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불교미술의 주제 《雙神變의 기적》에 대한 고찰 -‘쌍신변’에 대한 아비담마적 해석을 중심으로-

        강소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9 No.-

        본 논고는 초기 불교미술의 주요 주제 중에 하나인 《쌍신변의 기적》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고찰을 목표로 한다. 쌍신변의 기적 또는 쌍신변의 신통은한 찰나에 두 가지 모습(물과 불)으로 몸을 나투는 신변으로, 신통 자체에 있어해석의 난해함으로 인해 종교적 측면 또는 미술사학적 측면에서 거의 다루어진 바가 없었다. 더욱이 이러한 신통은 단순한 논리적 추론이나 문자적 해석을 넘어 어느 정도 수행적 측면의 종교적 체험이 바탕이 되어야 비로소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신통의 표면적인 역사적 차원의 언급과 해당 작품의 피상적인 형태적 거론을 넘어 본 논고에서는 쌍신변의 기적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연구를 초기 불전인 니까야 경전의 전거를 통해 진행하였다. 먼저사위성에서 석가모니 붓다가 쌍신변의 기적을 행하게 된 연유와 배경을 소개하고, 그 모습이 집중적으로 조형화된 초기불교미술 시대의 대표적 작례를 통해 형식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사위성의 기적(신통 또는 신변)〉 또는 〈망고나무 아래의 기적〉 등으로 불리는 무불상 시대에서부터 간다라 양식 작품에 이르기까지의 수작을 선별하여 실제 붓다 재세 당시 일어난 기적이 어떻게 조형적으로 구현되었는지 상세히 분석하였다. 물과 불의 방사의 기적에서 다시 분신(分身)의 기적으로 이어지는 신통이, 이것이 추후 천불화현이라는 조형적 전통으로 계승되는 원류임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어째서 붓다의 쌍신변과 분신의 기적이 ‘능가할 수 없는 최고의 신통’으로 칭해지는지, 심(心) 찰나의 특성을 들어 아비담마적인 도상해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쌍신변의 기적이 불교 포교와 전법에 어떠한 정점을 찍었는지, 또 붓다의 교화에 있어 아비담마적 설법으로의 전환에 있어 어떠한 상징적 계기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을 조형화한 미술 작품이 어떠한 도상학적 상징과 의미를 내포하는 지를 논하였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e miracle of Yamaka-pāṭihāriya’ and the meaning of the form and iconography embodied in 《the Miracle of Yamaka-pāṭihāriya》 in early Buddhist art. First, by examining the conflict with the six non-Buddhist teachers (cha-tīrthikaⓢ, cha-titthiyāⓟ) of Shavrasti and the background of the Buddha’s miracles, the Buddha’s miracles played a key role in making Shavrasti a part of Buddhist propagation. Next, works depicting miracles (〈Great Miracle at Shavrasti〉, 〈Miracle of the Mango Tre e , or Mango Tre e Miracle〉, 〈Miracle of Buddha〉, etc.) range from reliefs of the Sanchi Stupa of the non-Buddha era to Gandhara art,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art were discussed. In the era of non-Buddha, only the mango tree (the place where miracles were performed) and the Diamond Pedestal symbolized the existence of Buddha and miracles. In Gandhara works, it was implemented in the miraculous elements of water and fire appearing together with the image of Buddha as a nirmanakaya. Next, it was studied that the ‘mystical power of self-replication’ performed following the miracle of Yamaka-pāṭihāriya led to the formative tradi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a thousand Buddhas(千佛化現)’, starting with the relief of the Ajanta caves. Lastly, the Iconographical Anaylsis of Yamaka-pāṭihāriya’s miracles was examined based on the sources such as 『Dhammapada』, 『Dhammapada Aṭṭhakathā』 『Buddhacharita』, 『Mahapadana sutta』, and 『Milinda-pangha』. Finally, as to why ‘Yamaka-pāṭihāriya’, which means ‘existed as two Kasiṇa, water and fire at one time’, is a ‘mysterious supernatural power’ or ‘the highest supernatural power that cannot be surpassed’, the momentary characteristics of the mind (心) as in abhidhamma aspect were discussed.

      • KCI등재

        패션 리테일 샵의 실내디자인 表現傾向에 관한 연구

        강소연,김형우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3

        The modern fashion shop diversifies with the change of fashion trends. And as interior design individualized, the functions of space, which reflect sensual and individual images, are also required beyond the space for sale.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interior design and fashion among all the many formative style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o review expressive trends in interior design. Focus was placed on three flagship stores (Giorgio Armani, Prada Epicenter, and Louis Vuitton), which was part of a huge and innovative fashion strategy from late 1999 to 2003, when the characteristics of a fashion retail shop and fashion brand started to become more distinct than ever. Under the categories of retail, brand identity, and cultural marketing, expressive trends in interior design were examined in simplicity and repetitiveness (geometric), extreme contrasts of space (opened and closed), and immateriality of materials. Entering the twenty-first century, minimalism was added, and the trends started to follow deconstruction, landscape, and hybrid, which were characterized by spatial differences (de-phenomena), dynamics (continuity), and connectedness (interior and exterior space). The significance of interior space in fashion is part of the fashion designer's process and completed work. It's the task of an interior designer to understand his own world of arts and reflect his world into the space. Architectural elements become the means of effective communication in fashion, and architecture offers a sense of presence to aesthetic expressions. This study's results will help develop mutually dependent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architecture and fashion.

      • KCI등재

        현대 상업건축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

        강소연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1

        The skin of contemporary commercial architecture forms a fluidic space which goes beyond an image expression of a subject and it is reflecting the brand philosophy of flagship stor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deriv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kin designs which form a symbolic space of flagship stores This study sets and analyzes cases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eared on the skin designs of flagship stores in Korea which depict the reputation and unique value of each brand i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s seek the change of various space by attempting transparency, semi-transparency and reflexibility. second, the skin designs maximize space by successively connecting different materials in fashion and cosmetic space as diversifying interior and exteriors with non-material property and the designs emphasis the symbolization of forms that unify the structure and the exterior lastly, the skin designs form the deep, yet fluidic flow of space through the change of light and reflect silhouette images by generating multi-layered skin designs In conclusion, skin designs express a differentiated relational formation in various visual-perceptual space areas and they realize a new space that share and relate brand philosophy in flagship stores and architectural space beyond the meaning of a skin form. 현대 상업건축의 외피는 이미지 표현의 대상을 넘어 유동적인 공간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철학을 외피디자인에 투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상징적인 공간을 형상화하는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유형화하여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의 명성과 독창적인 가치를 공간화하여 다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국내 플래그쉽 스토어 외피디자인에 나타난 표현특성의 사례대상을 중심으로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설정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브랜드 사례대상을 중심으로 나타난 결과는 첫째, 경계공간이 확장된 외피디자인을 통하여 투명성과 반투명성, 반사성을 주로 시도하여 다양한 공간감의 변화를 의도하고 있었다. 둘째, 비물질적인 물성으로 내. 외부를 다변화시키며 패션과 코스메틱 공간에 상이한 재료의 외피가 연속적으로 결합되고 있었다. 또한 공간의 영역을 극대화하고 구조와 외피가 일체화되는 형태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다층적 외피디자인의 생성으로 실루엣 이미지를 투영하고 빛의 변화에 따라 깊이 있는 유동적인 공간의 흐름을 형상화 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은 다양한 시지각적 공간영역의 차별화된 관계형성의 표현이며, 외피 형태의 의미를 넘어 플래그쉽 스토어와 건축공간에 브랜드 철학을 공유하고 상호연계하는 새로운 공간을 실현하고 있었다.

      • KCI등재

        Reproductive Life Span and Severe Hypoglycemia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강소연,박용문,권동진,CHUNG YOUN JEE,남궁정,Han Kyung-do,고승현 대한당뇨병학회 202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6 No.4

        Background: Estrogen promotes glucose homeostasis, enhances insulin sensitivity, and maintains counterregulatory responses in recurrent hypoglycemia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might be more vulnerable to severe hypoglycemia (SH) event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oductive factors and SH occurrence in T2DM remains unelucidated.Methods: This study included data on 181,263 women with postmenopausal T2DM who participated in a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09, obtained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database. Outcome data were obtained until December 31, 2018. Associations between reproductive factors and SH incidence were assess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Results: During the mean follow-up of 7.9 years, 11,279 (6.22%) postmenopausal women with T2DM experienced SH episodes. A longer reproductive life span (RLS) (≥40 years) was associated with a lower SH risk compared to a shorter RLS (<30 years) (adjusted hazard ratio [HR], 0.74; 95% confidence interval [CI], 0.69 to 0.80; P for trend <0.001) after multivariable adjustment. SH risk decreased with every 5-year increment of RLS (with <30 years as a reference [adjusted HR, 0.91; 95% CI, 0.86 to 0.95; <i>P</i>=0.0001 for 30−34 years], [adjusted HR, 0.80; 95% CI, 0.76 to 0.84; <i>P</i><0.001 for 35−39 years], [adjusted HR, 0.74; 95% CI, 0.68 to 0.81; <i>P</i><0.001 for ≥40 years]). The use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was associated with a lower SH risk than HRT nonuse.Conclusion: Extended exposure to endogenous ovarian hormone during lifetime may decrease the number of SH events in women with T2DM after menop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