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NCS기반 국가기술자격 환경분야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이동훈,이라금,윤동열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8 직업과 자격 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of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in the field of environment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measures to enhance the industrial feasibility and professionalism of qualifications. First of all, we analyze the NCS, detailed standard of presenting exam, previous research, experts opinion and experiences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pilot test assessment plan was prepared based on the criteria for the NCS, the elements of the NCS, and the current criteria for assessment of technical qualifications. We visited industrial sites to analyze the status of facilities and equipment, collect opinions from field experts. We conducted the pilot test assessments targeting environment related majors, and field experts appraised the feasibility of the result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current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assessment methods based on the current the NC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technology to review the knowledge, skills and qualification required for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ndustry. The link between the current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practical assessment methods and the NCS established in the environmental area was analysed. The proposal of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methods reflecting knowledge, skills and expertise required in industrial sites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기반으로 환경분야 국가기술자격의 실기시험 평가방법을 개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격의 산업 현장성 및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능력단위, 능력단위 요소와 현행 국가기술자격 출제기준과 평가방법을 비교․분석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국가기술자격 출제기준의 매칭을 기초해 모의평가 방안을 마련하였다. 산업현장을 방문하여 시설 및 장비 현황 등을 분석하고, 현장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환경 관련 전공자를 대상으로 모의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해 현장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중심으로 현행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 평가방법을 분석하여 환경산업현장에서 직무수행 시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산업현장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소지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척도와 국가기술자격 평가방법과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연계된 환경 기술인력 육성을 위해 현행 국가기술자격 평가방법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 평가방법과 환경분야에서 기구축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연계 관계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이 반영된 국가기술자격 평가방법의 개선안이 현장성과 전문성이 확보된 환경기술 인력의 육성과 환경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헤어살롱 현장에서의 직무활용성 및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순자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대상은 S지역을 중심으로 헤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 미용인 남․여 118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28일부터 7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에 대 한 인식이 직무활용성 및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헤어살롱 현장에서의 직무활용성이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효용성이 직무활용성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효용성이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의 직무활용성이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연구결과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게 해주며, 헤어살롱 현장에서 활용성이 자격증 취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 연구에 참여한 헤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 미용인이 S지역으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추후 표본 집단의 규모와 지역을 다양하게 확대하여 전반적으로 폭 넓은 연구가 반영되어야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18 men and women who obtained hair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from June 28 to July 11, 2021, focusing on SPSS.The WIN 22.0 program was used.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hair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s on job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certificate acquisition, and the effect of job utilization on satisfaction with certificate acquisition at the hair salon site. First,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recognition of hai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have been shown to affect job utiliz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recognition of hair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s affect the satisfaction of obtaining certificat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utiliza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of hair affects the satisfaction of obtaining a certificat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meets the requirements that can be put into the field, and it can be seen that usability in the hair salon site is important as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obtaining a certificate.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subsequent studies, taking into account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point is that hairdressers who obtained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limited to S reg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ize and region of the sample group in various ways and reflect a wide range of research overall.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조경분야 자격종목 재설계 방안 연구

        백정희,김규섭,이재근,Baek, Jeong-Hee,Kim, Kyu-Seoub,Lee, Jae-Keu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5

        조경분야의 자격 체계는 최근 몇 년 사이 정부 및 지자체들의 지대한 관심, 타 분야의 견제, 건설업계의 내 외부 문제점 등 다양한 인자들에 의하여 위협 받고 있어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기술발전수준에 뒤떨어지지 않는 자격 본연의 기능을 확보함으로써 자격의 현장성 활용성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는 국가기술자격 분야에서 조경관련 자격의 신인도 및 위상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국가기술자격을 산업현장의 수요에 맞도록, 그리고 기술변화를 제대로 반영하도록 '조경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의 틀 재설계'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선행 연구로 국가기술자격의 현장성 및 통용성 제고, 그리고 자격종목 간 중복성 제거를 위한 '국가기술자격의 틀 재설계' 방법으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 조경 분야 자격종목 재설계 방안을 도출하여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조경 분야 자격종목의 출제내용을 상호비교 분석하여 현행 조경 분야 자격종목이 표준화된 기준에 제대로 설계되어 있는지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조경 분야의 현행 체계에서 조경기능장 종목을 신설하고, 동시에 기능사 등급을 세분화하여 조경식재과 조경시설물 기능사 자격증 종목을 분리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자격 등급별 검정해야 할 능력단위들을 제시함으로, 향후 국가기술자격의 출제기준 및 관련 대학의 교과과정 프로그램을 구성시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활용될 것이다. Recent chang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field, such as keen attention o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hecks of other related fields, circumstanc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nstruction industry, assume hostile attitude towards qualification system in landscape architecture. By securing the original function of qualification meets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accords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practicality and serviceability of qualification as well as credit rating and professional status can be enforced. Framework redesign on landscape architectur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NTQ) is required in order to meet the demand in the industrial fields and to reflect the technical chang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as selected as a precedent study to enhance the practicality and serviceability of NTQ as well as to avoid duplication on qualified requirements. It would provide a model to redesign the framework of landscape architecture NTQ. In this study, questions in NCS and in landscape architecture certifica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review the suitability of the present landscape architecture certification items. In conclusion, the creation of master landscape architect under the present system, and the subdivision of the technician's license level to planting technician and the facility are recommended. The ability units to be qualified for each level, which would be used for future NTQ standards and university curriculums in relevant fields, are also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국가기술자격 응시기준의 효과성 분석 연구

        기정훈,주재현,박재현 경인행정학회 2013 한국정책연구 Vol.13 No.1

        자격제도는 일반적으로 자격검정에 응시할 수 있는 대상의 자격을 규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응시 전에 갖추어야 하는 학력 또는 산업현장 근무경력, 교육·훈련과정의 이수 등과 같이 아무나 응시할 수 없게 하고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만이 특정한 자격에 응시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가기술자격제도에는 경력과 학력이라는 응시요건이 설정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국가기술자격의 응시기준에 대한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가자격응시자와 보유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현행 국가기술자격 응시기준은 강력하게 추진 할 필요가 있는 기준, 검토할 필요가 있는 기준,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기준, 그리고 신설할 필요가 있는 기준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 및 공청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도 및 법률적 제언을 담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자격제도의 입법적 개선방안

        이동찬(Lee, Dong-Cha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40 No.-

        우리나라에서의 면허제도 내지 자격인정제도는 경제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개별 법령에서 각종 자격을 신설하는 등 양적 성장 단계에 들어섰지만, 혼란과 미비점 등으로 많은 논란과 변화가 있어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면허제도 내지 자격인정제도는 자격기본법과 국가기술자격법 및 76개의 개별법에 그 규정을 가지고 있고, 자격기본법에는 국가자격과 민간자격으로 분류해 놓고 있으며, 국가자격도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국가자격과 개별 법상의 국가자격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국가자격의 경우에도 독자적으로 개업이 가능한 국가자격인 전문자격사제도와 취업을 하는데 필요하고, 취업의 대상이 되는 국가자격인 취업대상자격사제도로 나누어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우리나라의 각종 면허제도 내지 자격인정제도를 자격기본법과 국가기술자격법 및 개별법의 내용 중 국가자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76개의 개별법에 규정되어 있는 각종 국가자격을 우리나라 현 행정부의 행정조직도에 따라 분류하고 유형화해보았다. 끝으로 이 논문에서는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국가기술자격의 525개 국가자격 종목과 개별법의 규정에 따라 28개 행정부처, 76개 법률에 산재해 있는 147개 국가자격과 이를 근거로 한 631개의 국가자격 종목의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운영을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면허제도 내지 자격인정제도에 관한 자격기본법이 기본법으로서의 명칭에 걸맞도록 국가기술자격법 및 개별법을 규율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한다. 즉, 자격제도의 관리·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자격기본법의 규정내용이 국가기술자격법 및 각각의 개별법에 우선 적용하도록 하는 법률의 개정이 있어야 한다. 자격기본법에 “이 법은 자격의 관리·운영에 관하여 다른 법률에 우선하여 적용 한다”라는 규정을 추가해야 하고, 소관 부처에 따라 각각의 개별 법률을 시행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고려해서 단서 조항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내용으로 “다만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라는 내용을 덧붙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다른 법률과의 관계에 자격기본법의 내용이 우선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두어서 자격기본법의 위상을 면허제도 내지 자격인정제도에 관한 명실상부한 기본법이 되도록 법률 개정작업이 이루어져야 자격제도의 관리·운영에 관한 법체계가 기본법인 자격기본법을 기준으로 체계화·통일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xistent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 is prescribed in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and 76 individual laws. This paper considerated the contents of the laws prescrib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 and showed some ways to improve them. There are two Qualification Systems in Korea, national qualifications and private qualifications. The term national qualifications refers to the qualifications which are to be established, managed, and operated by the state according to the laws. The term private qualifications refers to the qualifications which are established, managed, and operated by persons other than the State. This paper focused on national qualifications amo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 In the end, the study concludes that : 1)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should be the fundamental law of qualification system of our nation. 2)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should be applied in priority to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or Individual Laws. 3)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should show the basic direction of managing and operat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

      • KCI등재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직업적 규제 발전 현황과 정책적 과제

        김민규,신소이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2 직업과 자격 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개별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각각의 직업적 규제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직업적 규제에 대한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기술자격을 규율하는 총 212개 개별 법령을 규율 내용을 법령 수준, 활용 유형, 주체별로 구분한 후, Wilson의 규제정치 4가지 유형을 토대로 규제 편익과 비용에 대한 횡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가기술자격을 대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법적 우대사항 재·개정 누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종단 분석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는 국각기술자격에 대한 규제가 비용과 편익이 집중된 D유형에 집중되어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러한 경향성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가기술자격이라는 보호막을 벗어나서 직업자격으로서 자생력 강화가 필요하며, 둘째, 국가전문자격, 국가기술자격 그리고 일학습병행자격과 같은 국가자격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법적 토대를 정비해나갈 필요가 있으며, 셋째, 국가기술자격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법적 토대를 강화하는 노력과 개별 자격의 특성에 맞는 직업적 규제를 발전시켜 나가는 노력을 함께 병행해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정보기술 분야 국가기술자격 효용성 제고방안

        오춘식,조정윤,정유성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0 직업과 자격 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labor market utility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n the field of ICT The main research methods which were used to conduct the study are comparative analysis of local and international qualifications in ICT fiel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working group and expert panel. The results of the study is firstly, the jobs and job competencies of SFIA in Europe and CCSF in Japan were compared, its comparability of ITSQF in Korea was analyzed and the linkage for Professional engineer, Engineer and Industrial Engineer was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ame of the qualification item related to information processing, a measure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name as「Engineer in SW Development」,「Industrial Engineer in Applied SW Development」, and「Craftsman in Applied SW」 considering the NCS competency unit, occupation, and job title. Third, several measures was proposed to improve the examination criteria for Engineer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NCS regardless of the testing method.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given for the references of the global standards, labor market demands, and management and operation relat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 분야 국가기술자격 종목의 효용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Working Group 및 전문가 자문을 구성ㆍ운영하였으며 국내외 정보기술 분야 자격 및 역량체제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ITSQF를 기준으로 유럽의 SFIA와 일본의 CCSF와 현행 종목 중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등급간 연계 방안이 도출되었다. 둘째, 정보처리 관련 자격 종목명 분석 결과 NCS 능력단위, 직업, 직종 명칭 등을 고려하여 SW 개발기사, 응용 SW 개발 산업기사, 응용 SW 기능사로 명칭을 개선하는 방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정보처리기사 출제기준 개선안으로 NCS를 기반으로 개선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첫째, 국내 정보기술 분야의 노동시장 수요와 요구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스텐다드와 비교 가능한 수준과 내용으로 자격 종목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기술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의 노동시장 효용성 증진을 위하여 국가기술자격증의 활용을 정하고 있는 개별사업법에 자신들이 발급하고 있는 자격증 소지가가 개입할 수 있는 업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국가에서 발급한 자격소지자의 활용이 활성화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수요자 중심의 자격제도 관리운영, 산업현장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인정, 공정한 자격검정 시행, 발급된 국가기술자격증의 노동시장 활용성 증대 등에 초점을 맞춘 기술자격검정제도의 운영이 필요하다.

      • KCI등재

        NCS기반 국가기술자격 시각디자인 분야 실기시험 평가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Ⅱ - 평가 방법 유형 보고 -

        이광식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6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49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수행능력과 국가기술자격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을 기반으로 국가기술자격이 새롭게 수정·제시되어야 할 항목과 평가방법 연구에 목적을 둔다. 시각디자인 국가기술자격(시각디자인기사,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컴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 작업형 문제유형을 NCS 시각디자인사 L5, L3의 2가지 학습모듈과 능력 단위 기반으로 시각디자인 분야의 실기시험유형을 제안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 및 중소기업, 소기업 중심 산업체 방문을 통하여 연구가 이루어 졌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디자인기사는 표준연계성이 13.85% 자격현장성 12.9%, 자격통용성이 3.42%, 평가적정성이 2%로 증가하여 산업현장 통용성을 반영한 평가방법이 개선되었다. 둘째 시각디자인산업기사는 표준연계성이 20.7%, 자격현장성 10%, 자격통용성이 4.4%, 평가적정성이 4.9%로 증가, 산업현장 통용성을 반영한 평가 방법이 개선되었다. 셋째 컴퓨터그래픽스 운용기능사는 표준연계성이 5.7%, 자격현장성 4.6%, 자격통용성이 11%, 평가적정성이 8.5%로 증가하여 산업현장 통용성을 반영한 평가 방법이 개선되다. 이상과 같이 NCS의 능력단위의 특징은 업무의 과정보다는 업무의 성공적인 수행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디자인 분야 자격평가방법을 NCS 능력단위를 기반으로 개선하여 국가기술자격의 현장성 및 통용성을 강화하고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직무역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국가기술자격제도 새로운 도약과 위상이 증대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valuation methods and the items to be revised or presented o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order to solve some discordance between the capability required in industrial sites and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Expert groups were formed and investigated to propose practical test type(working pattern) of visual design field which is based on two learning modules and the ability unit of the L5 & L3 (NCS Visual Design companies), on the types of questions (working patterns)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f the Visual design field(visual design engineer, visual design industry engineer, computer graphic operation technici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visual design engineer improved the standard connectivity by 13.85%, the qualification field availability by 12.9%, the qualification popularity by 3.42%, and the evaluation propriety by 2% with the evaluation method reflecting the industrial field popularity. Second, it was found that visual design industry engineer improved the those by 20.7%, 10%, 4%, and 4.9%. Third, it was found that computer graphic operation technician improved those by 5.7%, 4.6%, 11%, and 8.5%. Through this study, we can expect the new leaps and increased status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system by strengthening the field availability and popularity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nd by identifying exactly job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qualification NCS capability unit.

      • KCI등재

        국가기술자격증 관심도가 활용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명우(Kim, Myung W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우리나라 국가기술자격증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에 미치지 못해 실무 위주의 실기시험 방법을 도입하여 미용사 자격증 취득자의 전문성 향상이 필요하다. 이에 미용사들의 국가자격증에 대한 관심도, 활용도, 만족도의 관계를 조사하여 전문 미용인으로 현장실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는 미용 종사자 47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v. 18.0로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술자격증의 관심도가 높아지면 취득실용성, 교육필요성도 상승하는 것으로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관심도 향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국가기술자격증의 관심도가 높아지면 복지만족, 비용만족, 자격만족도 상승하는 것으로 국가기술자격증에 관심이 높을수록 활용도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셋째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실용성, 교육필요성이 높을 수록 복지와 자격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취득실용성이 높을수록 비용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기술자격증의 활용도가 높을수록 만족도도 상승하는 것으로 자격증 만족에 활용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of Korea do not reach the actual techniques required in workplaces and therefore, there needs to be an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of the beautician qualifications recipients by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tests based on the actual real world working level. Acoordingly, the concerned degree, practical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have been investigated, (by a survey of) the beauticians and the basic data is provided in order to give assistance at sites, for those working as professional beautician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79 beauticians who reside in Seoul, and the dat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 v.18.0 for main caus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when the interest in rate of the National Techniques Qualification on increases, the acquisition practicality and educational necessity increases. This shows that the interest rate towards the National Techniques Qualif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Second, when the interest in rate of the National Techniques Qualification increases, the satisfaction level of welfare, cost, and qualification increses, leading to a the fact that a higher interest rate towards the National Techniques Qualification Causes an improvement in the utilization of such qualification. Third, the higher the acquisition practicality and educational necessity, the more the subjects`satisfaction level on the welfare and qualifications. Furthermore, the higher the acquisition practicality,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ost. Thus, when the practicality of the qualification is high, the satisfaction level increases too also, resulting in the fact that the practicality rate is an important factor in being satisfied with the qualif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