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

        황우원(Woowon Hwang),김주후(Juhu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밝히는 것이다. 또한, 직무수행의 유형은 어떠한지, 직무수행유형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내 중학교에 근무하는 진로진학상담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14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직무로는 ‘지역사회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 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은 크게 4개로 군집화 되었다. 군집1은 ‘직무수행정도가 전체적으로 우수한 집단’으로 ‘고수준유형’, 군집2는 ‘지역사회연계에 주력하는 집단’으로 ‘지역사회연계유형’, 군집3은 ‘지역사회연계는 소극적이면서 수업과 상담 등 교내 진로활동에 주력하는 집단’으로 ‘교내활동유형’, 군집4는 ‘직무수행정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집단’으로 ‘저수준유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직무수행유형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수행정도가 가장 높은 ‘고수준유형’이 목표 달성정도가 가장 높았고, 직무수행정도가 가장 낮은 ‘저수준유형’이 목표 달성정도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을 유형화시켜 직무수행의 질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f the entire career guidance teachers working at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314 career guidance teachers were used as the final study mater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were clustered into four types. Type 1 was named ‘high-level type’ group with the excellent job performance overall. Type 2 was named ‘local community networking type’ group focusing on the local community linkage. Type 3 was named ‘school activity type’ group passive in the local community networking and focusing on school career activities such as classes and counseling. Type 4 was named ‘low-level type’ group with the low level of job performance overall.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ypes of job performance. The highest level of achievement was made by the ‘high-level type’ with the highest job performance and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was made by the ‘low-level type’ with the lowest job perform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qualitative structure of job performance by stereotyping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found the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job performance.

      • KCI등재

        표준 한국어 교재의 학습목표에 대한 고찰

        김영심(Kim, Young-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는 단원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원은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단원의 학습목표는 학습 내용, 제재, 활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학습목표가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Bloom 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근거로 하여《표준 한국어》교재의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신 교육목표분류학은 학습목표를 네 가지의 지식의 유형과 여섯 수준의 인지과정 유목으로 구분하는 이원적 구조로 되어 있다. 분석은 2015년 2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표준 한국어》교재의 학습목표는 지식의 유형 측면에서 대부분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었다. 인지과정의 측면에서는 ‘기억하다, 이해하다, 적용하다’와 같은 3수준 이하의 유목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학습목표가 분류학 표에 제시된 지식의 차원과 인지과정의 차원을 균형 있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식의 유형 측면에서 절차적 지식과 메타 인지적 지식을 반영하고, 인지과정 측면에서는 분석하다, 평가 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 능력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학습목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학습목표의 진술 방법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earning objectives of Standard Korean as Second Language(KSL) Textbooks, which were developed for multicultural students who studied middle schools. The learning objectives are important roles in textbooks. It directs contents, selecting text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A New taxonomy, which was invented by Anderson(2001), was used to analyzed. It was consist of 4 Knowledge types and 6 cognitive process. As a results, the learning objectives of Standard KSL Textbooks were not balanced based on knowledge types and cognitive process. On the knowledge dimension, there were only ‘factual, conceptional, and procedural’ knowledge. No meta cognitive knowledge. O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ere were only ‘remember, understand, apply’ process. No analyze, evaluate, create process. In addition, statement methods of learning objectives were not consistent. It is needed to improved.

      • KCI등재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경험에 의한 진로교육 개입 유형 탐색 및 유형별 성과 차이

        최윤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career education outcomes across types of career education(career curriculum, career guidance, career lecture, career test, job shadowing, career counseling) is provided in junior high school.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junior high school data was analyzed that was collected in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in 2010 and 2011. To identify the types of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the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Anova and Ancova was employed to test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outcomes across latent classes. Findings as followed: 1) four types of career education were extracted, which were active type, text type, experiences type, and poor type. 2)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outcomes(goals commitment,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self-concept, career maturity) were founded among the four types of career education. Active type of career educa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all outcom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poor type of career education was the most ineffective in all outcom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outcomes research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practic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경험에 따라 진로교육 개입 유형을 탐색하고 분류된 유형에 따라 개입의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 연구 1, 2차년도 자료 중 중학교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답하고자 하였다. 중학생들의 진로교육(교과, 강연, 학과안내, 진로검사, 직업체험, 진로상담) 경험에 대한여부를 잠재유형 분석을 실시하여 유사한 경험을 지닌 집단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진로교육개입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목표의식, 자기주도 학습태도, 자아개념, 진로성숙도에서 차이가있는지 일원분산분석과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2차년도 모두 중학생들이학교에서 경험한 진로교육에 따라 적극적 진로교육형, 텍스트 위주형, 체험 위주형, 진로교육부진형의 네 가지 유형이 탐색되었고, 네 개의 개입 유형별 목표의식, 자기주도 학습태도, 목표의식, 진로성숙도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성과 변인들에서 적극적 진로교육형이 가장 높았으며 차례로 텍스트 위주형, 체험 위주형, 진로교육 부진형의순서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중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개입의 성과에 관한 연구와 진로 개입 실제에 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 문화어를 통한 한국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박영순(Park YoungSoon)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6 No.-

        이 글은 한국어교육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문화교육을 해야 하며, 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언어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요소 즉 문화어를 찾아 교육해야 함을 주장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는 문화를 생성하며, 반대로 문화가 언어에 투영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언어와 문화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언어교육에서는 문화교육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이 화두가 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문화교육의 내용이나 방법 면에서는 아직도 전범이 될 만한 연구나 이론이 별로 없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첫째로 문화는 워낙 광범위하고 복잡하여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로, 문화를 보는 관점에 따라 그 내용도 달라지고, 문화학습 목적이나 학습자 변인에 따라 교육방법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는데,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체계적인 문화교육 내용이나 설득력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교육 내용 선정의 기준과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여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을 보이고자 한다. 그러나 광범위한 문화 전체를 한국어교육에서 다룰 수도 없으려니와 본고에서 다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교육을 위한 문화만을 다루되, 그 중에서도 언어와 문화의 접점을 이루고 있는 문화어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특징, 한국문화의 정체성, 한국의 생활 특성, 한국의 독특한 풍속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여기서 문화어란 단어의 의미가 단순히 문자적 의미에 그치지 않고, 그 의미가 곧 한국의 문화를 나타내는 단어를 말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문화를 나타내면서도 현재까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문화교육방법에서는 목적에 맞게 교육하기, 문화유형에 맞게 교육하기, 과제학습을 통한 교육 등 12가지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교육 평가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문화교육 평가, 학습자의 문화인지도 평가, 문화교수법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앞으로도 이 분야에 대한 현장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rgue that Korean culture must be included i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ince there are so many instances in which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is necessary to capture the intended meaning of a sentence or a discourse of Korean. Of course this kind of phenomenon is not Korean-particular, but language in general. Therefore the key cultural words of a Language must be listed and the meanings of such words should be explained by linguists at least to some extent to help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aims, contents, methodology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help the student who study Korean as a second or a foreign language, the overall language-related Korean cultural elements are described such as Korean idealogical symbols such as symbolic favorites, values, institutional ident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etc., Finally Linguistic identifications of Korean language in terms of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Korean culture.

      • KCI등재

        중학교 과학에서 서술형 평가의 실태 분석: 문항유형, 단원, 평가목표를 중심으로

        노은실 ( Eun Sill Noh ),김용진 ( Yong-jin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2

        최근 들어 학생 평가 방법에서 서술형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왔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출제해 온 서술형 평가문항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의 중학교 7개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정기고사에 출제된 서술형 문항 300개를 수집하여 문항 유형과 단원별 문항 분포를 분석하고, 문항에 관련된 성취기준의 교육목표와 평가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공통된 단원에서 서술형 문항을 출제하는 경향을 보이며, 단원 및 성취기준별로 출제 빈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문항 유형으로는 서술형이 65%에 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단답형이나 완성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취기준에서의 교육목표와 문항에서의 평가목표 사이에 일치하는 비율이 40.3%에 불과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출제교사 27명을 면담한 결과, 서술형 문항의 개발 능력 부족과 채점에서의 어려움이 올바른 서술형평가의 주요 장애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 에 대한 체계적 연수를 통해 서술형 평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In recent years, descriptive evaluation has been gaining importance at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escriptive evaluation items which have been made by school teachers. 300 items for regular examinations are collected from 7 middle schools (grades 1 through 3) in Gyeongnam Province. Distribution and types of items are examined to compare educational objectives of standard achievements and those of evaluation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exist a majority of shared subject units for descriptive evaluation. Huge difference of frequency is also found among subject units and standard achievements. Less than 65% of evaluation items are descriptive and the rest is simple completion or short answers. In addition, it reveals only 40.3% of agreement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f standard achievements and those of evaluation items. The interviews with 27 teachers indicate that lack of ability to develop proper items and grading are the major obstacles. In conclusion, systematic training courses are to be provided in order to resolve issues over descriptive evaluation.

      • KCI등재

        추가된 학습(學習) 요소(要素)의 목표(目標)와 문항(問項)의 개발(開發) -2007 개정 고등학교 한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허연구 ( Youn Ku Heo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5 No.-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7차 교육과정에 비하여 내용체계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새롭게 추가된 내용 영역의 학습 요소에 해당하는 목표를 세부적으로 진술하고 이 영역에 맞는 평가 문항의 다양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문과 평가문항에서 목표를 이원적으로 분류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된 내용을 평가문항에 어떻게 반영하고 문항화할 것인가? 이 두 가지 논의를 기초로 각 요소별 실제 문항의 유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평가 문항을 제작하기 이전에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Bloom이 제시한 인지적 영역의 단계별 행동 영역, 다양한 문항 형식을 잘 조화하는 것이 새로운 학습 요소에 적절한 문항 유형을 만드는 이론적인 기초라고 판단하였다. 즉, 새롭게 제시된 학습 요소를 Bloom이 제시한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각 단계로 목표를 세분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문항을 기존에 개발된 문항과 자체개발한 문항으로 예시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학습 요소에 어울리는 평가 문항을 유형별로 정리하여 평가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The 2007 Revised Chinese classics curriculum had a significant change in comparison to its 7th curriculum. Thus,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objectives in detail and develop diverse types of evaluation questions for the learning factors of the newly added contents. What is the basis of two-way classification of the objectives in Chinese classics and its evaluation questions? How do we apply the contents added to the new curriculum to the evaluation questions? On the basis of this discussion of the two points, this study intends to organize the types of actual questions by factor. The researcher, before developing the evaluation questions, concluded that it is the theoretic basis in developing adequate question types to harmonize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curriculum with the behavior domain by stage in the cognitive domain suggested by Bloom, and diverse question types. That is, this study classified the newly added learning factor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by the stage of knowledge,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suggested by Bloom, and illustrated the applicable questions as the existing questions already developed and as the newly developed questions by this study. Thus, this study organized by type the evaluation questions compliant with the new learning factors, and intended to improve proficiency of evaluation.

      • KCI등재

        대학에서의 사회복지사를 위한 노인복지 교육내용의 유형화에 대한 연구

        박미진,김진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사회복지교육과정 가운데 사회복지사를 위한 노인복지교육과 교육내용의 유형화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고려한 노인복지교재 분석을 통해 노인복지의 공통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노인복지실천전문가와 노인복지교육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2016년 11월에서 2017년 1월까지 초점집단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면접내용에 기반하여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교과목의 적절성수준과 교과내용의 적절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과목의 적절성수준평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복지지식의 중요성과활용도에 있어서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전문가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사회복지사를 위한 노인복지교육개발과정에 대한 노인복지 교육내용을 유형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학부교육과정에서 노인복지교육 강화를 위한 교육적, 실천적함의 및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ology of a Korean university curriculum in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We analyzed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of the gerontological social 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Focus group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2016 to January 2017 for social work educators in gerontological social work and gerontological social workers. Based on the interviews, we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bject. We found a difference in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bject, and between the educators and social workers in the importance and application of their knowledge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Finally, we typified gerontological social work curriculum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educati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gerontological social work education for the social worker were derived.

      • KCI등재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분석

        박하나 ( Park Hana ),진명화 ( Jin Myunghwa ),박지우 ( Park Jiu ),임규연 ( Lim Kyu Y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디지털 리터러시는 현대 사회의 필수 역량 중 하나로, 각 국가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반영하여 균형 있고 충분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아일랜드, 영국, 호주, 캐나다 5개 국가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인을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각 국가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목적에 따라 구성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과 아일랜드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인 중 컴퓨팅 사고 역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에 영국과 캐나다에서는 디지털 윤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Tyler가 제시한 교육목표 유형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목표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분석대상 5개 국가의 교육목표가 모두 정보 획득과 사고력 개발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igital literacy is considered an essential competency in modern society, and related curricula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across the world. As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has gradually changed and expanded,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literacy curricula provide diverse digital literacy educational experiences.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icula for digital literacy to derive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ive countries, South Korea, Ireland,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anada, were selected for the curricular analysis.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curricula were analyzed regarding the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suggested by Tyl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digital literacy components vari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each country. Specifically, computational think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Korea and Ireland, while digital ethics accounted for the highest in England and Canada. Additionally,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have been biased towar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critical thinking development in most countries.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a curriculum for digital literacy.

      • KCI등재

        학습유형 분류의 비교 연구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of typical learning types, and to compare learning types on the perspectives of instructional design. Bloom’s educational taxonomy, learning types of Gagné and Merrill, and knowledge types of Landa and Anderson were compared in the aspects of instruc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The comparison results in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design were in the followings. First of all, although Bloom’s educational taxonomy was described according to the academic level of students, it failed to present the specific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onditions appropriate for their academic levels. Next, while the classifications of learning types of Gagné and Merrill have contributed to identifying the learning condi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they have not sufficiently presented the evidence to validate their classifications of learning types. Finally, the classifications of knowledge types of Landa and Anderson were distinctively made into two domains, but they could not present any strategies and conditions required to teach learning objectives. Further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s of learning types for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were sugges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유형의 대표적 분류를 검토하고, 이들 분류가 수업설계 연구에 미친 영향을 비교하는 데 있다. 여기서 검토한 학습유형은 Bloom의 교육목표분류, Gagné와 Merrill의 학습유형, 그리고 Landa와 Anderson의 지식유형이었다. 이들 학습유형의 비교는 수업과 수업설계의 관점에서 장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Bloom의 교육목표분류는 교육목표를 학습자의 수준별로 진술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수준별로 가르칠 구체적 수업전략이나 조건에 대한 내용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다음으로 Gagné와 Merrill의 학습유형분류는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의 조건을 제시하는 데 기여였으나 이들 분류의 타당성에 관한 증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Landa와 Anderson의 지식유형은 지식을 두 개의 영역으로 간단명료하게 분류되었으나, 이것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전략이나 조건을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런 비교를 통해서 장차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유형의 분류 연구와 방향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학부모의 자녀교육 목표지향유형과 자녀의 학업소진의 관계

        이금주 한국학부모학회 2016 학부모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학부모의 자녀교육목표지향유형(숙달지향성과 결과지향성)을 4유형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특성에 따라 자녀의 학업소진요인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학부모의 목표지향 유형과 자녀의 학업소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상관분석과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임의적으로 표집된 서울광역시, 경기도 및 강원도 내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 소재 일반 고등학교 학생 362명과 그들의 학부(父) 또는 학모(母)이다. 수 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목표지향유형집단(4)의 특성에 따 라 자녀의 학업소진을 구성하는 정서적 소진, 냉소주의, 무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결과, 학부모의 숙달목표지향유형은 자녀의 학업소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부모의 목표지향성은 자녀의 학업소진을 6.6% 정도 설명 하며, F검정에 따라 두 변인 간 학부모의 목표지향유형(숙달지향성*결과지향성)의 조절효과(상호작용 효과)는 없음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