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지털미디어 속성 결합에 의한 광고매체 연구: 미디어보드를 중심으로

        안희진,오영재 한국영상학회 201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0 No.2

        본 논문은 디지털미디어가 발전함에 따라 끊임없이 다양해지고 있는 디지털미디어의 속성 결합에 대해 주 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디지털미디어는 현대에 이르러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으며, 콘텐츠를 수용하 는 범위 또한 탄력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이러한 증대는 새로운 광고매체가 증가되고 있 다는 사실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각 매체들은 그 활용성에 대한 다양한 속성을 지니게 되며, 그 속성들이 다시 결합하여 새로운 디지털미디어를 탄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탄생한 매체들은 또 다른 속성 들의 결합으로 계속해서 재탄생을 끊임없이 되풀이 하며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디지털미디어가 발전 하여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세분화됨에 따라 미디어에 노출할 수 있는 광고 또한 세분화된 타깃팅이 가 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이미지 송출이 가능한 미디어보드에 초점을 맞추어 디지털미디어의 여러 속성들과의 결합을 통해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보드를 제안하여 보고자 한다. 광고매 체로서의 또 다른 활용방법과 그 효과에 관한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하여 앞으로의 광고매체 개발에 대한 의미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감성디자인을 활용한 광고 콘텐츠 사례분석 연구

        조희경(Cho, He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디지털 미디어는 현대의 소비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소비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으며,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상 소비자들은 과거의 일방적이고 수동적인 소비경험에서 벗어나 소비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경험해보고 감성을 자극받을 수 있는 ‘감성소비경험’을 원하게 되었다. 따라서 브랜드는 소비자들에게 광고를 통해 감성적으로 다가가야 하며 보다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야 하는 환경에 놓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광고 콘텐츠 개발 전략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에서 소비자의 니즈를 빠르게 파악하여 활용 가능한 감성디자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그 전략을 제시하는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문헌중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 패러다임, 디지털 미디어 광고, 감성디자인 이해와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감성디자인 요소인 감각적(Sensible), 기능적(Functional), 문화적(Cultural)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례분석 시 디지털 미디어에서 2019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았던 광고인 코카콜라 광고와 LG TROMM 트윈워시 세탁기 광고를 선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사례는 인간이 본능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브랜드에 대하여 느끼는 본능적인 느낌 혹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감각적 요소와 소비자 개인의 전체적인 환경과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되어 감성소비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화적 요소는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었으나, 코카콜라 광고는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서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으로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브랜드와 소비자가 다양한 감성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기능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LG 트롬 트윈워시 세탁기 광고는 이러한 점이 다소 부족하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주목을 받았던 광고 두 가지 사례를 기준으로 분석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코카콜라와 같이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서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고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브랜드의 메시지를 통하여 현대 소비사회의 트렌드와 미디어 환경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소비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브랜드 메시지 제공이 성공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Digital media has created an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more diverse consumer’s experiences to modern consumer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consumers want to ‘experience of emotional consumption’ that they can actively experience and stimulate their emotions from the past unilateral and passive consumption experiences. Therefore, the brand is in an environment in which consumers have to approach emotionally with advertisements and provide a more diverse experiences.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motional design that can quickly grasp the consumer’s needs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media as the advertising contents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the emotional design, and to present the strategy. The research method examined the digital media paradigm, digital media advertising, emotional design understanding and elements through a literature-based theoretical review. Based on this, the emotional design elements, Sensible, Functional, and Cultural sentiment, were derived. In the case analysis, I selected and analyzed Coca-Cola advertisement and LG TROM Twin Wash washing machine advertisement, which were the consumers’ attention in digital media 2019 through 2020. As a result, in both cases, there was a sensory element corresponding to an instinctive feeling or image about a brand in which human beings are born with instinct. And also as the image of the overall environment and brand of the individual consumers appeared in a complex way, cultural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emotional consumption experience were included in common. Coca-Cola advertisements have functional elements that enable consumers to participate actively and enable various contextual interactions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through the use of various digital media beyond the boundaries of online and offline. But the LG TROM Twin Wash washing machine Ads are somewhat lacking.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wo cases of advertisements that attracted attention from consumers, the brand message that can actively utilize digital media and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such as Coca-Cola,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online and offline. Providing a brand message that properly reflects the trend and media environment and stimulates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emotion of consumers can be seen as a success factor.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PPL 광고와 마케팅 전략

        노찬숙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4

        With an endless spectrum of channels coming into play in today’s complex world of marketing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arketers often find themselves reeling under the pressure of which one to choose. There’s digital in general, mobile marketing and how our omnipresent devices are changing everything about marketing. Because of these rapid changes in technical aspect of marketing, the advertisement in general is also affected by the technical bombardment of changes. The biggest change in advertising in this age of digital media is a form of advertising markets around the Internet and mobile networks. Digital media advertising has been able to take advantage of high-resolution, high-speed realtime streaming services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multi-platform technology. This trend of converging marketing strategy and technology is developing very fast. One of the better digital media advertising methods is PPL, pay per lead, which is a process wherein an affiliates are paid for the pieces of information that are being referred to a company or a web site. In this study, we review PPL advertising process in order to have the proper marketing strategy in the digital media age. First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for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and changes in marketing due to the remarkable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s, as well as contents marketing in the digital media age. Also we look at the cases of the PPL advertising practices currently being done in the digital media. And finally we discuss the future of PPL advertising in terms of the suitability and applicability in digital media.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미디어의 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다양한 방법의 마케팅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첨단 기술의 발달은 마케팅의 방식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그로 인해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의 방식 또한 변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광고의 가장 큰 변화는 인터넷과 모바일을 중심으로 하는 광고시장의 형성이다. 디지털 미디어 광고는 멀티 플랫폼(multi platform)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보다 고화질이며 빠른 속도의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마케팅과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융합 현상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가장 적절한 광고 형식 중의 하나인 PPL 광고는 클릭을 통해 방문자가 그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어떤 행동을 수행하였을 때 광고비를 지불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 위해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광고 방법 중의 하나인 PPL 광고에 대해 고찰하여 본다. 먼저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를 위한 미디어의 특징과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한 마케팅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 시대 콘텐츠 마케팅에 관해 알아본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에서 나타나고 있는 PPL 광고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앞으로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PPL 광고의 적합성과 적용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와 AI 미디어 파사드 광고 효과 - 주목성, 다양성, 몰입성과 브랜드 태도를 중심으로 -

        이미숙,전효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3

        Backgrou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de a difference in the advertising field. As AI-equipped media advertisements of products appeared, the consumer's reaction was curios and interest. We thought that the consumer's reaction to the existing digital media facade and AI media facade advertisements would differ in immersion, attention, and brand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analyze the attention, diversity, immersion, and brand attitude of advertising evaluation factors for digital media facades and AI media facades through consumer surveys. Methods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and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prior studies. By selecting the general people who live in the city of G, are interested in automobiles, and commute to and from their cars, survey was conducted after watching the video. For data proces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independent medi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the advertising effects of the digital media and AI media facades were verified.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attention, diversity, immersion, and brand attitude between the digital media facade and the AI ​​media facade and the AI ​​media facades were all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digital media facades. In particular, the immersiveness and cognitive attitude showed that the AI ​​media facade had a much greater effect than the digital media facade. Conclusion Validation of consumer attitudes toward both types of advertising will help i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advertising strategies and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lso considered to be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verify the advertising evaluation factors for the AI ​​media facade.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은 광고 분야에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AI를 탑재한 제품의 미디어 광고들이 등장하면서 소비자의 반응은 호기심과 관심으로 나타났다. 기존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 광고와 AI 미디어 파사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몰입성과 주목성 그리고 브랜드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설문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와 AI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광고 평가요인으로 주목성, 다양성, 몰입성, 브랜드 태도에 대해 검증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가설을 설정한다. 설문은 G시 지역에 거주하고 자동차에 관심이 많으며 자차로 출퇴근하는 일반인을 선정하여 동영상을 관람하게 한 후 조사를 실시한다. 자료의 처리는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가설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와 AI 미디어 파사드의 광고 효과에 대해 검증한다. 연구 결과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와 AI 미디어 파사드 간의 주목성, 다양성, 몰입성, 그리고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으며 AI 미디어 파사드의 수치가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의 수치보다 통계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몰입성과 인지적 요소는 AI 미디어 파사드가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보다 훨씬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두 유형의 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의 검증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적절한 광고전략의 선택과 소비자 행동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AI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광고 평가요인의 검증을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 공공장소의 DIGITAL OOH Media의 수용자 태도 연구 -공공시설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중심으로-

        안희진 ( Hee Jin An ),박승배 ( Seung Bae Park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0 No.-

        현대는 지금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변화하는 과도기를 맞이하고 있다. 과거의 기존 ATL광고, 즉 매스미디어라 불리는 4대 매체광고는 점차 그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으며, BTL광고의 점유율이 탄력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BTL광고들의 디지털화로 인해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매체의 커뮤니케이션 수용 태도가 변화했다고 말 할 수 있다. 옥외 광고매체라 불리는 OOH Media(Out Of Home Media)는 이러한 BTL광고 매체의 한 범주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과거 평면인쇄형 광고매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용으로 다양한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가 수용이 가능해졌으며, 터치패널 도입으로 인해 수용자들과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 짐에 따라 매체의 사용빈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했다. 이러한 Digital OOH Media의 디지털화는 광고의 외부적 확장을 일으켰고, 소비자와의 접점을 증가시키는 촉매역할을 톡톡히 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옥외 광고매체가 현대를 살아가는 수용자가 커뮤니케이션을 이루는 데에 있어서, 광고매체로서 해당 미디어가 가지는 수용자의 매체태도를 분석하여 디지털 옥외 광고매체의 현시점과 발전방향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The contemporary period is a transition period from an analogue era to a digital era. The share of the existing ATL advertisement, in other words, 4th generation media advertising called a mass media, is gradually decreasing. The share of BTL advertisement is increasing. Due to a digitalization of BTL advertisements, the ways of communicating with customer become diverse, and acceptance attitude of media`s communication is changed. One category of BTL advertisement media includes OOH Media (Out Of Home Media) which is called as an outdoor advertising media. Due to the application of display panel, acceptance of diverse images and media contents from advertising media of flat screen type in the past becomes possible. Due to introduction of touch panel, two-way communication with recipient becomes possible, and the use frequency of media is gradually increased. Digitalization of this Digital OOH Media causes an external expansion of advertisement, and acts as a catalyst of increasing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customer. In a communication between a recipient lived in the modern times and digital outdoor advertising media, this research analyzes the media attitude of recipient which is possessed by a relevant media as an advertising media, and studies the digital outdoor advertising media`s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 KCI등재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PR 산업의 성장 전략 연구 광고PR 전문가 대상의 FGI, MDS 및 IPA 매트릭스 분석을 중심으로

        유승철,정광희,임다영 한국PR학회 2020 PR연구 Vol.24 No.5

        Objectives: The importance of digital signage, as well as commercial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PR) channels, has been increasing as a public communication tool. In particular, digital signage is being transformed into smart advertising media in line with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conducted an offline and online survey of 52 experts in the digital media industry to assess current issues in the domestic digital signage media industry and explore future growth strategies. Methods: Specifically, we analyzed how practitioners perception towards digital signage compared to other competing types of advertising media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alysis and assessed the competitiveness of digital signage media as an AD/PR tool. Then, we analyzed the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status of the specific areas of digital signage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At the end of the study, we presented R&D strategies and policy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signage media industry. Conclusions: To become an attractive advertising/PR media option in recognition of media experts, strategic marketing, and policy efforts for industrial development must be accompanied in the digital signage domai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study in the digital signage research area. 배경 및 목적: 인공지능(AI)과 사물 인터넷(IoT)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는상업 및 비상업 커뮤니케이션을 어우르는 광고PR 미디어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광고PR 산업의 현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미래 성장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 광고PR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접과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방법: 광고PR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 면접(FGI)을 통해 본 설문 조사에 필요한 질문 유목들을 도출했다. 본 설문에서는 다차원 척도법(MDS: Multidimensional Scaling)을 활용해 전문가들이 전통 및 디지털미디어를 포함한 경쟁 광고PR 미디어 대비 디지털 사이니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했다. 또, 광고PR 효과 측면에서 타 매체 대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시각화하고 군집 분석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종합했다. 다음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련 연구 개발(R&D) 세부 영역에 대해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중요도-만족도 평가를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중요도ᐨ만족도 분석(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을 통해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의 성장을 위한 향후 연구 개발 세부영역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했다. 결과: 광고PR 분야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현재 위치를 진단하고 연구 개발 방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PR 산업의 성장을 위한 연구 개발 전략과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논의 및 결론: 디지털 사이니지가 미디어 전문가들의 인식 속에서 매력적인 광고PR 선택지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전략적 마케팅과 동시에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디지털 사이니지 연구영역에서 신선한 자극이 되어 후속 연구에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후보

        OOH 광고 미디어로서의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철수(Chul-Soo Moon)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형태의 OOH 미디어가 새로운 광고 매체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특성과 유형 등을 탐색해 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새로운 광고 미디어 뿐 아니라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서, 더 나아가 새로운 문화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국내외적으로 시현되고 있는 주요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물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사이니지가 새로운 광고매체로 주목받을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한 멀티 미디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 특정 장소와 시간에 따라 단말기별로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 수용자와의 상호 접촉성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향후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송출 방식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표준 마련, 광고효과 측정 방법의 개발, 주위 환경과 경관에 대한 배려 및 법규 준수 등을 꼽을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옥외 환경 개선 및 총체적인 도시 미관을 염두에 둔 한국적 현실을 감안한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방안 전략 수립에 대한 제안을 담고 있다. This research has been studi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digital signage on OOH media as a new advertising media which is consolidating its position recently. Digital signage is spotlighted throughout the world not only as new advertising media but also as new marketing tools, furthermore as new culture means. To explore these conditions, the case study has been analyzed on major digital signage advertisements which manifested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As a result, the primary factors of digital signage as a new advertising media are practical uses of various multimedia technologies, ability to control the specific time and place by each terminals, and interactivity with users. On the other hand, some points of view which need to be improved for the future are preparation of technical standards on transmission method, development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considera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sceneries, and compliance with legal require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offering strategies of digital signage operating plans considering situations of Korean reality of outdoor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overall urban beautification.

      • KCI등재

        TV광고와 디지털 광고가 만났을 때: 크로스 미디어 광고 효과와 다중매체 이용도에 따른 광고 효과

        권예지,이희준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of different media type (digital media vs. TV) based on consumers' multi-media usage. 800 respondents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advertisement groups according to the media typesand the number of ads they wat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tends to be higher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TV and digital advertisements simultaneously. Only the group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group 2, 3, 4 was found in the post-hoc analysis. In the execution of cross-media by traditional media and digital media, "multimedia usage" has beenfound to be a key factor of word-of-mouth intention and in building a favorable attitude towardsadvertisements.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target mutimedia users and make anadvertisement production and media planning strategy reflecting the platform characteristics ratherthan the One Source Multi Use strategy of advertisement. 이 연구는 다중매체 환경과 소비자의 다중매체 이용에 집중하여 TV와 디지털 매체 및 광고 유형별 광고 효과, 소비자의 다중매체 이용도에 따른 매체․광고 유형별 광고 효과 차이를 탐색해보고자 했다. 광고 매체와 광고 유형 노출에 따라 집단 4개(집단 1: TV 가상광고, 집단 2: TV 가상광고+TV 영상광고, 집단 3: TV 가상광고+TV 영상광고+디지털 영상광고, 집단 4: TV 가상광고+TV 영상광고+디지털 영상광고+디지털 배너광고)로 구성했다. 응답자들은 임의적으로 한 집단에 배정되어 광고에 노출된 뒤 광고 효과 문항에 응답했다. 그 결과, TV와 디지털의 다양한 광고 유형을 동시 집행했을 때 전반적으로 광고 효과가 긍정적이었으나, 사후 분석에서 집단 1과 집단 2, 3, 4 간의 차이만 나타났다. 전통매체와 디지털 미디어의 크로스미디어 집행에서 ‘다중매체 이용도’는 광고 효과 중 ‘광고 태도’와 ‘구전의도’에 핵심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분석결과들을 바탕으로 광고의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 전략보다 플랫폼 특징을 살린 광고 제작과 매체 전략, 다중매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광고 전략의 필요성을 논했다.

      • KCI등재후보

        군집분석을 통해 본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매체의 소비자 인식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기연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3 경영컨설팅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디지털 뉴미디어 광고의 하나인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물에 대한 소비자 세분 집단별 인식 유형과 고유한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베이를 근간으로 군집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디지털 옥외광고(DOOH)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는 광고, 정보, 건축 산업 등이 융합된 차세대 광고로서 최근 관련 시장이 급성장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시장이 아직 성숙화 단계에 이르지 못한 바, 학술적 관점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양적으로 축적되어 있지 못하다. 이런 이유로, MOT 마케팅 툴로서 시장 매력도가 높은 디지털 사이니지라는 뉴미디어에 관한 소비자들의 인식, 성향, 반응이나 관여도 측면에서 고찰한 실측 연구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들은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물 한 두 개의 사례에 집중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서베이 조사 기반의 소비자 군집연구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시장 세분화 및 소비자 유형 특성을 탐구하는데 초점을 준다. 연구의 결과물은 뉴미디어 광고나 서비스 마케팅에 관한 향후 연구들에게 학술적 및 산업적으로 유용한 통찰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 변화와 감성광고

        이성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human life and science also has been innovatively developed. Since the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has met the digital era and influenced the overall culture and society. Digital media technology, connected with a new trend, is also leading human living and the whole culture. This popularized digital media technology is able to give lots of changes to advertisements with the advent of emotions. The is the reason why emotion advertisements are generally accepted by the public as a means of attracting viewers' eyes in the various contents and kinds of ads administered by means of digital media. But the appraisal of advertising appeals via emotions is differently shown up to now. There are two different views: One is a negative view of selling not merchandise but emotions through exaggerated story wrapping, and the other a positive view of purchasing emotions by stimulating innate human emotions. Besides, a variety of views are also being shown. The research is to discuss the transitions and trends of advertisements, reasonal and emotional appeals, and find out the points emotion advertisements are going to aim for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methods of the research examine the basic theories and articles on emotions and emotion advertisements, and finally discuss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emotion advertisements administered in media. As a conclusion, while executing advertising by means of either reasonal or emotional appeals. the important thing is to read consumers' trend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development of stories which can stimulate consumers and appeal to them along with sales power.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through this, advertisement contents which can naturally assimilate and touch consumers by the stories should be made and then excite consumers' emotions.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삶은 많은 변화가 있었고, 과학의 발전 역시 혁신적인 발전했다. 이후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문화ㆍ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새로운 트렌드와 연관되어 인간 생활과 문화 전반을 이끌고 있다. 이렇게 대중화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광고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고, 이와 함께 대두된 것이 감성이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집행되는 다양한 내용과 종류의 광고 속에서 시청자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법으로써 감성광고는 대중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성을 통한 광고 소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그 평가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과장된 스토리의 포장으로 인해 상품이 아닌 감성을 판다는 부정적인 측면과 인간 본연의 감정을 자극하여 감성을 산다는 긍정적인 시각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고의 변화와 트렌드 그리고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에 대해 논의하고 감성광고가 지향해야 할 점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연구의 방식은 감성과 감성광고에 대해 기존 이론과 기사들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미디어 속에서 집행되는 감성광고의 사례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문제점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이성소구든 감성소구든 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트렌드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감성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판매력과 더불어 소비자의 마음을 자극해 사로잡을 수 있는 이야기의 전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토리텔링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이를 통해서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동화할 수 있고 감동할 수 있는 내용의 광고를 만들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