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문학 연구 교류의 현황과 과제

        이선이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이 연구는 수교 이후 한중 문학 연구 분야의 교류 현황을 살피고, 향후 양국 문학계의 발전적인 교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첫째, 한중 문학 연구 교류를 실질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대표적 학회인 ‘중국조선-한국문학연구학회’와 ‘한중인문학회’를 중심으로 교류의 현황을 살폈다. 둘째, 대학의 한중 문학 연구 교류가 진행되는 현황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대학은 ‘HK사업단’과 ‘BK사업단’을 중심으로, 중국의 대학은 한국 정부가 지원하는 ‘해외한국학중핵대학육성사업’과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수행 중인 대학들을 중심으로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었다. 학회와 대학의 교류는 주로 연구서 발간과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교류의 질적 수준을 점차 높여가고 있는 중이다. 마지막으로 문학 연구 교류에 직접적인자극제가 되는 양국 문인의 교류와 문학작품의 번역 동향을 살폈다. ‘한중작가회의’와 ‘서울국제문학포럼’은 대표적인 양국 문인 교류의 장이 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양국의 문학작품은 이전에 비해 활발하게 번역되고 있다. 이상의 현황을 바탕으로, 한중 문학 연구 교류의 문제점을 검토해 보고 향후 발전적인 교류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exchange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studies carried out after the establishment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find the direction ofdevelopmental exchange between the literature fields of both countries. For this,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exchange focusing on The Society ofKorean & Chinese Humanities which are leading literature exchange betweenKorea and China firstly. Secondly, the current state of literature exchangestudies of universities is examined. In doing so, the current state of exchangesis shown focusing on Humanity Korea Project Unit and Brain Korea Project Unitfor Korean Universities. For Chinese universities, this article focuses on CoreUniversity Program for Korean Studies and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The exchange between these universities has been found to be improving qualityof the exchange through publication of studies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Finally, the exchange between both countries’ literary people and trend inliterature translation, which directly promote such exchange, are examined. Theresults show that Writers Conference Of Korea & China and Seoul InternationalForum For Literature are playing the roles as the basis for exchange betweenboth countries. Further, literatures are being translated much more activelythan before since 2000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s found, this studyreviews problem of exchange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and figures outthe measurements for developmental exchange.

      • KCI등재

        비핵화 전제 남북경제교류의 전략적 접근방안: 독일 통일의 교훈을 고려

        김익성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3

        Unles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political and military confidence levels are premised, economic sanctions are unlikely to be cleared immediately. As a result,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countries are at a standstill. Nevertheless,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needs to be studied in advance as an essential preparatory process in the prerequisite perspective for the political opening of North Korea and the reunification regardless of diplomatic logic. The economic sanctions may be suspended or phased off as a result of the summit. Accordingly,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should be prepared to respond promptly and proactively according to the level of revocation of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key direction and the stages exchange plan for economic exchange with North Korea. The preliminary economic exchange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tudies. In particular, this study planns the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identifi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raised from German un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esents ways of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rganizations to minimize the risk of investment and continuation of the economic exchanges. The fundamental direction and strategy of inter-Korean exchange focuses on enhancing North Korea’s independence economy and convenience by simply moving away from the economic view of using North Korea’s labor force and resources. It also proposes a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정치군사적 신뢰수준이 전제되지 않는 한 대북한 경제제재는 바로 해제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로 인해 남북 간 경제교류도 현재 교착상태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 경제교류는 북한의 개방과 미래 남북통일을 위한 필수적 사전 준비과정이란 관점에서 즉 정치 외교적 논리와는 별개로 사전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 대북경제제재는 중단되거나 단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북 경제교류는 대북조치의 해제수준에 따라 선제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북경제제재 해제조치와 그 수준에 따라 단계별 및 전략적 경제교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 단계별 경제교류방안은 기존의 남북 경제교류선행연구와는 다른 차별화된 연구 내용이다. 특히 본 연구는 독일 통일로 부터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정치경제 및 사회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이를 교훈삼아 남북 간 경제교류방안을 기획하였다. 동시에 남북경제교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자 및 지속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 즉 국제사회와 조직의 협력을 통한 남북경제교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남북교류의 기본 방향과 전략은 단순이 북한의 노동력과 자원만을 이용하기 위한 경제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북한의 경제적 발전과 편의성 제고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남북 경제교류를 위한 남북 경제교류자금의 확대와 활용방안 등과 대북경제교류를 위한 연구조직과 해외 남북교류를 위한 지원네트워크 등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핵화 전제 남북경제교류의 전략적 접근방안: 독일 통일의 교훈을 고려

        김익성 ( Ik-seung Kim )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4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정치군사적 신뢰수준이 전제되지 않는 한 대북한 경제제재는 바로 해제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로 인해 남북 간 경제교류도 현재 교착상태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 경제교류는 북한의 개방과 미래 남북통일을 위한 필수적 사전 준비과정이란 관점에서 즉 정치 외교적 논리와는 별개로 사전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 대북경제제재는 중단되거나 단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북 경제교류는 대북조치의 해제수준에 따라 선제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북경제제재 해제조치와 그 수준에 따라 단계별 및 전략적 경제교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 단계별 경제교류방안은 기존의 남북 경제교류선행연구와는 다른 차별화된 연구 내용이다. 특히 본 연구는 독일 통일로부터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정치경제 및 사회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이를 교훈삼아 남북 간 경제교류방안을 기획하였다. 동시에 남북경제교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자 및 지속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 즉 국제사회와 조직의 협력을 통한 남북경제교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남북교류의 기본 방향과 전략은 단순이 북한의 노동력과 자원만을 이용하기 위한 경제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북한의 경제적 발전과 편의성 제고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남북 경제교류를 위한 남북 경제교류자금의 확대와 활용방안 등과 대북경제교류를 위한 연구조직과 해외 남북교류를 위한 지원네트워크 등도 함께 제시하였다. Unles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political and military confidence levels are premised, economic sanctions are unlikely to be cleared immediately. As a result,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countries are at a standstill. Nevertheless,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needs to be studied in advance as an essential preparatory process in the prerequisite perspective for the political opening of North Korea and the reunification regardless of diplomatic logic. The economic sanctions may be suspended or phased off as a result of the summit. Accordingly,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should be prepared to respond promptly and proactively according to the level of revocation of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key direction and the stages exchange plan for economic exchange with North Korea. The preliminary economic exchange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tudies. In particular, this study planns the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identifi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raised from German un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esents ways of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rganizations to minimize the risk of investment and continuation of the economic exchanges. The fundamental direction and strategy of inter-Korean exchange focuses on enhancing North Korea’s independence economy and convenience by simply moving away from the economic view of using North Korea’s labor force and resources. It also proposes a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

      • 연구논문 :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경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성근 ( Seong Keun Lee ),서동수 ( Dong Soo Seo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 (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08 한국지역혁신논집 Vol.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 실태분석과 경산시의 사례를 통한 지방자치 단체 국제교류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제교류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경산시를 사례로 국제교류 실태와 활성화방안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08년 5월 12일 부터 동년 6월 12까지 경산시 공무원 1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x2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경산시 사례를 통해 살펴본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의 문제점은 국제교류 내실화의 미흡, 관주도의 추진, 성과 극대화의 미흡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외국어 능력의 부족, 전담부서 및 인력 부족, 조례 등의 제도적 기반 취약, 활성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의 인식부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의 활동이 형식적이고 소 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조례 제정, 실용적 국제교류 추진, 국제교류 성과의 확산 및 공유, 대상국가 및 도시의 다변화,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사회의 국제화 마인드 함양, 외국어 교육실시, 지역대학과 지역사회를 비롯한 민간참여의 활성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류지역의 저변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동남아시아 국가들, 인도, 중동, 아프리카, 유럽 등으로 교류대상국가가 다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류의 내실화를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기관장 상호방문 등 기관장 위주의 행사성 자매결연 및 교류를 지양하고 주민, 사회단체, 지역대학 등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교류주체의 다원화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 지역주민 및 대학 등의 참여가 극대화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제도적 기반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제교류 관련조례의 제정 및 개정, 예산의 확보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 역량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즉, 국제교담당공무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필요시 외부전문인력을 활용하는 등의 시책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국제교류 성과의 활용극대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local governance international exchange in Governance City and to suggest proposals for developing this type of exchange. The analysis involved two procedures. First, an examination was undertaken of the current state of local governance exchange between Gyeongsan City and its sister cities, Joyo City(Japan) and Gyonam City(China). The second stage was to administer a questionaire to 169 Gyeongsan City employees. Of that total, 79 were involved in the sister cities exchange program; the other 90 employees were not. The survey was administered from twelve May 12 in 2008 to June 12. The SAS program was utilized in the analysis, specifically the t-test and the x2-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ing both procedures described above, reveal several problems in the local governance exchange program in Gyeongsan City. The first problem is there have been few benefits which can be converted to actual performance from the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to date. Gyeongsan City is still predominantly focused on its internal issues and development, rather then adopting a more glocalized outlook. Ideally, the international local governance exchange should involve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but in Gyeongsan City the exchange has been largely public sector interactions. A third problem that surfaced from the survey of the city employees is that very few could speak a foreign language and that some of them had little or no cultural awareness of the sister cities. A fourth problem is that there is a lack of specialized institutional organization in the exchange program, inadequate municipal ordinances and regulations, a lack of specialized manpower for the exchange program and a lack of participation from community groups, associations, and individual citize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veral proposals were derived. First, Gyeongsan City should make a concerted effort to have its city employees improve their foreign language abilities and to increase their cultural awareness of other nations which may be involved in the exchange program.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benefits of the exchange program and to improve performance, the program needs to go beyond formal relationships and develop the program in a more concrete fashion. Third, creat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uch as appropriate municipal ordinances and regulations and an expanded budget. Fourth, encourage community groups, associations, individual citizens and local universities and colleges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Fifth, expand the exchange program to include more nations, such as India and countries from the Middle East, Africa and Europe.

      • KCI등재

        조선후기 한중 문인 교류 연구의 흐름-교류 기반과 양상을 중심으로-

        김창수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5

        Korea-China Exchange In the entire history,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Qing is very special. The literary exchange of the two countries, which star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became more active in the 19th century. This was closer than that of Joseon-Ming relationship. Literary exchange was mediated through Chinese culture ability, and became a channel for the formation of a human exchange network, a space for academic discussion, and a gateway to knowledge media.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China has been intending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and neighboring countries as being dependent on it in pursuing the ‘Qing History Project.’ On this movement, knowledge exchanges in the late Joseon will play a role in revealing the mutually communicative history that is not unilateral or dependent.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studies related to the bases of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Qing. Only the envoys allowed by the state were allowed to move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diplomatic structure surrounding the dispatch of envoys functioned as a long – term basis of literary exchange. At the same time, the political situation of both countries and the changes in the diplomatic system have become factors that regulate the degree of exchange in the short term time. In the concrete aspect of exchanges, we first considered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exchanges. The bureaucrats, attendants, and interpreters were important subjects of literary exchange. The place of exchange wa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analysis. There were various interchange spaces inside and outside of Beijing. In the exchange method, I have summarized the studies related to meeting and correspondence. 조선·청 문인 교류는 한중 교류 전체 역사 속에서 매우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18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양국 지식의 교류는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더욱 확장되는 모습을 띠는데, 이는 명대의 그것보다 同文의 세계에 더욱 가까운 형태였다. 한문 능력을 매개로 이루어진 문인 교류는 인적 교류망의 형성, 학술토론의 공간, 지식 매체 왕래의 통로가 되었다. 한편 최근 중국에서는 ‘청사공정’을 추진하면서, 청과 주변국의 관계를 종속적인 것으로 규정하려는 의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조선후기 문인 교류는 일방적·종속적이지 않은 상호 소통적 역사상을 드러내는 역할을 할 것이라 판단한다. 본고에서는 주로 2000년 이후에 생산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조선·청 문인 교류 기반과 교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과 청의 국가 간 이동은 오직 양국에서 허락한 사신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따라서 사신 파견을 둘러싼 외교 구조의 형성과 작동방식은 문인 교류의 장기적 기반으로 기능하였다. 동시에 양국의 정치적 상황과 외교 제도의 변화는 단기적인 시간 속에서 교류의 정도를 규정하는 요소가 되었다. 교류의 구체적 양상에서는 우선 교류 주체의 계층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사신으로 대표되는 고관, 관직이 없는 수행관, 그리고 역관이 문인 교류의 중요한 주체였다. 교류의 장소도 또한 분석 범위에 넣었다. 크게는 북경과 북경 이외, 북경 내 다양한 교류 공간이 존재하였다. 교류방식의 부분에서는 직접 만나는 방식과 함께 서신 교류와 관련된 연구들도 정리의 대상으로 삼았다.

      • KCI등재

        남북한 음악교류의 양상과 방향

        배인교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2

        In this paper, I review the aspects of inter-Korean music exchanges that have been going on in the past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inter-Korean music exchanges Inter-Korean music exchanges were divided into four periods from 1985 to 2018. The exchange of the first period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inter-Korean music exchange is embodied for the first time. Compared to 1985, when the hostile feelings toward each other were expressed, in 1990, they looked for unification-oriented commonalities, and found elements that would act positively for both Koreas. In the second period of inter-Korean music exchange, there was music exchange in various fields centered on private organizations. But there were many occasions that stopped at one time. And South Korea was more active in exchanges than North Korea. For the next decade, music exchange events have never been realized. However, rather than actual exchanges, virtual space has been on the way of music exchange on YouTube. Through these exchanges, I have seen that North Korean music is becoming a content for South Koreans. Music exchanges through YouTube, a virtual space, were realized in 2018 in 16 years of actual exchange. The exchange of music with the resumption of political exchanges can be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of the two Koreas, even if there are limitations. For the future inter-Korean music exchanges,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strive to contribute to restoring trust. To this end, unification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related to inter-Korean cooperation need to be done at the national level. Also, whatever the way, we need to meet more often and be exposed to your music more often. And the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process for long-term, regular exchange based on trust. 이 글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었던 남북 음악 교류의 양상을 검토하면서 향후 남북 음악교류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남북 음악 교류는 1985년부터 2018년까지 네 시기로 나눠볼 수 있었다. 제1기인 1985 년에 처음으로 남북 음악 교류가 실현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서로에 대한적대적인 감정을 그대로 표출하였던 1985년에 비해 1990년에는 통일 지향적 공통점을찾거나, 남북 모두 서로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요소를 찾기도 하였다. 햇볕정책과 함께이어진 2기의 남북 음악교류는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음악 교류가 있었으나 일회성에 그치는 행사가 많았으며, 북한보다는 남한에서 적극적이었다. 이어진 3기의10년간은 단 1회도 음악 교류 행사가 실현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인 교류보다는가상공간인 YouTube에서의 음악교류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교류를 통해 남한사람들에게 북한 음악이 하나의 콘텐츠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보았다. YouTube를 통한 음악 교류는 2018년에 들어 16년 만에 실제 교류로 실현되었다. 정치 교류의 재개와함께 이루어진 음악 교류는 비록 한계가 존재하나 남북의 민족공동체 인식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향후 남북 음악 교류를 위해서 남과 북은 신뢰 회복에 기여한다는 마음으로 임해야하며, 이를 위해 남북 협력과 관련한 통일교육이나 문화다양성 교육이 국가적 차원에서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어떠한 방식이든 간에 더 자주 만나고 더 자주 상대의 음악에 노출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신뢰를 기반으로 장기적, 정례적 교류를 위한 프로세스를마련할 필요가 있다.

      • 문화 영역 ODA 관점에 따른 한ㆍ아랍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

        김향림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3 문화예술경영 Vol.3 No.-

        우리나라 국제문화교류는 문화다양성에 기반을 둔 소통 중심의 쌍방향적 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아랍연맹국가와의 문화교류 시 문화교류 및 문화외교 차원에서의 단발성 교류만 진행되 고 있으며, 이들 지역 개발도상국 같은 경우는 국가수교행사 이외에는 문화교류가 전무하다 시피 하다. 우리나라 정부와 아랍연맹 국가는 그동안 문화적 교류가 부진하였던 점을 반성하고, 양 국 가 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 증진을 목적으로 2008년 한국과 아랍연맹 22개국이 한-아랍소사이어 티(Korea-Arab Society: KAS)라는 공익비영리재단을 설립하였다. 현재 KAS는 우리와 아랍지역과 의 유일한 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 상호문화를 존중하는 문화교류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 만, 교류 현황을 보면 여전히 정부 대 정부의 문화외교 수준에서의 교류가 주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 영역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의 관점을 가지고 아랍 연맹국가와의 교류 시 문화다양성에 기반을 둔 소통 중심의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 영역 ODA의 개념과 사업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아랍연맹 및 KAS의 문화교류 현황을 통해 쟁점을 도출하며, 4가지 해결 방안을 모색 하였다. 즉 아랍지역 문화교류 거점지역 개발, 전문 인력의 양성, 문화 영역 ODA 사업 발굴, 그리고 한-아랍간의 가교 역할을 하는 KAS의 역할 확대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Korea'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has its purpose as communication oriented mutual exchange based on the cultural diversity. However, in culturally exchange with the Arab League, only the sporadic exchanges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dimension of the cultural exchange and of the cultural diplomacy; in the cas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n these areas, though, there are virtually no incidents happening other than the ceremonial events of th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countries. Korean government and the Arab League countries have established in 2008 a non- profit organization called ‘Korea-Arab Society: KAS’, for the purpose to promote their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regretting that there hasn't been enough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so far. At present KAS is, as the only cultural exchange mediating agency between Korea and the Arab League, expediting their cultural exchange activation with mutual respect of each other's culture; in looking at the current condition, though, it is still mainly the government vs. government cultural diplomacy level exchange. Thus, in this study I'd like to propose the cultural exchange activ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communication centered two way exchanges based on the cultural diversity with the cultural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erspective in the cultural exchanges with the Arab League. For this, I reviewed the cultural ODA's concept and their business types to extract the issues through the Arab League and KAS's cultural exchange current conditions, and explored the 4 solution strategies to propose as follows: the Arab League cultural exchange base area development, cultivation of the expert labor force, cultural ODA business development, and KAS' role expansion to include the Korea-Arab bridging.

      • KCI등재

        남북 청소년 스포츠 교류·협력 이행 실태 분석

        길은배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9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exchange and cooperation via sports. To this end, 43 cases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exchange and cooperation made from 2000 till 2017 were analyzed. There were several events of the sports exchange for people over 25 years, which led by sports leaders or players of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those events were excluded in the analysis due to the scope of this study. In addition, there were also unofficial South-North Korea sports exchanges conducted in third nations such as China and led by labor organizations, religious organizations, students’ associations and so on, but since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ports events obtained the official consent of the government, they were excluded as well. The analysis of the ‘Unification White Book’,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Sports White Paper’, published by the Korea Sports Science Institute showed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Sports Exchange and Cooperation was the exchange via participation in all-around competitions or regulation exchange sports games in Korea or abroad. Soccer was the most frequent form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sports exchange, followed by all-around competition and then, Taekwondo, and as for a region, South Korea was the place in which the most no. of the South-North Korea youth sports exchange was held, followed by North Korea (Pyeongyang) and then, China. From 2000 to 2017, the total cost spent for supporting the social/cultural cooperation and visi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as very small, only 0.89% of the South-North Korea Cooperation Fund. There were 10 cases in which a word ‘youth’ was used in the name of the event and th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4 years old or under. This study suggests to separate the youth sports exchange from the political and military issu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promote friendly match games in which participants can visit each other’s nation, change from the elite-oriented sports exchange to the sports-for-all oriented sports exchange, promote the youth sports exchanges by using three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and include the South-North Korea Youth Sports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South-North Korea Cooperation Fund even at its planning stage.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를 매개로 한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 이행 실태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남북 간에 성사된 청소년 스포츠 교류·협력 사례 43건을 분석하였다. 이 외에도 남북 체육계 지도자 간의 교류, 25세 이상의 성인이 주축이 된 스포츠 교류가 있었으나 청소년 중심의 스포츠 교류로 보기 어려워 제외하였다. 또한, 노동계, 종교계, 대학생 학생회 등이 중국을 비롯한 제3국에서 비공식적으로 남북 스포츠 교류를 진행한 실적이 있었으나, 본 논문에서의 분석 대상은 정부의 공식적 허가를 득한 후 성사된 국내외 스포츠 사례로 한정하였다. 통일부가 발간한 ‘통일백서’와 한국스포츠과학원에서 발간한 ‘체육백서’를 분석한 결과 스포츠를 매개로 성사된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은 국내외 종합경기 참가 및 정기교환 경기를 통한 교류가 가장 많았다. 교류 종목으로는 축구, 종합경기, 태권도가 가장 많았고, 교류가 성사된 지역은 남한, 북한(평양), 중국 순이었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남북협력기금 전체 사업비 집행 액 중 인적 왕래와 사회문화 분야 협력 지원을 위해 집행한 사업비는 0.89%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스포츠 대회 명칭에 ‘청소년’또는 ‘유소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참가자의 연령 또한 24세 이하인 교류 사례는 10건으로 나타났다. 정책대안으로는 청소년 스포츠 교류를 정치·군사적 문제와 분리 추진, 남북 지역을 상호 방문하는 친선 경기나 정기교환 경기 확대, 엘리트 선수 중심에서 생활체육차원의 교류로 전환, 중국 동북3성을 활용한 교류 추진, 남북협력기금 사업계획 수립 단계부터 남북 청소년 스포츠 교류 사업 명시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융합적 관점에 기초한 초등사회과 해양교류교육의 실행 방안 탐색

        송하인(Hain Song),노희정(Hui-Jeong Noh),홍기대(Ki-Dae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는 갈수록 증가하는 해양교류의 시대적 상황에서 초등사회과에서 해양교류교육이 부족하다는 인식에 따라 초등사회과에서 해양교류교육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해양교류를 여러 나라들과 전개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가 해양교류를 어떻게 전개해왔는지를 여러 가지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제시하기 쉬운 내용은 무엇인지를 찾아보았다. 또한 현재 초등사회과교과서에서 제시된 해양교류 부분을 분석하여 보고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현재 초등사회과 교과서에서 해양교류와 관련된 내용은 전무하다. 교과서에서는 해양을 바다라는 지형과 동일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모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를 통해서는 학생들이 해양교류의 중요성과 의미를 찾아볼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해양 윤리적 관점, 다문화 관점, 융합적 사고력의 함양, 지역정체성 인식이라는 관점으로 초등사회과에서 해양교류교육의 구체적인 단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해양교류교육의 구체적인 단계와 방법을 국제교류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여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세계화에 따라 해양교류는 갈수록 증가한다. 이에 따라 초등사회과에서는 교과서에 적극적으로 해양교류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해양교류교육이 무엇인지,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를 모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해양교류교육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실천단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에 맞추어 실제 실천한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초등사회과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이라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Objectives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ity and specific action plans for maritime exchan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that marine exchange education is insuffici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era of increasing marine exchange. Methods Since Korea has three sides of the sea, it has been developing maritime exchanges with various countries for a long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how Korea has developed maritime exchang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as examin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In this process, I looked for what is easy to prese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maritime exchange section pres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was analyzed and problems and alternatives were presented. Results Currently,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marine exchang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textbook identifies the ocean with the topography of the sea. Accordingly, the focus is on the lifestyle of people living in the sea. Through this, students cannot find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marine exchange. Accordingly, the specific steps and methods of marine exchang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wer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ine ethics, multicultural perspective, convergent thinking ability cultivation, and recognition of regional identity in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specific steps and methods of marine exchange education presented were presented and generalized by presenting cases of applying them to international exchange classes. Conclusions With globalization, maritime exchanges are increasing. Accordingly,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s should actively include contents related to marine exchange education in textbooks. However, the field does not know what marine exchange education is and how to practice i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marine exchange education and specific practical steps were present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generalize by showing actual practice ca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is the first attempt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we hope that complementary research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 청소년 국제교류정책 현황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윤철경,이민희,박선영,박숙경,신인순,윤은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 국제교류정책의 현황과 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미래지향적 청소년 국제교류의 발전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청소년 국제교류정책 현황을 살펴보면 청소년 국제교류정책은 지난 20년 동안 청소년 교류담당 주무부서의 잦은 통폐합 등으로 추진체계가 안정화되지 못했다. 청소년교류 전담기관으로 청소년교류센터를 설치하였으나 작은 인원과 빈약한 예산 때문에 청소년교류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콘트롤 타워로서 기능할 수 없었다. 2010년 국제교류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청소년들은 국제교류활동의 참여효과를 ‘문화에 대한 폭 넓은 시각’으로 인식하는 유형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 ‘소통과 네트워크의 기회’,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기회’라고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 많았다. 참여자들의 국제교류이해증진도와 글로벌역량에 대한 측정결과를 분석했을 때 프로그램 종류와 참여 동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 국제교류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류성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데, 정부가 청소년 국제교류사업을 사업수행능력이 있는 소수단체에 분산, 위탁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 교류활동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못하며 그 성과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청소년 국제교류사업 현황을 살펴보면 참가자 선발경쟁이 저조한 사업이 있었으며 참가자가 대학생이나 고등학생에 편중된 현상을 보였다. 또한 특·광역시 거주 청소년의 참여 비중이 기타 지역보다 높았다. 사회적 배려대상자의 참여 기회도 아직 부족한 상태에 있다. 유럽연합이나 독일, 영국 등에서는 청소년 국제교류활동의 목적을 사회통합에 두고 이민자, 다문화자녀 등 취약집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도 연령별, 사회계층별 취약집단을 위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청소년 교류 전담부서의 설치, 교류정책의 비전과 기본계획수립, 청소년 교류전담부서의 설치, 교류사업에 대한 평가시스템과 홍보방안, 국제교류 전문지도자 양성, 국제교류 사업개편 및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등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performance, and problems of the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policy, and provide strategies for future advancement. The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system remained unstable for the last 20 years largely because of frequent re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ve transitions. A youth exchange center was commissioned but its understaffing and meager budget have hindered it from fully functioning as a control tower to manage and coordinate youth exchange policies. According to the survey of participants of the 2010 International Exchange, the most frequently recognized effect of participation was ‘broadened cultural perspectives,’ followed by ‘the chance for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and ‘opportunities for sincere reflection on life.’ Participants differed in improvements in their knowledge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the global competence depending on the types of programs they participated in and what their motives were. Advancement of the youth exchange policy requires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gram outcomes. However, the Government has delegated the operation and dispersed the resources to small organization that were deemed to be able to carry out an exchange program,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outcomes to be optimized. Evalu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programs revealed poor selection of participants, which resulted in overrepresentation of students of universities and high schools, and participants from the capital city or metropolitan areas. Participation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population was also inadequate. Exchange services in Germany the UK, and other countries in the EU promote social integration as program priority, extending the support for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such as immigrants or multicultural families. We need to develop programs particularly for underrepresented age and socioeconomic groups. At the outset, establishing a unit exclusively commissioned for youth exchange, refined vision and the master plan, systematic evaluation plan and PR solution, specialist training, revision of existing programs and development of new programs are impe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