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언어학에 기반을 둔 관용 표현 교육 연구

        송현주 ( Hyeon Ju Song ),최진아 ( Jin A Choi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3

        이 연구의 목표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관용 표현에 대한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관용 표현을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학습자들이 관용 표현을 통해 언어 사용자의 개념화 방식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관용 표현 교육은 관용 표현의 비합성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학습자에게 관용 표현의 목록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도록 하는 데 머물러 왔다. 반면, 이 연구에서 이론적 기반으로 삼은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는 관용 표현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개념화 방식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관용 표현의 의미는 합성적이며, 관용 표현은 언어 사용자의 지식과 경험에 의해 동기화된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은 ``관용 표현에 담겨 있는 국어 생활 문화의 특성을 통해 한국인의 삶과 의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현행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를 구현하는 데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관용 표현 교수·학습을 위한 새로운 모형을 3가지 제시하고, 관용 표현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관용 표현 교수·학습의 성취 기준, 학습 목표와 내용을 설정한다. 또한 실제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학습 방법 및 언어 자료의 실례를 보이고, 4차시에 해당하는 수업 흐름도를 간략히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edagogical sugges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idiomatic expres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With this teaching methodology, it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use idiomatic expressions properly, and then have more interest in the conceptualization of language users. Teaching idiomatic expressions in class so far has mainly been focused on non-composition, and presenting a list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However, in essence, idiomatic expressions reveal the way of human conceptualization, for idioms` meaning is compositional and is motivated by human knowledge and experienc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will fit the objectives of current curriculum for Korean educa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3 new models for teaching-learning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n revised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objectives and contents the lesson. In addition, learning strategies, examples of teaching materials, with a flow chart of the lesson are presented.

      • KCI등재

        한·중 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을 위한 시론

        김몽(Jin, Meng),이영경(Lee, Yeong-gyeong)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한국어 관용표현은 한국인의 사고나 문화, 역사에 기반한 제3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 외국인 학습자들이 그 의미와 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습득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관용표현 교육은 대개 해당 표현의 의미 제시에만 치중하고 있어 그 실효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의 한 방안으로 모국어 번역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관용표현 교육을 제안해 보았다. 먼저 등가 번역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어 관용표현을 그 번역 양상에 따라 동형 대응, 부분동형 대응, 이형 대응, 일대다 대응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고려한 관용표현 교육의 난도를 설정하였다. 이어서 부분동형 대응 관용표현 ‘신경(을) 쓰다’와, 이형 대응 관용표현 ‘한턱(을) 내다’를 대상으로 관용표현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번역의 활용 범위는 관용표현의 관용 의미 제시를 넘어 관용표현 학습활동 전반에 걸친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관용표현을 어렵게 여기는 대신 친숙하고 흥미로운 표현으로 인식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Korean idiom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for foreign learners because they have other meaning reflecting on Korean culture, history, and social image. Nevertheless, the education of Korean idioms has mostly focused on presenting the meaning of them. Cause of that, the idiom education has been less effective. For these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earner-centered idiom education method using Chinese translations in order to efficiently educate Korean idioms for Chinese learners. First, based on the equivalent translation theory, Korean idioms have classified four types according to the translation patterns: same form correspondence, partial same form correspondence, different form correspondence, many-for-one correspondence. After that, we set up difficulties of idioms education. Second, we proposed specific methods of idioms education targeted at the two types of ‘신경(을) 쓰다’(care about) of partial same form correspondence and ‘한턱(을) 내다’(stand treat) of different form correspondence. The utilizable realm of translation of this study is across activities of idioms learning beyond only suggesting meaning of idioms. Throughout this research, we hope that Chinese learners would familiar to Korean idioms rather than difficult one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관용 표현 교육

        유해준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89 No.-

        This study explores measures to improve the teach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to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t aims to examine these measures by considering their concep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study also aims to examine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context of how they are grasped by students. For example,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ho view the structure of idiomatic expressions tend to perceive idiomatic expressions by dividing them into “idiomatic expressions with similar forms and meanings,” “idiomatic expressions with different forms and similar meanings,” and “idiomatic expressions that can be found only in Korea” in comparison with their own mother tongues. Within a geographical area with similar and related cultures, different languages tend to have many idiomatic expressions that are similar in form and meaning. Additionally, there are idiomatic expressions with similar meanings in the prototypical approach. However, some idiomatic expressions cause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 in cases where there is no corresponding idiomatic expression or if a morphologically-similar structure has a totally different meaning. An idiomatic expression is a unit composed of two or more syntactic words, but should be perceived as a single word, so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it. This learning unit makes them think about which units it should be divided into in order to be perceived. This issue is applicable to teachers as well. Hence, it is necessary to present educational measures for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by referring to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aspect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nd also examining foreign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s perceived by learners by dividing the similarity into semantic similarity and morphological similarity.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에 대해 고려할 부분들을 논의하고자한다. 관용 표현의 개념과 관용 표현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고, 이를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을 살피고자 한다. 또한 관용 표현의 구조적 측면도 중요하지만 교육을 위해 교육적 측면에서도 관용 표현을 살피고자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 관용표현의 구조를 보면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모국어와 비교하여 ‘형태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형태는 다르지만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한국어에만있는 관용 표현’으로 분리해 인식이 될 것이다. 비슷한 문화권 안에서는 두 언어사이에 형태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들이 많다. 그리고 원형적 접근이 이루어지는 관용 표현 또한 비숫한 의미를 가진 관용 표현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반면 대응하는 관용 표현이 없는 경우나 형태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어 오히려 모국어에 의한 오류를 유발하는 관용 표현도 있다. 이처럼 관용 표현은 두 어절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나의 단어처럼 인식이 되어야 하는 단위이기에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학습하기가 어려운 내용이다. 어느 단위로 나누어 인식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되는 학습단위이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가르치는 교사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교육을 위해 한국어 관용 표현의 구조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외국인 학습자가한국어 관용 표현을 이해하는 과정을 참고하여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 방안을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느끼는 한국어 관용표현의 유사 정도를 형태, 결합 구조, 의미의 유사 정도로 나누어 살피고자 한다.

      • KCI등재

        TV 드라마 대본을 통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사용 맥락 고찰

        손혜진(Son Hyejin),임형옥(Lim Hyung-ok),공하림(Kong Ha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TV 드라마 대본을 대상으로 관용표현이 사용되는 담화 맥락의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표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드라마 2편의 중 각 10화까지의 대본에 포함된 관용표현을 분석 하였다. 이때 주로 담화 맥락의 구성 요소 중 담화 기능, 담화 참여자의 관계, 담화의 공식성에 초점을 두고 관용표현 사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2편의 TV 드라마에서는 주로 비난하기, 논평·평가하기, 설명하기의 기능으로 관용표현이 사용되었다. 담화 참여자 관계는 50% 이상의 관용표현이 화자가 청자보다 힘적으로 우위에 있는 경우에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식성의 경우 80% 이상의 관용표현이 사적 상황에서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관용표현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선호되는 맥락이 존재하며, 한편으로는 사용의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경우, 관용표현은 주로 화자가 대화의 화제가 되는 대상, 혹은 청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드러내고자 할 때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자가 청자보다 지위가 낮거나, 나이가 어릴 때, 또한 공적인 상황에서는 이러한 관용표현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관용표현을 교육할 때는 반드시 해당 관용표현이 주로 사용되는 담화 기능, 담화 참여자 관계, 담화의 공식성을 고려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2편의 TV 드라마 대본에 불과하므로, 향후 개별 관용표현이 사용된 다양한 담화 맥락을 보다 다양한 자료를 통해 고찰하는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xt in which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through analysis of TV drama scripts.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re important educational it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n order for Korean learners to learn idiomatic expressions properly, it is important to know their meaning, but it is also essential to provide information on correct use. Foreigners are not only lacking intuition about Korean, but also lacking experience in various situations where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In this study, we tried to get the pedagogic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idiomatic expressions through analysis of TV drama script. Especially,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focusing on the function of discourse, the relationship of discourse participants, and the formalities of discourse. As a result, in the two TV dram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idiomatic expressions appeared 164 times, and they were mainly used for criticizing, commenting, evaluating and explaining. When we look at the relationship of discourse participants, more than 50%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used when the speaker held a dominant position in terms of social status and power. Finally, in the case of formalities, more than 80%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used in private situ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could be preferred in some conditions due to various reasons, and there also could be restrictions in some conditio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ata used in this study, the idiomatic expressions were mainly used when the speaker has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subject of conversation, or the listener, and to express it. However,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limited when the speaker is lower in social status than the listener, or in official situations. Therefore, when teaching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earners,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discourse function, the participant relationship, and the formality of the discourse. However, since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are only two TV drama script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to investigate various contexts in which individual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through various data.

      • KCI등재

        한국어와 러시아어 관용구의 비교연구

        한만춘(Han Man Ch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1

        본 고에서 필자는 러시아어와 한국어 감정표현 관용구를 대조해서 두 언어 간에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이 되는 감정표현 관용구의 목록을 수집하며 관련 사전 등을 면밀히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러시아어는 약 250개의 관용구를, 한국어는 약 500개의 관용구를 분석대상 자료로 삼았다. 고찰을 위해 Р.И.Яранцев(1997)와 김향숙(2001)의 연구에서 시행된 관념적인 관점에서의 유형별 분류를 근간으로 삼아 감정을 크게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의 두 범주로 나눈 후 필자가 임의로 설정한 6가지 기본 감정의 영역을 기쁨, 사랑, 슬픔, 분노, 두려움, 미움 등으로 분류하여 다음 각각의 하위영역을 다시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이후 관용구의 대비 분석을 위해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감정표현 관용구들 간에 성립하는 등가관계를 6가지 기준들(‘내용적-지시적 의미(сигнификативно-денотативное значение)’, ‘구조(структура)’, ‘문장 성분(компонент предложения)’, ‘내포적 의미(коннотативное значение)’, ‘문체적인 특성(стилистическая характеристика)’, ‘감정 그룹(эмотиальная группа)’)에 입각해 고찰해 보았다. 고찰 결과 위의 기준들을 충족할만한 완전한 등가 유형(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эквиваленты(полные)은 ‘가슴이 찢어지다(сердце разрывается)’ 외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감정표현 관용구의 기준에서 구조적 특징을 제외하고는, 내용적-지시적 의미와 동일한 내포적 의미(내적 형태(внутренняя форма)포함), 감정 및 문체적 요소에서 동일성을 보이는 부분등가관계에 놓인 관용구(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эквиваленты(частичные), 내용적-지시적 의미와 감정 요소는 동일하나 문체적 요소에서 차이가 나거나 내포적 의미 등에서는 다소 유사성을 보인 관용적 유사관계(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аналоги), 그리고 유사성을 발견하기 힘든 경우인 비등가적인 유형(Безэквивалентные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единицы)은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가 있었다. 러시아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감정표현 관용구는 분노였으며 그 뒤를 이어두려움>사랑>기쁨>슬픔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어에서는 슬픔>분노>두려움>기쁨>미움>사랑 순으로 감정표현 관용구가 많이 나타나 러시아어와는 상당한 차이가 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정표현은 신체어휘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본고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신체어휘를 매개로 하는 관용구는 러시아어의 경우 94개로 전체 감정표현 관용구(약 250개)의 37%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한국어 신체어휘 관용구의 경우는 337개로 전체(약 500개) 대비 67%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처럼 신체어휘 관용구가 러시아어 감정표현 관용구와 한국어 감정표현 관용구 모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은 그만큼 신체가 인간의 기본 감정을 드러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 비교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감정 표현 관용구는 각 민족의 언중에게 체득화된 것이므로 각 민족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것이 될 수 있는 자료이다. 이러한 까닭에 관용구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study of emotional idioms between Russian and Korean, defin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both languages and identifying the highlighted features of the two languages as a result thereof. A prerequisite to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idioms expressing basic human emotions is the accuracy and richness of language data collected on the two languages. In this context, relevant dictionaries were examined in a detailed manner as a means of collecting a list of emotional idioms for research purposes. The number of idioms analyzed was approximately 250 for Russian and 500 for Korea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by type which was conducted by Yaranchev(1997) and Kim hyang sook(2001) from a conceptual point of view,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Korean and Russian emotional idioms was performed. In this paper, human emotions and feelings were categorized intopositive judgment and negative judgment, followed by the subcategorization of basic emotions into joy, love, sorrow, anger, fear, and dislike. Based on the equivalence relation between Korean and Russian emotional idiom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motional idioms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1) Content-Indicative Meaning; 2) Structure; 3)Sentence Constituent; 4)Implicative Meaning; 5) Stylistic Feature; and 6) Emotion Group.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Russian and Korean emotional idioms, no complete type equivalence was found to meet the above-described six criteria other than сердце разрывается(heartaching). However, in terms of expressing idioms with the exception of structural features, the following types of similarity or equivalence were easily found: commonly-used similarity relations that feature similarity in emotional element with difference in stylistic element between the implicative meaning (internal type included) and content-indicative meaning, as well as a slight similarity in implicative meaning; and non-equivalence relations in which little similarity was found. The emotional idio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ussian and Korean. In the case of Russian,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idiom was anger, which was followed by fear> love> joy> sorrow. In the case of Korean, it was observed in order of sorrow>anger>fear>joy>hatred>love. Abstract emotions can be expressed in a more concrete and easier manner through the human bodyacts as a means of expressing psychological activities and as a channel for mental expression. As such, emotions are often expressed by means of body-related vocabulary.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umber of idioms that use body-related vocabulary was 94 for Russian, accounting 37% of a total of 250 emotional idioms. In the case of Korean, the number of idioms that use body-related vocabulary was 337, accounting 67% of a total of 500 emotional idioms.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body-related emotional idioms between Russian and Korean represents the fact that the human body plays a key role in expressing our underlying emotions.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emotional idioms on which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have been learnt through experience among different peoples, they can be the most fundamental and important data that allow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eoples. As such, proactive research into idioms needs to be further conducted. It is expected that comparative studies on Russian and Korean idioms will be facilitated and the data provid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관용표현의 범주적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의미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박만규 국어학회 2003 국어학 Vol.41 No.-

        관용표현은 지금껏 이루어진 대다수의 연구에서 대체적으로 동일한 개념화에 이르고 있으나, 구체적 표현에 이를 적용할 때는 많은 문제를 제기한다. 예컨대 동일한 표현이 논자들에 따라 관용표현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관용표현의 의미적 특성에 국한하여 불투명성과 비합성성 등의 개념을 살펴보고 각각의 개념이 제기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관용표현으로 분류하는 복합표현들 중 상당수가 일부 구성성분이 의미 구성소로 분석될 가능성을 보여 주는데 주목하고 이 문제를 상세히 검토하였다. 의미 분석 가능성은 관용표현의 핵심적 특성 중 하나인 최소 의미 단위적 성격에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기에 객관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요청되는데, 우리는 의미 분석의 조건으로 유추적 의미 해석이 아닌 동의어 내지 동의표현으로의 교체 가능성과 확실한 증거 용례의 확보를 제안하였다. 또한 구성 어휘의 다의성 판단은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하는데, 그것은 만일 분석 가능성이 제기된 표현들에서 한 구성 어휘가 다의어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더 이상 관용표현의 지위를 갖지 않게 되고, 연어 또는 경우에 따라 자유표현으로 분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대상부류 개념에 의한 어휘적 의미와 임시적 해석(nonce reading)의 구분을 통해 구성요소의 다의성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 제시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용표현의 범주적 정체성을 보다 분명히 확립하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관용표현의 연상 표현에 대한 연구 -‘그림의 떡’의 경우, 단어·구와의 비교를 통한 고찰-

        안소진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89

        이 연구는 연상 표현을 관찰하여 관용표현이 어떤 형식과 의미의 언어 단위와 관련을 맺으며 기억되어 있는지 보이고자 하였다. 관용표현의 연상 표현을 살펴보기 전에 단어를 자극으로 했을 때 나온 연상 표현과 구를 자극으로 했을 때 나온 연상 표현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단어 자극의 연상 표현은 제시된 단어가 기억되는 대상일 때 나타낼 법한 특징을 보여 주었고, 구 자극의 연상 표현은 제시된 구의 연산적 특징을 보여 주었다. 관용표현을 자극으로 했을 때 나온 연상 표현은 단어와 구의 경우를 바탕으로 해석되었다. 중요 해석 결과는 세 가지인데 첫 번째는 조사 결과가 보여주는 몇몇 자료가 이전의 관용표현 연구들에서 비교적 합의된 의견인 ‘관용표현은 의미가 통일된 한 덩어리’라는 점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의미적으로 한 단위라는 점에서는 관용표현이 단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 관용표현이 어휘부에서 가지는 의미 관계망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단어들과 동일하지는 않은 것 같다. 두 번째는 실험 참가자들이 관용표현이라는 언어학적 범주와 관용표현이 갖는 비합성적인 의미를 잘 알고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관용표현 내부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연상 작용에 관여한다는 점이다. 본고는 이 세 가지 사실을 바탕으로 ‘실험 참가자가 제시 자극을 보고 연상 표현을 떠올리는 동안 제시 자극의 관용 의미와 직설 의미를 넘나든다’는 결론을 내었다. 관용표현을 습득한 시기와 과정이 실험 참가자가 보이는 의미 넘나듦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추론하였다. 다수의 선행연구가 의미적 전일성이라는 관용표현의 단어적 특징과, 관용표현 내부 단위의 직설 의미 인식 및 이에 따르는 통사적 변형 가능성이라는 구적 특징의 공존을 ‘관용표현의 상반되는 성격’으로 파악하였는데, 관용 의미와 직설 의미의 공존을 습득·기억 과정에서 기인한 관용표현의 본래적 성격으로 파악하면 두 특징의 공존이 매우 자연스럽다.

      • KCI등재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김선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본 연구는 관용표현이 담화 상황에서 그 표현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기 위해 텔레비전 드라마 대본에서 사용되는 관용표현을 정리하고, 담화 상황에 따라 그것이 어떤 변이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서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을 연구하고자 했다. 관용표현의 변이 양상을 어휘적 변이와 구조적 변이로 나누고 구어자료에 나타난 관용표현을 <표준국어사전> 에 나와 있는 기본형과 비교하였다. 담화 상황에서 관용표현을 사용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어떤방식으로 바꾸 어 표현하는지 조사했다.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본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어에서의 관용표현은 화자의 감정이나 의도를 강조하기 위해사용하고, 이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존의 관용표현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여러 변이와 변형을 만들어 낸다. 둘째, 구어에서 관용표현은 말의 편리성이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변이형을 만들게 된다. 이는 발음이 더 편하거 나 쉬운 어휘로 대치되거나긴 관용표현에서 핵심적인 요소를 발췌한 부분을 주로 사용한다. 셋째, 구어에서 관용표현은 예전에는 많이 사용했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어휘를 현대에서 같은 의미로 사 용하는 어휘로 대치하거나 신조어와 결합하여 새로운 표현을 만들어 내는 데 있어 문어에서보다 자유롭다. 넷째, 구어에서 관용표현은 비슷한 의미의 다른 표현을 만들어 낼 때,보다 비속어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같은 말 이라도 구어적 표현으로 대치하여 사용한다. In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how expressional tendencies ofidiomatic expressions change in the context of discourse, idiomaticexpressions used in TV drama scripts were sorted out and analyzed thetypes of variation tendencies observed depending on the discoursecontext. Moreover, understanding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Koreanidiomatic expressions through the analysis was also the core of thisresearch. Variation tendencies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first dividedinto lexical and structural variations, and idiomatic expressions seen inspoken language reference were compared to the standard expressions in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Reasons as to why idiomatic expressionswere used in discourse situations were analyzed and in what ways theexpressions changed for usage was also examined.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관용표현 교육에 대한 일고찰

        崔洪烈(Choi, Hongyeal)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3 No.-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법무부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한국어 교재에 관용표현이 어떻게 교육과정을 통해 형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재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관용표현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관용표현의 목록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관용표현은 형식은 둘 이상의 구성 요소의 결합으로 사회성, 역사성, 관습성, 대중성의 특징을 가지며 축자적 의미가 아닌 제3의 의미를 가진 표현이라고 정의하였다. 관용표현에 대한 범주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숙어, 금기어, 속담, 격언’ 등을 포함시켜 논의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에게 학습할 관용표현 목록의 선정을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을 위해 출간된 한국어 교재 20권을 대상으로 교재에 나타난 관용표현을 파악하고 분석하였으며, 분석 범위는 본문에 있는 어휘, 듣기 지문, 문법 연습 등 교재에 있는 대다수의 내용을 모두 포함시켰다. 그 결과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관용표현의 수는 95개이고, 순수 관용표현 64개, 속담은 31개가 제시되었다. 이 중에서 세 번 중복된 관용표현은 2개이고, 두 번 중복된 관용표현은 6개가 있으며 나머지는 한 번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관용표현을 분석해서 첫째, 관용표현에 대한 문법적 설명이 교재 전체에 없으며, 둘째, 각 교재마다 제시하고 있는 관용표현의 수가 다르며, 셋째, 교재에 제시된 관용표현 목록은 난이도나 사용 빈도수에 의한 선정기준도 없으며, 넷째, 단계별로 체계적이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얻었다. 이런 문제점을 고려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을 위해 적합한 교육 모형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관용표현 목록의 선정 기준을 사용 빈도수, 정도성, 보편성, 학습자 어휘 수준, 분석한 교재의 단계별 분류, 한국인의 생활습관이나 의식구조 등을 적용한 관용표현으로 하여, 관용표현 목록 70여 개를 초급1,2, 중급1,2에 맞추어 분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idioms in KIIP’s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o identify problems in idiom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extbook and present a list of idioms. The concept of “idiom” was defined as an expression with a third mean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ity, historicality, conventionality, and popularity by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he category of idioms was discussed by including “old words, taboo words, proverbs, and maxi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select a list of idioms to learn from female marriage immigrants, 20 textbooks published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scope of the analysis included the majority of the content in the textbook, including vocabulary, listening texts, and grammar exercises in the text. As a result, the number of idiom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95, followed by 64 pure idioms and 31 proverbs. Of these, two idioms appeared three times, six appeared twice, and the rest appeared only once. By analyzing the idiom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t was concluded that, first, there was no grammatical explanation for the idiom in the whole textbook; second, the number of idioms presented in each textbook is different; and third, the list of idioms presented in the textbook has no criteria for selection based on difficulty or frequency of use, and fourth, it was not systematic step by step. Taking these problems into consideration, the government proposed an appropriate educational model and specific measures for the education on Korean idiom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 list of more than 70 idiom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intermediate, and first and second grade based on idioms that reflect the culture of Korea, the level of vocabulary, the level of Korean culture, the consciousness structure of Koreans, and the way of thinking about life.

      • 한국어교육용 관용 표현 제시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해준,손경애 한국어정보학회 2012 한국어정보학 Vol.14 No.2

        본 연구는 ‘손1)’과 관련된 한·중 관용 표현 비교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관용 표현 제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외국어 학습은 단순히 언어학습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통해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것 이다. 언어에는 그 언어가 속해 있는 사회의 문화적 양식이나 관습이 반영되어 있으며, 원 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 속에 담겨 있는 함축적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의 미에서 관용 표현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꼭 익혀 야 할 사회의 문화적 양식이나 관습이 반영되어 있는 중요한 내용이다. 또한 형태적으로 관용 표현은 둘 이상의 어절이 결합되어 제 삼의 의미를 획득하는 것으로 의미와 형태가 통사적으로 굳어진 구 이상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관용 표현은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도달하기 어려운 수준 높은 언어 표현이다. 관용 표현은 생성 요인이 한국의 문화와 역사, 관습 등에 의해서 생성되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유창함을 위해서는 관용 표현의 익힘은 필 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체어 중에서도 관용 표현 생성에 이용되는 빈도수 가 높은 ‘손’을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idiomatic expressions of both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language concerning hands and to find out presentation of effective idiomatic expressions for the Chinese learners. Learners learned not only foreign language but also associated foreign culture. Language reflected cultural styles and custom of the society so that learners should understand implicative values of the language to communicate smoothly. Therefor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should learn idiomatic expressions having cultural styles and/or custom to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well. The idiomatic expressions combined two or more clusters to produce third meaning and to have structure of more than phrase of meaning and form. So, idiomatic expression was high level linguistic expression that foreigner learners were difficult to reach. Foreigner learners should learn idiomatic expressions to communicate well that was made by culture, history and custom of Korea. This study discussed 'hands' for Chinese learners that was often used among body related words to do idiomatic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