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초등교사가 실천한 경제수업 사례연구 : 합리적 선택을 중심으로

        송하인(Song, Ha In),최고은(Choi, Go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사회과 경제수업을 구성하면서 가지는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가는지에 대한 미시적 탐구이다. 이를 위해 한 교사가 경제수업을 구성한 과정을 자기 회상자료로 만들고 수업을 실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가 초등학교 경제수업을 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교과서 내용배열의 모호성, 경제교육이 빠진 활동 중심수업,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부재였다. 교과서의 내용배열이 애매할 경우 수업을 구성하는 교사는 어떻게 내용을 재구성해야 할지,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지에 대해서 혼란을 느끼게 된다. 둘째, 활동의 본질적 의미를 깨닫지 못하고 단순히 학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 활동 중심수업을 전개할 경우 경제교육이 빠진 경제수업이 진행된다. 셋째, 학교 내에서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수업에 도움을 주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구축되지 않으면 수업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수업에 대한 어떠한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초등학교 경제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한 교사가 가지는 어려움을 통해 초등학교 경제수업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한 몇 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로 경제수업을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설계하는 연구자들이 초등학교 경제수업에 관한 내용을 조직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microscopic exploration of how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overcame the difficulties of organizing economic classes of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process of a teacher organizing economic classes were made as self-recall data and we examined the process until the classes were practic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biggest difficulties for the participants in the economic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were the ambiguity of the contents arrangement in textbook, the activity based classes without economic education and absenc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en contents arrangement in textbook is ambiguous, teachers who organize classes were confused about how to reorganize contents and what kind of method to use. Second, if teachers conduct activity based classes merely to attract student s interest without reali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activities, economic classes without economic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Third, wh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can help classes with the perspective of economic education is not organized within the school, the teacher cannot receive any help on the classes with the perspective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classes. This study suggested a few conditions for econom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o be properly conducted through the difficulties of a teacher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econom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can not only help teachers in field who conduct economic classes, but also help researchers who design curriculum and textbook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economic class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교육대학에서 교양 경제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최은경(Choi Eunky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이 논문은 교육대학의 경제 교양수업에 관한 연구이다. 교육대학은 심화전공이 아니면 경제 수업을 배우는 것이 쉽지는 않으나 교양 경제는 일반대학처럼 선택만 하면 누구나가 들을 수 있다. 글로벌 위기 이후 초등경제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예비교사들의 경제 능력 함양을 위해서 교양 경제 수업이 가지고 있어야 할 수업의 방향과 교육대학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초등교과와 연계된 강의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전국 교육대학교 교양 경제 관련 강좌 개설현황과 현행 초등 사회과 경제 교과서를 점검하고 실질적으로 교양 경제 수업에서 초등 사회과 과목을 접목한 강의 계획서와 수업 예시를 보였다. 예비교사의 함양을 위해서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상 교양 경제 수업 시수 또는 수강인 원을 증가시키는 양적인 확대를 동시에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양 경제 수업에서 초등경제 수업내용을 다루는 교육대만의 강의콘텐츠를 개발하여 질적인 향상을 준비하여야 하며 그리고 여기에 세 번째는, 가능하다면 예비교사의 경제 수업을 필수교양으로 하고, 차선책으로 특강이라는 방법을 통해서라도 초등 경제 수업 과정을 이수하는 과정을 강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n economics offered as gen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It is not easy to take a class in economics unless it is an intensive major course. However, anyone can take an economics class as general education if he or she chooses it, just as they would at any other general university.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global crisis. Accordingly, in order to cultivate a grounding in economics among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researched the direction of economics class offered as general educati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ecture contents affiliated with an elementary curriculum, considering the speciality of courses offered at education universities. First of all, this study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of course offerings for economics as gen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throughout the country, as well as current economics textbooks within elementary social studies programs. This study then suggested a lesson plan of economics affiliated with elementary social studies courses and its class example. The solution to cultivate a grounding in economics among pre-servic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economics as general educ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attending a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economics as general education dealing with elementary economics, in order to improve its overall qua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economics as required gene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o have students complete an elementary economics class as a special lecture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an alternative to their regular courses.

      • KCI등재

        ‘기업의 역할’에 대한 중등 경제교육 프로그램 설계 연구-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조영달 ( Youngdal Cho ),김재근 ( Jaegeu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6 경제교육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경제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을 제안한다.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이란 구성원간의 비대칭적 상호작용 윤리를 전제한 수업공동체 속에서, 협력과 승인을 기반으로 경제지식을 공동으로 구성하는 수업을 의미한다.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을 설계할 때 지켜야 할 원칙이 다음의 네 가지 측면, 즉 수업의 환경, 수업 공동체 내 구성원의 역할, 수업 방법 및 전략, 수업 평가의 측면에 걸쳐 제시되었으며, 구체적인 수업 절차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참여 - 이해와 구상 - 표현과 소통 - 성찰과 모색 - 권한부여 및 승인. 마지막으로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에 적당한 주제로 중학교 사회의‘기업의 역할’을 선정하고, 이상에서의 이론적 논의에 기반 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Co-construction of Economic Knowledge”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paradigm for economic education. ‘Co-construction of Economic Knowledge’ is defined as a pedagogy that generates economic knowledge based on a cooperation and recognition, under the premise of asymmetric ethics among the community members. The study also suggested principles for planning “Co-construction of Economic Knowledge” in the following four areas: (1) Environment of the teaching, (2) Role of the members of learning community, (3) Teaching method and strategy, (4) Assessment. Specific procedures for “Co-construction of Economic Knowledge” could be divided into five stages: participation - understanding and planning -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 reflection and exploration - empowerment and recogni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study presented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the topic of the “Role of corporation.”

      • KCI등재

        통섭적 경제수업 방안 탐색

        윤상균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5 사회과수업연구 Vol.3 No.2

        복잡하고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경제현상을 이해하고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 하여 경제교육은 기존의 분과적 접근보다 타 영역과의 접목을 통한 통섭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과학적 방법과 과학의 개념 및 이론을 활용하는 통섭적 경제수업을 구 상하였다. 수업 내용으로 경제적 인간의 본성과 합리적 의사결정을 과학의 개념과 이론으로 조명하였다.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이타적이고 제한된 합리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합리적 의사결정은 최소 비용을 통한 최대 이익(만족)을 추구하는 단순한 비용-편익 분석에 그치지 않고, 위험에 대한 안전의 차원에서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 수업 방 법으로는 실험과 토론의 통섭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실험은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사회 과의 주제를 다룰 수 있고, 토론은 사회과의 방법에 자연과학의 개념과 이론을 담을 수 있는 통섭적 특징을 지닌다. 이와 같은 내용과 방법을 토대로 경제적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실험 수 업과 합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토론 수업을 계획하였다. 여기서 인간의 본성은 선험적으로 수 용해야 할 공리에서, 현실적인 검증을 거쳐야 하는 가설로서 다루어진다. 또한 합리적 의사 결정은 단순한 비용-편익 계산보다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지닌 것으 로 인식된다. 이와 같은 통섭적 경제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경제현상을 보다 넓은 눈으로 바 라보고, 경제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역학적․행동경제학적 관점에 비추어 본 대안적 수업설계 방향과 전략수립 논의

        유영만,최수진,이은택,설동준,이정훈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social-epidemiology and behavioral economics to instructional design. Social epidemiology is a methodology that takes the approach of finding the cause of an illness in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Behavioral economics is a theory focus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o choose and act on the basis of limited rationality. Insight of social epidemiology is to be able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instructional design in the view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economics provide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healthy learning.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social epidemiology in instructional design are as follows: (1) ecological instructional design, (2) social instructional design (3) multi-level instructional design (4) lifelong instructional design. In addition, in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economics, (1) default design to provide essential experience to learners, (2) affordance design to desig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environment, (3) feedback loop design to support continuous growth of learners, (4) coherent design that focuses on the early experience which constructs a learner's thinking frame. The four directions and four strategies are matched in the order of direction and strategy, and finally it is derived as a guide for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is study, we presented to existing instructional designs (1) the change in instructional design as a change in underlying theory (2)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 changes in instructional design (3) the role of ISDer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수업설계의 이론적, 방법론적 혁신을 위해 의학 분야의 사회역학 연구의 문제의식과 경제학 분야의 행동경제학적 방법론을 수업설계에 접목하는 것을 통해 대안적 수업설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역학은 질병의 원인을 개인의 생리학적 특성보다는 그 사람이 속한 사회구조적 맥락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접근법을 취하는 방법론이며, 행동경제학은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계산 주체라는 고전경제학의 전제를 의심하면서 제한된 합리성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인간에 주목한 경제학 이론이다. 사회역학의 문제의식은 학습장애를 바라보는데 있어서 기존의 수업설계의 한계가 무엇인지 성찰할 수 있게 하며, 행동경제학의 방법론은 건강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역학의 시사점에서 (1) 학습 생태계라는 총체적 관점을 기초로 하는 생태학적 수업설계 (2) 학습자 행동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는 사회적 수업설계 (3) 학습자 및 학습환경 분석을 다양한 위계에서 진행하는 다수준적 수업설계 (4) 한시적 효과 발휘를 넘어서기 위한 통시적 접근으로서의 생애과정적 수업설계라는 4가지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행동경제학의 방법론에서는 (1) 학습자가 얻어야 할 필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디폴트 설계 (2) 학습자와 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을 디자인하는 어포던스 설계 (3) 탈맥락적 보상이 아닌 학습자의 지속적 성장을 지원하는 피드백루프 설계 (4) 사고틀을 형성하는 초기 경험에 주목하는 일관성 설계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방향-전략을 토대로 수업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설계에 대해 (1) 기저 이론의 변화가 주는 수업설계의 변화 (2) 수업설계의 과정 및 방법의 변화 가능성 (3) 수업설계자의 역할 및 핵심역량의 변화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미래의 수업설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초등학교 경제 수업 사례 연구

        권정현(Kwon Jung-Hyun),문영빛(Moon Young-bit)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1개의 직업을 갖고 생산과 소비 활동 모두를 경험하는 시뮬레이션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수업 절차에 따라 상황 설정하기, 직업 선택하기, 직업인으로서 경제 활동하기, 평가하기 순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수업은 10 ~ 11월까지 총 16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결과 학생들은 직업을 갖고 다른 학생들이 소비할 만한 물건이나 서비스를 생산했고,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소비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란 용어를 자신의 말과 글로 설명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수업에서 연구자는 다음 2가지 점에 유의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첫째는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자신의 눈으로 볼 수 있게 수업을 계획하였다. 두 번째는 자신이 본 수업을 자신의 말로 설명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상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ase of simulation-learning in which 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job and an activitie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thods The students learn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instructional procedure that is in the order of setting situations, choosing jobs, working economically as professionals, and evaluating them. The instruction were held for a total of 16 hours from October to November. Results Each students got a job, and produced goods or services that other students would consume, and consumed what they needed.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ey described ‘economy’ in their own words. Conclusions In this instruction, the researcher planned the instruction with two points in mind: First, the classes was planned so that students could see the contents of the instruction with their own eyes. Second, the researcher designed the classes so that students could explain their experience of the classes in their own words.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초등학교 경제 수업 실천 방안

        이광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The current paper reports a solution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an instructional and learning material and an improvement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rough the economy class in elementary schools utilizing children’s stor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concerned with humans, society, and the complexity of life which is realized within them. Also children’s story is considered as another method with which students can approach the complexity of life that they experience. This study is not to insist that children’s story itself should be used or replaced as a textbook for the social studies class. However the utilization of children’s story in the social studies class is a sort of artwork which enables learners to learn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who share characteristic issues and backgrounds or thoughts. Since the role of literature or children’s story can be an important means of helping learners to improve an understanding of life as well as aesthetic sensibility,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either of them as an instructional and learning material for the social studies class is proposed.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class which utilizes children’s story as an instructional and learning material for the economy class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area of value exploration owing to the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studies in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class. Through this the study composed a class practice process through which learners explores social values which may be omitted in the textbook although those social values are proposed in the curriculum during the class practice process. 이 연구는 초등학교 경제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로서 동화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사회과는 인간과 사회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복잡성에 관한 교과이다. 그리고 동화는 학습자로 하여금 삶에 대한 이해와 심미적 감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수·학습 자료로서 동화 활용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수업 실천과정의 점검을 통해 동화를 교수·학습과정의 보완 자료로 선정하고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실천 방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동화 활용 방안 및 동화 선택의 준거는 첫째, 수업에 활용되는 동화의 질이다. 둘째, 사회과 교수·학습 자료는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끌어들일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과의 적합성이다. 이상과 같은 동화 선택준거를 기초로 경제 수업을 위한 동화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사회과 내용영역 중 경제 수업은 다양한 사례를 활용할 수 있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속 사례와 접근방식의 한계로 인해 개념과 내용 중심의 이론적인 수업이 일반화되어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동화활용을 통한 사회과 수업의 제안은 사회과에서의 경제교육의 장을 넓혀줄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영화 《I Can Speak》를 활용한 경제교육

        감지혜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4 교양교육실천연구 Vol.8 No.2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대한 수업 효과 향상을 위하여 시청각 기자재와 교구 등 다양한 교수매체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화 《I Can Speak》의 내용을 분석하여 중국 학부과정 교양수업인 ‘동아시아 경제와 사회’ 수업을 설계하고 제안된 교수법을 적용하여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동아시아 경제와 사회’ 강의 주제로 한·중·일 외교관계 수립과 발전, 경제협력 현황과 향후 전망이 전반부에, 동아시아 문화권의 유교사상과 여성의 지위, 여성의 경제활동과 고령 사회, 사회보장제도와 소득 불평등, 사회 계층 간 이동 등이 후반부에 다루어졌다. 전·후반부 사이 영화 《I Can Speak》를 관람한 후 분석하는 작문 과제를 부여하여 전반부 내용을 복습하고 후반부 내용을 선행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제출된 과제를 개방과 축 코딩을 통해 역사, 사회, 정치, 경제 네 분야로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영화 《I Can Speak》 활용 방안은 학생들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과 흥미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를 수업 교육과정 설계와 시청각 보조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은 고등교육 사회과학 분야 교양수업에서만이 아니라 초·중등·평생교육 수업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KCI등재후보

        체험(실습)형태의 수업이 대학생의 교육가치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효진,장석준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2024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Vol.6 No.1

        본 연구는 국내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중 체험(실습)형태의 수업을 듣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험요인을 Pine&Gilmore의 체험경제이론 속 4가지 측면(4E's: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Esthetic)으로 분류하고 체험 수업의 교육 가치인 정서적·기능적 가치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각된 가치들이 대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2023년 12월 5일부터 12월 23일까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 체험형태의 실습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예체능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217부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이 설문 중에서 불성실한 설문 5부를 제외한 후, 최종분석에는 모두 212부가 이용되었다. 그리고 설문조사 실시 후 설문자료는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 수업 참여 학생의 체험요인인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은 정서적 가치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 수업 참여 학생의 체험요인인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은 기능적 가치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 수업 참여 학생의 교육가치인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는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정책 추진 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 성향을 띈 다양한 체험형태라는 수단적인 교육관을 지양하고, 학습자를 위한 교육의 가치·이해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lassifies experience factors into four aspects of Pine &Gilmore's experiential economy theory(4E's: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Esthetic)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taking experiential (practical) classes in Korea, and empirically analyzes how perceived values affect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of experiential classes. To this end, from December 5th to December 23rd, 2023, 217 copies of the survey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a Google online questionnaire to college students in arts and sports who had taken experience-type practical classes a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fter excluding five unfaithful surveys among these surveys, a total of 21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for the survey data after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ntertainment and deviant experiences, which are the experience factor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tial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valu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s, which are the experience factor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tial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nctional value.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which are the educational valu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tial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인문경제학 시론 1 ― 인식론적 전환을 통한 사회과학 수업모델

        김봉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4

        The motto "money or avarice is the best" has been doubted and challeng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Even the capitalism itself has been questioned. However, economy and social science don't play a big role in solving these social situations. It is because the social engineering, that is, a series of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and the data collection methods, has taken its centre in social sciences’ methodology. I think that social science should suggest "meaning and direction" toward a desirable and sustainabl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y and suggest an approach toward economy and social science from the root level, which can be called “Human Economics". In fact, human economics is not yet a settled concept. Therefore, an epistemological turn is necessary to establish "Human Economics", in which will be above the mix and match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It needs the epistemological turn of values such as competition, efficiency, especially self-centered attitude and egoism which is the nature of homo-economicus into cooperation, co-existence, and altruism, which are the values of humanities. Therefore, it will be thought that economy instruction as general education, not a major study, should orient to "Human Economics" for students to have moral and ethical values in their social economic behaviors. It should be taught that companies also should compete to create the greatest benefit to the whole of society, rather than trying to gain profit at the expense of others. Futhermore, it will be better to teach "Human Economics" in interdisciplinary way with multimedia.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와 금융자본주의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힐링’이나 ‘인문학’의 이름으로 대처하기엔 부족하다. 80년대 불었던 사회과학 열풍은 1차적으로는 90년대 사회주의권의 몰락과 마르크시즘의 퇴조로, 2차적으로는 97년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생긴 ‘생존주의’와 ‘소비주의’에 밀려 사그라들었다. 현재 경영학 중심의 사회과학은 사회공학으로서의 성격만 남고 ‘의미의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결합한, ‘인문경제학’이란 이름의 교양수업모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사회과학에서 인간의 본성은 이기적 인간, 즉 호모 이코노미쿠스이다. 이런 인간관은 경쟁, 효율, 이기주의, 자기중심적 태도를 특징으로 하는 데 이에 인식론적으로 전환하여 협동, 공존과 이타주의의 경제학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런 경제학에서는 신자유주의와 금융자본주의가 비판의 중심이 된다. ‘돈이 돈을 버는 사회’의 결과라 할 수 있는 주주자본주의, 비정규직, 복지의 축소, 가계부채, 부동산투기, 급속한 생태계의 파괴 들을 평범한 개인의 의식주 생활에 비추어 검토하고 ‘함께 하는 삶, 나누는 삶’의 대안적 경제를 모색한다. 어려운 경제적 개념과 세계화 시대의 경제체제를 이론적으로뿐만 아니라 감성적으로도 이해할 수 있도록 음악과 영화 들의 매체와 함께 사회과학 및 인문학의 융복합을 시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