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초기 개성 문인의 지역 운동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이 글은 1900년대, 1910년대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했던 개성 문인들의 지역사회 운동을 검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1900년대 개성 사회의 신교육운동과 1910년대 개성 사회의 한문학운동을 검토하고 이러한 지역사회 운동의 주요 지역적 주체가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한 개성 문인임을 발견하였다. 이들 개성 문인은 문학과 실업을 병행한 재력가로 당대 개성 사회의 유력한 실업가였다. 구체적으로 1900년대 개성 신교육운동에서 중심적으로 활동한 김택영 관련 개성 문인은 임규영, 최문현, 김진구, 손봉상, 공성학, 김근용 등이었다. 특히 개성인이 세운 개성의 양대 사립학교 배의학교와 맹동의숙을 각각 경영한 임규영과 최문현, 대한협회 개성지회의 설립에 기여한 삼업인 손봉상 등은 모두 개성학회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개성 신교육운동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1910년대 개성 한문학운동에서 중심적으로 활동한 김택영 관련 개성 문인은 박남철, 최중건, 최문현, 공성학, 김기형 등이었다. 특히 박남철과 최문현은 『신편포은집』(1914), 『천유집고』(1918), 『중경과보속』(1918) 등을 간행하며 지역 전통을 새롭게 현창하는 문화운동을 전개하였고, 1916년 숭양문예사를 설립하고 『숭양집』을 발행하여 개성 한문학운동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1910년대 개성에서 활동한 주요 실업가는 최문현, 손봉상, 공성학, 김진구-김기형 부자, 김여황-김원배 부자 등으로 이들은 농업, 삼업, 임업, 상업, 공업 분야에서 실업계의 핵심을 구성하고 있었고 김택영과 연결된 개성 문인이었다. 근대 초기 개성 신교육운동과 한문학운동의 핵심 인물들, 그리고 동시기 개성의 주요 실업가들은 공통적으로 김택영을 중심으로 결집한 개성 문인이었다. 이는 유교 전통과 근대 사회의 관계를 새롭게 성찰하는 중요한 사례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Keaseong writers` local movement for new edeucation and Han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Main focus is on the Kim TaekYeong[金澤榮]`s Kaeseong writers as the leading figures in this two kind of movements in 1900`s and 1910`s. First, it was Yim Kyuyeong[林圭永], Choe Moonhyeon[崔文鉉], Kim Jinku[金鎭九], Son Bongsang[孫鳳祥], Kong Seonghak[孔聖學], Kim Keunyong[金謹鏞] among Kim Taekyeong`s Kaeseong writers that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local education movement in Kaeseong. Especially, Yim Kyuyeong as the principal of Baeeui school[培義學校], Choe Moonhyeon as the principal of Maengdong school[孟東義塾], and Son Bongsang as the decisive figure to establish Kaeseong affiliation of Daehan Cooperative Association[大韓協會] were all central leaders of local education movement to participate in Kaeseong Education Association[開城學會]. Second, it was Pak Namcheol[朴南澈], Choe Junggeon[崔中建], Choe Munhyeon[崔文鉉], Kong SeongHak[孔聖學], Kim Kihyeong[金基炯] among Kim Taekyeong`s Kaeseong writers that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local Han literature movement in Kaeseong. Especially Pak Namcheol and Choe Munhyeon were all key leaders of local Han literature movement to publish some important works titled “Newly edited anthology of Poeun”[新編圃隱集], “Collection of famous old verses selected by Cheonyu”[天游集古], “A sequal to list of Kaeseong`s successful applicants for Joseon state examination”[中京科譜續], and also to establish Sungyang Publishing Company[崧陽文藝社] to compilate periodical works titled “anthology of Sungyang writers”[崧陽集]. And, Choe Moonhyeon, Son Bongsang, Kong Seonghak, Kim Jinku-Kim Kihyeong(father and son) were leading businessmen in Kaeseong in 1910`s. In conclusion, Kim Taekyeong`s Kaeseong writers in the local Confucian tradition should be evaluated as central figures in the local education movement, local Han literature movement, and the local business circle in Kaeseong in the early 20th century.

      • KCI우수등재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으로 본 개성공단: 새로운 모빌리티스 시스템으로서 개성공업지구 통근버스가 만들어 낸 사회-공간

        백일순(Yilsoon Paek),정현주(Hyunjoo Jung),홍승표(Seung-pyo Hong)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5

        본 논문은 개성공업지구와 개성시를 포함하여 공단 주변 일대에 운영되었던 ‘통근버스’가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으로서 작동하면서 새로운 사회-공간을 생산하는 네트워크 자본으로 전환되는 사례를 탐색한다. 개성공업지구 통근버스는 북한 근로자의 생활권과 통근권을 확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단 근로자와 개성 일대 북한 주민들에게 새로운 삶의 리듬과 자본, 권력관계를 제공하였다. 그간 지경-지정학적 관점에서 안보-영토 담론 등 국가주의 관점에서 하나의 단일한 예외공간으로 간주되어 온 개성공업지구는 실상 무수한 행위자들의 이동과 협상 등으로 작동하는 복합적 혼종공간이었다. 마치 국가 경계처럼 간주되었던 개성공업지구의 실질적 경계는 사람과 사물의 모빌리티에 의해 다공질적이고 가변적으로 구성되었는데, 그것은 공단의 울타리 너머 개성시와 인근 지역을 아우르는 인적, 물적 네트워크에 의해 작동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성한 가장 결정적인 기제는 통근버스라는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이었다. 본 논문은 이론적인 틀로서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고정된 결과물이 아닌 우연적이며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경로를 따라 창발적으로 진화해 간 개성공단 이야기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모빌리티 이론은 국가중심적 담론에서 다루기 어려운 북한 사회의 사회문화적 미시적 변화상을 포착하는 데에 통찰을 줄 뿐 아니라 통근버스 모빌리티라는 남북 공조 시스템이 유연하고 능동적인 사회경제적 공간을 만들어 낸 과정을 고찰하는 데에 유용성을 준다. 이를 통해 개성공단의 실질적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commuter buses in Kaesung Industrial District (KID) as a new mobility system produced new social space in and around Kaesung and transformed themselves into ‘network capitals’. The commuter buses not only expanded the living sphere and commuting areas of North Korean labors in KID, but also provided new living rhythm, capitals and power relations to the labors and the local residents. KID has been regarded as a unified and fixed space of exception in state-centered discourses of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It is, however, a complex hybrid space composed of numerous mobilities and negotiations among various actants. Its ‘real’ boundaries, while they tend to be assumed as if national ones between the two Koreas, were never fixed or unified but porous and fuzzy. They were operated through human and material networks that spanned over the physical boundaries of KID and nearby areas. The critical apparatus that drove networking was the new mobility system of commuter buses. Drawing on the discourses of the new mobilities paradigm, the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story of KID that evolved through accidental combinations of contexual processes, and, thereby, emerging, autopoietic and path-dependent ways. The theories of new mobilities shed light on micro socio-cultural processes in North Korean society hardly dealt with by state-centered approaches. They are also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producing flexible and dynamic socio-economic spaces through the commuter bus mobility, the cooperative system of two Koreas. In so doing, the paper illuminates ‘real’ effects of KID from multiple aspects.

      • KCI등재

        개성공단 재개를 위한 검토와 향후 추진 과제

        이해정 법무부 2022 統一과 法律 Vol.- No.50

        Since the ado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Agreement in 2000,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has developed into a win-win economic cooperation model experiment site where 55,000 South and North Korean workers work together. From January to November 2015, the cumulative produc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520 million, up 62.5% from $320 million in 2010, and the number of workers reached 55,000.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which lasted for 16 years until February 2016, is a representativ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that contains not only economic aspects but also a symbolic meaning of inter-Korean harmony. However, compared to the entire development pla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e current development area is 5%, the number of companies is 6%, and the employment manpower is only 15%, so there are many considerations to resume development as planned. Considering the dense and elaborately accumulated sanc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for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tasks accumulated during the 12-year operation period from 2004 to 2016. Things to consider for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clude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protecting investment assets and resolving disputes, securing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interruptions, addressing traffic, communication, and tariff problems, and efficient use of labor. It is not a violation of sanctions for businessmen to visit North Korea and inspect the facilities before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it is a necessary measure to resume the complex. Whe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suspended in 2013, tenant companies visited North Korea on July 10 to inspect the facility and restarted it on September 16. In May 2019,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pproved the application to visit North Korea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assets of businessmen i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but the visit was not achieved due to North Korea’s lack of response. Inspection of facilities through businessmen’s visit to North Korea is a task that can be reviewed first. Tourism in the Kaesong area, the first representative project that can be pursued in the face of sanctions, can also be considered. This is because non-material human exchange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tourism, education, administrative infrastructure, sports, and culture can be reviewed first. Small-scale human traffic can be promoted in the tourism field that does not violate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One-day tours to Geumgangsan Mountain and Kaesong are expected to be possible while complying with international sanctions on North Korea as there is no need for facility renovation, materials, and supplies. In order to fully restar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upgrade the first phase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and promote the second phase, sanctions relief measures at the level of lifting the Security Council Sanctions No. 2270 adopted in March 2016 are needed. Once conditions are created for the resumption of the existing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as a successful economic cooperation model for inter-Korean co-prosper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a representativ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that occupies an absolute proportion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fter the suspension of the Geumgangsan Mountain tour.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Kaesong Industrial Complex can be considered after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s fully developed and stabilized first, such as the internalization of the first stage and the promotion of t... 개성공단은 2000년 개성공단 개발 합의서 채택 이후, 55,000여 명의 남북한 인력이 함께 생산 활동을 하는 상생(win-win)의 경협 모델 실험장으로 발전하였다. 2015년 개성공단 누적 생산액은 5.6억 달러로, 2010년 3.2억 달러 대비 74.2% 증가했고, 근로자도 55,808명에 달했다. 2016년 2월까지 16년간 지속된 개성공단 사업은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남북화해의 상징적 의미도 내포하고 있는 대표적인 남북경협 사업이다. 그러나 개성공단의 전체 개발계획 대비, 현재 개발 면적은 5%, 업체 수 6%, 고용 인력은 15% 내외 수준에 불과하여 향후 계획대로 개발이 재개되려면 고려할 사항이 다수 존재한다. 촘촘하고 정교하게 누적되어 온 국제사회의 제재 국면을 고려할 때 개성공단 재개를 위해서는 고민해야 할 지점이 많다. 특히, 2004년부터 2016년까지 12년간의 가동 기간 동안 중단과 재가동을 겪으면서 쌓여 온 과제들도 적지 않다. 개성공단의 발전적 재개를 위해서는 ①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국면 고려 및 국제화 방안 검토, ② 투자자산 보호 및 분쟁 해결, ③ 출입 인원의 신변안전 보장, ④ 공단의 안정적 운영 및 중단 사태 재발 방지, ⑤ 통행·통신·통관의 3통 문제, ⑥ 노동력의 효과적 활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 개성공단 재개에 앞서 기업인들이 방북하여 시설을 점검하는 것은 제재에 위반되지 않으며, 재개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이다. 2013년 개성공단 중단 당시에도 9월 16일 재가동에 앞서 7월 10일 입주업체들이 설비 점검차 방북한 바 있다. 통일부는 2019년 5월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자산 점검 목적의 방북 신청을 승인했으나, 북한의 무반응으로 방북은 성사되지 못했다. 기업인들의 방북을 통한 시설 점검은 현재 상황에서 우선 검토 가능한 과제이다. 제재 국면에서 우선 추진 가능한 대표적 사업인 개성지역에 대한 관광 역시 검토할 수 있다. 관광, 교육, 행정 인프라, 스포츠, 문화 분야에서 비물질적 인적 교류협력은 우선적으로 검토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위반되지 않는 관광 분야부터 소규모 인적 왕래를 추진할 수 있다. 금강산·개성에 대한 당일관광은 시설 개보수 및 자재, 물자 반출 등이 필요하지 않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준수하면서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성공단의 발전적 재개를 위한 전면 재가동 및 개성공단 1단계 사업의 내실화와 2단계 추진을 위해서는 2016년 3월 채택된 안보리 제재 제2270호 해제 수준의 제재 완화 조치가 필요하다. 기존 남북경협 사업의 재개가 가능한 여건이 조성될 경우, 개성공단 사업을 남북 상생의 성공적 경협 모델로 정착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금강산관광 중단 이후 남북경협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던 대표적 남북경협 사업인 개성공단 사업을 우선 확대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개성공단 1단계의 내실화 및 2단계의 추진 등 개성공단이 먼저 충분히 발전되고 안정화된 이후에 제2의 개성공단 개발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개성공단이 중장기적으로 확대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통합형 모델과 국제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한편,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노력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개성공단의 발전적 재개를 위해서는 노동집약 제조업 중심의 공단에서 점차 2∼3단계로 확장해 나가면서 첨단·고부가가치 상품 생산과 관광·상업·물류 등이 함께 발전해 나가는 ‘통합형 개성공업지구’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이를...

      • KCI등재

        개성상인과 정치권력

        양정필(Yang, Jeong-pil)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8 No.-

        조선시대 상인집단 가운데 현재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상인으로 개성상인을 꼽을 수 있다. 현재 몇몇 대기업은 자신들이 개성상인의 후예임을 내걸고 활동하고 있다. 개성상인의 생명력은 그들의 상업 전통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그럼 개성상인이 독특한 상업전통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계기는 어떻게 마련되었는가.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개성상인의 정치권력에 대한 자세를 주목하였다. 기존 개성상인 연구는 개성상인, 특히 개성의 市廛이 官에 대해 일정한 역을 부담하고 그 대가로 특혜를 얻는 특권 조직이었으며, 이로 볼 때 개성상인은 정치권력과 결탁하여 성장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본고는 개성 시전을 근거로 개성상인이 정치권력과의 협력 하에 성장했다는 이해 방식이 적절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개성 시전의 실체와 성격을 설명한 글을 통해 개성 시전을 새롭게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 글에 의하면 개성 시전은 官府와는 관련이 없는 개성상인 고유의 상인 조직이었다. 禁難廛權과 같은 개성 시전의 특권도 관에 의해 부여된 것이 아니라 개성상인이 스스로 상업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부여한 것이었다. 개성 시전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개성상인과 정치권력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를 제기하였다. 개성상인과 정치권력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개성상인의 기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개성상인은 조선 건국과 한양 천도 이후 개성에 남은 사람들, 즉 개성 遺民과 그 후손들이 상업을 생업으로 선택하면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개성 유민은 조선의 건국을 인정하지 않고 고려에 대한 節義를 지킨 사람들이었다. 조선 건국을 부정한 개성 유민에 대해 조선 정부는 과거 금지로 대응하였다. 이런 조건 속에서 개성상인은 초기부터 조선 정부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었고 따라서 정치권력과 결탁하여 상업적 성공을 기대하는 일은 생각하지 않았다. 초기 개성상인의 이러한 자세는 杜門洞 故事를 통해 그 후손들에게 전승되었고, 개성상인의 정치권력에 대한 자세를 규정하였다. 그것은 정치권력과 거리두기, 상업활동 과정에서 정치권력과의 결탁 배제였다. 정치권력의 협조를 처음부터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개성상인은 독자적으로 생존능력을 키워야 했고, 실제로 그들은 독특하고 수준 높은 상업전통을 발전시켰다. 근대 이후에도 정치권력에 대한 개성상인의 전통적인 자세는 지속되었다. 다만 반감의 대상이었던 조선이 사라지고, 또 상업과 상인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일부 개성상인은 정치권력과 결탁하여 경제적 이득을 도모하기도 하였다. 근대 이후 전통적인 입장과 다른 자세를 취하는 개성상인들이 등장하였지만, 이를 일반화시켜 정치권력에 대한 개성상인의 자세가 변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개성상인은 그 내부에 다양한 유형의 상인이 공존하고 그 數도 수천 명을 헤아리는 데, 정치권력과 결탁한 이들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개성상인은 근대 이후에도 정치권력에 대해 전통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던 것이다. 정치권력에 대한 개성상인의 자세를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인은 정치권력의 후원을 받음으로써 짧은 기간에 경제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정치권력의 후원은 영원하지 않다. 정치적 후원이 사라졌을 때 그 상인의 경쟁력은 한계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정치권력에 의존하지 않고 상업적 능력을 발전시킨 상인은 정치권력의 변동에 관계없이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생존해 갈 수 있다. 개성상인이 바로 그런 존재로, 그들은 상업적 능력을 발전시켜 경쟁력을 강화해 온 결과 현재까지도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1920~1930년대 개성화단의 전개와 특징 - 미술단체·후원자·전람회를 중심으로

        장선예(Jang Sunye)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1 No.-

        개성화단은 개성지역에서 출생하거나 활동한 화가들로 이루어진 집단을 말한다. 미술사적 측면에서 개성은 평양, 대구지역 화단에 비해 규모가 작고, 제자 양성의 힘이 미약해 그동안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근대기 개성에는 많은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었으며, 많은 미술단체가 설립되고 전람회도 활발하게 열렸다. 특히 개성 출신 컬렉터들의 존재는 개성화단의 전개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개성화단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 글은 1920-1930년대 개성화단의 전개를 개성의 지역적 특성 및 구조와 연결시켜 미술단체·후원자·전람회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근대기 개성지역의 대표적인 미술단체로는 1922년에 설립된 송도서화연구회와 고려미술공업진흥회가 있다. 송도서화연구회는 전통서화를 연구하는 단체로, 황씨 사형제(황종하·황성하·황경하·황용하)와 김유탁이 주도했으며, 고려미술공업진흥회는 회화를 비롯해 표장·자수·도기 등 미술 전반의 유통에 관여했다. 두 미술단체는 개성지역 실업가들의 후원을 받았는데, 여기서 주문·제작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황현의 십절도시를 도해한 《효효병(嘐嘐屛)》, 황경하가 글씨를 쓰고 공성학이 개성 선현 관련 출판을 주문·제작한 《시은귀거래사첩(市歸去來辭帖)》, 개성 삼업가들의 주문으로 제작된 〈인삼도〉를 들 수 있다. 개성에서 1920년대 열렸던 전시로는 송도서화연구회가 주도한 《개성서화전람회》와 개성지국 신문기자였던 김창환 개인전, 그리고 교토화단의 다케우치 세이호(竹內栖鳳)와 제자들의 전시를 들 수 있다. 특히 다케우치 세이호의 전시는 개성에 거주하는 일본인 고위급 간부들이 주도한 전시로, 교토화단 그림에 대한 애호를 알 수 있다. 1930년대에는 학생미술전람회가 중심을 이루었는데, 초기에는 학교별로 이루어지다가 개성지역 전체로 규모가 확대된 ‘송도미전(松都美展)’으로 발전되었다. 학생미술전람회에서 수상한 이들은 도쿄 유학을 다녀와 1937년 《송경미술전람회》에 작품을 출품하고 있어 서양화가들의 성장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이밖에 서양화 개인전으로 김종태전, 동양화 개인전으로는 김진우·김진용·황성하의 전시가 열렸음을 알 수 있다. 미공개 작품을 비롯해, 문집번역과 신문검색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하여 개성지역 내부에서 회화 제작 및 유통, 미술교육이 어떤 연관을 갖고 있었는지 살펴본 본 연구는 1920-30년대 개성지역 미술을 19세기 개성화단과의 연속성 속에서 분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분단으로 잊힌 근대기 개성 미술계와 미술인들을 다각적으로 조명함으로써 20세기 지역미술사, 나아가 한국 근대화단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Kaesong Painting Circles refers to a society or group of artists born or active in Kaesong Province. In terms of art history, Kaesong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ince it is smaller than Pyongyang Painting Circles and Daegu Painting Circles, and the power of fostering students is weak. However, regardless of the place of birth, the Kaesong Painting Circles in modern times shows that it was quite active. In addition, various exhibitions hosted by art organizations, schools, and newspapers have sufficient research value in art history. The presence of art collectors from Gaeseong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Kaesong Painting Circles, as well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Kaesong Painting Circles in the 1920s and 1930s, and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Gaeseong"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During this period, many art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nd exhibitions were actively held, so we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Gaeseong Art Group and Sponsor Group. Representative art organizations in the Gaeseong area of the modern era include the Song-Do oriental paint and Calligraphy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in 1922, and the Goryeo Art Industry Promotion Association. The two art organizations were sponsored by businessmen in Kaesong, including Hyo-byeong, a representative work of Hwang Hyeon"s ten hermits poem, Gong Seong-hak, a book of calligraphers related to Gaeseong, and Insam-do, a book of Gaeseong"s three businessmen. Exhibitions held in Kaesong in the 1920s include the Gaeseong Seohwa Exhibition led by the Song-Do Research Institute, Kim Chang-hwan, a newspaper reporter from the Gaeseong region, and Takeuchi Seiho and his disciples. Among them, Seiho Takeuchi"s exhibition is led by the Japanese military governor and police chief living in Kaesong, and one can see the demand for Kyoto painters circles by the individuals. In the 1930s, student art exhibitions were centered on each school in the early days, but expanded to a large-scale Son-gdo exhibition. Those who won the student art exhibition are studying abroad in Tokyo and exhibiting their works at the Songgyeong Art Exhibition in 1937, giving Western artists a glimpse of the growth process. In addition, Kim Jong-tae exhibition was held as an individual exhibition of Western paintings and Kim Jin-woo, Kim Jin-yong, and Hwang Seong-ha exhibition was held as an individual exhibition of Oriental paintings in the 1930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art of Gaeseong area in the 1920s and 30s amid continuity with Gaeseong flower beds in the 19th century.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istory of local art in the 20th century and even the Korea Modernization Company by shedding various light on the contemporary art community and artists forgotten by the division.

      • KCI등재

        경쟁하는 두 왕조_조선 국왕의 개성 행행 의례와 ‘문명지치’의 약속

        김지영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서울학연구 Vol.- No.86

        The main focus of this article is on King’s touring to Gaeseong, the Capital of Go- ryeo, in Joseon Dynasty, Visiting Gaesong, King Sejong went to his ancestors’ graves and emphasized filial piety toward his ancestors. King Sejo, as well, performed a feast for the elderly to show that politics in Joseon, different from Goryeo, should take care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eongjong emphasized that Joseon would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methods taught by Confucius through the ritual of Sung- gyun-gwan in Gaesong. After the crisis of tyrant Yeonsan-gun, King Jungjong tried to show the will of the Joseon government to practice civilized rule. Rituals undermin- ing the image of a practitioner of civilized rule, such as hunting or recreational feasts that didn’t take into account people’s livelihoods, have almost disappeared. However, by having a banquet with his relatives and officials in Parkyeon Falls, King Jungjong left a stain on his visit. As Joseon’s new political culture was emphasized, the people of Gaesong also tried to be recognized as practitioners of Joseon civilization, leaving away from the negative view toward them, whom thought as sticking to old customs. The incident which Confucian scholars of Gaesong burned Songak Shrine symboli- cally shows this strong desire. King Sukjong and King Ye o n g j o ,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revival of Joseon in the 18th century, emphasized Gaesong as the place where King Taejo founded new dynasty. Two kings met people at Namdaemun in Gaesong and held an event to talk about pending issues in people’s livelihoods. Through this political event, two kings recalled the initial intentions of the founding period. And They promised to carry out politics for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so that the trag- edy of Manwol-dae would not be repeated. The targets of the promise were not only people of Gaesong, but also people throughout Joseon. 이 글은 세종에서 영조까지 조선 국왕들의 개성 행행과 의례를 다룬다. 개성은 고려 역사의 본 무대였기에, 새 조선의 왕들은 개성에서 실패한 고려를 대신해 이 나라를 다스릴 자격과 비전을 보여주어야 했다. 세종은 태조와 신의왕후에 대 한 기념을 명분삼아 개성에 행차했다. 개성 지역인들이 왕의 행렬을 맞이하며 행 행의 정치적 의미를 선양했다. 세종 이후 왕들도 개성에 행차하여 새 조선을 표 방하는 의례를 추가로 실행했다. 세조는 세종대 대표적인 ‘생민을 위한 예제’인 양로연을 구도 개성 땅에서 거행했다. 성종은 개성 성균관을 찾아 공자가 가르친 治道에 따라 조선이 운영될 것임을 강조했다. 이 시기 개성 노인과 유생들은 ‘은 나라의 선비’, ‘구국의 유민’으로 호명되며, 새 조선 창업의 의의를 드높이는 의례 속에서 망국 유민의 표상이 되었다. 연산군은 100년 동안 구도에서 쌓아 왔던 조선 왕조의 정당화의례와 그 의미 를 완전히 무너뜨릴 계획을 짰으나, 중종반정으로 실행하지 못했다. 연산군의 위 기 이후 중종은 다시 조선의 문명지치의 실상을 보여주고자 했다. 사냥이나 연희 등 문명지치 실천자의 이미지를 훼손하는 의례는 거의 사라졌지만, 마지막에 박 연폭포 나들이로 오점을 남겼다. 왕조가 ‘문명지치’와의 거리를 번번이 드러내는 동안, 개성 사람들은 고려 유민이라는 규정을 벗어나고 조선 문명의 실천자로 인 정받고자 했다. 명종대 개성 유생들은 송악신사를 불태워 입으로만 ‘문명지치’를 외치는 왕조 권력 심층부의 위선을 드러냈다. 임진왜란 때 개성은 다시 파괴되었다. 망국 고려의 그림자는 조선에도 드리워 졌다. 다시 조선을 중흥해야 할 책임을 진 숙종과 영조는 태조의 구도에서 왕조정치의 초심을 되새겼다. 경덕궁과 목청전에서 개성이 태조가 창업할 때 큰 뜻 을 품었던 구도임을 환기시켰다. 고려 궁궐터에서는 나라를 유지하는 방법에 관 한 옛 성현의 교훈을 되새기며 발분의 노력을 다짐했다. 숙종과 영조는 조선전기 의 양로연으로 표현된 ‘생민의 정치에 대한 약속’을 한단계 발전시켰다. 왕이 직 접 민인들에게 지역의 병폐를 듣고, 더욱 절실한 민생대책을 제시하는 과정이 개 성에서 가장 번화한 남대문 광장에서 생생하게 공연되었다. 두 왕은 개성이라는 구도를 무대로 의례를 펼쳐, 조선 건국기의 초심을 되새기며 생민의 정치를 조선 땅에서 해나가서 만월대의 비극이 반복되지 않게 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약속했 다. 공연을 직접 본 것은 개성인들이었지만, 그 약속의 상대방은 조선 팔도의 백 성들이었다.

      • KCI등재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개성상인의 대외무역과 개성부

        김영록 역사실학회 2022 역사와실학 Vol.78 No.-

        This study reexamines foreign trade activities of Kaesong merchants with regard to relationship between Kaesong-bu and them. Being functioned as an important place for military and foreign affairs, Kaesong-bu had to secure expense for defence and diplomacy autonomously under the principle of central government. This, however, caused chronic financial difficulties together with expenses for reception of envoys from Qing Dynasty and Open-market at Junggang. Kaesong-bu tried to overcome the economic problems throughout collecting interest and additional taxes, which could be not enough for solve poor financial situations. In many cases, Kaesong-bu had no choice but to secure economic resources with temporary expedients, such as sharing finance of other organization and loan. From the middle of 17th century, Kaesong-bu managed to dispatch Kaesong merchants to Dispatching an Envoy to Qing Dynasty and Open-market trade at Waegwan as provisional trade officials. This allowed Kaesong-bu not only to lend merchants silver, which made a interest profit, but also to be supplied with necessary goods for receive envoys from them. Kaesong-bu had repeatedly urged the central government to permit dispatch of provisional trade officials in order to end the shortage of finance. As a result, Kaesong merchants, sent as provisional trade officials, pursued trading activities in quality of Dongnae merchants who had a monopoly position. Kaesong merchants, being linked closely with Kaesong-bu, managed to extend their initiative in intermediate trade, while Kaesong-bu was able not only to incorporate trading taxes into regional finance but to carry on generating interest profits. 이 글은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개성상인의 대외무역 활동을 개성부와의 관계성 속에서 재검토하였다. 개성부는 군사․외교적 요충지로 ‘경비자판(經費自辦)’의 원칙 아래에서 국방․외교 비용을 자체적으로 확보해야 했다. 하지만 정규 재원의 부족과 함께 청의 칙사 접대와 중강개시의 부담으로 항상 재정 운영의 어려움을 겪었다. 개성부는 식리와 상세 수입을 통해 이를 극복하려 했지만 원활한 운영이 어려웠다. 그래서 타 기관의 재원을 획급 및 대출하는 등 일시적인 방편으로 재원을 마련하는 경우가 많았다. 17세기 중반부터 개성부는 무역별장을 파견하였다. 대청사행과 왜관의 개시무역에 개성상인을 파견함으로써 개성부는 상인들에게 은을 대부하여 이자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칙사 접대를 비롯하여 필요한 물품을 조달받기도 했다. 18세기 전반 개성부는 부족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중지되었던 무역별장의 파견을 중앙정부에 계속하여 요청하였다. 그 결과 무역별장으로 파견된 개성상인은 독점적 무역권을 지닌 동래상인의 자격을 갖추고 무역 활동을 전개하였다. 개성상인은 개성부와의 연계를 통해 이전 시기부터 적극적으로 전개해나가던 중계무역의 주도권을 더욱 확대할 수 있었으며, 개성부는 개성상인을 통해 무역세를 재원에 충당시키고 식리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었다.

      • KCI등재

        윤치호와 미국 남감리교 선교

        강명숙(Kang Myung-sook)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4

        1885년부터 1893년 가을까지 중국과 미국 남부에서 유학한 윤치호는 귀국 후 개성상인들의 풍부한 자본과 상재(商材)를 조선의 산업발전에 이용하기 위해 남감리교의 개성선교를 계획하고 추진하였다. 그러나 남북전쟁의 폐허에서 벗어나지 못한 미국 남감리교는 남부의 발전을 위해 흑인선교와 아프리카 선교에 몰두하였으므로 아시아 선교는 소극적이었다. 중국 선교부와 윤치호의 노력으로 조선 선교가 시작되었으나 남감리교 선교본부의 지원은 여러 가지로 부족하였다. 더구나 조선에 파견된 남감리교 선교사들은 중국 선교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 중심 말씀 중심의 선교를 고집하여 윤치호가 계획한 조선 근대화를 위한 개성 선교는 크게 진전되지 못하였다. 윤치호는 남감리교 중국 선교부의 선교정책을 극복하기 위해 개성으로 이주하여 ‘한영서원’을 설립하고 농업중심의 실업교육에 나섰다. 윤치호의 실업교육은 농업을 육성하여 생산을 증진하고 그를 바탕으로 조선의 산업화를 추진하려는 중농주의 산업화였다. 그러나 농업중심의 실업교육(반공과)은 일제가 제정한 ‘사립학교령’과 ‘개정 사립학교령’에 의해 공업부로 재편되어 일제가 요구하는 노동자 교육으로 변질되었다. 또한 한영서원의 실업장은 선교사들의 주도로 근대 공장으로 변모하였으나 조선의 산업화를 견인하지 못하고, 가난한 학생들의 학비를 제공하는 선교부의 공장으로 전락하였다. 1907년 안창호와 손잡은 윤치호는 개성상인들을 민족자본가로 결집하려는 ‘신민회’ 운동을 전개하였다. 윤치호는 모범촌을 만들고 개성상인들을 모범촌에 참여시킴으로 ‘신민회’ 회원을 모집하려 하였다. 그러나 선교본부의 지원이 미진하여 모범촌을 설립하지 못했고 산업화의 방법도 제시하지 못하여 이재에 명민한 개성상인들의 참여를 도출하지 못했다. 그래도 윤치호는 미국을 방문하여 선교본부의 지원을 호소하고, 학생 YMCA운동을 전개하였으나 개성상인들의 ‘신민회’ 참여를 끝내 유도하지 못했다. 윤치호가 추진한 개성상인들의 민족자본가화는 실패하였고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루어야 했다. 윤치호가 파트너로 설정한 개성상인들이 조선의 근대화운동을 외면한 이유는 개성상인들의 자본이 토지와 대부업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개성상인들은 일제의 조선미 수탈정책과 인삼전매제도 그리고 금융경영에 편승하여 인삼과 미곡 중심의 토지 경영과 고리대금업에 안주하면서 산업자본가로의 변신을 외면하였다. 그러므로 개성상인을 근대화의 파트너로 선택한 윤치호는 개성상인들의 변화를 촉구하는 종교운동과 교육운동 사회운동 등을 전개하면서 개성상인들의 변화를 기다렸다고 하겠다. 윤치호는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고 민족 발전에 투신할 기독교 자본가의 출현을 남감리교 선교를 통해 도모하였으나 선교와 변혁의 대상이었던 개성상인들은 윤치호의 노력을 외면하였다. 윤치호는 유학시절 입장료를 내면서 쫓아다녔던 존스(Samuel P. Jones :‘남부의 Moody’로 불림)의 부흥운동이 조선에서도 재현되어 라이먼(T. G.Ryman)과 같은 희생적인 자본가가 나타나기를 기대했을 것이다. 윤치호가 간절히 바라던 조선의 근대화는 이기적인 식민지 토착자본의 논리와선교사들의 자기편의적 선교정책 그리고 일제의 탄압에 둘러 싸여 갈 길을 잃었다고 하겠다. After studied in China and America from 1885 to 1893, Yun Tchi-ho(Yun) came to Korea and promoted the Mission of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MECS) in Gaeseong. Through the Mission of MECS Yun wanted to modernize Korea with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Say in other words, in order to develop the agriculture and industrialize the Korea, Yun chose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to utilize their capital and abilities of management. But the South(America), defeated in Civil War, wanted to reconstruct the economy of the South. In oder to develop the economy and prevent the Blacks’ emigration, the South made an investment in Black and Africa mission. Since the resources of MECS were exhausted and they hated Chinese, the Mission of Asia were difficult and Korean Mission were more difficult. Besides korean mission in Gaeseong region was more difficult for the policies of missionaries. Missionaries wanted to take mission in Seoul and evangelize instead of setting up the schools and dispensaries. In oder to enlarge the mission of MECS in Gaeseong, Yun emigrated to Gaeseong and erect the Anglo-Korean School. Through teaching the agricultural and the industrial skill, Yun wanted to modernize korea. By the way Japanese ‘Law Governing Private Schools’ was distorted the education of skills in Anglo-Korean School. Skill for agriculture was changed into skill for factory. Also the policies of missionaries were distorted the skill education. C. H. Deal(teacher in Anglo-Korean School) changed the manual factory into machine industry. In spite of exporting the cotton textile, the machine industry was not developed the korean cotton textile industries. And Yun Participated the New People’s Society to gather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Also Yun wanted to make them into national capitalists. But they disregarded the Yun’s efforts and went on board japanese’ appeasements in production of rice, ginseng, and loan markets.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did not want any economical damage. By the japanese’ colonial oppression, the Gaeseong Region Merchants’ self-centered minds and the egoistic missionaries’ policies, Yun’s efforts of korean modernization were failed.

      • KCI등재

        조선 전기 개성과 한성의 관계 (1)

        장지연(Jang, Ji-Yeo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6 서울학연구 Vol.- No.63

        이 글에서는 조선 전기 개성과 한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먼저 개성인들이 건국에 대한 반대로 소외되어 왔다는 설화의 역사적 진실성을 검토하고, 개성과 한성을 점 대 점의 관계로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개성 소외 설화를 검토한 결과, 태조대부터 태종대까지 개성에 천도해있던 동안 정기적으로 과거가 실시되었으며, 충분한 액수의 인원들을 선발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종대 개성 천도가 단행된 것으로 보아도, 개성이 건국층에게 적대적인 분위기였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두문동 은거 설화는 18세기 이후 폭발적으로 조상의 현창과 함께 유포되었으며, 실제 거론된 인물들의 당시 행적을 보면 지방의 자기 근거지로 낙향하는 등, 설화들 대부분은 조선 전기의 실제 상황에 부합하지 않았다. 건국 후 개성과 한성의 관계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보았다. 1438년(세종 20)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를 (1)과 (2)시기로, 성종대 이후를 (3)시기로 보았다. 이는 제도적 변화를 기준으로 한 것인데, 1438년(세종 20)은 開城留後司에서 留守를 장으로 하는 開城府로 변화한 시점이다. (3)성종대 이후는 『經國大典』 체제가 자리잡은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시기에 따른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시기는 수도가 한성으로 전이됨에 따라 인구가 급속도로 유출하였다. 제도적으로는 개성을 옛 수도로서 한성과 같은 범주에서 다루는 방식으로 매우 우대하였으나, 실제 도시적 차원에서는 인구 유출로 인해 급속히 세가 축소되었다. (2)시기는 그 결과 개성부의 위상이 격하되며 이전의 우대책이 혁파되거나 재조정된 시기였다. 그에 비해 한성은 개성에 대해 확실한 우위를 다져갔다. (3)시기는 (1)~(2)시기의 결과 개성이 옛 수도라는 상징적 의미와 도시 규모의 실제가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 분명해진 시기였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의식은 개성인들에게 ‘개성인’으로서의 자각을 가져오는 바탕이 되었으며 “옛 수도”라는 상징적 의미는 그 자각의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었다. 중앙에서는 개성의 도시규모와 수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역사도시로서 개성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 지점에서 중앙과 개성의 인식이 교차하면서 “로컬 개성”의 범주화가 가능해졌으며, 16세기 “개성 지식인”, “개성 상업”등이 진작되는 새로운 분위기로 계승될 수 있었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ies of Gaeseong and Hanseong, in the terms of ‘points’. Goryeo’s old capital Gaeseong, and Joseon’s new capital Hanseong, can both be conceptualized as ‘poi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could be conceptualized as a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ose points.’ In order to clear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cities, the historical truth of the narrative of Gaeseong’s discrimination was reviews ahead, which has made the typical image of Gaeseong.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previous assumption (which had prevailed since the Joseon period’s latter half) that the Gaeseong city was discriminated by the Joseon government (as we could supposedly see from the Dumun-dong massacre and the alleged prohibition on Gaeseong resident’s application to the dynastic competitive exam), and that discrimination in fact ironically contributed to the Gaeseong area’s commercial successes, had very little to do with practical facts. In the early Joseon dynasy, the relationship of Gaeseong and Hanseong was reviewed into 3 period division. The division point of (1) & (2) period is 1438, which Gaeseong-Yuhusa/開城留後司 changed to Gaeseong-bu/開城府. (3) period begins with abound King Seongjong era, when System of Gyeonggukdaejeon was established. (1) period: Most population of Gaeseng move to Hanseong or their respective hometowns, leaving the Gaeseong area with a smaller population. Gaeseong still has the priorities as an old Capital cities, but shranks rapidly because of population outflow. (2) period: As a result, Gaeseong was changed into the level of local administration actually by losing its priorities, while Hanseong held a dominant position. (3) period: It became clear that the symbolic image of Gaeseong-Old capital city does not match the true the city status. But the awareness of this crisis made Gaeseong people allege “locality”,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 and symbolic image of the old Capital city Gaeseong. Meantime, central officials found Gaeseong’s historical assets with great concern, whereas not estimating the city Gaeseong so much highly. In this cross point of Central and Local, the categorizaion of “Local Gaeseong” can be evolved.

      • KCI등재

        조선후기 開城의 도시구조와 상업

        高東煥(Ko Dong Hwan)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1

        본 연구는 農本體制하에 상업억제정책을 강하게 유지했던 조선왕조에서 왜 유독 개성지역에서만 末利를 드러내놓고 추구하는 상업을 영위할 수 있었는지를 개성의 도시구조와 개성상인들의 구체적인 상업활동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개성에서 상업이 용인된 까닭은 상인 중심으로 구성된 주민구성, 화폐경제를 기반으로 한 재정운영의 특성때문이었다. 토지와 家戶, 人丁에서 수취한 각종 賦稅를 기초로 운영된 대부분의 郡縣과 달리 개성은 상인에게 거둔 세금과 금전대부를 통한 이자수입을 재정의 기초로 삼지 않을 수 없었다. 상업이윤을 재정의 근본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선사회의 강력한 억말정책하에서도 개성에서는 상업을 용인하고 권장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개성은 조선후기이후 영역의 확장, 인구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는 도시였다. 1796년(정조 20) 개성부는 금천군(소남면, 대남면)과 장단부(사천이서지역) 일부와 1823년(순조 23)에는 풍덕부 전체를 합병하였다. 개성의 인구추세를 보면, 15세기 중엽 8,372명이었지만, 1756년 34,285명, 1855년경에는 75,482명으로 증가하였다. 私商을 대표하는 개성상인의 상업활동은 매우 다양했다. 개성부내의 상설점포인 시전상업, 전국적 行商과 都賈商業, 중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한 무역, 그리고 개성상인들 사이에서 행해진 금융활동과 인삼의 재배와 경작,나아가 홍삼의 제조와 유통에 이르기까지 개성상인들의 활동영역은 상업분야 외에도 농업과 금융, 제조업에까지 미쳤다. 개성상인들은 인삼유통권 장악을 기초로 중개무역에 참여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개성상인들은 국내 상업과 국제무역에서 축적한 자본을 광업이나 삼포업에 투자하였다. 개성상인들의 자본규모는 1874년의 4개월동안 상품구입 총액은 10만 3,469냥에 달할 정도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ason why merchants were able to operate commercial activities pursuing profits only in Gaesung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had strong commerce restriction policies based on agriculture-based system through the structure of Gaesung and concrete commercial activities of merchants in Gaesung. The reason why commerce was allowed in Gaesung was because of its own characteristics such as residents who were mainly merchants and financial operation based on monetary economy. Differently from most Guns and Hyeons that were operated on the basis of various taxes collected from land, families and individuals, the bases of finance in Gaesung were mainly taxes collected from merchants and interest profits through loaning. Gaesung could not help allowing and recommending commerce even under strong commerce restriction policies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its financial basis wascommercial profits. Gaesung presented the expansion of the territory and a dramatic increase in population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Gaesung-bu incorporated some of Geumcheon-gun(Sonam-myeon and Daenam-myeon) and Jangdan-bu(Sacheon and Iseo areas) in 1796 (the 20th year of King Jeongjo), and the entire Pungdeok-bu in 1823(the 23rd year of King Sunjo). Its population increased to 75,482 in 1855 from 8,372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and 34,285 in 1756. Commercial activities of merchants in Gaesung representing private merchants were very various. Their activities ranged from the commercial area to agricultural, financial and manufacturing businesses such as Sijeon trade, permanent stores in the territory of Gaesung-bu, nationwidepeddling and Dogo commerce, trade with China and Japan, financial activities among merchants in Gaesung, cultivation of Ginseng, an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ed Ginseng. Merchants in Gaesung were able to get enormous profits by participating in intermediary trade on the basis of the right of ginseng distribution. They also invested capital accumulated from domestic trade and overseas trade into the mining industry or the ginseng industry. With regard to their capital size, the total amount used to purchase goods for four months in 1874 was 103,469 copper ny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