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체계적 문헌 조사와 지원 방안 탐색

        김정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As teachers' active role in school change becomes more emphasized, new light is shed on their action and practices. Over the last twenty years, research regarding teacher agency has been emerging in various subfields of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studies, education policy, literacy, and teacher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s to discover the futur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in a way that supports teachers' actio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eacher agency that has recently been brought to light. For this purpose, this systematic review, first of all, explores the concept of teacher agency by focusing on the assumption of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Each approach undergirds the following examination of empirical studies that is known to successfully support teacher agency, which investigates how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s facilitated. Building on the efforts to understand teacher agency, the teacher education field in Korea and ways to support teacher agency are explored. This research aims to change both teachers and the structure and context of educational practic 학교 변화와 관련하여 교사들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교사의 능동적인 행위와 실천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지난 20여 년 간, 교사 교육 분야를 비롯하여, 교육과정, 교육정책, 언어교육 등 교육학의 각 분야에서 교사 행위주체성에관한 연구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의 가정에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교사의 능동적 행위를 지원할 수 있는지 교사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먼저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문헌을 조사하여 행위주체성 개념을 탐색하고, 서로 다른 이론적 가정 위에 교사행위주체성을 성공적으로 지원한 연구에서 교사의 능동적 행위가 어떻게 촉진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나아가이와 같은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국내 교사 학습 및 학습공동체 분야의 지형을 헤아리고, 교사행위주체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 글을 통해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지원을 바탕으로교육 실천의 구조와 맥락이 변화되기를 기대하며 실천과 신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행위주체로서의 교사로 변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교사 행위주체성’에서 ‘교사-너머-행위성’으로

        엄수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024 교육과정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교사를 원자적 행위자로 상정하고 교사 행위주체성을 개념화하는 방식 자체에 문제를 제기한다. 교사의 행위주체성 논의에 있어 기본 단위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본연구는 Karen Barad의 행위적 실재론을 이론적 틀로 삼아 ‘교사 행위주체성’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교사-너머-행위성’을 제시한다. Barad의 행위성 개념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한 후, 그것을 토대로 구체적인 교육과정 실천 사례에서 행위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관계적 역동으로서의 행위성, 교사의 의도 넘어존재하는 행위성, 공간-시간-물질화 가능성의 재구성으로서의 행위성 차원에서 해당 사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행위성을 이분법적이고 개체주의적이며 인간중심적인 방식을 넘어 개념화하기 위해서 ‘교사-너머-행위성’ 개념을 제안한다. 교사-너머-행위성이란, 교사를 포함한 여러 (비)인간 행위자들이 상호생성적인관계를 맺으며 만들어내는 역동 속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교육 현상에 있어 비연속적이고 비확정적인 변화의가능성을 바꾸는 개념이다. 교사-너머-행위성 개념은 교사 개인의 주체성에서 교사가 관계 맺는 수많은 (비) 인간 행위자들의 역동으로 초점을 이동시킨다. 본 연구는 변화에 대한 개인적 접근에서 관계적 접근으로의 이동이 어떠한 가능성을 열 수 있는지 논의한다. In this paper, I “trouble” the ways in which teacher agency is conceptualiz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are bounded individual agents. I critique practices that consider individual teachers as focal units in understanding and conceptualizing teacher agency. Instead, I propose the new concept of “more-than-teacher agenc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informed by Barad’s agential realism. First, I offer a brief introductory account of Barad’s agential realism and examine three aspects of her notion of agency. Then, I analyze a specific case of curricular and pedagogical practices based on Barad’s agential realist account of agency: a) agency as relational dynamics, b) agency as “more-than” teacher intention, and c) agency as re-configurings of possibilities of space-time-mattering. The proposed notion of “more-than-teacher agency” pertains to what emerges from the dynamics created by intra-actions of various more-than-human actors, including teachers, and how it reconfigures the possibilities of discontinuous and indeterminate changes in educational phenomena. This concept shifts focus from teacher subjectivity to the relational dynamics of numerous more-than-human agents. I discuss the possibilities this new concept could open up.

      • KCI등재

        연구회 참여 교사가 행위주체성을 성취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 근거이론적 접근

        최지선,임성만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4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연구회 참여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과정 과 연구회 참여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회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기반 으로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해,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교 사 행위주체성 성취과정을 분석하고 연구회 참여가 이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행위주체성 성취는 ‘초기현상-현 상-결과’의 시간적 변화를 보이며, 반복적, 실천-평가 적, 투영적 차원의 조건들로 인한 전략이 이에 영향을 미쳤다. 초기에는 형식적이고 교사 중심의 교육 실천, 제약에 따른 실천 제한이 주를 이루었으나, 목적 중심 의 교육 실천과 학생 주도형 학습, 협력 문화 형성을 통 한 교육 확산으로 변화하여 교육 혁신을 통해 미래 지 구인으로서 학생들의 성장을 이끄는 교사 행위주체성, 협력을 기반으로 학교 문화 개선 및 교사를 지원하는 문제 해결 교사 행위주체성을 성취하였다. 연구회 참여 는 교사들의 교육 목표 확립과 실천 변화를 촉진하고, 전문성을 쌓으며 자원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협력적 학교 문화를 조성하고, 교사로서의 역할을 확장 하는 멘토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여 교사 행위주체 성 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교사 학습 공동체로서 연구회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으며, 공동 체 구성을 통한 교사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ocess of teacher agency achievement among teachers participating in a teacher study group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the group on this proces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 study group,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temporal progression of teacher agency achievement and the effects of teacher study group participation on this pro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hievement of teacher agency followed a temporal pattern of initial phenomenon-phenomenon-result, where strategies shaped by iterational, practical-evaluative, and projective dimensions played an influential role. Initially, the teachers’ practices were primarily characterized by formal and teacher-centered approaches with practical limitations. However, these evolved into purpose-driven practices,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efforts for educational expansion, ultimately fostering teacher agency in two key areas: promoting the growth of students as global citizens through educational innovation and supporting school improvement and teacher assistance based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study group was found to significantly aid in setting educational goals, stimulating practice changes, developing professional expertise, and securing resources. Additionally, it fostered a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and enabled teachers to expand their roles by serving as mentors, which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ttainment of teacher agency. This study reaffirms the importance of teacher study groups as learning communities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structured support through collaborative communities for teacher empowerment.

      • 초등교사의 행위주체성이 교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희,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 행위주체성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사 행위주체성이 직무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사 직무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에 전국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 초등교사 의 행위주체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연구결과]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내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행위주 체성은 직무만족도에 직결되는 중요한 변인이기 때문에, 교사가 다양한 교육공동체 와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행위주체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토대를 마련해 야 한다. 둘째, 학생의 긍정적인 학교생활과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는 교사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결 론] 본 연구는 교사 행위주체성이 교사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해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증진해야 한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ncy and to increase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impact of teacher agency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ncy,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eacher agency is an important variable direc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 foundation must be established to support teachers so that they can exercise agency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various educational communities. Second, measures must be taken to increase teacher job satisfaction, which can lead to students' positive school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 agency is a variable that increases teacher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vidence that teachers' agency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teacher job satisfaction.

      • KCI등재

        교사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 성취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대안적 접근

        이창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n alternative for achieving teacher agency.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for teachers to understand what agency is and to sympathize with its necessity, to achieve agency through the teacher-learning community so that each teacher can grow as an educational subject.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concep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cological approach of teacher agency and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Korea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n two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ere selected as examples based on this concep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document analysis and interview method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n the ecological approach of teacher agency, teacher agency is a phenomenon that emerges through organic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environmental contexts in the passage of time, and is achieved rather than owned by individuals. Agency can be complementarily achiev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can be an alternative approach for achieving teacher agency for three reasons. Firs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because its members jointly pursue the value of learning and sharing. Second,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expects high cooperation from its members, and practical cooperation is achieved. Third,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community is practically applied to personal or teacher life so that you can understand the original self and self as a teacher. Finally, the necessity for empirical research was suggested based on this, along with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eacher agency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ory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본 연구는 교사 행위주체성 성취를 위한 대안으로 교사학습공동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교사로 하여금 행위주체성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그 필요성을 공감하게 하며,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행위주체성을 성취하여 교육주체로서 교사 개개인이 성장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사 행위주체성의 생태학적 접근과 우리나라 교사학습 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개념을 정립한 후, 이에 기초하여 두 교사학습공동체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문서 분석과 면담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 행위주체성의 생태학적 접근에서 교사 행위주체성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개인과 환경 맥락 간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출현하는 현상이며 개인이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성취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교사 행위주체성은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보완적으로 성취될 수 있으며, 교사학습공동체는 세 가지 이유로 교사 행위주체성 성취를 위한 대안적 접근이 될 수 있다. 첫째, 교사학습공동체는 구성원들이 학습과 배움, 공유의 가치를 공동으로 추구하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는 구성원들에게 높은 협력이 기대되고, 실제적 협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는 공동체의 경험이 개인적인 혹은 교사로서의 삶에 실천적으로 적용되어 본래의 자신과 교사로서의 자신을 이해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교사 행위주체성과 교사학습공동체 이론 개념 정립과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경험적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타리의 주체성 생산이 유아∼물질∼교사의 행위주체성(agency)에 주는 의미: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를 중심으로

        최윤경,임부연 한국아동권리학회 2020 아동과 권리 Vol.24 No.2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how Guattari’s theory of production of subjectivity couldinspir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build the images of child and teacher from weak andinactive to being of a powerful agency.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how both childrenand teachers become a powerful agency when they are engaged with the materials intosomething alive, so that producing of subjectivity on the triadic relationships, which is writtenin this study as child∼material∼teacher. Method: On-site support data for the 2019 Nuri curriculum, play understanding data, andexamples and discussions of play execution data were selected as research data. Read-writecategorymethods, which are rhizo writing by Sellers (2010), were set as research methods. Results: Children were a rich child who changed, resisted, chose, acted internally with theworld, and reproduced their culture. Material had the behavior of changing forces that affectedand awakened each other. The teacher had a moving force that created his own valuesand beliefs by trying new things out of the struc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production subjectivity of Guattari, the behavior subjectivity of child∼material∼teacheragency could be seen in the relationship. Conclusions: First, the agency created by a child∼material∼teacher will be a multifaceted,relational entity, and the power to live in a complex world. Second, children are the subjectsof learning and are the ones who elicit learning themselves. In addition, the chapter of therelationship between child∼material∼teacher behavior was the space of learning. Finally,child-material-teacher agency forms a community relationship by creating a new network ofrelationships that deviates from the inter-rank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through the self-produced production of self.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약하고 불완전하게 여기는 유아의 근대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 유아, 물질의 행위주체성(agency)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 이들의 행위주체성을 가타리의 주체성 생산의 시선으로 보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방법: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지원자료인 놀이이해자료, 놀이실행자료의 사례와 논의들을 연구 자료로 선정하고, Sellers(2018)의 리좀적 글쓰기(rhizo writing)인 읽기~쓰기~범주화하기를 연구방법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유아는 유능한 어린이(rich child)로서 스스로 선택하고 저항하고 실행하며, 세상과 내부작용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재생산하는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있다. 물질은 인간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감각을 깨우는 변화하는 힘의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있다. 교사는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움을 시도하며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생성하는 힘의 행위주체성을가지고 있다. 가타리의 주체성 생산의 관점에서 본 유아∼물질∼교사의 행위주체성은 관계맺음 속에서 생성되는 행위주체성이다. 결론: 첫째, 유아∼물질∼교사가 만들어내는 행위주체성은 다면적이고 관계적인 주체로서 복잡한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다. 둘째, 유아는 배움에 대한 주체이며 그들 스스로 배움을 이끌어내는 존재이다. 또한 유아∼물질∼교사의 행위주체성의 관계 장은 배움의 공간이다. 마지막으로 행위주체성은 자기생산의 주체성 생산을 통해 인간과 비안간의 위계적 관계를 벗어난 새로운 관계망을 만들어 공동체적 관계를 형성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중학교 저경력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염태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achieving agency of novice teacher before and after COVID-19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Methods It explored in-depth the narratives of the three-years teaching experience from 2019 to 2021, whe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teacher Choi)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newly appointe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capture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influenced Teachers’ agency over time and deriv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Results The results of a study, Teacher Choi's agency pattern gradually changed to an active form.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eacher Choi's agency were analyzed such as teacher's belief, inferiority, organizational culture, and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and so on.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hievement of a teacher's agency i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competence of the teacher, but the influence of contextual conditions is important. Accordingly, studies on the practice of teachers in the post-COVID-19 era need to broadly consider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that affect the expression of teachers' agency.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저경력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 경험을 생태학적 관점에 기대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 과학 교사(최 교사) 1인이 신규 임용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동안 겪은 교직 경험의내러티브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최 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 양상과 영향을 미친 맥락적 조건들을 포착하고 경험의 의미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최 교사의 행위주체성 양상은 신규 임용 직후 다소 수동적인 형태의 행위주체성을 보였으나 코로나19라는 맥락적변화를 기반으로 점차 적극적 양상의 행위주체성을 성취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들은 반복적, 실천-평가적, 투영적 차원에서 분석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코로나19가 가져온 교육⋅환경적 변화와 더불어 교사 개인의신념과 교육철학, 전임 교사의 성과에 대한 열등감, 파편화된 조직문화, 교사학습공동체의 성격, 학교장의 리더십 등이 다양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는 교사 개인의 역량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맥락적 조건의 영향력이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사의 실천에 관한 연구들은 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조직문화, 교수학습 맥락,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문서의 영향력 등을 폭넓게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 초등교사의 행위주체성에 따른 ‘좋은 교사’ 이미지 탐구

        이지은,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행위주체성 수준과 그에 따라 형성한 ‘좋은 교사’ 이미지를 분석하여 교사들이 긍정적인 정체성과 교사상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측정하 고 ‘좋은 교사’ 이미지에 대한 기술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5.0 프로그 램과 오렌지3 머신러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성별, 연령 및 경력, 선호 학년에 따라 행위주체성 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좋은 교사’의 이미지를 주로 교사의 수업, 문 제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응, 타인과의 관계, 직업의식이라는 네 범주로 바라보고 있었으며 행위주체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연구하는 교사-계획에 따라 성 실히 수업하는 교사’, ‘문제상황을 탐구하는 교사-문제상황에 동요하지 않는 교사’, ‘교육 공동체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교사-교육 공동체의 목소리를 수용하는 교사’, ‘내적 기준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는 교사-외적 기준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는 교사’ 로 ‘좋은 교사’의 이미지를 다르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결국 교사들이 보다 실천적이고 적극적인 자신의 ‘좋은 교사’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교사가 행위주체성을 발휘하기 위한 차원들에 관 심을 기울여야 한다. 실천적 측면에서 교사들이 구성하고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좋은 교사’ 이미지를 바탕으로 교사의 시선에서 출발한 교사의 이상상에 관심을 기 울이고 인간적인 존재로 대우하며 원만한 관계에서 소통하는 사회문화적 분위기 조 성이 요구된다. 연구적 측면에서 다양한 교사가 서로 실천적인 지식과 경험을 공유 하고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제도적 측면에서 교 사 행위주체성 발휘에 제약이 되는 사회 구조적 차원의 제도, 법과 관련한 개선과 실효성 있는 시행 및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what level of their teacher agency level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mselves and to find ways for teachers to form positive identities and professional ideals by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image of “Good Teacher” according to the teacher agency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tudied the image they think of themselv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studied the expectations of teachers’ images or roles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 people, not teachers such as parents or students. Currently, teachers and their authority are not respected in our society, and many teachers are experiencing emotional exhaustion, and thu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support teachers by grasping the professional ideals that teachers actually form.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ency?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image of the ‘Good Teacher’ they form according to the Ag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ior research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nd measures to measure variables were selected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professor and experts teacher in elementary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and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cross the country was conducted both online and offline from May 29 to June 16, 2023. There were 450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nd 417 of them were used for actual research, excluding 33 data that responded insincerely. The collected data was first preprocessed through the Excel program,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ext-min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images using the Orange 3 machine learning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own perception of Ag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career, and their preferred grad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male teachers perceived their agency level higher than female teach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older age or experience perceived their agency level higher than teachers with younger age or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prefer lower grades perceive their agency level higher than teachers who prefer middle grades. Second, teachers were mainly looking at the image of “Good Teacher” based on four categories: “(1) teacher’s teaching”, “(2) appropriate response to problem situations”, “(3)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3) job consciousness”. And specifically, each category was recognized differently as follow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ir agency. It was found that the image was perceived differently as “(1) teacher who study the curriculum in various ways-teacher who faithfully teach according to plans”, “(2) teacher who explore problem situations-teacher who are unperturbed by problem situations”, “(3) teacher who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teacher who accepts the voice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4) teacher who perform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ir internal standards-teacher who perform their duties according to given external standards”.

      • KCI등재

        생태학적 “교사 행위주체성”의 한계와 대안 :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 탐색

        이성회(Sunghoe Lee)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1

        This article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Ecological Approach to Teacher Agency(hereafter, EATA)’ based on pragmatism(Priestly, Biesta & Robinson, 2015). As an alternative conceptual model, this study proposes ‘Relational Teacher Agency’based on critical realism. In doing this, Morphogenetic Approach(Archer, 1995) and Critical Realist Relational Sociology(Donati, 2011) were adopted as theoretical frameworks. The analysis suggests that EATA had three constraints: central conflation, a lack of relational gaze and an ignorance of agents’ reflexivity. To compensate for these weaknesses, the conceptual model of Relational Teacher Agency includes morphogenetic processes consisting of ‘structural conditioning-social interaction-structural elaboration’sequences. It also views social relation as an emergent sui generis reality. Additionally, it articulates the concept of reflexivity, both personal and relational. These three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unravel the emergent processes of relational teacher agency mediated by teachers’ reflexivity and social relations over time. Accordingly, Relational Teacher Agency drawing on critical realism is theoretically more robust than EATA in terms of its explanatory power. 본 연구는 실용주의에 기반한 ‘생태학적 관점의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모델’(Priestly, Biesta & Robnison, 2015)의 특징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주요특징을 탐색적 차원에서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형태발생론적 접근(Morphogenetic Approach)’(Archer, 1995)과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관계 사회학(Critical Realist Relational Sociology)’(Donati, 2011)을 이론적 틀로 활용했다. 분석 결과, 생태학적 관점의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모델은 1) 사회 구조와 행위자성의 상호작용에만 초점을 둔 중도 융합의 오류, 2) 관계적 시선의 결여, 3) 행위자의 성찰을 도외시한 한계를 드러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본 연구는 1) MA의 분석적 이원론을 바탕으로 한‘구조적 조건화-사회적 상호작용-구조적 정교화’란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된 형태발생론적 주기의 통합, 2) 발현되는 독자적인 사회적 현실로서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정의, 3) 교사의 개인적 성찰과 관계적 성찰 개념의 도입을 특징으로 하는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을 제시했다.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대안적 개념모델은 ‘형태발생론적 주기’란 시간축과 함께, 교사행위자성 발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를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또한 ‘성찰’의 개념을 통해 어떻게 사회적 관계를 통해 관계적 교사행위자성이 발현되는지에 대한 과정과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관점의 교사행위주체성 개념모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 KCI등재

        특수체육 전공 교사의 행위 주체성(Teacher Agency) 탐색

        윤진주,박종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이 연구는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체육 교사가 전공 교과에 대한 행위 주체성을 어떻게 발현하는지와 어떠한 맥락적요인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6인의 특수체육 전공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 연구 참여자의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분석은 Priestley et al.(2015)의 생태학적 관점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특수체육 전공 교사는 상황 맥락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확고한 신념을 형성한 경우 적극적으로 체육 교육을 실천하고, 어떠한환경에서도 자신의 전공 교과를 일관적으로 지도하고자 노력하였다. 교사 행위 주체성의 발현은 교사의 과거 생애사의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신념 및 체육의 가치와 문화적⋅구조적⋅사회적 맥락이 하나라도 일치하였을 때 촉진되었다. 또한, 특수체육 전공 교사가위치한 맥락이 전공 교과에 대해 허용적인 학교 문화, 동료 교사 및 중요한 타자들의 지원, 체육수업을 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은 교사행위 주체성의 발현을 촉진하는 요인이었다. 반면에, 통합교과로 운영되며 교과 전공보다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개별화 교육을강조하는 담론, 특수체육 전공 교과를 인정하지 않는 현장 문화, 체육을 할 수 없는 물리적 환경 지원의 부재, 특수교사로서의 역할에대한 한정적인 강조, 자신의 전공과목에 대한 성찰의 부재는 교사 행위 주체성 발현의 장벽 요인이 되었다. 또한, 반복적 차원과 평가적 차원의 일치에도 불구하고 투영적 차원에 대한 두려움은 교사 행위 주체성 발현의 장벽으로 작용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체육 교사의 능동적 행위 주체성 발현 가능성, 특수체육 전공 교사들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필요성, 특수교육 현장에서 전공 과목을 인정하는 문화,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