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체계적 문헌 조사와 지원 방안 탐색

        김정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As teachers' active role in school change becomes more emphasized, new light is shed on their action and practices. Over the last twenty years, research regarding teacher agency has been emerging in various subfields of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studies, education policy, literacy, and teacher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s to discover the futur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in a way that supports teachers' actio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eacher agency that has recently been brought to light. For this purpose, this systematic review, first of all, explores the concept of teacher agency by focusing on the assumption of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Each approach undergirds the following examination of empirical studies that is known to successfully support teacher agency, which investigates how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s facilitated. Building on the efforts to understand teacher agency, the teacher education field in Korea and ways to support teacher agency are explored. This research aims to change both teachers and the structure and context of educational practic 학교 변화와 관련하여 교사들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교사의 능동적인 행위와 실천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지난 20여 년 간, 교사 교육 분야를 비롯하여, 교육과정, 교육정책, 언어교육 등 교육학의 각 분야에서 교사 행위주체성에관한 연구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의 가정에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교사의 능동적 행위를 지원할 수 있는지 교사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먼저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문헌을 조사하여 행위주체성 개념을 탐색하고, 서로 다른 이론적 가정 위에 교사행위주체성을 성공적으로 지원한 연구에서 교사의 능동적 행위가 어떻게 촉진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나아가이와 같은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국내 교사 학습 및 학습공동체 분야의 지형을 헤아리고, 교사행위주체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 글을 통해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지원을 바탕으로교육 실천의 구조와 맥락이 변화되기를 기대하며 실천과 신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행위주체로서의 교사로 변화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교사의 행위주체성이 교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희,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 행위주체성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사 행위주체성이 직무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사 직무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에 전국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 초등교사 의 행위주체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연구결과]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내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행위주 체성은 직무만족도에 직결되는 중요한 변인이기 때문에, 교사가 다양한 교육공동체 와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행위주체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토대를 마련해 야 한다. 둘째, 학생의 긍정적인 학교생활과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는 교사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결 론] 본 연구는 교사 행위주체성이 교사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해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증진해야 한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ncy and to increase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impact of teacher agency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ncy,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eacher agency is an important variable direc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 foundation must be established to support teachers so that they can exercise agency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various educational communities. Second, measures must be taken to increase teacher job satisfaction, which can lead to students' positive school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 agency is a variable that increases teacher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vidence that teachers' agency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teacher job satisfaction.

      • KCI등재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소경희 ( Kyunghee So ),최유리 ( Yuri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8 교육과정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교사가 변화의 주체가 되도록 요구받고 있는 최근의 교육 개혁의 맥락 속에서, 교사들의 실천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틀로서 ‘교사 행위주체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교사 행위주체성’의 개념적인 의미를 검토하고, 이 개념에 기반을 둘 때 행위 주체로서의 교사들의 실천은 어떤 양상으로 드러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 행위 주체성은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가 아니라 특정 맥락에서 ‘성취’될 수 있는 어떤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교사를 둘러싼 구조나 문화적 조건들이 교사의 개인적 능력 못지않게 교사의 주체적인 행위의 성취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국가의 변화 요구를 적극적으로 따르는 것만이 주체적인 교사라고 볼 수는 없으며, 변화에 대한 저항과 침묵도 교사가 행위주체성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천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이 교육 개혁에 대한 교사 실천의 다면적이고 복잡한 양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연구에서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관심과 논의, 그리고 교사 행위주체성의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맥락적 조건 및 교육과정 정책 개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 depth how teachers deal with the recent educational reform context where teachers are asked to become the agents of change, by exploring the concept of ‘teacher agency.’ The study reviews the conceptual meaning of teacher agency and explores how teacher agency is achieved and practice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eacher agency should be understood as not the ability one can possess but something that can be achieved in certain context, and thus not only teachers’ individual abilities but also structural and cultur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teachers can affect achievement of their agency. Also, teacher agency should be understood to be achieved not only through actively following the nation’s calls for change, but also through resistance and silence against change. This study’s results imply that the concept of teacher agency can b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multifaced and complex aspects of teachers’ practices regarding educational reform. Teacher agency should receive attention and be discussed in curriculum research, and that contextual conditions and curriculum policy development in terms of improving achievement of teacher agency should be researched.

      • KCI등재

        변화의 주체로서 과학 교사의 행위주체성 탐색 -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경 ( Hyekeoung Lee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3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구성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교사 행위주체성을 바탕으로 맥락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맥락에 적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으로 인하여 실시된 원격 수업의 실행에서 어떠한 교사 행위주체성이 발현되었는지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인의 중등학교 과학교사가 2020학년도에 수행한 원격 수업 실행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연구 참여자가 실제 사용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행위주체성을 교사가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것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목표를 바탕으로 개인과 그가 속한 사회를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드러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이는 교사가 위치한 맥락과의 관계적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는 상황을 인식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변화를 만들거나, 자신의 실행을 일관적으로 유지하였다.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은 원격 수업의 상황에서도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가치 및 교육적 목표를 실천하기 위하여 적절한 교수·학습 접근을 취하거나 필요한 기술을 학습할 때 촉진되었다. 또한, COVID-19 상황에서 차질없이 수업을 제공하려는 단기적인 목표 혹은 교사가 미래의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장기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은 추진력을 얻었다. 또한, 현재 교사가 위치한 맥락의 협력적이고 유연한 학교 문화, 교사들 사이의 활발한 협력, 수업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물질적인 지원은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을 지원하는 요소들이었다. 반면에, 대입을 위하여 학생의 성취를 강조하는 담론, 구체적인 실행과 관련한 지원의 부재, 지식 전달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강조, 실행에 대한 성찰의 부재는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에 제약이 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교사 행위주체성이 발현되며, 그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을 통한 교사들의 주체적이고 전문적인 실행을 지원하는 데 유용한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Teachers play a key role in designing a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are asked to interpret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located and to adjust their practice to fit circumstantial needs based on their teacher agency.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in distance learning caused by COVID-19 and we analyze factors shaping the teacher agency. For this purpose, we interviewed six secondary science teachers who practiced distance learning in 2020. Semi-constructed interviews and their artifac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is study shows that teacher agency is captured when they respond to circumstantial change and modify their practice to achieve their professional purpose or adjust their practice in space for maneuvering or keep their practice consistent.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in two dimensions. One is individual and the other is contextual. In the individual dimension, educational values shaped by his/her experiences and short/long-term goals for the future support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In the contextual dimension, there are collaborative and flexible culture shared by the community, co-operation within the teacher community, and mater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in the individual dimension, the teachers’ sense of their role, and no reflection for own practice constrain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and in the contextual dimension, performativity discourse and strong requirement without guidance constrain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We suggest an effective lens for establishing a strategy that support teachers’ professional practice and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 KCI등재

        ‘교사 행위주체성’에서 ‘교사-너머-행위성’으로

        엄수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024 교육과정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교사를 원자적 행위자로 상정하고 교사 행위주체성을 개념화하는 방식 자체에 문제를 제기한다. 교사의 행위주체성 논의에 있어 기본 단위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본연구는 Karen Barad의 행위적 실재론을 이론적 틀로 삼아 ‘교사 행위주체성’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교사-너머-행위성’을 제시한다. Barad의 행위성 개념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한 후, 그것을 토대로 구체적인 교육과정 실천 사례에서 행위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관계적 역동으로서의 행위성, 교사의 의도 넘어존재하는 행위성, 공간-시간-물질화 가능성의 재구성으로서의 행위성 차원에서 해당 사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행위성을 이분법적이고 개체주의적이며 인간중심적인 방식을 넘어 개념화하기 위해서 ‘교사-너머-행위성’ 개념을 제안한다. 교사-너머-행위성이란, 교사를 포함한 여러 (비)인간 행위자들이 상호생성적인관계를 맺으며 만들어내는 역동 속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교육 현상에 있어 비연속적이고 비확정적인 변화의가능성을 바꾸는 개념이다. 교사-너머-행위성 개념은 교사 개인의 주체성에서 교사가 관계 맺는 수많은 (비) 인간 행위자들의 역동으로 초점을 이동시킨다. 본 연구는 변화에 대한 개인적 접근에서 관계적 접근으로의 이동이 어떠한 가능성을 열 수 있는지 논의한다. In this paper, I “trouble” the ways in which teacher agency is conceptualiz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are bounded individual agents. I critique practices that consider individual teachers as focal units in understanding and conceptualizing teacher agency. Instead, I propose the new concept of “more-than-teacher agenc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informed by Barad’s agential realism. First, I offer a brief introductory account of Barad’s agential realism and examine three aspects of her notion of agency. Then, I analyze a specific case of curricular and pedagogical practices based on Barad’s agential realist account of agency: a) agency as relational dynamics, b) agency as “more-than” teacher intention, and c) agency as re-configurings of possibilities of space-time-mattering. The proposed notion of “more-than-teacher agency” pertains to what emerges from the dynamics created by intra-actions of various more-than-human actors, including teachers, and how it reconfigures the possibilities of discontinuous and indeterminate changes in educational phenomena. This concept shifts focus from teacher subjectivity to the relational dynamics of numerous more-than-human agents. I discuss the possibilities this new concept could open up.

      • KCI등재

        비판과학 관점의 주체로서 가정과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연구

        양지선(Yang, Ji Su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비판과학 관점에서 행동의 개념을 분석하고, 교사교육 측면에서 가정과 교사 행동주체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첫째, 행동의 개념은 인간이 자신의 의도를 포함하는 활동이며, 설정된 목적과 결정에 도달하려는 고유한 정체성을 드러낼수 있는 능력으로 공적 영역에서 상호의미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둘째, 교사 행위주체성은 교사가 가진 전문적인 경험과문화적⋅구조적 측면에서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개인과 공동체의 자기주도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 가정과 교사는 행위주체성이 발휘되는 상황과 결과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숙고하고 행동할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정과 교사는 행위주체성을 바탕으로 가정과 교육의 가치와 역할, 목적의식에 대해 비판적으로성찰하고 사유할 수 있다. 교사의 행위주체성 자체는 완성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이루려고 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교사 서로간의 지각된 상호이해를 통해 지속성을 갖고 발전해나갈 수 있다. 따라서 가정과 교사 행위주체성의 개념화는 교사의 행동에서드러나는 실천을 이해하려는 것이며, 이는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상호주체적 환경조성을 통해 교사의 사고와 성찰을강화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기에 학교 현장의 환경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of action from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agen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The context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teacher agency were identified in terms of philosophy and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first, the concept of action refers to an activity of individuals involving one’s own intentions, and include the ability to reveal a unique identity that aims to reach a set purpose and decision, and this can be identified by mutual meaning in the public sphere. Second, teacher agency is influenced by a teacher’s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cultural and structural aspects, and it can create an environment which can promote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erefore,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asonably judge, contemplate, and act through reflections on the circumstances and consequences in which their agency is exercised. Third, home economics teachers can reflect and think critically about the values, roles, and sense of purpos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agency. Teachers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ir agency rather than on completing it, and they can continuously develop it through a perceived shared understanding among teachers. Therefore,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agen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is to understand the practice revealed in a teacher s actions. This requires environmental support in school settings because it acts as a mechanism for strengthening the thinking and reflection of teachers through the creation of interactive environments in which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s can be shared.

      • KCI등재

        가타리의 주체성 생산이 유아∼물질∼교사의 행위주체성(agency)에 주는 의미: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를 중심으로

        최윤경,임부연 한국아동권리학회 2020 아동과 권리 Vol.24 No.2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how Guattari’s theory of production of subjectivity couldinspir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build the images of child and teacher from weak andinactive to being of a powerful agency.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how both childrenand teachers become a powerful agency when they are engaged with the materials intosomething alive, so that producing of subjectivity on the triadic relationships, which is writtenin this study as child∼material∼teacher. Method: On-site support data for the 2019 Nuri curriculum, play understanding data, andexamples and discussions of play execution data were selected as research data. Read-writecategorymethods, which are rhizo writing by Sellers (2010), were set as research methods. Results: Children were a rich child who changed, resisted, chose, acted internally with theworld, and reproduced their culture. Material had the behavior of changing forces that affectedand awakened each other. The teacher had a moving force that created his own valuesand beliefs by trying new things out of the struc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production subjectivity of Guattari, the behavior subjectivity of child∼material∼teacheragency could be seen in the relationship. Conclusions: First, the agency created by a child∼material∼teacher will be a multifaceted,relational entity, and the power to live in a complex world. Second, children are the subjectsof learning and are the ones who elicit learning themselves. In addition, the chapter of therelationship between child∼material∼teacher behavior was the space of learning. Finally,child-material-teacher agency forms a community relationship by creating a new network ofrelationships that deviates from the inter-rank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through the self-produced production of self.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약하고 불완전하게 여기는 유아의 근대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 유아, 물질의 행위주체성(agency)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 이들의 행위주체성을 가타리의 주체성 생산의 시선으로 보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방법: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지원자료인 놀이이해자료, 놀이실행자료의 사례와 논의들을 연구 자료로 선정하고, Sellers(2018)의 리좀적 글쓰기(rhizo writing)인 읽기~쓰기~범주화하기를 연구방법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유아는 유능한 어린이(rich child)로서 스스로 선택하고 저항하고 실행하며, 세상과 내부작용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재생산하는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있다. 물질은 인간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감각을 깨우는 변화하는 힘의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있다. 교사는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움을 시도하며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생성하는 힘의 행위주체성을가지고 있다. 가타리의 주체성 생산의 관점에서 본 유아∼물질∼교사의 행위주체성은 관계맺음 속에서 생성되는 행위주체성이다. 결론: 첫째, 유아∼물질∼교사가 만들어내는 행위주체성은 다면적이고 관계적인 주체로서 복잡한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다. 둘째, 유아는 배움에 대한 주체이며 그들 스스로 배움을 이끌어내는 존재이다. 또한 유아∼물질∼교사의 행위주체성의 관계 장은 배움의 공간이다. 마지막으로 행위주체성은 자기생산의 주체성 생산을 통해 인간과 비안간의 위계적 관계를 벗어난 새로운 관계망을 만들어 공동체적 관계를 형성한다.

      • KCI등재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과학교사 행위주체성 탐색 -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2년 차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경 ( Hyekeoung Lee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5

        COVID-19로 인하여 도입된 원격 과학 수업은 이제 교사들에게 새로운 일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가 지난해의 실행을 습관적으로 되풀이하기보다는 변화하는 맥락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맥락에 적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하여 시행된 원격 수업 2년 차 상황에서 교사가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는 실행에서 드러나는 교사 행위주체성과 이때의 맥락을 분석하였다. 특히, 2020년 4월에서부터 2021년 7월까지 16개월 동안 교사의 원격 과학 수업 실행을 추적하여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과학교사 3인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지속해서 검토하며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원격 과학 수업 실행에서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거나 외부로부터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기 위하여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거나 자신이 추구하는 과학 교육을 원격 수업 상황에서도 구현하기 위하여 행위주체성을 발현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지난해 원격 과학 수업을 실행한 경험 및 이로부터 축적된 실천적 지식, 자신의 실행에 대한 성찰, 원격 과학 수업에 대한 장·단기적 목표가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가 속한 맥락에서 원격 수업의 질 제고를 추구하는 학교 공동체의 분위기나 교사 사이의 활발한 소통과 협력 역시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을 촉진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격 과학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과학교사 행위주체성이 발현되었는지 탐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맥락을 분석하였다. 또한, 같은 교사가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행위주체성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의 개인적인 요인 및 맥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everything, even education. Last year when distance learning was introduced, science teachers faced many challenges to overcome. However, teachers adapted quickly, and in this year, it became the ‘new normal’. In this situation, teachers are likely to habitually repeat past practices, but the context of the second year of distance learning is changing constantly, and teachers are asked to interpret the problem occurring in a situation and to adjust their practice for solving the problem with their teacher agency.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mergence of science teacher agency and factors shaping teacher agency in the second year of distance learning and we focus on teachers’ agentic practice that did not follow their past practice without reflection. For this purpose, we mainly analyze the semi-constructed interview of three science teachers. In the first year of distance learning, two teachers maintained their practice, not much different to face-to-face learning. However, one teacher reflected upon herself and started to recognize and solve her problems. Reflection for her practice can support this process. Another teacher changed her practice due to external suggestions, but it evolved her practice to fit the situation better, and her experience of last year helped her to adapt to the change. The other teacher who modified her practice to persist her professional purpose last year was consistently practicing in the second year and collaboration and autonomy can support her. This study shows the teachers’ dynamic change of agency and the emergence for the relation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ontext.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중학교 저경력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염태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achieving agency of novice teacher before and after COVID-19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Methods It explored in-depth the narratives of the three-years teaching experience from 2019 to 2021, whe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teacher Choi)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newly appointe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capture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influenced Teachers’ agency over time and deriv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Results The results of a study, Teacher Choi's agency pattern gradually changed to an active form.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eacher Choi's agency were analyzed such as teacher's belief, inferiority, organizational culture, and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and so on.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hievement of a teacher's agency i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competence of the teacher, but the influence of contextual conditions is important. Accordingly, studies on the practice of teachers in the post-COVID-19 era need to broadly consider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that affect the expression of teachers' agency.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저경력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 경험을 생태학적 관점에 기대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 과학 교사(최 교사) 1인이 신규 임용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동안 겪은 교직 경험의내러티브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최 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 양상과 영향을 미친 맥락적 조건들을 포착하고 경험의 의미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최 교사의 행위주체성 양상은 신규 임용 직후 다소 수동적인 형태의 행위주체성을 보였으나 코로나19라는 맥락적변화를 기반으로 점차 적극적 양상의 행위주체성을 성취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들은 반복적, 실천-평가적, 투영적 차원에서 분석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코로나19가 가져온 교육⋅환경적 변화와 더불어 교사 개인의신념과 교육철학, 전임 교사의 성과에 대한 열등감, 파편화된 조직문화, 교사학습공동체의 성격, 학교장의 리더십 등이 다양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는 교사 개인의 역량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맥락적 조건의 영향력이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사의 실천에 관한 연구들은 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조직문화, 교수학습 맥락,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문서의 영향력 등을 폭넓게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 초등교사의 행위주체성에 따른 ‘좋은 교사’ 이미지 탐구

        이지은,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행위주체성 수준과 그에 따라 형성한 ‘좋은 교사’ 이미지를 분석하여 교사들이 긍정적인 정체성과 교사상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측정하 고 ‘좋은 교사’ 이미지에 대한 기술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5.0 프로그 램과 오렌지3 머신러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성별, 연령 및 경력, 선호 학년에 따라 행위주체성 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좋은 교사’의 이미지를 주로 교사의 수업, 문 제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응, 타인과의 관계, 직업의식이라는 네 범주로 바라보고 있었으며 행위주체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연구하는 교사-계획에 따라 성 실히 수업하는 교사’, ‘문제상황을 탐구하는 교사-문제상황에 동요하지 않는 교사’, ‘교육 공동체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교사-교육 공동체의 목소리를 수용하는 교사’, ‘내적 기준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는 교사-외적 기준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는 교사’ 로 ‘좋은 교사’의 이미지를 다르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결국 교사들이 보다 실천적이고 적극적인 자신의 ‘좋은 교사’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교사가 행위주체성을 발휘하기 위한 차원들에 관 심을 기울여야 한다. 실천적 측면에서 교사들이 구성하고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좋은 교사’ 이미지를 바탕으로 교사의 시선에서 출발한 교사의 이상상에 관심을 기 울이고 인간적인 존재로 대우하며 원만한 관계에서 소통하는 사회문화적 분위기 조 성이 요구된다. 연구적 측면에서 다양한 교사가 서로 실천적인 지식과 경험을 공유 하고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제도적 측면에서 교 사 행위주체성 발휘에 제약이 되는 사회 구조적 차원의 제도, 법과 관련한 개선과 실효성 있는 시행 및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what level of their teacher agency level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mselves and to find ways for teachers to form positive identities and professional ideals by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image of “Good Teacher” according to the teacher agency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tudied the image they think of themselv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studied the expectations of teachers’ images or roles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 people, not teachers such as parents or students. Currently, teachers and their authority are not respected in our society, and many teachers are experiencing emotional exhaustion, and thu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support teachers by grasping the professional ideals that teachers actually form.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ncy?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image of the ‘Good Teacher’ they form according to the Ag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ior research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nd measures to measure variables were selected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professor and experts teacher in elementary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and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cross the country was conducted both online and offline from May 29 to June 16, 2023. There were 450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nd 417 of them were used for actual research, excluding 33 data that responded insincerely. The collected data was first preprocessed through the Excel program,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ext-min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images using the Orange 3 machine learning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own perception of Ag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career, and their preferred grad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male teachers perceived their agency level higher than female teach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older age or experience perceived their agency level higher than teachers with younger age or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prefer lower grades perceive their agency level higher than teachers who prefer middle grades. Second, teachers were mainly looking at the image of “Good Teacher” based on four categories: “(1) teacher’s teaching”, “(2) appropriate response to problem situations”, “(3)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3) job consciousness”. And specifically, each category was recognized differently as follow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ir agency. It was found that the image was perceived differently as “(1) teacher who study the curriculum in various ways-teacher who faithfully teach according to plans”, “(2) teacher who explore problem situations-teacher who are unperturbed by problem situations”, “(3) teacher who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teacher who accepts the voice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4) teacher who perform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ir internal standards-teacher who perform their duties according to given external stand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