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 Epochs of Interaction

        Valeriy S. Khan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0 No.-

        이 논문은 다양한 역사적 시대 안에서 서양과 동양 철학의 상호작용을 다루고 있다. 그러한 시대 중의 하나가 헬레니즘 시대이다. 그리스와 동양의 문화와 정신적인 전통의 상호침투는 이 두 전통의 혼합물로서 나타나는 헬레니즘 철학 현상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4-5 세기경 동양에서 그리스 문화의 팽창은 약화하기 시작했다. 비잔티움의 기독교 교회의 고대 유산에 대한 공격 이후, 수천 명의 네스토리아교인들은 사산조 이란과 중앙아시아로 피신했으며 그곳에서 그리스 형식의 학교를 설립했다. 그 학교들의 주요 목표는 번역(그리스어를 시리아어와 피흘레비어로)과주석이었다. 서양과 동양 철학간 상호작용의 물결은 중세 시대에 약화되었으며, 이는 이슬람의 발흥과 연계된다. 아랍 칼리프조의 수도인 바그다드는 철학과 번역에 있어 가장 큰 중심이 되었으며, 그곳에서 많은 저작물들이 그리스어, 페르시아어, 시리아어 그리고 인도어에서 아랍어로 번역되었다. 중앙아시아와 이란에 새로운 독립국이 형성되던 시기였던 9세기 말은, 철학과 과학의 중심이 중동으로부터 이 지역(중앙아시아의 동부 소요학파)으로 이동했다. 이 학파의 대표적인 저작은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 내에서 폭넓게 순환되었다. 13세기, 몽골의 중앙아시아 침략 후, 과학의 중심은 이곳에서 무슬림 스페인과 북아프리카와 같은 아랍 칼리파조의 서부지역으로 이동했다 지역 사상가들의 연구는 기독교 유럽 내의 철학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곳에서, 그리스, 시리아 이란, 아랍, 중앙아시아 사상가들의 저작은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유럽인들은 유럽에서 훼손되었던 그리스의 작품들을 포함하여 철학과 과학 분야의 앞선 업적들과 친숙해질 온전한 기회를 부여 받았다. 13세기 전반기, 스페인은 아랍의 영향력으로부터 해방되었다. 그리고 곧, 유럽의 르네상스가 출현했다. 동부 소요학파는 르네상스시대 사상가들에게 알려지게 되었지만 유럽 철학은 점차 독립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 17세기에 그것은 유럽 자체의 발전에 의한 성과물로나오게된다. 동양과 서양 철학의 접촉이 재개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에 서양의 과학기술 문명이 확장히는 것과 함께 했다, 20세기, 서양 철학의 지식은 동양의 몇몇 나라들에 매우 깊이 배어들기 시작했으며, 자체의 전통적인 철학의 생존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양의 전통적인 철학 사상은 서양의 사상가들에게 또한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동양과 서양의 철학의 상호작용은 세계화의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 지점에서 이문화간의 대화는 우리에게 있어 시대적 명령이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시스템적 생명이론과 동양철학 연구 -프리초프 카프라의 학문관을 중심으로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0 철학탐구 Vol.60 No.-

        이 글의 목적은 카프라의 생명이론의 핵심을 밝히는 것이며 그것이 동양철학 연구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간략히 결론으로 맺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카프라의 저술 속에서 그의 학문적 관점과 (동양)철학연구가 관련되는 이론이나 관점들을 추출하여 검토하고, 아울러 그들로부터 동양철학 연구에 긴요하다고 보는 시사점을 간략하게 논의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 내용들을 주요 논의사항으로 삼는다. 첫째 카프라의 생태학 및 시스템적 생명관의 핵심적 이론의 검토, 둘째 그의 이론에서 특히 철학 연구의 틀이나 방향의 전환을 요청하는 내용들의 검토, 셋째 동양철학 연구에 수용할 내용과 수용 방향의 논의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고찰과 논의는 생태학적 전제, 시스템과 생명, 자기제작 이론의 순서로 진행하며, 결론에서 동양철학 연구 관점의 조정 방향 및 방법과 관련하여 간단하게 제안하도록 한다. 그의 이론을 수용한다면 근대철학적 틀에 머물러서 철학적 논제를 개발해 온 기존의 동양철학 연구에 근본적인 관점의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연구자마다 입장이 다르겠지만, 적어도 현대 학문의 동향과 연동하여 현대의 학문적 논의의 틀과 준거를 담아내는 것은 동양철학의 지혜와 가치를 현재화하는 작업이다. 이 현재화는 동양철학의 지혜를 타학문들과 널리 공유하여 세상의 앎을 지혜롭게 만드는 길로 통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purports to explain Fritjof Capra’s systems view of life and concludes what his view proposes to studies of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For this purpose, Capra’s viewpoint and theories that are related to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are reviewed with many explanations about context of present time sciences development in his books and key points of his understandings to make the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developed are discussed. This study has three main discussions: to review on Capra’s essential ideas of ecology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f the systems view of life, to discuss about what his ideas require philosophical studies for turning their theoretical framework and direction of construction of theory, and to discuss about what should be taken into studies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from Capra’s ideas. In these ideas this paper has three sub titles for effective discussion as presupposition of ecology, system and life, and autopoietic theory. And a new direc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ies and its vision are discussed as a conclusion.

      • KCI등재

        고단했던 여정과 열정, 이재룡 교수의 학문세계

        진희권(Chin, Hee-Kw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3

        이재룡은 2021년에 충북대학교를 퇴임한 법철학자로서 동양법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서양법철학 일색인 한국에 동양법철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킨 역할을 하였다. 그는 대학 학부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법학을 부전공으로 이수했으며 법학과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서 법철학을 전공했다. 그러나 그의 주 전공은 동양법철학이었으며 석사학위논문과 박사학위논문 모두 동양법철학 분야에 관한 주제를 연구한 저작이다. 이재룡의 학문역정은 사회학과 독일 형법학, 그리고 독일 법철학을 수학하면서 한편으로는 동양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그는 연구의 지평을 비교적 넓게 지닐 수 있었다. 그는 동양철학적 사유태도가 자연현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생활사태의 실질적 경험에서 비롯된 귀납적 원리를 추구해 왔으므로, 동양사회는 이러한 원리를 통해 서양과 대비되는 개인의 도덕성, 가정윤리, 사회윤리, 더 나아가 국가통치윤리가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는 30 여 년간에 걸친 학문연구를 통해 꾸준히 동양 사상의 합리적이고 우월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려 노력해 왔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양 사상을 토대로 하는 현행 법제도의 모순점들을 지적하고 개선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 그는 헌법제도상의 권력분립의 실질을 기하기 위해 국회에 과도하게 부여된 권한들을 헌법의 실질에 상응하게 행사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형사소송절차에서의 피의자 보호원칙도 새롭게 재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과도하게 제정되고 있는 특별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일련의 주장들을 결코 한갓 규범논리에 의해 제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긴 역사를 통해 형성된 동양사상의 근본적인 생활태도에서 비롯된 사상사적 토대를 지니고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동양철학적 세계이해의 태도가 서양에도 널리 알려져 받아들여지게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재룡은 후학들이 동양법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했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Lee Jae-ryong, a legal philosopher who retired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1, played a role in raising interest in Eastern legal philosophy in Korea where only Western legal philosophers are active. He majored in sociology in college, completed law as a minor, and majored in law philosophy in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law graduate school. However, his main major was Oriental Law Philosophy, and both master’s thesis and doctoral thesis were works that studied topics related to the field of Oriental Law Philosophy. Lee Jae-ryong’s academic career was able to have a relatively wide horizon for research by studying sociology of study of facts, German criminal law, and German legal philosophy. He believes that oriental philosophical thinking attitudes have understood natural phenomena as they are and pursued inductive principles derived from practical experiences of living conditions, so through these principles, individual morality, family ethics, social ethics, and even national governance ethics were achieved. Through more than 30 years of academic research, he has consistently tried to highlight the rational and superior aspects of Eastern thought, and through these results, he argues to point out and improve the contradiction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based on Western thought. For example, he argues that the powers excessively gra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exercised according to the substance of the Constitution, demands a new reorganization of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suspects in criminal proceedings, and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over-established special laws. He argues that these series of arguments are by no means raised through normative logic, but have a historical foundation for ideology resulting from the fundamental lifestyle of Eastern thought formed through a long history. In addition, he hopes that this attitude of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Eastern philosophy will be widely known and accepted in the West. I think Lee Jae-ryong laid the basic foundation for his juniors to study the philosophy of oriental law in earnest.

      • KCI등재

        동양철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한국동서철학회 35주년 연구사를 중심으로 -

        이종성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This writing is designe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Eastern Philosophy Studies focusing on the study history of the 35th year o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The objects under examination in this writing are the research papers of eastern philosophy contained in the complete 90 volumes from the first issue o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that was published on June 25, 1984 to the 90th issue published on December 31, 2018. This writing classified the research performance of the eastern philosophy part into eastern philosophy and Korean philosophy, based on the research classification tabl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n classified this into detailed parts; examined in aspect of large, medium, and small classifications. As a result, I verified that the volume of research of eastern philosophy was relatively more than that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research of Chinese philosophy and Korean Confucianism philosophy was greatest. In particular, the highest research objects revealed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of writers since 2000 have been verified to be Lao-tzu and Chuang-tzu in the case of Chinese philosophy, and Yulgok in the case of Korean philosophy. This current research situation reflects the overall research tendency of Korean eastern philosophy as well as their major fields of study and the field of activities of those who submit papers. In addition, in terms of this current situation, participants' locality becomes the main advantage of the academic journal, and that, at the same time, can be an element to be pointed out as a limit. This is why the globalism of the academic journal is required. I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is to produce more developed philosophical discussion in the future, a variety of efforts for improvement such as the expansion of research participants' locality, that of the research scope of topics, etc. is required. In addition, that which drives the field of more realistic philosophical discussion which can satisf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seen to be needed. Through this, the research direction of eastern philosophy needs to contribute to producing more realistic and future-oriented ideas. 이 글은 1983년 3월 19일 창립한 한국동서학회 35주년 연구사를 중심으로 동양철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 글의 검토대상은 한국동서철학회가 1984년 6월 25일 발행한 『동서철학연구』 창간호부터 2018년 12월 31일 발행한 제90호까지 총 90권에 수록된 동양철학 연구논문들이다. 이 글은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류표를 기준으로 동양철학분야의 연구 성과를 동양철학과 한국철학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분야별 세부영역으로 분류함으로써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동양철학 연구가 한국철학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을 확인하였고, 그 가운데 중국철학 연구와 한국유가철학 연구가 주도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인물별 연구 분석을 통해 드러난 상위 연구대상은 중국철학의 경우 노자와 장자, 한국철학의 경우 율곡 이이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현황은 논문 게재자의 전공분야 및 활동지역을 비롯한 한국동양철학계의 전반적인 연구경향성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현황을 통해 볼 때 연구 참여자들의 로컬리티가 학술지의 주요 강점으로 자리매김 되는데, 그것은 동시에 학술지의 한계로 지적될 요소이기도 하다. 학술지의 글로컬리즘이 요청되는 이유이다. 한국동서철학회가 향후 보다 발전적인 철학담론의 생산을 도모하고자 한다면 연구 참여자의 지역적 확장 및 주제별 연구범위의 확대 등 다양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철학담론의 장을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통해 동양철학 연구의 방향성이 보다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이념 창출을 위해 이바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동양철학의 현재성 :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장희(Lee Jang-hee)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6

        정의(正義)와 같이 정치철학이나 사회철학의 핵심적인 개념을 동양철학적 문맥에서 다루고자 할 때 생기는 난점은 이 개념이 겉보기와 달리 서구의 저스티스[justice]의 번역어 일뿐 동양철학의 문맥에서 무엇과 관계되는 개념인지 선명히 드러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사실 이는 정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대부분의 개념이나 문제의식이 동양철학적 전통과는 무관한 근대적 서구적 지평에서 생겨난 것임을 상기하면 그다지 놀랄 일이 아닐지 모른다. 이 글은 현재적인 관점에서 동양철학을 우리의 주요한 지적 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어떤 각도에서 어떻게 접근하여야 할지를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고민한 결과이다. 비록 어떤 구체적인 결론에 도달하지는 못하였지만 이러한 고민이 동양철학의 현재성을 심각하게 여기는 사람들과 문제의식의 지평을 넓히고 공유하는 데 다소나마 기여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The difficulty that we face in dealing with a core concept in political or social philosophy such as “justice” in terms of East Asian philosophical context is that, since this kind of concept is typically a translation of a certain western politico-philosophical concept, it is never easy to discern which Asian concept can be compared with. Recalling that most of the hotly debated issues and concepts in today's Korea are the product of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irrelevant of traditional Asian philosophical heritage, we need not to be surprised at the difficulty.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which way would be the most relevant and productive in investigating critical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justice” employing Asian philosophical resources. Although this does not yield any definite and specific conclusion, I expect that it may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about the relevance of East Asian philosophy to “here and now.”

      • KCI등재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본 근대성 비판

        홍승표 ( Seung Pyo Hong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근대성은 한 때 새로운 문명 건설의 원동력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 이르러 근대성은 새로운 시대의 출현을 가로막는 질곡이 되었다. 지금 이 시대는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탈근대성에 대한 모색을 절실히 필요로 한다. 동양철학은 바로 이런 시대적 요구를 감당할 수 있는 풍부한 자원을 내장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는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은 근대적 세계관 비판·근대적 삶에 대한 비판·근대적 사회에 대한 비판 등 세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대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은 근대적 세계상 비판, 근대적 인간관 비판, 근대적 관계관 비판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첫째, ``모든 존재들 간의 근원적인 통일성``을 전제로 세계를 인식하는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모든 존재들 간의 근원적인 분리``를 전제로 세계를 인식하는 근대적 세계상을 비판한다. 둘째, ``자신 안에 전체 우주를 품고 있는 우주적인 존재``로 인간을 바라보는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분리된 개체로서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존재``로 인간을 바라보는 근대적 인간관을 비판한다. 셋째, 동양철학의 對待的 관계관의 관점에서 근대적 관계관의 전형인 敵對的 관계관을 비판한다. 근대적 삶에 대한 비판은 근대적 노동관과 근대적 소비관에 대한 비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인은 인간다운 삶의 의미를 욕망 충족의 대상물을 생산하는 노동활동과 욕망 충족의 대상물을 사용하는 소비활동에서 찾는다. 하지만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다운 삶의 의미는 전혀 달라진다. 자신의 본성을 실현하고 즐기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인간다운 삶의 의미가 된다. 인간다운 삶에 대한 동양철학의 관점은 근대적 삶에 대한 비판의 준거를 제시해주며, 탈현대적인 의미에서 인간다운 삶의 지향점을 제공해 준다. 근대적 사회에 대한 비판은 현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이루어진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모두에서 수단과 목적의 전도를 볼 수 있다. 민주화나 경제성장은 좋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기반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민주화된 사회나 경제성장이 이루어진 사회가 곧바로 ``살기 좋은 세상``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동양철학은 탈현대적인 의미에서 ``살기 좋은 세상``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바탕 해서 현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서 나타나는 수단과 목적의 전도에 대한 비판을 전개할 수 있다. Modernity was a driving force for building the modern civilization. Nowadays, however, it has become an obstacle to the appearance of a new age. The present time needs the critical reflections on modernity. East Asian thoughts include abundant resources to meet the requirement of this ti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critical reflections on modernity in terms of East Asian thoughts. The critique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critique of modern world view, the critique of way of modern life, and the critique of modern society. The critique of modern world view can be divided into three components; the critique of modern world image, of modern view of human being, and of modern view of relations. First, based on the viewpoint of East Asian thoughts that presuppose the unification among all the beings, the modern world image that presupposes the segregation among all the beings is criticized. Second, based on the viewpoint of East Asian thoughts that presuppose human being as a being who as the whole cosmos in her or him, the modern view of human being that presupposes human being as a being who pursues his desire is criticized. Third, based on the viewpoint of East Asian thoughts that presuppose tui tai(對待) relations, the modern view of relations that presupposes antagonistic relations is criticized. The critique of the modern way of life is made up of two parts; the critique of the modern view of labor and the critique of the modern view of waste. Modern man finds the real meaning of life in labor and waste. But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thoughts, the real meaning of life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man. Realizing and enjoying ``the real self`` is the real meaning of human life. Based on the viewpoint of East Asian thoughts about the real meaning of human life, the modern way of life is criticized. The critique of the modern society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critique of the modern democracy and the critique of modern capitalism. We can find inversion between means and goals both in modern democracy and in modern capitalism.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can be a good foundation for making a wonderful society. But the democratic society and economic growth do not mean that we have reached a wonderful society to live in. East Asian thoughts can provide the post-modern contents of the wonderful society. And this can lead to criticize the inversion between means and goals in the modern democracy and the modern capitalism.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한국 근대에서의 도가 및 제자철학의 이해와 번역

        김갑수 ( Kim Gab Su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서양철학은 1920년대에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도입되기 시작했고, 근대적 방식에 의해 동양철학이 연구되기 시작한 것도 이 시기부터이다. 1910년부터 1949년까지는 도가 및 제자철학에 대한 전문 주석(해설)서나 번역서가 하나도 없기 때문에 논문이나 평론 등을 통해 도가 및 제자철학에 대한 당시 지식인들의 태도나 관점을 살펴볼 수 있을 뿐이다. 이 시기의 도가 및 제자철학에 대한 관점은 주체적 해석론, 동서 절충론, 전면 부정론 등 세 가지 틀로 정리될 수 있다. 주체적 해석론자들은 동양철학 혹은 제자 철학이 서양에 뒤질 게 없다거나 심지어는 서양철학 사상보다 우월하다는 신념에 바탕하여 서양 철학이나 문화를 비판한다. 동서 절충론자들은 동서양의 문화적 특징을 부각시키면서 양자의 조화 가능성을 모색하거나, 서양의 특정 사조의 사유 형태가 동양에서도 발견된다고 논증함으로써 그것이 인류 사상사의 보편적 사조임을 주장한다. 전면 부정론자들은 동양문화 혹은 노장 사상의 열등성을 입증하는 데 골몰하지만 상당 부분 오해와 몰이해를 드러낸다. 1950년대 초에 이르러 서경보와 김운주에 의해 『노자』 주석(해설)서가 출판되고, 50년대 후반에는 신현중과 유영모에 의해 『노자』가 번역된다. 두 종의 『노자』 주석(해설)서는 모두 불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도가 및 제자철학과 관련된 현존하는 최고의 번역서라고 할 수 있는 신현중의 『국역노자』는 요즘 나오는 번역서들과 비교해도 질적으로 크게 뒤지지 않지만, 유영모의 『늙은이』는 일상적 언어와는 거리가 먼 낯선 언어로 번역되었고 또 널리 보급되지도 않았다. 1950년대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한 『노자』주석(해설)서나 번역서들은 동양철학 전문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것이 하나도 없고 또 전문 연구자를 그 독자로 상정하고 쓰여진 것이 하나도 없다. 근대적 방법에 의해 동양철학이 연구되기 시작한 뒤 30년이 넘는 긴 기간 동안 도가 및 제자 철학 원전이 단 한 권도 번역되지 않았던 주요 원인은 전문 연구자나 지식인들이 한문 을 외국어로 생각하지 않았던 데 있고, 다른 한 원인은 당시의 독서ㆍ출판 시장과 관련이 있다. In 1920`s, the full-scale western philosophy spread to Korea. And from that time on, the eastern philosophy has studied as a modern method. There are no professional commentary or translation for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from 1910 to 1949. Therefore, we could only research the then intellectuals` attitudes and viewpoints on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through the monographs and critiques. We may distinguish these time`s standpionts about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into three. These are, `View of Independent Interpretation`, `View of Compromising between East & West`, `View of All Denial.` In early 1950`s, The book of Tao-te-ching was annotated by Seo Kyung-Bo and Kim Un-Ju. these two commentaries are both related with Buddism so closely. The oldest existing translation ― bonds with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 is Sin Hyun-Jung`s `Guk-Yuk-Noja`(Korean Tao-te-ching) which is published in 1957. The commentaries or translations since 1950`s have never accomplished By professional eastern philosophy researcher, also, never For them. We could find out the main reason htat there is no fruit at all about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over 30 years since the eastern philosophy had studied as a modern method. That`s because the majority of professional researchers & intellectuals could read Japanese as well as Chinese character, and also, they didn`t think Chinese character as foreign language.

      • KCI등재

        ‘K-철학’은 가능한가?

        金是天(Kim, Sicheon)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5

        한국의 20세기에서 고전 철학의 이해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차별화된 성격을 보인다. 예컨대 함석헌 등의 기독교 사상가 계열의 ‘노장’(老莊) 전통은 한편으로는 기독교와 유학, 도가의 회통을 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민주주의와 인권,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올곧이 담아내고자 하는 철학적, 사상적 실천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 나는 이러한 실천을 규명하기 위해 세 가지에 주목하고자 했다. 첫째는 철학적 텍스트에 대한 논리적 해석에 멈추지 않고, 특정한 철학적 관념이 현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드러나는 맥락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이는 ‘텍스트 철학’이 아닌 ‘느낌의 합의’ 혹은 보다 쉬운 말로 상식을 대상으로 한다는 말이다. 둘째로 나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문 철학자가 아닌 저자들의 텍스트에 주목했다. 김대중과 기세춘 그리고 함석헌의 텍스트를 논의의 중심에 둔 까닭이 이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는 이러한 두 가지 논점을 포용하는 해석학적 기반을 ‘초월의 해석학’ 이라 이름 붙여 보고자 했다. 이는 특히 함석헌이 말하는 ‘씨의 자리에서 고전고쳐 읽기’는 표현을 가리키는 말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20세기 내내 ‘동양철학’은 하나의 기호로서 혹은 식민지 경험의 유산으로 단지 허명(虛名)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같은 텍스트들을 비교적 관점에서 한국철학 혹은 ‘K-철학’으로 읽고자 할 때 우리는 보다 풍부한 철학적 사유의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Korea’s understanding of Classical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i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China and Japan. In particular, the tradition of ‘old age’ of Christian thinkers such as Ham Seok-heon, on the one hand, refers to the conversion of Christianity, Confucianism, and Daoism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it aims to convey the value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freedom and equality. This is because it shows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practice of doing. In this article, I wanted to focus on three things to clarify this practice. First, I tried to focus on the context in which certain philosophical ideas are revealed in the interaction with reality, not stopping on the 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ical text. This means that it is aimed at ‘consensus of feeling’, not ‘text philosophy’, or in simpler words, common sense. Secondly, I focused on the texts of authors, not professional philosophers, for this purpose. This is why the texts of Dae-jung Kim and Se-chun Ki, and Seok-Heon Ham were put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nd finally, I tried to name the hermeneutic basis that embraces these two issues as the ‘transcendental hermeneutics’. This is a word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expression Ham Seok-heon refers to as ‘reading revised classics in the place of ‘people’. In a strict sense, ‘Oriental Philosophy’ throughout the 20th century was nothing more than an empty name as a sign or as a legacy of colonial experience. However, when we try to read the same texts as Korean philosophy or ‘K-philosophy’ from a relatively perspective, we can find a richer journey of philosophical thinking.

      • KCI등재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 고찰

        김현수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9 서비스연구 Vol.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 philosophy of Eastern mainstream thought in order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Following a prior study the “study of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Korean ideology”, we explored the service philosophy of the Eastern mainstream ideology of China and India and it’s coherence. The existing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al model of service philosophy were presented in depth and the service philosophy of Oriental mainstream thought was derived. The philosophy of service can be presented as an idea of the structure of the service and as an idea of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It suggested compatibility of the service philosophy of Asian mainstream ideas, and analyzed them mainly in China and India. Indian ideas revolved around the ancient philosophy of Veda, Upanishads philosophy, and representative Buddhist philosophy. It also showed that a major trend of mainstream ideas in China and India was found to be compatible with the service philosophy.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further refine the structure of service philosophy and develop the principles of operation into larger ideas in the future, and a study of conformity of service philosophy in representative Western ideas, focusing on Greek, Roman, and German philosophy, is also required.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as an ideological base that drives futur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서비스철학 정립을 위해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인 한국 대표 사상의 서비스철학성 연구에 이어, 동양 주류 사상인 중국과 인도 사상의 서비스 철학으로서의 정합성을 탐색하였다. 서비스철학의 기존 기본구조와 운용모델을 심화하여 제시하고,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을 도출하였다. 동양 주류사상은 중국사상과 인도사상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인도는 고대 사상이 중심이고, 중국은 고대 및 중세사상을 포괄하여 분석하였다. 서비스철학은 서비스의 구조에 대한 사상, 서비스의 운용에 대한 사상 등으로 제시될 수 있는데 기존 연구를 심화하였다. 서비스의 본질적 특성은 관계성, 쌍방향성, 수평성, 조화성인데 이를 반영한 서비스구조는 유무상생, 즉 제품과 서비스의 상생구조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비스의 발전과 운용원리는 정반합의 기본 운용구조를 가지되 그 운용사이클이 신속하고 발전적임을 밝혔다.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 부합성을 제시하였는데, 중국 사상은 춘추전국시대의 대표 사상인 도가 유가와 묵가를 분석하고, 후대의 신유학과 외부에서 유입되어 발전된 중국 불교 사상까지 분석하였다. 인도 사상은 고대 베다의 철학사상, 우파니샤드의 철학, 대표적 불교철학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국과 인도 주류 사상의 큰 흐름에서 서비스철학과의 부합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보였다. 중국 도가의 무 사상, 유가의 정명론과 인 사상, 묵가의 겸애사상, 인도 바가바드기타의 카르마요가 사상, 불교의 연기사상등이 모두 서비스 구조 및 운용 철학과 부합한다. 향후 서비스철학의 구조와 운용원리를 보다 구체화하고 큰 사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며, 그리스 로마 및 독일 철학을 중심으로 한 서양 대표사상의 서비스철학 부합성 연구도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미래 경제사회 발전을 견인하는 사상적 기반으로서 서비스철학 정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유권종(Yoo, Kwon-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급진적 구성주의의 학문 연구를 주도했던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1946~2001)의 강연집 『윤리적 노하우』는 동양의 전통적 가르침이 정립했던 것을 윤리적 노하우라는 관점으로 조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저서는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연구의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음에 틀림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렐라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의 관점과 연구 내용을 동양철학 연구 특히 유교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인지과학의 흐름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학문, 『윤리적 노하우』의 체계와 주요 관점, 윤리에 관한 지식의 본질, 윤리를 노하우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동양철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철학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적 노하우』의 특징적 구도를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현대인의 윤리적 실천의 현실에 관한 그의 문제의식, 둘째 서구철학적 사고 내지는 초기 인지과학의 계산주의적 모델의 극복과 구성주의 모델의 확립, 셋째 존재론적 이원론의 구도를 넘어서는 생명론적 일원론의 구도로의 전환, 넷째 숙련에 의한 자기창조의 원리 등이다. One of leading members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Francisco J. Varela's Ethical Know-how, which is a collective publication of his speeches, newly explains the Asian traditional teachings a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wisdom depending on a new conception of ethical know-how he developed. It is sure that his work gives a moment to specialist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article is for the analysis of his ideas about the ethical know-how and at the same time for a search for possible way to apply his ideas and methodology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is going on with the order as follows; current stream of cognitive science and Varela's researches, the principle of Ethical Know-how and main viewpoints, the essence of knowledge of ethics, the explanary structure of Ethical Know-how, and new viewpoint of Asian philosophical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s ideas and theoretical poi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summarized as follow; his strong and consistent willingness to improve the low level practice of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ies up to a higher level practice, changing the think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leaving from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or the computational style of the early cognitive science settling to radical constructivist model, establishment of the monis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life itself with rejection of the ontological dualism, and construction of autopoiesis(self-organization) by means of mastery of the know-h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