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수준과 필수 수행업무들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이재창,김미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interests and essential work performance on multi-cultur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students discipline, administrative work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considered as the essential work performance of the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of 179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July 2019 to January 2020. Concern-based adoption model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ncern of teachers and careers on teaching students with an immigration background was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ncern an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an immigration background was statistically correlated(R .196, P-value .008). and it also has effectiveness in stage 2, 3, 4, 5, 6. Third, work experienc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level of concern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in stage 6(R .229, P-value .002) and has effectiveness in stage 6. Fourth, the number or time of completion of training with various subject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level of concern were not correlated. Fifth, the number of completion of training focused only on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the level of concern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R .172, P-value .021) and it also has effectiveness in stage 0, 1, 3. Sixth, the time of completion of training focused only on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the level of concern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R .165, P-value .027) and it also has effectiveness in stage 0, 3. The study revealed that for effective settlement of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differentiated support is needed afte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tages of concern. 초등학교에 다양한 이주배경의 학생이 급격히 늘어나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운영이 긴요해지고 있다. 교사들이 운영에 착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문화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스스로의 관심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수준과 교사들이 수행해야만 하는 필수적인 업무들 사이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 179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다문화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관심기반 실행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필수적인 수행 업무가 학생지도 업무, 부서업무, 전문성 신장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변인(현재 학급 내 이주배경 학생 수, 다문화교육 지도경력, 다문화교육 관련 업무경력, 다문화교육활동과 관련된 각종 주제의 연수 이수 횟수와 이수시간, 다문화교육과정에만 집중된 내용의 연수 이수 횟수와 이수시간)과 다문화교육과정 관심수준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교사의 관심수준과 이주배경 학생지도경력 간의 관계는 통계상으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관심수준과 현재 학급 내의 이주배경 학생 수는 관심수준 2, 3, 4, 5, 6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 및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다문화교육 관련 업무경력과 관심수준은 6단계에서만 상관관계 및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다문화교육활동과 관련된 각종 주제의 연수 이수 횟수나 이수 시간은 각각 관심수준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다문화교육과정에만 집중된 내용의 연수 이수 횟수는 관심수준 0, 1, 3단계에서 상관관계 및 효과성이 있었다. 여섯째, 다문화교육과정에만 집중된 내용의 연수 이수시간은 0, 3단계에서 상관관계 및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필수적인 수행 업무와 초등교사 관심수준 사이의 상관관계 및 효과성 여부를 확인한 후, 다문화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다문화교육과정에 특화된 내용의 연수를 증배해야 함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효과적인 수업행동에 관한 연구

        박일수(Park Il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점과 효과적인 수업행동의 경향성을 분 석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전문성 및 수업 전문성 향상에 관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관점 선호도 검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5가지 교육과정 관점 중에서 경험주의와 항존주의 관점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5가지 관점에 대한 점수의 편차가 크지 않았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 선호도는 2개 이 상의 교육과정 관점, 경험주의, 항존주의 순이었다. 둘째, 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초등 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점과 교육과정 관점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 연령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셋째, 효과적인 수업행동에 관한 초등학 교 교사의 전반적인 성향은 명료화, 격려, 다양성, 과제지향성의 순이었다. 넷째, 교 사 배경변인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효과적인 수업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직경력과 담당학년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편 5년 미만의 초임교 사는 4가지 수업행동에 대한 점수가 모두 낮았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의 항존주 의, 이상주의, 사실주의, 경험주의 교육과정 관점과 명료화 수업행동에서는 상관이 있었으나, 다른 변인들 간에는 상관이 낮았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선 호도와 효과적인 수업행동과의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 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관점과 효과적인 수업행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 의 전체적인 성향, 연령, 교직경력, 담당학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orientation o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ective teaching behavio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curriculum orientation and effective teaching behavior. A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with 356 elementary teachers, and 29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teachers represent a comprehensive view of the five curriculum orientation, but experimentalism was much higher than the others. A teacher s age variable significantly affected his/her perennialism, idealism, realism of curriculum orientation(p<.05). Second, elementary teachers represent was lesson clarity, student support, instructional variety, and task orientation in order. It was significantly affected teacher s career, and responsible for grade variable. The gender of teacher significantly affected his/her effective teaching behavior of student support. Teacher career significantly affected his/her effective teaching behavior of lesson clarity and instructional variety. A responsible for grade significantly affected his/her effective teaching behavior of lesson clarity. instructional variety and task orientation. Third, a teacher s curriculum orientation was related to effective teaching behavior. Perennialism, idealism, realism, experimentalism were related to clarity. In conclusion, teachers represent a comprehensive view of the curriculum orientation and also teaching effective behavior. And teachers curriculum orientation relates to effective teaching behavior. Therefore, staff development programs which based on teachers curriculum orientation and teaching behavior have to develop and provide.

      • KCI등재

        전환적 관점에서 살펴본 역량 중심 초등 영어 교육과정 운영

        강정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4

        급변하는 미래 사회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영어 교육과정은 어떻게 운영이 되어야 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및 초등 영어 교육에서 역량이 지니는 의미와 교사 중심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을 위해 전환되어야 할 요소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종합적 문헌 탐색 연구를 실시하여 역량 중심 초등 영어 교육과정 재구성, 개발 및 운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과 그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와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오해 및 인식을 살펴보았는데, 문헌 분석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수정할 수 없는 공문 문서로 오해하거나,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시간, 재정, 교사연수, 경험 부족과 더불어 교육과정 개발 및 재구성에 대한 개념의 모호함 등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이전 교육과정과는 다른 자율적인 교사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 및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역량 중심의 초등 영어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전환적 관점이 필요한 교사의 전문성, 교사 역할, 영어 교육 방법, 교사 연수의 개선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Competencies-Based English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CBEC)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tudents’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function well in today's knowledge-bas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identify what CBEC is and how teachers can implement the CBEC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and meaning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identified. Through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main limit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analyzed: teachers mostly developed their curriculum based on textbooks which limited their creative instruction, considered curriculum as a non-touchable official document, and had difficulty in developing or reconstructing curriculum because of limited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s. In order to implement successful CBEC, it is necessary for English teachers need to transform their perspective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in future society. For example, English teachers need to reconsider English teachers' competencies not just including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adding abilities in developing CBEC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rather than only textbooks. In addition, they need to transform Content Based Instruction(CBI) into a uniquely Korean CBI using both English and Korean and engage in participator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those experience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임부연(Lim, Boo-Yeun),손연주(Son, Yeon Ju)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으로 고시된 ‘누리과정’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교사역할의 문제를 교육내용과 연결하여 탐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Aoki가 제안한 ‘간 거주자’로서의 역할, 즉 ‘국가와 유아 사이에 거주하는 자’로서의 교사역할에 초점을 두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시도하였으며, 특히 국가교육과정에서 주요한 의제를 제안하고 있는 Ted Aoki 논문에 초점을 두어 해석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역할에서 ‘국가’의 의미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의 문제는 국가교육과정의 성공적 안착에 중요한 요소이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교사의 역할을 ‘유아를 지원하는 자’로 제안하고 있는데, 현재 ‘국가와 유아, 놀이’를 둘러싼 교사의 역할변화에 따라 가져오는 혼란을 교사의 국가가 제시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를 유아와 연계하여 실행하는 관점에서 풀어보고자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를 위하여 개정 누리과정의 시행 이전부터 오랫동안 유아교사의 역할로 인식되어온 1)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유아의 사이의 존재자 2) 놀이와 유아 사이 존재자로서의 의미를 먼저 살펴 본 이후, 개정 누리과정의 시행에 따라 변화가 요구되는 교사역할을 3) 국가와 유아(놀이)사이의 존재자로서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관점에서 교사가 충실하게 지각하고 있어야 할 국가교육고정에서 국가가 제안한 교육내용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이를 유아의 놀이를 통한 배움과 연결해 내는 교사역할의 필요성을 강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유아교사는 본인이 명료하게 지각하고 있어야 할 대상으로써 ‘국가’와 ‘유아’의 의미에 기반하여 국가와 유아 사이의 존재자로서 역할에 충실하고, 이를 통해 유아가 중심이 되는 놀이가 살아나는 국가 교육과정의 실행이 가능함으로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a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National Nuri Curriculum based on a perspective of an existent indwelling in between a nation and student. Especially, the term ‘nation’ in this study means to refined to ‘content’ named ‘five areas’in Nuri curriculum. Method: In o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heoretical analysis regarding philosophical approaches of role of teachers in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ories particularly focused on teachers in dealing with national curriculum,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dea of Ted Aoki. who sees role of teachers as indwelling between, which is very complex and important in oder to success of national curriculum in schools. Results: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eemed to misunderstand their royalty to teaching themes as if content. They had omit teaching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but teaching theme of knowledge. In other ways, som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take care of only children’s play as if contents, so not concerning with real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t all. This tendency seem to proble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not administrational of national curriculum. Conclusion: Thus,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intended to overcome this problems of misunderstanding of practice of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successfully administer National Nuri Curriculum.,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recognize firmly their role of indwelling between nation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연수 참여 경험에 따른 교사의 인식 및 실행 차이 분석

        이주연 ( Joo-you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1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15년 9월 고시된 이후 초등학교 1~2학년을 시작으로 현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교육부 및 시ㆍ도교육청에서는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연수를 실시해오고 있다. 그러나 국가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실시되는 교육과정 총론 중심의 교사 연수는 그간 그 실효성에 대해 문제 제기가 많이 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연수는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교사 연수 참여 경험 여부가 교사들의 이해 및 실행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연수의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15 총론 주요 변화 사항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정도, 실천 노력 정도, 실천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 정도를 조사한 후,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연수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응답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 주요 사항별로는 일부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개정 교육과정 총론 연수를 받은 교사가 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보다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 사항을 더욱 잘 이해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고 있었으며, 실행 과정에서 어려움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정된 교육과정에 대한 총론 연수가 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주목하며, 개정 교육과정의 보급 단계에서 총론의 주요 변화 사항에 대한 교사 연수를 확대 및 내실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Sinc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the Education Ministry has conducted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new curriculum.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General Guideline of 2015 Revised Curriculum affects the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s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on new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a samp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examine the degree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major changes in the 2015 Curriculum, the degree of efforts for implementation, and the degree of struggling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and then analyzed the difference in response between th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ose who did not.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first group of teachers we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an the another group of teachers and to work harder to implement the new curriculum, and that they experienced less difficulty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 training o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 교사인가?

        유정애(Jeong Ae Yo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7 No.4

        최근 국가 교육과정의 대강화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이 점점 중요시되면서 각 교과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국내·외 교육학계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체육 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체육 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 교사의 역할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변화에 따라 요구되어 온 체육 교사의 역할과 교육과정 전문성을 다루고 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체육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을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 교사`로 규정하고, 역사적으로 이 개념이 어떻게 출현하게 되었는지 그 배경과 발전 과정을 논의하였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 교사 연구가 학문적, 교육적으로 가지는 필요성과 중요성을 탐색하였다. 체육 교사 연구의 필요성으로는 연구의 관심을 수업 전문성에서 교육과정 전문성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고, 이 연구의 중요성으로는 스포츠교육학내에서의 통섭 지향과 스포츠교육학연구의 이론과 실제의 통합 추구라는 2가지 측면을 설명하였다. 이 논의들은 교육과정 사용자로서의 교사 역할이 갖고 있는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서 체육 교사의 실천적 전문성이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 관점에서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초등 교사 및 중등 체육 교사들 스스로 `체육과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고,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에 합당한 능력과 자질을 갖추는 노력을 기울이는데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nt trend to become simplific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making in school level requires more teacher expertise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a sense, this paper aims to emphasize teacher expertise in developing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inquiry the role of physical educator as curriculum maker. In the first section, it is discussed changing roles and curriculum expertis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epending o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The second part has stated how the perspective like teacher as curriculum maker has been originated and evolved. Lastly, in the third section, one rationale and two importances of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 as curriculum maker are discussed: paradigm shift from teaching expertise to curriculum expertise in physical education, orientation to consilience within sport pedagogy, and integration theory into practice on sport pedagogy research. This paper would contribute to promot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acquiring competences as curriculum makers as well as for perceiving their educational identities as curriculum makers in educational setting.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교육실습과정 탐색: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강경리(Kang, Kyu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예비중등교사의 교육실습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2018년 1학기 교육실습과정에 참여한 예비중등교사 19 명과 교육실습과정의 실습지도에 참여한 실습지도교사 12명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성찰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교 육실습과정의 초기, 중기, 말기의 단계에 따라 신뢰성 요소의 역량과 관련 있는 실습 지도교사의 전문성 측면에서 예비중등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정보제공, 연습의 기회와 지속적인 피드백, 실행의 기회와 구체적인 조언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요소의 도덕성, 호의성과 관련 있는 실습지도교사의 정서적 지원 측면에서 예비중등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적극적 소통의 태도, 존중의 태도, 공감을 통한 지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을 위한 지원 체계를 실습지도교사의 능력과 학교조직의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예비중등교사와의 신뢰 형성을 위해 실습지도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멘토로서의 자질로 전문적 능력과 정서적 지원 능력으로 나타났다. 예비중등교사와의 신뢰 형성을 위한 학교조직의 환경적 요인은 학습공동체 지향을 목적으로 실습지도교사 간의 신뢰 형성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성찰 공유, 실습지도교사와 실습학교관리자와의 신뢰 형성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보상 강화, 대학수준교원양성기관과 실습중등학교 간의 신뢰 형성을 통한 예비중등교사의 중등학생과의 관계성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형성을 기반으로한 교육실습제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practice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more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completed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12 practical teachers who completed teaching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erms of the practical teachers profession related to competence of reliability fact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providence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for practice and continuous feedback, and opportunities for performance and specific advice. In terms of the practical teachers emotional support related to morality and fidelity of reliability fact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attitude of communication, attitude of respect, and support through sympathy.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support system for the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focusing on the ability of the practical teach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In order to form reliability with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the ability required for the practical teachers was the mentor s qualities as professional ability and emotional support ability. In order to form reliability with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for learning communit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chool organization were supportive environment for sharing reflection with practical teachers, preliminary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bout relations with secondary student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ward enhancement for practica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ractice system based on the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연구

        김판수,이영주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실현하는 초등학교 교사 4인의 교육과정 재구성의경험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교육과정 재구성의방법을 알아보고, 전문성을 가진 교사 양성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은현직 교사 중 수학과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풍부한 교사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3차로 이루어졌으며, 4인의 사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대로의 수업은 ‘흥미 저하’와 ‘성취 기준 미달’로 귀결되어 교육과정 재구성의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게 된 계기는 각자 달랐으나 교육과정재구성을 시도하게 된 원동력은 수학 교과의 내용 지식과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이 높았기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속시키는 요인은 학생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교사 연구 활동이었다.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중심이 되어 교사 연구회를 운영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성장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법은 각기 달랐다. 각 교사가 지향하는 목표는 같으나 그 방식이나 접근에 대한 기본 철학에서는 차이를 나타내 보였고, 그것이 교과서를 재구성하는 방식을 결정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 조사에서 교사요인으로 시간 부족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확신 등이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 간의 개인 편차와 개인적 특성과 같은 학생요인도 중요한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은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과정 문해력을 위한 연수와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의 공유와 보급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of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ntinuously realize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und out how to develop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through mathematics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sought implications for fostering professional teach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teachers who understood mathematics and curriculum well among incumbent teachers and had extensive experience in reorganizing mathematics and curriculum.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three rounds, an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of four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based class resulted in a 'decrease in interest' and 'under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as recognized. However, although the reason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were different,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ttempt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seems to be the high knowledge of the content of the math subject and the literacy in the mathematics and curriculum. Second, the factors that sustain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were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and teacher research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with expertise are the main ones who run teacher research groups and grow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hem. Third, the method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as different. Each teacher's goal was the sam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basic philosophy of the method and approach, and it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determining how to reconstruct textbooks. Fourth, in the survey of difficulties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lack of time and confidence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ere confirmed as teacher factors. In addition, student factors such as individual deviati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difficulties, which were not found in previous studies. Fifth, in order to revitalize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overall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raining for curriculum literacy and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case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re required.

      • KCI등재

        예비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대학 교과교육론(상담)교과목의 운영 및 개선 사례연구

        박진희(Park Ji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예비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학부교육과정과 교육대학원교육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학부과정의 교육과정 중 교직 필수과목인 교과교육과목은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양성의 기본 계획안에 따라 구성되는 바, 비교과 교사인 예비상담 전문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그 적절성에 대해서 문제제기가 지속되었다. 그러한 취지에 맞추어 예비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 특히 『교과교육론(상담)』교과목을 교육목표에 따라 상담실무기술을 익히기 위한 과정과 내용으로 구성하고 운영해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는 교과교육론(상담)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 98명을 대상으로 4년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교과교육중심의 교육과정이 아닌 전문상담교사의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이 실제 학교현장실습에서 효과를 발휘하였고,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도 높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과교육 담당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현행 교직 교과목이 비교과 교사인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부적절함을 확인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여 비교과 교사인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공론화에 기여하고자 한것이다. 더불어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평가의 기준 역시 비교과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개편되어야 함을 촉구하여 보다 실제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개편으로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The curriculum for educating pre-professional counselors can be divided into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s. Curriculum education, a compulsory subject for teaching in undergraduate programs,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basic plan of teacher training in charge of the curriculum, and questions were raised about its appropriateness as a curriculum for developing teachers specializing in comparison and preliminary counseling as teachers, but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was not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university s curriculum for educating prospective professional counselors, especially the subject of the curriculum education of counseling.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four-year period on 98 students who completed the curriculum education (counseling) and experienced the teaching practicum at school. In addition, the education institu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teacher training should also be revi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practical and professional curriculum of teac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public opinion that the current curriculum for educating and training school counselors should be changed more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이상에 근거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지식, 학습, 수업의 개념 분석

        박기용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and to relat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and meaning of instruction.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was analyzed and synthesized based on the John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1916).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was tested using the Chan and Elliott(2004)’s ‘The epistemological belief questionnaires,’ The simple free-response essay test was provided to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ly, 10 ideals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were selected from the John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1916). Secondly, there was no certain or consistent patters i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therefore, relating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to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was impossible. Thirdly, there is no certain differences between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and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eaning of instructio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communication, interaction, experience, and growth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ir essay. Last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objectives that were written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meaning of instruction wh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as not yet established. Instruction is merely delivering the knowledge to children and students has to remember, understanding, and apply the knowledge learned that is unrelated to the real life. 통합교육과정은 통합교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을 근본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교사가 통합교육과정의 가치를 학교에서 실현하려면, 국가가 개발한 통합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향하는 본질적 이상과 가치를 내면화해야한다. 이 내면화에는 필연적으로 상당한 경험과 성찰이 요구되므로, 교사교육단계에서부터 예비교사들은 올바른 지식관, 학습관, 교육관을 가질 수 있는 경험을 해야 한다. 그러자면 우선은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과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이상 간의 격차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을 Dewey의 ‘Democracy and Education(1916)’에서 분석 및 종합하여, 최종 10개로 선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초등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지식, 학습, 수업의 개념과 비교한 후, 두 개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과 대조해볼만한 지식과 학습에 관한 자신만의 패턴과 양식 즉, 인식론적 신념 자체가 아직 발달하지 않았다. 일관성 있는 신념이 나타난 예비교사는 44명 중 9밖에 없었으며, 그마저도 3명만이 세련된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명제와 비교적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예비교사는 44명 중 3명밖에 없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수업은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이상과 큰 차이가 없었다.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수업은 의사소통, 상호작용, 경험,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직접 만든” 수업계획서에 포함된 목표를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아직 수업에 관한 의미가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더욱이 이들이 만든 목표가 지향하는 수업은 학생들의 삶과 유리된 지식을 전달하여 학생들이 그 지식을 기억, 이해, 적용(생활과 무관한 단편적 문제해결이나 계산)하도록 하는 그런 수업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