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짓모형을 이용한 노후준비의 결정요인 분석 : 노후생활에 대한 기대를 중심으로

        이윤경 ( Lee Yoonkyung ) 한국행정연구원 2019 韓國行政硏究 Vol.28 No.1

        고령사회 진입, 가족구조 변화, 돌봄기능 약화, 조기퇴직, 노인기준연령 인상 등 일련의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로 인해 연장된 노후생활에 대한 우려와 두려움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후준비를 공적 노후준비와 사적 노후준비로 구분하고, 노후생활 기대를 취미·자아개발 활동, 자원봉사·종교 활동, 경제활동의 세 가지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기대 유형별 영향요인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취미·자아개발 활동 기대 집단에서는 여성, 서비스판매직 및 농어업직 종사자, 주택자산 미소유자의 경우, 그리고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공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며, 사무직종사자의 경우에, 균등화소득과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연령과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망이 강할수록 사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종교 활동기대 집단에서는 여성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공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며, 봉급생활자 및 고용주 종사지위의 경우에, 그리고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사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활동 기대 집단에서는 여성의 경우 공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며, 사별한 경우에, 그리고 주관적 만족감과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사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봉급생활자 종사지위의 경우, 그리고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망이 강할수록 사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개인의 귀속지위와 성취지위에 중점을 두어 연구해 온 기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해 개인적,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관점을 보완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미래에 대한 기대별 주요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성공적인 노후준비를 위한 맞춤형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들 수 있다. There is a series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uch as entry into aged society, change of family structure, weakening of care functions, early retirement, and raising the elderly age standard. Therefore, worries and fears about the longer old age period are increasing than ever.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preparations for old age’ into two main sorts: public and private preparations. And ‘expectations for old age’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ose for hobby & self-development activities, volunteering & religious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Then,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influencing factors among the expectation groups. Regarding to the first group, ‘female’, ‘service sales occupants’, ‘agriculture occupants’, ‘a person without house’, ‘a person with lower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variables had positive relations with ‘public preparation for old age’. Regarding to the second group, ‘female’ and ‘a person with lower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variables had positive relations with ‘public preparation for old age’. Regarding to the third group, only ‘female’ chose ‘public preparation for old age’. This study complements the existing viewpoints about preparations for old age, that did not consider the personal, psychological,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is empirical study also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customized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우리나라 중고령인구의 노후보장에 대한 기대감

        박종연,유창훈,박은철 한국보건사회학회 2012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ores of subjective expectation for elderly life security and related factors among the middle and aged people in Korea. This is also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approaching aged society and to develop related policy agenda based on the analysis into detailed subcategories of middle and aged people. The data for this study i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surveyed ath the year 2008 including the variables of demography,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expectation for their elderly life security. In this study the variables of health security expectancy among middle and aged people are analysed on the social security during the late period of life,health insuranc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with the health status and service utilization. The subjective expectation scores were around 40-50 of 100 point,expectations on the health insuranc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were higher than the expectation on the social security. The scores were higher among the middle aged (45~54, 55~65 years old groups) than elderly (65~74, 75 years and over groups), and this means that the expectations on the policies for elderly would increase at the approaching aged society.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expectation for the elderly life security were analysed with the socio-economic variables, health behavior, health status, and medical utilization.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ese analyses are extracted and suggested the policy agenda to improve the health security system for the coming aged society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subage groups. 급속한 고령화 과정에서 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노후보장 정책의 방향 설정을 위해 중고령인구의 노후보장 관련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유용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논문은2008년에 실시된 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인구를 전기중년층(45~54세), 후기중년층(66~64세), 전기노년층(65~74세), 후기노년층(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노후생활보장과 건강보험,장기요양제도에 대한 기대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노인과 조만간 노인이 될 중년층의 노후생활보장과 건강보장에 대한 국가정책과 제도에 대한 요구의 일단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중고령자들의 노후보장에 대한 기대감은 영역에 따라 40-50점대에 머무르고 있어서 국가의 노후정책에 대한 요구에 대한 기대 수준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보장 영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경제적측면의 노후보장에 대해서는 40.6점인데 비해, 의료 및 건강보장과 관련된 건강보험제도가 노후생활을안정시킬 것인가 대해서는 52.8,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서는 52.1점으로 약간 높아서 우리나라 중고령층이 노후의 생활보장보다는 건강보장 측면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커 보인다. 또한 노후보장기대감은 연령대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는데, 노후생활보장에 대해서는 전기노년층에서, 건강보험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서는 노인으로 접어들기 직전인 후기중년층에서 가장 높았다. 중고령인구의 노후보장기대감은 대체로 교육수준, 거주지역, 계층의식, 건강보장형태, 가구총자산에 따라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였다. 이들 요인 이외에 노후생활보장에 대해서는 연령, 건강보험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서는 민간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기대감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향후 노령사회를 대비하여 노후보장정책의 초점을 단순히 노인으로 국한시키기보다는 중고령인구로 정책 대상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이들의 노후보장에 대한 기대와 요구의 반영을 위해 노화단계에 따른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특성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KCI등재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정숙,정순둘,정주희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3

        본 연구는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측되는 노인편견, 삶의 만족, 부양가치관, 사회연대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지원사업에서 진행된 ‘고령화 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 중에서 50-64세의 준고령자 총 32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생활기대감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은 노인편견과 사회연대의식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에 대한 편견이 적을수록, 사회에 대한 신뢰와 유대감이 높을수록 노후생활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과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factors affecting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Total of 323 participants aged from 50 to 64 was used for analysis from the data of 'Korean's Perception on Aging Society', which was conducted on behalf of Initiative for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appeared to be high.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prejudice towards the elderly and social solidarity. That is, participants with lower prejudice towards the elderly and higher trust and solidarity with society showed greater later-life expec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고령사회 일본의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인식과 노후 생활 인식 -연령계층별 차이에 주목하여-

        이수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3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7 No.3

        In this study, based on survey data from Japan, I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ctations for social security and the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by age group. The analysis data used in this study are from the ʻʻSurvey on Life Security, 2019ʼʼ conducted by the Japan Life Insurance Cultural Center, which surveyed men and women aged 18 to 6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pectations about health insurance are higher than expectations about other forms of social security in all age groups. Second, when it comes to expectations for public pensions, both men and women have the highest average scores in their 60s. Third, the age group with the lowest average score for public health insurance, public pension, public care insurance, and survivorsʼ pension was found to be those in their 40s. In addition, men in their 20s had a higher average score on their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Fourth,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expectations on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was found to be somewhat different for gender and age groups, but overall, it was found that public health insurance expectations were an important factor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령계층별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인식과 노후 생활 인식의 차이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분석 자료는 일본 생명보험 문화센터가 실시한 「생활보장에 관한 조사, 2019」이며, 이 자료는 전국 18~69세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연령계층에서 건강보험에 관한 기대수준이 다른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적연금에 대한 기대수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모두 60대에서 평균점이 가장 높았다. 셋째, 공적건강보험, 공적연금, 공적개호보험, 유족연금에 대한 평균점이 가장 낮은 연령계층은 4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 남성의 노후 생활 인식의 평균점이 높았다. 넷째,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기대가 노후 생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 및 연령계층에서 다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공적건강보험 기대수준이 노후 생활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첫째, 건강보험의 유용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고령세대의 가계소비지출에서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 등 고령세대의 의료비 지출 규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청년층과 고령층의 중간에 해당하는 40대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보장제도 및 노후생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주택연금 가입에 대한 가입 의향 요인

        전희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find factors which affect the subscription of the Korean reverse mortgage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based on 2016 insurance consumer satisfaction research data of Korean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to investigate all the people of Korea. In this paper, the following variables as portfolio of assets, recognition to prepare old age, thought about children related with old age, house information, life style patter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effective factor turned out to be ‘bequeath house to children’. The next following influential factors were ‘price of house’, marriage status, residing region, anticipated main income for golden age, type of pension subscribed, age, economic preparation for golden life, the number of pension subscribing life insurance, annual incom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의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공적보증제도인 주택연금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보험연구원의 전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험고객소비자 만족도 설문조사 자료를 가지고 국민들의 자산구성, 현재 생명/손해보험에서의 저축성/연금보험, 실손의료보험 등의 가입상태, 국민건강보험 가입 상태, 노후준비 의식, 노후에 대한 자녀들에 대한 사고, 주택에 대한 정보, 건강유지를 위한 생활패턴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 주택연금 가입의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다항로지스틱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 0.05이하에서 주택연금 가입의향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상속과 관련된 자녀에게 주택을 물려줄 의향이고, 다음으로 주택연금 가입조건인 주택가격, 결혼유무, 거주지역, 예상된 노후소득 수입원, 가입하고 있는 연금유형, 연령, 현재 노후자금 준비정도, 생명보험 연금가입건수, 연소득, 자녀수 순으로 11개의 설명변수가 선택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의 건강상태, 운동정도, 음주, 흡연 등의 연구모형에서 고려한 생활패턴과 연금을 제외한 생명보험 가입건수, 손해보험 가입건수는 주택연금 가입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퇴직자의 은퇴기대와 노후만족예측의관계에서 퇴직준비와 재무교육의 매개효과

        임지현,권인탁,임영희 교육종합연구원 2017 교육종합연구 Vol.15 No.4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that retirement prepar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might have on the retirement expectations and later life satisfaction of pre-retiree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addressed: First, what mediating effects do retirement prepar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ha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s and the later life satisfaction of pre-retirees? Second, w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various classifications of pre-retirees in regards to the mediating effects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the pre–retirees’retirement preparations and financial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s and later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re–retirees’ retirement preparations and financial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s and later life satisfac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