 고뇌는 훗날 조선의 근대미술 발전에도 영향을 끼쳤다. The genre painting began with prehistoric mural paintings, showing the meaning of the origin, the appearance of everyday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 the interclasses, and began to express various aspects of life at that time in a record and original way. The genre painting also has a historical value to show the images of the time in terms of historical records. Joseon, which achieved development through the Three Kingdoms and Goryeo Periods, established Joseon"s unique style of painting, which was not influenced by China, and reached its peak in the late 18th century. Due to the changes in society and econo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emergence of the newly rich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social and economic classes, and the leading forces of literature and ar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aced changes. The middle class, which emerged as a new class, is represented by cultural needs and demand for an identity craving and inferiority complex for the aristocratic class, which has made the literary and artistic world richer. In addition, these extraneous changes give rise to the limitations of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social pre-dominant ideology of the time, and the desire for new ideas, and changes in cultural phenomena, academic trends and political ideologies occur throughout society. These changes were supplemented and modifie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ism, which emphasized the truth of sexuality regardless of status, as well as practical and realistic ideas, which changed the thoughts and views of the nobility, and led to the expression of the people’s lives through literature in the form of human natural intelligence. These changes and phenomena are centered on autographers of the nobility, who are writers of the nobility, who accept the novelty of realistic reality as well as the tradition of the past, and add aesthetic and emotional functions to express and describe the details of everyday life, such as the movements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characters. For example, Gongjae Yun Du-seo, a representative autograph artist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and the creative attitude of self-painting shows a new aspect of late Joseon paintings, expressing a humanistic sensibility based on a humanistic theory that transcends identity, which is hard to find in the nobility of the nobility at that time. This humanistic sensibility led to Cho Young-seok, a government official, and while sticking to his pride and legitimacy as a master, he tried not to damage his respect for values by respecting the individual values of humans based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expressing the purity of existence as a due diligence. This self-fulfilling and creative attitude ha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 KCI우수등재

        베트남전쟁 체험 문학 연구 -1990〜2010년대 소설과 수필(수기)을 중심으로

        강소연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198

        We are in the times advocating for denuclearization and the termination of war as we pursue world peace and harmonious coexistence. Thus research on literature incorporating experiences from war may hold some positivity to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 as it reminds us the cruelty and misery of war.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ritten by Vietnam War veterans in the past three decades from the 1990s to the 2010s. The study purposefully sheds light on the less examined field of Korean war literature. Primary sources include autobiographical fiction written by 14 authors such as Kwon Oh-hyung, Kim Bum-sun, Kim Soo Hwan, Kim Chang-dong, Kim Hyun-jin, Kim Hee-sang, Moon Soo-bong, Moon Yong-duk, Seo Kyung- rim, Ahn Jeong-hyo, Lee Yoon-ki, Jung Gun-young, Jung Myung-seok, Ji yo-ha. There are also nonfiction primary sources that include essays and memoirs. Although formalism was the basic framework to thoroughly examine the texts, the author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war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nalyzing the texts. The wor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novels, essays(memoirs), and a combination of both novels and essays(memoirs). For the case of novels, there were two major characteristics. First, is the narrative that seeks for healing and peace confronting the direct and indirect trauma from war in the process of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present and past. Second, is the narrative in which the authors seek to restore humanity by representing the ideal human being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war. In the case of essays(memoirs), which the authors wrote in freestyle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war, the works shared the commonality of personal reflection through deep contemplation on war and the human. In regard to the composition, there were two types. First, is the composition that combines poetry and prose that contains the content of combat experience and the interpretation of war. Second, is a journal-type composition written in chronological order.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works that were difficult to define its genre as both non-fictional and fictional elements were interwoven. Although these writers had participated as soldiers around the similar time, the works do not necessarily follow the official records of the Vietnam War and their current perceptions are revealed differently. Therefore, these literary works are diverse, and not only do they fill the void in Korean historic war literature but also less known authors were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in a couple of works that lacked in achieving verisimilitude due to the insufficient detail and coherence in the writing. The average age of these writers who had participated in Vietnam War are in their 70s to 80s. Considering that there is not much time left for them to present their war experiences as literary works, this study holds meaning as a mid-survey study on war literature of the Vietnam War generation. It will serve as a concrete basis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the Vietnam War and the process of the writers’ changing consciousness. 전 세계가 공존과 화합을 위해 비핵화, 종전(終戰) 등을 논의해 가는 시대적 흐름을 생각할 때, 전쟁 체험을 소재로 한 문학 연구는 전쟁의 비극성을 환기함으로써 공론의 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그래서 본고는 한국 전쟁문학사에서 후속 연구 과제로 남아 있던 범주의 작품들을 고찰하고자, 최근 30년간(1990〜2010년대) 발표된 베트남전쟁 체험 문학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참전 문인 14인(권오형, 김범선, 김수환, 김창동, 김현진, 김희상, 문수봉, 문용덕, 서경림, 안정효, 이윤기, 정건영, 정명석, 지요하)의 소설과 수필(수기, 회고록 포함) 작품을 살펴보았다. 텍스트에 충실한 연구를 위해 형식주의 방법으로 접근하되, 작가의 참전 이력을 참고하면서 작품을 분석하였고, 그 특징은 소설의 양상, 수필(수기)의 양상, 소설과 수필의 경계를 넘나드는 양상으로 분류되었다. 소설의 양상은 두 가지로, 첫 번째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전쟁이 직간접적으로 남긴 상처들을 마주함으로써 치유를 모색하는 서사이고, 두 번째는 전쟁 당시를 재현하는 가운데 전장의 표상을 형상화함으로써 인간성 회복을 지향하는 서사이다. 수필(수기)의 양상은 개인 참전 일지를 토대로 자유로운 글쓰기를 선보이면서, 전쟁과 인간에 대한 사유를 통해 자기반성을 드러내는 것이 공통점이다. 구성 면에서 대별해 보면, 첫 번째는 전투 체험과 전쟁 해석이 담긴 산문에다 시를 섞은 구성이고, 두 번째는 시간(날짜) 순으로 서술한 일기식 구성이다. 한편, 논픽션과 픽션이 섞여 하나의 장르로 규정하기 어려운 작품들도 있었다. 모두 비슷한 시기에 군인으로 참전했던 작가들이지만, 베트남전쟁의 공식 기억에 전적으로 기대지 않고 현재적 인식은 각기 다르게 표출한다. 그만큼 다양한 문학적 성과물로 이어졌고, 이는 한국문학사에서 전쟁문학 부문의 빈자리를 채울 뿐 아니라 그동안 크게 알려지지 않았던 작가들까지 발굴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몇 작품이 문학적 재구성의 미흡함으로 인해 작품의 완성도 면에서 아쉬움을 남긴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베트남전 참전 세대 작가군의 현재 평균 연령을 70〜80대로 어림잡아 볼 때, 직접 체험을 서술하여 문학적 성과로 내놓을 수 있는 기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베트남전 참전 세대의 전쟁문학을 문학사적으로 체계화하는 데 있어 중반기 결산의 의의가 있다. 시대에 따른 베트남전쟁의 재현 방식과 작가 의식의 변모 과정을 고찰하는 데 구체적인 근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조위의 <만분가>에 나타난 원통함과 그 치유 맥락

        강미정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3 No.-

        Jo Wi’s <Manbunga> is the important work - relation with Muosahwa which is the historical event in Joseon(朝鮮) Period - had influence on the Exile Gasa [流配歌辭]] in the Late Joseon(朝鮮) Period. Specially, This article focus on the healing context buried <Manbunga>. So, I made sure that <Manbunga> is the work which is suggesting the epic aggressively and abreacting resentment. The healing object of <Manbuga> is the writer himself. In other words, Through <Manbuga>, Jo Wi expressed his epic of self that was united inside of him. <Manbuga> also have the second healing point targeting on the Sarimpa Literati's who walked in the same paths with Jo Wi. Because <Manbuga> also contains the text that he reveres their memories. In this regard, <Manbuga> is the healing work of individuals, groups, Jo Wi and Sarimpa which was belong to, by revealing the resentment and overcoming it. Furthemore, The expansion of the epic of chagrin into individuals and groups is the expansion of epic of self in the literary therapeutic context. 조위의 <만분가(萬憤歌)>는 조선조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관련된 유배가사이면서, 조선후기 유배가사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작품이다. 이 글은 <만분가>에 나타난 원(怨)에 집중하면서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치유의 맥락을 살펴보는 데 역점을 두었다. 그에 따라 <만분가>는 원(怨)에 대한 서사를 적극적으로 풀어내면서 원(怨)을 소산시키는 작품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만분가>의 첫 번째 치유대상은 작가 자신이라 할 수 있다. 즉, 작 가인 조위는 <만분가>를 통하여 자신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자기서사를 표출했던 것이다. 또한 <만분가>에는 자신과 같은 길을 걸었던 사림파 문인들에 대한 위무의 목소리도 담겨 있었음을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

        외래 도서가 한국한문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의 탐색 귀유광(歸有光)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식과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

        윤지훈 ( Ji Hun Yoo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6

        This paper examined literary person Kuei YuKang(歸有光) of Ming Dynasty. He influenced literary person of acception and self-acceptance in lat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found that Joseon literary person widely read to Kuei YuKang(歸有光) of anthology in late Joseon dynasty. Specially, literature review show that Joseon of literary person leave behind record, like Li Panlong(李攀龍) and Wang Shihchen(王世貞), thoes were opposed Kuei YuKang(歸有光). Second, assessment of his the sentence was more openly reviewed. Also, It was mentioned writing Kuei YuKang(歸有光) that related to the compilation system and writings, Suseo(壽序), female of chastity, example sentence pronunciation of listening. Kim Taek-Young(金澤榮 was demonstrated that China books were partially influenced to literary person in late Joseon. They prefer to build their literary theory and logic to accomplish for literature achievement.

      • KCI등재

        김남천의 <1945년 8.15> 연구

        김한식(Han Sik K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01 현대소설연구 Vol.- No.15

        Kim Nam-Chun`s <8.15 in the Year of 1945> is the work that shows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imits of the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of Korea. The perspectives to assess this novel are two: one is that this work covered a kind of sensitive issue of the same age and was published planned in the newspaper in a two months after liberation, the other is that the structure and the character composition of this work are similar to those of <The Aquarium of a Love> published before liberation. <8.15 in the Year of 1945> can be compared with <The Aquarium of a Love>, the work of the late 1930s in many ways. The story of <8.15 in the Year of 1945> is a sort of subsequent event of <The Aquarium of a Love>, but the composition of character and the theme of <8.15 in the Year of 1945> deny <The Aquarium of a Love>. Especially, ``Kim Kyang-Ho`` who was depicted positively in the former work was described as a negative character in the latter work. Positive characters in the <8.15 in the Year of 1945> are workers or the intellectuals who try to transfer to be workers. In this point, this novel tends to back to the content of proletarian literature in the early 1930s. comes to be bigger than that of objectivity in <8.15 in the Year of 1945>. This novel`s inclination tends to not the critical judgement to the real but the political positivism to the future. Moreover, it fails to catch a kind of humanity which the only literature can see and a minute texture of a re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