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교육과정과 그 실행에 대한 비판적 분석: 초등학교 통합교과 "다양한 가족" 주제 중심으로

        김선영 ( Seon 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4

        다문화 사회로의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따라 최근 다문화 관련 내용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빈도와 비중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 방향과 목표가 바르게 정립되지 않은 채 유행처럼 다문화 교육이 개발 및 적용되는 상황을 볼 때, 현 다문화 교육과정이 어떤 다문화적 가치와 이념을 (재)생산하는지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근거하여 문서화된 교육과정과 교실에서 실제 실행된 교육과정을 동시에 분석하며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중 ‘다양한 가족’이라는 소주제를 중심으로 하였다. 본 소주제는 세 개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공통된 주제로, 통합교과서의 20차시 분량인 한 단원으로 개발되어 2013년부터 전국 2학년 1학기에 실행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두 가지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국정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한 질적 문헌 분석과 함께 2학년 한 학급에서의 수업 관찰과 담임교사 면담 자료 수집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현 다문화 교육과정은 주류와 다른 소수 집단과 문화를 소외(alienation)시키고 억압(oppression)하는 형태를 띠고 있었다. 다양한 가족을 타자화하여 구분 짓고, 고정관념, 결점형 사고, 문화 상대주의에 치우쳐 편협하게 다양한 가족과 문화를 이해했으며, 소수 집단이 주류 문화에 동화될 것을 강조하는 반면에 그들의 주체적 역량(agency)은 고려하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현 다문화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들의 평등하고 공정한 교육 경험을 보장하고 나아가 학생들을 정의로운 사회 건설에 주역으로 준비시키는 비판적 다문화 교육과정과는 그 방향을 크게 달리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개선을 위해 몇 가지 방안을 논하였다. In responding to recent changes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need for a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there has been a trend to reflect multicultural topics in national curricula and textbooks. However, simply popularizing multicultural issues does not guarantee an authentic multicultural curriculum, which helps students experience educational equity and justice so they can be ready to become critical social agents. Given that necessity,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the theme of ``diverse families`` from the current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a. The theme was developed into a unit in a national textbook, which has been used for 2nd grade students since 2013. In addition, the practical curricular implementation was also analyzed through observations of lesson practice in a class and interviews with the homeroom teacher.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this study found that the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falls short of critical multicultural curriculum due to the approach that the curriculum alienated and oppressed different cultures and multicultural populations, such as segregating non-mainstream families from the majority; distortedly understanding diverse families and their cultures in a microscopic view; and placing an emphasis on assimilation and de-emphasizing the agency of minorities. I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developing a multicultural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관한 초등교사의 비판 양상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읽는 비판적 양상과 그들이 생성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비판‘을 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으로 보고, 텍스트학으로부터 교육과정 비판 범주를 추출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비판 행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교육과정 비판 범주인 미시구조적 차원, 거시구조적 차원, 초구조적 차원, 즉 모든 차원에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적으로 읽고 있었다. 교사들은 자신이 처한 교육과정 외적 세계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비판적 읽기의 결과물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로써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문서에 대항하여 자신만의 문서를 형성하는 것까지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both teacher's critical reading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curriculum documents that teachers create. To this end, ‘criticism’ was assumed as a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the category of curriculum criticism were extracted from textwissenschaf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read the curriculum documents critically at all levels of criticism categories: micro-structure, macro-structure and super-structure. Teachers criticized the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external world of curriculum, and created their own curriculum document as a result of critical read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critical curriculum literacy of teachers includes creating their own documents agains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 KCI등재

        한국 역사교육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송인주(Song In-J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본 연구는 ‘역사를 위한 역사’, ‘역사가를 위한 역사’가 아니라, 역사를 전공한 역사가로서 그리고 교육대학교에서 ‘역사교육을 담당하는 역사교육자’로서의 복합적 경험에 의거하여 기왕의 한국 역사교육연구에 관한 비판적 성찰을 하려는 데 있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역사교육연구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연구자로서 현 단계 우리나라 역사교육연구 전반을 회고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보다 정확한 현실인식에 입각하여 역사교육을 바라보려고 하는 교육철학의 빈곤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역사교육에 대한 메타담론을 뿌리로 교육과정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한편 그 토대위에서 역사교육과정과 역사교육연구의 이론과 좌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본다. 미래를 겨냥한 한국 역사교육연구의 유용성은 교육철학과 교육과정 그리고 역사교육과정과의 유기적이며 정합적인 연계 고리를 통해 그 정당성과 타당성의 준거가 마련될 때 비로소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evious research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not in terms of ‘history for history’ or ‘history for historians,’ but in terms of a history educator’s experiences, and suggest a better direction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biggest problem at present in Korean history education in general seems to be the lack of philosophy in which history education is viewed with appropriate awareness of reality. I suggest that we establish the identity for a long standing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education upon the meta-discourse of this philosophy, and the discourse for history education research should start off from this meta-discourse. The value of research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future could be assumed when it acquires it’s justification and validity through organic and synthetic integration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practices in history classrooms.

      • KCI등재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수업 설계와 교육적 가치 - 인문학의 실천적 교양교육과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

        강민정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대학 교양교육은 최근의 인문학의 상품화와 도구화 현상에서 파생된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교육적 전략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특히 자의식 없이 인문학을 자본적 가치로만 수용하는 학생들에게 이를 경계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게 하는 동시에 인문학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 즉 본질적 측면에서 이를 학습하게 하여 실제 삶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해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는 인문학의 실천적 교양교육과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을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가치를 확인하였다. 인문학의 실천적 교육과 총체적 관점의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연계에 따라‘(1)사고 과정-(2)사회 내 의사소통 과정-(3)사회의 제도적 맥락을 고려한 조정과 협상의 수사를 통한 실질적 담론 유통에의 참여 과정’의 세 개의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세부 구성은 각 과정의 교육 목표에 따라 다시 5단계로 구분하였고 이를 15주 강의 일정에 맞추어 총 8개의 교육 방법으로 구체화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 초반 진행한 글쓰기 이론과 사고 수업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갖추었으며 글쓰기 주체로의 각성을 경험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15주 동안 단 1편의 글을 준비하고 제출하도록 하자 글쓰기는 부담스러운 것이 아니라 즐거운 의사표현 경험임을 깨닫게 되었다. 특히 충분한 사유의 시간을 거치며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할 수 있도록 수업 중반 자율적 계획 작성을 유도하였으며 이후 자신이 수립한 계획에 따라 관련 자료의 심층적 독해와 개요에 따른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수업 후반에 와서는 초고를 제출하고 1인 1발표를 진행하게 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주관적 진술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객관적 담론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을 경험하게 만들었다. 이로써 발표자 1인에 동료 2인의 토론 경험과 교수자로부터 얻은 피드백으로 의사소통 가능성을 검증 후 이를 보완 및 수정하여 완성본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물론 완성본 제출 후 기말고사에서 학생들은 그간 발표 수업에서 들었던 다른 학생의 글에 대하여 공감이나 비판을 표하는 글을 쓰는 기말고사를 통해 학술적 담론에 재참여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고 이로써 유통을 위해서는 어떤 수사가 필요한지 그 특성을 이해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제도적 맥락에서 실제 유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자신의 완성된 글을 직접 유튜브에 영상화하여 올리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인의 글을 조정과 협상의 수사를 통해 재구성하기에 이르렀다. 학생들은 이러한 글쓰기 경험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 표현력, 의사소통 능력, 수사 능력을 획득하였으며 글쓰기 주체로서의 자율성, 주관적 자신의 평가와 보편성을 근거로 한 사회적 판단력 사이의 균형감, 실천력을 경험하며 실제 삶에 실천 가능한 인문학적 능력으로서의 윤리적 감각을 깨우치게 되었다. 이 수업의 교육적 가치는 이렇듯 학생들에게 총체적 관점의 과정 중심 글쓰기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인문 가치를 획득하는 경험을 부여했다는 점에 있다. The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actively seek educational strategies to overcom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phenomenon of recent commercialization and instrumentalization of the humani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ducate for those students who do not have self-consciousness to accept humanities only as capital value to raise the insight for precaution against this, but also to educate them to practice in real life by allowing them to learn fundamental, that is essential, approach to humanities, Therefore, this study has designed the lesson by linking humanities’s practical liberal education with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confirmed its value by applying it to actual lesson. This study divided it into 3 courses; (1) thinking process - (2) communication process in society - (3) participation process into substantive discourse through the rhetoric of negotiation and coordination considering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society, according to the linkage between practical education of humanities and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in general point of view. The details of the course were divided into five level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course, and the lessons were designed so that they could be guided by a total of eight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15-week lecture.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to the actual class, the students were equipped with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writing theory and thought class which was conducted early in class and experienced awakening as the subject of writing. In addition, as students were instructed to prepare and submit only one article for 15 weeks, they realized that writing was not a burden but a pleasurable experience of expressing of their will. In particular, they were encouraged the autonomous planning in the middle of the classes so that he could prepare with sufficient time for thinking, and after that, according to the plan they established, they were instructed to have in-depth reading and writing of the related materials. In the second half of the lesson, students were instructed to submit the drafts and have presentation so that students could experience the process of making subjective statement about their writing and further expanding their discourses.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submit the final copy through supplementation and revision after verifying availability of communication with discussion experience of 1 presenter and 2 peers and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Of course, at the end of the final submission,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re-participate in the academic discourse through the final exams that expressed sympathy and criticism about the other students' texts they had heard in the presentation class, and, as a result, the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about what rhetoric would require for communi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distribute their articles in an institutional context,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upload their completed texts directly to YouTube and re-compose their own writings through the rhetoric of negotiation and mediation. Through these writing experiences, students have acquired critical thinking, expressive power, communication ability, and rhetoric ability, and they have experienced the balance and practical power between the social judgments based on subjective self-evaluation and universality and became aware of the ethical sense as a possible humanities ability in actual liv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his class is that students are given with the experience of acquiring human values more naturally by experiencing process-oriented writing in a holistic perspective.

      • KCI등재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목표의 한문(漢文) 교과서 적용 양상 연구

        김연수 ( Yeon Soo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한문과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을 살펴볼 때 2007 개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상당히 혁신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전 제6차와 제7차 한문과 교육과정과 체재와 내용 면에서 현격히 구별된다. 한문과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열망이 담겨있고 새로운 변화를 추동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로 설정한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는 목표에 그러한 열망과 변화의 의지가 담겨 있다. 이 목표는 기존한문과 교육과정과는 다른 차원으로 한문과 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주목을 요한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및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새로 설정한 목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먼저 살펴보고, 이 목표가 중등학교 『漢文』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설정한 목표 ‘비판적 이해’와 ‘심미적 향유’가 한문 교과서 적용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漢文』교과서 13종과 고등학교 『漢文Ⅰ』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단원 학습 목표및 학습 내용 선정과 학습 활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비판적 이해’와‘심미적 향유’라는 목표가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거의 반영된 경우, 부분적으로 반영된 경우, 아예 반영되지 않은 경우로 분류하였다. 중등학교 『漢文』 교과서의 분석결과를 통해 동일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개발한 교과서라도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실행하는 정도와 양상은 교과서마다 매우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문과 교육과정이 『漢文』 교과서를 비롯하여 한문과 수업 현장에 온전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학계와 학교 현장의 지속적인 소통과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what``s the meaning of the goal newly set in the Chinese Class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2009;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ritically understand and aesthetically appreciation various types of Chinese Classics" and then analyze its detailed aspects of how this goal is reflected i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For critical understanding of Chinese Classics materials, learners should be able to evaluate & accept the contents & values of the materials in a critical way from learners`` perspective after they grasp their contents & stylistic features according to writing types. Results of analysis o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s showed that Chinese Classics textbooks revised in 2009 and high school textbooks; Chinese Classics Ⅰreflect the goals of the newly set curriculum more than those revised in 2007 &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 books do. It``s also found that the most idealistic is to connect previously set goals of textbook units to related learning activities and that how much a curriculum is performed depends upon the quality level of its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한 도덕수업 재구성: 비판적 교육을 중심으로

        박세원 ( Seo Woen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1

        이 논문은 도덕교과에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의 바른 자리를 찾고,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함양을 돕는 도덕수업 재구성 방법을 비판적 교육(critical pedagogy)의 관점에서 제시한다. 인격교육중심의 현행 도덕교과는 아동이 학습해야 할 도덕적 가치들을 일방적으로 규정하고, 그 가치들을주로 주입과 습관화를 통해 아동의 삶에 외부적으로 부과하는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세계화, 다문화, 거대화, 공학화로 특징지워지는 미래의 과학·기술 사회에는 인간성(humanity)과 실존성을바탕으로 타자와의 대화적 삶을 적극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도덕성을 요구한다. 그리고 대화적존재 구성에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 비판적 사고 교육이다. 이 논문은 도덕교과교육에서 비판적사고 교육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와 중요성을 비판적 교육을 중심으로 재개념화 하면서 가능한교육방법을 소개한다. 논문의 요지는 도덕교과에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은 학생이 처한 맥락성,실존성, 대화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사는 학생의 삶과 발달성이해에 기초한 실존적 교육활동, 소외적 실체를 드러내고 사회적 변화를 도모하는 교육활동을 바탕으로 학생이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와 실천을 형성해가도록 도울 것을 제안한다. 이 과정에서필자는 비판적 교육과 도덕교과교육의 바람직한 정체성과 교육적 비전을 재개념화 하면서 두 교육 전통의 대화적 융합을 전망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도덕교과가 학생이 타자와 함께 대화적 존재를 형성하도록 돕는 철학교과로 교과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안한다. This paper provides readers with a space of thinking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eaching methods of critical thinking and practice in moral education based on critical pedagogy. Character building-centered moral education externally sets the predetermined moral values to be educated and focuses on the indoctrination and habitualization of moral values. However, the technological world in the future featured as global, multicultural, complex, and instrumental requires the morality to construct dialogical being with others based on our full humanity. The education of critical thinking is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s of growing dialogical being. This paper discusses the soci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ritical thinking in moral education, and then later provides readers with the desirable teaching methods of critical thinking in moral education classrooms. The education of critical thinking and practice should happen in learner`s life context in which children are situated. Accordingly, teachers must help children to use critical thinking skills in a natural way in the course of their own life problem-solving. In order to do that,teachers need to teach those skills based on the whole understanding of each child`s life, the learner`s reconceptualization of alienated entities, and the praxis of individual change and social change. Besides, this paper not only argues that the current moral education should be replaced with philosophy education for its subject identity but also suggests how critical pedagogy is to become a more authentic educational philosophy to the public through embracing other philosophical traditions such as experiential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강지영 ( Kang Jiyoung ),소경희 ( So Kyungh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대중매체 담론은 사람들의 일상적인 사고 및 행동 양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형성된 일상적인 담론들은 다시 여론이나 사회적 요구라는 이름으로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해 주요 일간지에서 어떤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해 크게 세 가지 담론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와 교육과정 개발진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형인재 양성 교육과정’ 담론, 과학계 인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이과 말살 교육과정’ 담론, 그리고 시민사회단체와 교원단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현장과 유리된 교육과정’ 담론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에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담론 구조가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다양한 집단들이 참여하는 ‘다원적 구조’로 변화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은, 외부 전문가와 현장 실천가들의 담론에서 교육부 및 교육과정 개발진들이 ‘공공의 적’으로 표상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향후 교육과정 개발진이 이러한 적대감을 누그러뜨리고 ‘교육과정 중재자’로서의 전문성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각계각층의 요구를 체계적이고 진정성 있게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음이 논의되었다. Media discourse has had a huge influence on curriculum revision in the name of public opinions and social needs.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discourses major newspaper produced about the general framewor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dia analysis revealed three discourses: “curriculum for cultivating creative human resources,” which was shaped by administrators and curriculum developers; “curriculum for eradicating science and engineering,” produced by exper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curriculum detached from educational practice,” shaped by NGOs and teachers’ union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discursive structure of Korean curriculum revision included more diverse interest groups with differing perspectives.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administrators and curriculum developers were represented as public enemies in media discourses by outside experts and practitioners who developed counter-discourses against them. Therefore, to mitigate outside antagonism and exert active professionalism as curriculum negotiators, curriculum experts should discuss curriculum revision with various interest groups and explore new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s that reflect social needs in more systematic and genuine ways.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황갑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새로이 개정된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육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다음의 두 가지 점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하나는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이 90년대 후반 이후의 사회변동을 반영하고 있는가? 다른 하나는 교육내용이 비판이론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가? 교육내용의 내용분석을 위해 사회변동과 비판이론의 분석틀을 마련하였고, 내용분석의 자료는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관련 자료들이다. 분석결과, 90년대 후반 이후 사회변동은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과서에 부분적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개정 교육과정에 비판이론의 반영의 정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영역별로 보면, 사회조직에서 탈 관료제 현상과 가족제도에서 가족형태의 변화에 대한 내용은 현행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으며, 성불평등과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내용은 개정 교육과정에 새로이 반영되었다. 그러나 비판이론의 내용은 일부 교과서의 내용에서 극히 부분적으로 반영되어 있고, 개정 교육과정에 비판이론의 내용들은 이론적 관점의 수준에서만 부분적으로 다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nts of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high school. The analysis are focused on the two questions how much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reflect the social change after the 1990's later and critical theor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 social change after the 1990's later was reflected partially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critical theories was scarcely reflected. In the case of division by the section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social change after 1990's later was reflected in the explanation of disbureaucratization appearance and the change of family pattern in the textbooks. The concepts of sex discrimination and social minority were newly reflect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nts of revised curriculum. But critical theories were partially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one textbook and critical theories was scarcely reflec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국어과 교육과정적 함의

        정현선,장은주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8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 문해 교육의 내용이 호주와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확장된 문해력 개념을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중 문해력, 비판적 문해력, 디지털 시민성 등을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을 높은 수준에서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는 호주와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호주와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에는 시각 텍스트에 대한 교육이 구어와 문어에 대한 교육과 함께 포함되어 있고, 다중문해력 및 비판적 문해력과 교육 내용이 잘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은 학생이 자신의 생활이나 관심사에 주목하고, 일상을 기록하고 탐구하도록 하여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 등의 낮은 연령의 학생들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호주와 캐나다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교육은 텍스트의 신뢰성과 타당성만을 판단하는 좁은 의미의 비판적 읽기가 아니라, 학생이 자신이 읽고 생산하는 텍스트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재구성하며, 다양한 목적과 청중을 고려한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비판적 문해 활동을 바탕으로 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지면과 화면으로 전달되는 디지털 매체의 특징을 비교하는 교육 내용 등에 주목하였다. 이에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문해력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 마련이 필요하고, 학교 현장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안착을 위해 매체 영역 신설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영화를 통한 비판적 체육·스포츠 교육(학)의 가능성 탐색: 《4등》을 활용하여 예비(초등)체육교사의 비판적 스포츠 문해를 함양하는 문제제기 식 교수-학습의 한 방식

        서재철 ( Seo Jae Chul ),이영석 ( Lee Young Su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영화를 통해 비판적 체육·스포츠교육(학)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사항을 논의한다. 첫째, 스포츠영화를 비판적 교육(학)의 관점에서 읽고 다시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목적과 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개진한다. Paulo Freire에서 시작하여 Henry Giroux를 거쳐 지금은 전 세계의 많은 교육(학)자들이 주목하여 탐구하고 있는 `비판적 문해`의 개념을 최의창(2013)이 주장한 `스포츠 리터러시`의 아이디어와 연관지어 `비판적 스포츠 문해`라는 소양 혹은 역량을 착안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이 소양을 함양하는 교육적 실제의 구체적인 방식으로 `문제제기식 교수-학습`의 원리와 성격을 요약적으로 정리한다. 둘째, 《4등》이라는 영화를 비판적 교육(학) 관점의 예비(초등)체육교사교육에 활용하는 방식을 두 가지 생성적 주제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하나는 영화 속 인물들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면서 이야기의 구조와 과정을 비판적으로 읽고 해석하며 대화/토론하는 차원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영화가 문제화하는 스포츠세계의 폭력적 체벌과 1등 지상주의라는 사건 혹은 현상을 개인적 차원의 이슈로 단순화하거나 환원하여 받아들이지 않고, 개인과 구조가 관계하며 빚어내고 만들어지는 집합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으로 문제화하여 인식하는 입체적 안목을 함양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영화 밖 스포츠 세계 및 세상에 대한 읽기와 토론으로 나아가는 차원이다. 교사/교수와 학생 모두 `교육과정 비평가`가 되어 영화 속 스포츠이야기를 체육과 교육과정이 지시하는 `도전`과 `경쟁`의 가치와 연관지어 생각해보고, 나아가 학교교육 및 사회 체제 전반에 작동하고 있는 `(무한)경쟁`이라는 교육 담론 속에서 다시 사유해보는 것이다. 결론에서는, 비판적 체육·스포츠교육(학)의 가치와 비전을 함께 상상하고 탐색하는 공동의 여정을 제안하며 마무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First, we discuss theoretical points in terms of why film can be a `good` source for teaching critical pedagogy-oriented classes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Especially, it mainly focuses on two concepts: one is what we call `critical sport literacy` which combined between Paulo Freire`s `critical literacy` and what Choi(2013) coined `sport literacy`and the other is about som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problem-posing dialogue` informed by Freire, as a method for teaching critical literacy. Second, we introduce a specific way to utilize films into critical teaching in elementary P.E. teacher education, selecting a Korean sport film 《4th place》 as well as demonstrating for what goal and how to design problem-posing dialogue for cultivating critical sport literacy. In short, two themes are detailed. One is a theme of how to conceptualize protagonists in the film as a social being not only considered their personal characters but also integrated their ways of living in social relations. The other is to critically think and interpret the value of competition represented in the film within the broad relations among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public school sports as a systematic institution of cultural practice, and the larger conditions of historical,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order to facilitate this point, teacher and students need to play a role of curriculum-critic in participating dialogue and discu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