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강원도 북부 지방 초가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고성 왕곡마을을 중심으로 -

        김윤상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8

        우리나라 한옥은 지붕재료에 따라 크게 와가, 초가, 너와, 굴피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초가는 지방 특색에 따라 재료, 경사, 모양, 잇기 방법이 다양하다. 그러나 산업화로 초가가 급속히 감소하여 이러한 특성을 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북부지방의 초가의 건축적 특성을 알고자 한다. 그래서 북부지방에 지정된 고성왕곡마을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 였다. 연구는 종합정비 및 지정 자료를 기반으로 현장조사, 전문가 및 주민 인터뷰를 통해 특성을 조사 분석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왕곡마을의 가옥의 지붕재료는 와가보다는 초가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평면은 좌우 돌출형과 겹집형이 다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지와 마루 사이에 칸막이벽이 없었다. 또한 전면의 개구부는 출입을 위한 것이 아닌 채광과 통풍 기능을 담당하는 북부지방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고성왕곡마을 초가는 현지조사를 통해 원형특성을 회복할 수 있는 건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Korea’s traditional hanok houses are roughly divided into tiled-roofed, thatched-roofed, shingle-roofed, and oak bark-roofed houses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In thatched-roof houses, there are various style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regarding building materials, slope, shape, and tying method. Unfortunately, as the number of thatched-roof houses have been rapidly decreasing since industrializ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thes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roofing material a higher percentage of houses with thatched roofs than houses with tiled roofs. Furthermore, the plane occupies a large number of left and right protruding types and layered types, and there is no partition wall between Jeongji and maru. In addition, the opening in the front has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region that is responsible for lighting and ventilation, not for access. In the case of thatched-roof houses in Goseong Wanggok Village, the field survey suggests that a high percentage of buildings can recover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중소도시 가로경관의 건축적 특성과 만족도분석 연구 - 포항시 중앙상가로변을 중심으로

        최문현 한국농촌건축학회 2009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1 No.1

        This study aims for proposing improvement method for streetscape in a small and medium city of Korea. According to this purpose, in chapter 2, by inspecting conservation of street environment and streetscape, deduce the frame for analyzing streetscape in commercial district. In chapter 3, analyzing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selected streets in Pohang City, derive the primary factors to induce desirable streetscape through problems and their reason between the analyzed elements of building form. Analyzed elements are composed of floor elements, wall elements, ceiling elements. The detailed elements are pavement of road, street furniture, height of buildings, color and material of building and outdoor advertisements. In chapter 4,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pedestrians about street images -choosing impressive physical elements and the feeling of the street by the list of adjective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nd the preference,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bout streetscape in commercial district.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산업전시시설의 전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정수,권흥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산업전시시설의 역사적 전개와 건축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 산업전시시설은 1930년대에 이르러 상공업 진흥정책으로 도별로 산업장려관 건축을 통하여 진열?판매 및 정보교류의 장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1930년대에 접어들어 국내 경제규모가 확대되고 지역 상공업 진흥을 위한 정책목표와 맞물려 상공회의소가 설립되며, 단순 상품진열 기능으로부터 산업을 장려, 정보교류 및 상공진흥의 기능으로 전환되었다. 셋째, 산업전시시설에 대한 관리감독은 국가 및 광역지자체에 의해 전시홍보기능이 유지되었다. 넷째, 일제 강점기 산업전시시설은 별도의 독립된 건축물로 건축되면서 조적조?르네상스 양식의 근대건축물로 건축되었으며, 산업장려관은 르네상스 양식과 근대 모더니즘을 수용한 건축물로 부분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박람회를 위해 건축된 산업전시시설은 임시 전시구조물에 르네상스 및 제세션 입면의 형식적 차용에 그치고 있으며, 일본 박람회에 출품된 조선관은 일제강점지역의 건축양식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지역 전통양식의 재현에 그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대구․경북 개신교 근대교회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의주,장석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The protestant modern church architecture was researched centering around Gwangju and Gangwon-do in Korea, recently. For comprehensive architecture studies, we also require researching of the protestant modern church architecture of Daegu and Gyeongsangbuk-do. So, this study showed status of the protestant modern church architecture and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It is fully necessary to research modern architectures before it is vanished. These results can be useful data for studying of the Korean protestant modern church architec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보성 봉강리 정씨고택 [거북정:龜亭]의 남도주거사적(南道住居史的) 의미

        천득염 ( Deuk Yonm Cheon ),최정미 ( Jung Mee Choi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2 호남학 Vol.0 No.52

        거북정은 정손일이 현 주소지인 보성군 회천면봉강리 677번지에 터를 잡고 산 후 약 4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현 집자리에 자리하고 있다. 가승(家乘)에 의하면 정손일은 훈도공 윤공의 6세손이며, 그 후손들이 지금까지 줄곧 이 집터와 그 주변에서 자작일촌의 영광정씨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거 북정이란 보성군 봉강리 정씨고택의 별칭으로 현재 가옥 내에는 안채, 사랑채, 사당을 비롯하여 내삼문, 외삼문 등이 있으며 연못과 정원등이 구성되어 있다. 본래 이 집에는 두 곳에 사랑채가 있었다. 현 문간채가 바깥사랑채였으며 현 사랑채가 안 사랑채였다. 건물의 평면 형태는 바깥사랑채가 ㄱ자형, 안 사랑채가 일자형이었다. 안 사랑채는 정도삼에 의해 초가로 건립되었는데 초창은 30여년이 된 것으로 보이나 그 후 정도삼의 7대손인 정해룡에 의해 다시 와가로 중수되었다. 이시기 바깥사랑채와 안 사랑채 앞 사랑마당에 아름다운 정원이 조성된다. 현재의 가옥은 건축적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인정되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6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공식적인 문화재 명칭은 보성 봉강리 정씨 고택이다. 본 연구는 주택의 평면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후지역을 논거로 구분하여 지역적 특성을 밝힌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이 지역 건축물인 거북정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이제까지 남선형(南鮮形), 남부지방형식, 남도형식 등으로 막연히 표현되는 건축적 특성 속에서 다시 이 지역에 보다 뚜렷이 나타나고 특징 지워지는 건축적 속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속성이 보성지방에만 나타나는 것들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최소한 이 지역에서 보다 강조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남부지방에 속한 전라남도 지역의 건축적 특성을 제시해 나가는 지속적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Jeong family old house is called to Geobukjeong in Bongang-li, Bosung-gun. Jeong Son il has lived at the old house which takes place in 667 Bonggang ri, Hoecheon-myeon, Bosung-gun for 400years. Geobukjeong does not have so long history, even the thatched-roof was rebuilt as the tiled roofed in recent year. According to the genealogical records, Jeong Son il is the sixth generation in Hundogong Yoongong. The descendants have lived around the ground for the house and made family village of Jajakilchon Yoeonggawang Jeong. There are two Sarangches(detached buildings) in the house. Current Munganchae(outer detached house) was used to be called as Bakatsarangchae and the present Sarangche(interior detached house) was called Ansarangche in the past. Bakatsarangchae is ㄱ shape, Ansarangche detached building is straight shape. Ansarangche was built by Jeong Do sam about 300years ago, it was repaired by Jeong Hae ryong who is 7th generation of Jeong Do sam. The beautiful garden was created in front of Ansarangche and Bakatsarangche. This old house is acknowledged as cultural asset value and designated as Jeollanam-do cultural property 261Ho, the official name is Bosung Bonggang-ri, Jeong family old house. We have researched the local building Geobukjeong based on the existing study which resul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the variety of climate zones in the plane of the house. This study reports more clear characteristics on the local contracture referred undefinedly as southern, southern district, southern province formats. The attributes appear not only Boseong area but other regions, it, however, stands out remarkably in Boseo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s of ongoing research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under Jeollanam-do in the southern part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천시 전통주거의 보존현황 및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완건(Lee, Wan-G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status of traditional houses,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in Jecheon. It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ultural assets preservation policy in Jecheon by finding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research methods of the existing literature and field survey to compare a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houses.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ly, measures to protect the archetype of traditional houses are urgently needed. For systematic maintenance of local cultural assets, the relevant informations have to be constantly updated with ongoing management. Secondly, the site of traditional houses show the typical appearance of Baesanimsu(背山臨水). They were built with the hill or mountain in the north and agricultural land in the south. Types of placement are mostly closed type of ‘ㅁ’ shape. Thirdly, An-chae is found various type of ‘ㄱ’ shape, and Toet-khan was developed. Lastly, Sarang-chae is a mostly type of ‘ㄴ’ shape, and the traces of confucian thinking is found in floor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