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 KCI등재

        4ㆍ19세대 작가들의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낙오자’ 모티프의 의미

        김건우(Kim Kun-woo) 한국근대문학회 2007 한국근대문학연구 Vol.8 No.2

        4ㆍ19세대 작가들은 근대화 인텔리겐치아와 구분되는 의미에서 ‘새로운 지식인(intellectuals)’이었다. 이들의 문학에서 계몽은 완전히 사라졌으며, 새롭게 형성되는 부르주아 사회에서 주류의 바깥으로 밀려났다는 점은 이를 증명한다. 이 작가세대가, 대학교육의 대중화 가운데 서울에 올라온 자들로서 ‘지방 출신 콤플렉스’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10대 후반에 실존주의의 세례를 받았다는 사실은 이들 문학을 이해하는 데 핵심요소라 할 만하다. 이 작가세대의 초기 소설들에서 발견되는 ‘낙오자’ 모티프는 정확히 1960년대 ‘새로운 지식인’의 존재조건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들의 문학은 낙오에 대한 불안과, 부르주아 문화의 속물성에 대한 혐오를 동시에 보여 주었다. 또한 ‘추방된 자들의 복수심’은 이들 문학의 창작동력이 되기도 했다. 이들이 새로운 문학의 주류가 됨으로써, 이제 문학은 사회적 힘의 주류와는 반대편에 놓이게 되었다. 4ㆍ19 generation writers were 'new intellectuals' in the sense that they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modernization intelligentias. In these writers' literature, enlightenment motif wholly disappeared, which is testifi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oustered from the mainstream of newly-formed bourgeois society. It might be the key point for the understanding of their literature that they suffered from the so-called 'locality-origin complex' as they had recently come up to Seoul thanks to the universalization of higher(college and university) education and had been largely influenced by existentialism in their late teens. The 'loser' motif in the early novels of these writers showed exactly the conditions d'existence of 'new intellectuals' in 1960s. Their literature revealed both their anxiety about falling behind as losers and aversion to the philistinity of bourgeois culture. In addition, the 'revenge-mindness of ousters' was the creating power of their literature. As they became the mainstream of literature, so the literature as such was forced to be placed in the opposite site of the mainstream of societal power.

      • KCI등재

        이기호의 『버니』에 나타난 현상의 이중성과 사라진 변화의 가능성

        이규일(Lee, kyu-il)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3

        캐서린 흄은 작가에게 주어진 ‘사건, 사람, 상황’ 등에 대해서 ‘변형시키고 싶은 욕망’이 환상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사는 발화자의 시각에 의해 선정되어 재해석된 이야기이므로 태생적으로 환상성을 지닌다. 그리고 반복된 환상은 우리를 시뮬라크르의 세계로 인도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환상이 감추고 있는 실재는 무엇이며, 환상은 우리에게 어떤 작용을 하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가 접하고 있는 현상의 이중성과 그것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된다. 이런 점에서 이기호의 「버니」는 합의된 적 없는 폭력을 합법화한 현실을 환상 속에 감춰둔 좋은 예시가 된다. 그가 바라보고 있는 사회적 문제의식은 학교라는 공간에서 시작한다. 학교는 학생에게 필수 지식을 전수하여 인재로 육성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그러나 작가의 눈에 비친 학교는 사회화라는 단어 뒤에 욕망의 거세와 가능성의 삭제가 자행되는 인형극 마당이다. 그곳에서 벌어지는 교육은 사실상 낙오자에 대한 낙인의 다른 명명이다. 「버니」는 끝없이 사회화와 비사회화의 경계를 비웃는다. 이 작품은 교육 받은 자는 낙오자를 저속하다 말하지만, 오히려 ‘나’는 교육 받은자의 위선을 경박한 리듬으로 폭로한다. 작가는 의도적으로 기의를 비틀어 경계를 지으려는 교육받은 위선자들에게 ‘바구니’라는 주인공의 별명을 되돌려준다. 「버니」는 낙오자의 한심스런 인생을 경박한 리듬으로 노래한다. 그러나 경박한 리듬 뒤에는 우리의 삶이 사회라는 극작가에 의한 인형극이 되었다는 사실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누구도 이러한 마당극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 저속함을 만들어 내는 환상 속에 감춰져 있다. 따라서 이기호의 「버니」의 실험적 문체는 단순히 수사법에 관한 논의로 끝나서는 안된다. 「버니」는 교육을 통해 스스로 덮어쓴 언어의 감옥에 대한 비판의식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 Kathryn Hume insisted that the desire of transformation created fantasies about events, human and situations given to a writer. A narration has a fantasy by nature since it is chosen and reinterpreted by the narrator’s point of view. Moreover, the repeated fantasy guides us to the world of simulacre. In this circumstances, we need to find out the existence that the fantasy hides and how the fantasy affects on us. Thu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duality of phenomena and its meaning that we encounter. In this way, “Bunny” by Lee ki-ho could be a great example that hides the reality in fantasies. The reality legalized the violence that has never been agreed. The writer’s awareness on social problems starts from the space, a school. A school is an organization that conducts a mission of rearing students into outstanding individuals by delivering essential knowledge. However, from the writer’s point of view, the school is a puppet theater that conducts the castration of desire and the elimination of possibilities with the word of socialization. In fact, the education in school is another call for stigma to losers. “Bunny” mocks the boundary between socialization and desocialization endlessly. Even though the educated said that losers are vulgar, ‘I’ in “Bunny” disclosed hypocrisy of the educated with a frivolous rhythm. The writer gave the nickname ‘basket’ of the main character back to the educated hypocrite. Through this, the writer criticizes the educated hypocrite who try to make a boundary by twisting the signifié intentionally. “Bunny” sings the pathetic life of losers with a frivolous rhythm. However, it is hidden that our life became a puppet show by the playwriter so called a society. Also, the fact that nobody is able to get away from the puppet show is hidden in the fantasy of vulgarness. Thus, the experimental writing style of “Bunny” by Lee Ki-ho should not be discussed in a simple rhetoric matter. “Bunny” should be reinterpreted as criticism on the prison of language that is covered voluntarily through education.

      • KCI등재

        근현대 한국인의 중국 인식의 궤적

        정문상(Chung Moon-Sang)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역사학계와 문학계에서 이루어진 한국인의 근현대 중국 인식에 관련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한국인의 중국 인식의 흐름을 다층적으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한국인의 중국 인식은, 한중관계 나아가서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동과 밀접히 연동되어 표출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청일 전쟁 전후한 시기, 일제강점기, 냉전기 등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중국 인식의 전개 과정을 추적하였다. 청일전쟁은 전통시기 한국인의 중국 인식을 결정적으로 변화시킨 중요한 계기였다. 중국 중심에서 일본 중심으로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변동되는 의의를 가지는 청일전쟁을 거치면서 중국은 부정적인 인식의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에 입각한 기왕의 대청(對淸) 인식에 서구 문명론이 새로이 가미되면서, 중국(청)은 '문명개화의 낙오자'이자 조선 근대화의 장애물로 타자화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중국 멸시관이 확산되는 한편 일상생활에서 중국인이 한국인을 억압하고 생존까지 위협하는 '인정 없고 비열한 존재'로서 경험되면서 청일전쟁 이후 중국에 대한 한국인의 부정적 인식은 한층 더 강화되었다. 그러나 비록 일제 강점기 부정적 중국인식이 주류적 시선이었다고 하더라도 당시 중국 인식을 부정 일변도로 규정할 수는 없다. 중국혁명에 조국의 광복과 독립의 가능성을 기대하고 중국에 망명한 독립운동가 사이에서 '부정적 중국 인식'과는 다른 유형의 중국 인식이 표출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비록 독립운동가들의 이념적 차이에 따라 연대와 활동의 대상을 달리했지만, 그들에게 중국은 일제의 침략을 받고 있는 '동병상련의 대상'이자 일제에 공동으로 대항해야 하는 '연대와 협력의 대상'으로, 나아가서는 항일을 위한 국제적 연대의 '중심'으로까지 간주되기도 하였다. 독립운동가 중에는 일부 독립 운동가들의 중국에 대한 '지나친 의존적 태도'를 문제 삼아 이를 '사대주의'로 비판하기도 하였다. 중국과 연대와 협력을 다각도로 모색하되 의존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한국인의 주체적이며 독자적인 입장과 관점이 필요하다는 문제제기였던 것으로 읽힌다. 이러한 관점과 입장이 반영된 중국 인식은 중국 혁명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자 노력했던 국내의 언론 매체의 중국 특파원들에 의해서도 표출된 바 있다. 냉전시기에 들어서, 일제강점기 한국인들에 의해 표출된 중국에 대한 다양한 시선과 관점들은 냉전 논리에 압도되면서 양극단으로 분열되었다. 미소가 주도한 냉전구도 아래 남북한이 본격적인 체제 경쟁에 돌입하면서, 특히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일제강점기 한국인 사이에 형성되었던 다층적인 중국 인식은 '중공(中共) 오랑케'와 '피로써 맺어진 형제국' 등 호칭에서 드러나듯 극단적으로 분열되었던 것이다. 남한 사회에서는 중국을 '한국 사회 변혁의 모델'이나 '연대와 제휴의 대상'으로 보았던 기왕의 중국에 대한 시선과 관점은 억압, 배재되었고 '반공 냉전형 중공 인식'이 압도하였다. 북한 사회에서는 근대 이후 일련의 한중관계를 통해 표출되고 형성되었던 다양한 내용의 '부정적 중국관'은 자취를 감추고 '피로써 맺어진 형제국'으로서만 단일화되었던 것이었다. 냉전기 남북한의 대립과 체제 경쟁구도가 그대로 남북한의 중국 인식에도 투영되고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rame the flow of modern Koreans' perceptions toward China in a multi-layered manner by examining relevant studies recently conducted in learned circles of history and literature. To effectively presen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modern times in this paper were divided into the enlightenment period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en Dynasty,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Cold War era. Unlike traditional times, Korean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perceived China(Qing Dynasty) as a negative object. As the theory of civilization was added to the existing perceptions toward Qing based on the Sinocentrism in Chosen, Qing was otherized as a negatively perceived object as 'a modernization loser'. Ente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Koreans experienced Chinese as 'a cold-hearted, mean people' who suppressed Koreans' daily lives and threatened their survival. As a result, the negative perceptions toward China strengthened further. On the other hand, a different type of perception toward China was formed among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who went into exile in China with the expectation of Korea's independence resulting from the Chinese Revolution. Even though the activists' objects of solidarity and activities varied due to their ideological differences, China was considered 'an object of sympathy,' 'an object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and, furthermore, 'the center of global solidarity.' Some independence activists made an issue of some others' 'overdependent attitudes' toward China and criticized such attitudes as 'toadyism.' Some national news media that attempted to critically accept the outcomes of the Chinese Revolution presented a perception that Koreans needed to hold their own independent viewpoints on China. During the Cold War era, Koreans' various viewpoints and perspectives on China expressed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overwhelmed by the Cold War logic and divided into the two extremes. As South and North Koreas entered regime competition in earnest within the Cold War system led by the US and the Soviet Union, and, especially, went through the Korean war, the multi-layered perceptions toward China that had been formed among Kore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as represented by two different appellations-'barbarians in Communist China' and 'a brother nation in blood alliance.' In South Korea, the existing viewpoints on China as 'a model for social reforms in Korea' or 'an object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were suppressed, excluded, and, finally, overwhelmed by 'the anticommunist cold-war style perception of Communist China.' In North Korea, in comparison, a variety of 'negative viewpoints on China' that had been formed and expressed through a series of Korea-China relationships since modern times disappeared and became unified into the perception as 'a brother nation in blood alliance.' In other words, the confrontation and regime competi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n the Cold War era was consistently applied to the two nations' perceptions toward China.

      • KCI등재

        1970년대 한국영화의 청년표상과 정동정치

        오영숙 한국극예술학회 2021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1

        The primary interest in this paper is the youth's cinematic representation. Under the premise that genre phenomena are barometers that will illuminate a period, this study analyzed how young people's worries and emotions are revealed through repeated narrative patterns and customs. The specific object is Korean films produced in the 1970s. Targeting films produced under the name of youth films, this study examines the way the young people's experiences are ordered and explores the position of the youth in the realities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is to ask questions about the affective appeal that the symbol “youth” was in charge of at the time of rapid social change and the direction of politics that it mobilized. What the youth representation of this period confirms is the difficulty of growth. Most of the young people on the screen appear to be weak and preoccupied with inferiority or pretend to be more awful adults and then ruin. If the straggler or underdogs represent the former, the young snob who has become a monster while pursuing ambition represents the latter. The two representations are very different in appearance, but they resemble each other in that they show difficulties in growth. Difficulties in growth had been observed in the previous ere. However, in the 1970s, the pattern became more complicated as the cause was found inside. What this representation reflects is the pressure of the state-led development narrative and a sense of crisis about the success narrative without growth. It is true that young men do not meet the desires of the state,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resistance against the father or the state. There are few moments that deserve to be called a challenge to authority, and it is a complex appearance that leaves room for negotiation as well as dissatisfaction with the older generation. The young man's attitude toward his father, who is a snob, seems to be more of a self-loathing arising from his failure to be completely deny his father, rather than a total rejection of his father. What the youth film’s of the 1970s repeatedly confirm are the small but important affective evidence that the body is denied and the mind trembles about the system,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logically resist the hegemonic development narrative. It is different from the enlightening awareness, but it is not unrelated to the political landscape. Gestures such as running or sharing emotions in their own space are small but meaningful politics performed in a complex connection with the times. 이 논문의 일차적인 관심은 청년의 영화적 표상이다. 장르적 현상이 한 시대를 조명해줄 바로미터라는 전제하에,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이야기 패턴과 관습을 통해 드러나는 젊은이의 고민과 감정을 추적하였다. 구체적 대상은 1970년대 제작된 한국영화이다. 청년영화나 청춘영화라는 이름으로 제작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젊은이의 경험이 질서화되는 방식을 점검하고 시대적 현실 속에 놓인 청년세대의 자리를 탐구한다. 급격한 사회변화가 이루어지던 때에 ‘청년’이라는 기호가 담당했던 정동적 호소력과 그것이 가동시킨 정치성의 향방을 질문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시기의 청년 표상이 확인해주는 것은 성장의 어려움이다. 스크린 속 젊은이들은 대부분, 나약하고 열패감에 사로잡혀 있거나 더 지독한 어른 흉내를 내다 자멸하는 모습이다. 재수생을 비롯한 낙오자들이 전자를 대변한다면, 야망을 쫓다 괴물이 되어버린 젊은 속물은 후자를 대표한다. 두 가지 표상은 외관상 매우 상이해도, 성장의 어려움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서로 닮아 있다. 성장의 어려움은 전시대에도 목격되는 것이지만, 1970년대는 그 원인을 자기 내부에서 찾게 되면서 양상이 좀더 복잡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청년표상이 반영하는 것은 국가가 주도하는 발전서사의 압박과, 성장 없는 성공 서사에 대한 위기감이다. 청년이 국가의 욕망에 부합하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것을 아버지나 국가에 맞서는 저항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권위에 대한 도전이라 부를 만한 순간이 드물며, 기성세대에 대한 불만만이 아니라 협상의 여지도 열어두는 복잡한 모습이다. 속물인 아버지를 대하는 청년의 태도는, 아버지에 대한 전면적 거부보다는 아버지를 완전히 부정하지 못하는 자기혐오에 가까워 보인다. 1970년대 청년영화가 거듭 확인해주는 것은, 헤게모니화된 발전서사에 대해 논리적으로 저항할 수는 없으되, 그 체제에 대해 몸이 부정하고 마음이 요동치는 소소하지만 중요한 정동적 증거들이다. 그것은 계몽적 자각과는 다르지만 정치 지형과 무관하지도 않다. 그들만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감성의 공유나 달리기와 같은 몸짓은, 시대와 복잡하게 연동하며 수행되는 소소하지만 의미있는 정치성이다.

      • KCI등재

        속물․경계인․낙오자와 ‘비정상성’의 범주 최명익 소설의 그로테스크(grotesque)

        서은혜 상허학회 2018 상허학보 Vol.52 No.-

        Snobs, Losers and Resisters who exist outside the order of capitalism are fully described in Choi Myung-ik’s short stories in 1930’s and 1940’s. The character’s lives are explained something comical and uncanny, this feature make his characters abnormal and his stories grotesque simultaneously. There are three ways to describe these category’s people. First, losers such as the patient, the unemployed, the prostitute are demonstrated in a way of trigger comical and uncanny feelings in A Lungfish Man(1939), The Spring and A New Highway(1939), A Pattern of Mind(1939), The Common Crowd(1941). Choi insert comical things shortly after cause readers uncanny feelings in a specific scene. This kind of setting cause readers defensive smile, grotesque-comic sublimation in a Michael Steig’s context, which aim to relieve tension aroused by uncanny things. Secondly, the snobbs who desperately want to be rich are described satirical, in a way of expanding part of their body such as eye or nose like caricature or parallel to disgust animals in A Characterlessness Man(1937), a Paradox(1938), The Common Crowd(1941). Sense of difference which readers feel when they face to these snobbs also applied to the order of capitalism and its inhuman features. It is recognized as the medium of making people blind, and the blindness is the very reason of bring out sense of difference. Thirdly, intellectuals doubt the legitimacy of capitalist order and show extreme passive nihilism against general moral sense in A Rainny road(1936), A Pattern of Mind(1939). Their own attitude of passive nihilism mean overwhelming power of capitalist order in middle and the latter of 1930’s. In conclusion, the grotesque of his short stories based on a reorganized sensibility called ‘Ero, Gro’ disargument in early 1930’s. Addition to this, pessimistic atmosphere after Sino-Japnese War is main reason of appearing this aesthetics. 최명익 소설에서는 속물, 낙오자, 경계인 등 자본주의적 질서의 내부와 외부, 경계에 위치한 다양한 인간군상의 삶의 태도가 세밀하게 묘사된다. 이때 개별 인물들은 희극적인 것과 섬뜩한 것의 복합적 공존이라는 존재조건에 놓여 있으며, 이 지점에서 인물들의 ‘비정상성’과 그로테스크함이 부각된다. 「폐어인」(1939), 「봄과 신작로」(1939), 「심문」(1939), 「장삼이사」(1941)에서는 병자, 실업자, 매춘여성 등 자본주의적 질서로부터 소외된 낙오자형 인물들의 삶이 섬뜩함과 희화화가 교차되는 방식으로 그려지며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때로는 그 긴장을 더욱 배가시키는 방어적 웃음을 불러일으킨다. 한편 「무성격자」(1937), 「역설」(1938), 「장삼이사」(1941)에서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는 것을 절대의 가치로 추구하는 속물형 인간은 그 신체 이미지 일부가 기이하게 확대되어 묘사되거나 혐오동물과의 유비라는 방식으로 그 이질감이 부각된다. 그 이질감은 속물형 인간 그 자체보다는, 그들을 비정상적 범주로 이끈 자본주의적 질서의 압도적 힘에 속한 것이다. 또 「비오는 길」(1936), 「심문」(1939)에서 자본주의적 질서의 정상성에 대해 의문을 품는 지식인, 경계적 성격의 인물들이 보여주는 극도의 수동적 허무주의의 태도는 기존의 도덕 및 윤리규범에서 완전히 이탈한 자리에 놓인다. 이를 통해 공고해진 자본주의 체제의 압도적 영향력과 그에 대한 저항 불가능성이 암시된다. 본래 그로테스크는 격심한 사회변동기의 혼돈을 포착해내는 고유한 미적 자질로서 의미를 지닌다. 최명익 소설의 그로테스크는 1930년대 전반 구인회의 모더니즘을 기반으로 한 ‘에로․그로’ 담론 등 새로운 감각과 감수성의 재편으로부터 탄생된 것이면서, 동시에 중일전쟁 이후 경제적 어려움, 사회주의적 몰락, 파시즘적 체제의 강화 등 비관주의적 분위기에 대한 작가적 대응으로 읽을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A Female Declasse`s Dislocation: After Leaving Mr. Mackenzie

        ( Jian Choe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4 현대영미소설 Vol.21 No.3

        After Leaving Mr. Mackenzie, Jean Rhys`s novel of 1930, is concerned with the dislocation or “placelessness” of Julia Martin, an ageing prostitute, in an organised society where there is little available space for a liminal woman who stands outside conventional social structures. As a sexual worker, she is in conflict with the family, the couple and the institutions of patriarchal capitalism. Consequently she is bound to drift incessantly from place to place, never mooring at one site. The numerous place-names in the novel, which serve as the subtitles of each section, not only document the heroine`s restless itinerary, but elucidate her desperate quest for a place in a given society that she could be possibly fit into and claim as her own. Yet the prevailing social dictates are determined to ostracize her out to the fringes of society where she is to stand on the precarious borderline, suspended in “the hour between dog and wolf.” In this context, the seemingly subdued narrative of a social outcast`s career proves to be a highly charged text with a sharp edge to it, critically touching upon the issue of prostitution. The novel suggests that the institution of prostitution is inextricably linked with capitalist social arrangements and bourgeois double standards as to female sexuality, calling into question the legitimate, sanctioned expressions of dominant social values and ideas. The novel thus gives a lie to the mystified aura of family and mounts a critique of the hypocrisy and philistinism of the middle classes and their moral bankruptcy.

      • KCI등재

        자유주제 : 외환위기 이후 현대소설에 나타난 “백수”들의 유형별 연구

        안남연 ( Nam Yeon Ah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2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 우리 소설에서 지속적으로 문제시되고 있는 소위 백수들을 유형별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1997년 외환위기의 여진은 그 이후 10년 동안 우리사회의 경제적 기초를 뿌리째 흔들어 구조조정의 무한재생산이 일상화된 사회가 되었는데, 그 가장 대표적인 피해자가 바로 젊은이들이다. 경제적 풍요와 문화적 과소비에 익숙한 이들 젊은 세들에게 한국사회는 그들의 생산적 구조를 거세해버렸다. 원하는 직업을 얻는 것도 힘들지만, 직업을 얻었다 하더라고 구조조정이 만연된 사회 속에서 이들의 삶은 매우 척박한 지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당면한 현실은 아이러니하게도 먹고사는 문제이다. 이들 젊은 세대들에게는 백수 탈출이 최대 화두가 된 것이다. 특히 직업은 생활방식을 합리화하고 주관과 객관을 매개해 사회적 장을 구성하는 일종의 통로인데, 이 통로가 가로막힘으로써 이들의 모습은 매우 아이러니한 모습으로 왜곡되기에 이른다. 이에 박주영의 『백수생활백서』, 정한아의 『달의 바다』, 김영하의 『퀴즈쇼』, 구경미의 『미안해, 벤자민』, 이상운의 『내 머릿속의 개들』 등을 중심으로 백수 젊은이들의 다양한 생존방식을 살펴봄으로써, 부실한 경제구조 속에서 교환가치가 팽배한 우리 사회에 대한 엄숙하게 혹은 발랄하게 던지는 질문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types of the `unemployed` that have constantly been depicted as social issues in Korean novels in the 2000s. The aftermath of the Foreign Currency Crisis in 1997 has struck the economic foundation of Korean society for 10 years and contributed to infinite reproduction through frequent restructuring. The biggest victims of this phenomenon are the young men and women of Korea. The Korean society cut off their productive structure when they were used to economic abundance and cultural extravagance. It was not only difficult for them to get their dream jobs, but even if they did, they were constantly haunted by social restructuring, which made their lives very unproductive. Ironically, the reality they face is the issue of making a living. The biggest topic for them is escaping from the `unemployed` tag. A job is is a channel that rationalizes a lifestyle and mediate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to create a social community. As this channel is blocked for them, they have been distorted in a very ironical manne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various survival methods of unemployed young men and women, with emphasis on Park Ju Yeong`s "The White Book of the Life of an Unemployed", Jeong Han Ah`s "Sea of Moon", Kim Yeong Ha`s "Quiz Show", Gu Gyeong Mi`s "Sorry, Benjamin", and Lee Sang Woon`s "Dogs in My Head." By doing so, it discussed the serious or humorous questions that the authors ask the Korean society where exchange value is so common in an insolvent economic structure.

      • KCI등재

        A Search Beneath the Surface: Analyzing Farrington`s Case Again

        ( Hee Whan Yun )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 2013 제임스조이스저널 Vol.19 No.2

        Thus far, most readings of “Counterparts” have been schematic, analyzing Farrington`s action and reaction in the three main scenes (i.e. office, public-house, and home) from the perspective of an exchange power-play of between the powerful and the powerless. Such a reading, however, does not show Farrington`s inner life. This paper plunges into Farrington`s subconscious, and detects his deep hopes, desires, anger and despair. I also put Farrington`s case in the context of working condition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as Lukacs explains. Farrington`s job as a copyist vividly shows a worker alienated from his (re)production, who feels no control of his world. Meaningless, monotonous, daily copying work, I argue, suggests at least one reason why Farrington has reached mental inertia and alcoholism. Unable to cope with dreary schedule, Farrington falls far behind. His inability at work leads to his unwillingness to try. He escapes into intoxicated day-dreaming. Farrington marks time, not as a willful subject but as one controlled by false consciousness. Such a blinkered life, locked in forgetfulness, instead of facing reality, worsens his situation. His ever increasing level of negativity alienates him from his office, home and even the pubs he resorts to. He vaguely recognizes his problems but simply drifts without stirring because he envisions no e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