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駕洛國記」와 ‘6伽耶’ 성립 배경 검증

        이도학 ( Lee¸ Dohack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3 No.-

        사료가 절대 부족한 가야사 연구에서 국내 사료인 『삼국유사』에 수록된 「가락국기」의 내용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그 가운데 6가야의 시조 誕降卵生說話는 「가락국기」에만 적힌 유일한 기록이었다. 여기서 비롯한 6가야설은 가야 단일연맹설의 근거가 되었다. 문제는 「가락국기」에 적힌 가야의 범위에는 6가야를 훨씬 넘는 諸國들이 산재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야 즉 加羅라는 국명을 지닌 정치체는 김해와 고령 2곳에 불과하였다. 그러면 6가야 시조설화는 언제 성립한 것이었을까? 일반적으로는 전승에 근거하여 신라 말~고려 초에 정리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곳 호족들이 반신라적인 명분으로 가야를 들먹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6가야 지역의 호족들 간에는 연대나 유대의 흔적도 보이지 않았다. 게다가 안라가야가 소재한 함안 지역의 호족은 신라에 대한 절의를 내세우면서 왕건에 대적하였다. 그리고 가야로 인식한 세력은 신라 말에도 2곳에 불과하였고, 시조 탄강설화도 6卵이 아니라 獨卵이 원형이었다. 고려 전기에 편찬된 「구삼국사」에 적힌 列國 가운데 沃沮와는 달리 가야는 수록되지도 않았다. 가야는 옥저보다도 존재감이 없었음을 뜻한다. 「가락국기」에 수록된 6가야는 고려 문종대인 11세기 후반에 왕실의 외척으로 득세하던 인주 이씨 세력과 엮어져 있었다. 수로왕을 공통의 시조로 하는 인주 이씨 세력에 의해 금관가야의 권위를 내세우기 위한 목적에서 6가야와 더불어 넓은 강역을 창출한 것이었다. In the study of Gaya history, where historical materials were absolutely scarce, the contents of the “KarakGuguki” which was included in the “Samgukyusa” a Korean historical record, accounted for an important portion. Among them, the myth that the first kings of the six Gaya countries came down and were born breaking eggs was the only record written only in the “KarakGuguki”. The theory that six Gaya were created together, including here, provided the basis for the theory that Gaya was a single alliance. The problem is that there were many countries that were well over six Gaya countries scattered in the scope of the Gaya country written in the “KarakGuguki” There were only two political forces named Gaya, or Gara, in Gimhae and Goryeong. So when was the myth that the first kings of six Gaya were born? It was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been organized betwee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based on the tradition. It is said that the powerful person here mentioned the Gaya kingdom as a justification to oppose Silla.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 of unity or unity among the six Gaya powers. Furthermore, a powerful person of Haman, where Anragaya was located, fought against WangGeon by demonstrating their loyalty to Silla. There were only two groups recognized as Gaya at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and the first king came down from heaven, not six eggs, but only one. Among the countries listed in “GuSamGuksaki” compiled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Gaya was not included, unlike Okjeo. Gaya means that it had no presence than Okjeo. The six Gaya, which was included in the “Gorigukgi,” was associated with the Inju Yi Clan, who gained power as a royal family member in the late 11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of the Goryeo Dynasty. King Suro was created by the Inju Yi Clan, who had a common ancestor of King Suro, to promote the authority of Geumgwan Gaya, along with six Gaya provinces.

      • KCI등재후보

        가야사와 가야불교사 인식의 새 지평을 위해서

        이덕일 바른역사학술원 2021 역사와융합 Vol.- No.8

        현재 한국의 가야사 인식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못하다. 가야사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던 것은 대일항전기 때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었는데, 이들은 가야에대한 사료가 부족한 것을 기회 삼아 『일본서기』에 나온 임나일본부설에 입각해서고대 야마토왜의 식민지가 가야였다는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었다. 광복 후 일본인 학자들의 이런 연구에 대해서 한국(남한) 학계는 총론으로는 “임나일본부설을 극복했다”고 비판하는 척했지만 내용적으로는 ‘임나=가야’라는 임나일본부설의 핵심논리를 그대로 반복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면 북한 학계는 1963년 김석형이 분국설을 제창하면서 형식적, 내용적인인 면에서 임나일본부설을 완전히 폐기시켰다. 그 결과 남북한의 가야사 인식은 극과 극을 달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한 학계는 『삼국유사』 「가락국기」 및 『삼국사기』 등의 문헌사료와 옛 가야지역의 각종 고고학 유적, 유물을 가지고 가야 건국시기를 서기 1세기로 인식하지만 남한 학계는 가야가 서기 3세기 경에 건국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야사 연구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분야는 가야불교사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서 452년 왕후사를 세웠다는 기록을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라고 해석하지만 이는 가야에서 왕실사찰을 세웠다는 기록이지 가야에 불교가 처음 전래되었다는 기록이 아니라고 해석할 수도 있는 것이다. 허왕후가 서기 48년 아유타국에서 가야로 오면서 가져온 파사석탑은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를 5세기 중엽으로 보는 시각이 문제가 있음을 말해준다. 『삼국사기』의 고구려·백제 불교전래에 관한 기록은 대승불교의 전래기록인데, 최치원이 쓴 「지증대사탑비」에는 대승불교보다 소승불교가 먼저 들어왔다고 해석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 이런 사실들은 우리가 과거의 가야사 해석, 특히 대일항전기 때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 만든 고정된 가야사의 틀을 근본적으로 다시 검토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 동향과 향후 전망

        이주헌 ( Lee Ju-heun )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2

        가야를 단일주제로 한 가야사의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80년대 이후이다. 그동안 축적된 가야사 관련 연구성과는 가야사회의 발전과정을 연대순으로 재구성하는 바탕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김해의 가락국, 고령의 가라국(대가야)을 중심으로 한 가야사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함안의 아라가야(안라국) 및 고성의 소가야(고자국)를 포함한 가야 각국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활성화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가야각국은 한국고대사에서 주체적인 역할을 담당한 정치집단이었으며, 각 정치집단은 사회의 발전 정도가 달라서, 대가야나 아라가야는 정치적으로 고대국가 단계로까지 나아간 것으로도 현재 논의되어지고 있다. 그동안 아라가야를 주제로 한 각 분야의 다양한 연구로는 변진구야국과 안야국, 포상팔국 전쟁, 광개토왕릉비문의 ‘안라인수병’, 『일본서기』 계체ㆍ흠명기의 안라회의, 임나일본부 등과 같은 특정 주제와 관련된 파생적인 문제로만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가야사회의 유력한 정치체의 일원으로서 아라가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에는 아직도 한계가 있음을 시인하지 않을 수 없다.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는 태생적으로 자료 부족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문헌사 연구분야에서는 대외관계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삼국사기 초기기록과 광개토왕릉비문을 제외하면 주로 6세기 전반의 『일본서기』 기록에 근거하고 있는 연구의 편중성은 아라가야사를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데 있어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또한 고고자료에 있어서도 대부분이 5세기 이후의 고분 관련 자료에 집중되어 있고, 동일한 유구와 유물의 해석에 있어서도 연구자 간에 서로 상이한 해석으로 실상에 대한 인식차가 큰 점 역시 문제점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단계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방법과는 차별적인 새로운 연구법의 모색과 문헌 및 미지의 고고학 자료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와 발굴은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는 부분이다. 특히, 고고자료의 심각한 편년관의 극복 및 매장관련 분묘연구 위주에서 생활양식 연구로의 전환, 그리고 왕궁-거점취락-일반취락간의 유기적 관계 검토에 따른 입체적인 사회상 복원은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아라가야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전문연구 인력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지역민 스스로 지역사에 관심과 열정을 갖도록 하는 효과적인 방안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research on the history of Gaya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efforts to ascertain what the history of Gaya was really like through excavation surveys of historic sites and reinterpretation of the Nihon Shoki are being made even more concretely today. Recently, scholars specializing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have begun referring to the “Four Kingdoms Period” rather than using the established term ‘Three Kingdoms Period’.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Gaya accumulated so far not only form the basis on which to recompos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Gaya society chronologically, but have also brought about changes resulting in more in-depth studies of each of the mini kingdoms in present-day Haman and Sogaya of the Gaya Confederacy, breaking with the past trend of research focused largely on Garakguk in Gimhae and Garaguk in Goryeong. So far, studies on Aragaya have only been conducted with a focus on derivative matters like Byeonjinguyaguk, Anyaguk; war among the Posangpalguk ; the Allainsubyeong referred to on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of Goguryeo; the Alla Conference or Mimana Nihonfu mentioned in the Nihon Shoki. Thus,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in-depth study about Aragaya as a powerful polity of Gaya still has a long way to go. The research on Aragaya is limited by a lack of informative materials, as most of the relevant literature only concerns its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Other than early parts of Samguk sagi and the content of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Nihon Shoki, which was written in the early sixth century, is the only material researchers can rely on heavily for their studies of Aragaya. That is the main limitation faced by researchers in their efforts to systematically recompose its history. However, there are other problems. Most of the available archaeological materials are related to tombs dating from the fifth century or thereafter, and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way researchers view the same historic sites and relic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such problems one after another by looking for a new research method and new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In particular,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d the reliance on specific archaeological materials, to shift the focus from tombs to ancient people’s way of life, and to restore three-dimensional social aspects by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yal palaces and villages.

      • KCI등재

        사서(史書)를 통해 본 가야․가야인식

        박양리(Park, Yang-Ri)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This study is a work on public opinion of the Gaya confederacy (伽倻, AD 42~562) for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thus is to examine how ancestors in Korea remembered Gaya through reviewing historical books. As the boundary of history and myth, Gaya was remembered as the nation ruled by the holy king. King Suro (首露王), in particular, was worshiped as the mythical hero that gave birth to the nation. He was believed to be the root of the Kim and Heo clans of Gimhae, who are the descendants of the Gaya people. They preserved the tomb of King Suro and made incessant efforts to raise its status. As a result, by the lat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were organized for the royal tomb of King Suro. However,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remained negative concerning the Gaya mythology. Leading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實學), such as Yi Ik(李瀷), An Jeong-bok (安鼎福) and Jeong Yak-yong (丁若鏞), saw that the Gaya myth was groundless and unreliable. Rather, they made an attempt to disclose, objectively and empirically, the existence of Gaya as Korea’s ancient kingdom. Especially Jeong Yak-yong treated the history of Gaya as much important as that of the Silla Dynasty. The existence of such various perceptions on Gaya indicates that Gaya was not merely an ancient history kept inside a glass case but a living history cherished by many for a long time. Gaya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hose who held different stances and purposes. And, concerning how Gaya is to be remembered today, homework still remains. 본고에서는 가야의 문학적 탐구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우리 선조들이 가야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었는지를 사서(史書)를 통해 살펴보았다. 역사와 신화의 경계로서 가야는 신성한 왕이 다스리는 국가로 기억되었다. 특히 수로왕은 건국신화의 주인공으로 존숭되었다. 가락국의 후손인 김해 김씨와 허씨 가문은 가문의 근원으로서 가야를 인식하였다. 이들은 수로왕릉의 능묘를 보존하고 그 위상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 이르러 수로왕릉은 국가적 차원에서 제례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가야의 건국신화적 인식에 대해 조선조의 지식인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익과 안정복, 정약용 등 실학자들은 가락국의 신화가 허탄하여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 대신 이들은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태도로 우리 고대 국가로서 가야의 존재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정약용은 가야의 역사가 고대사에 있어서 신라 못지 않게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가야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가야가 단순히 박제된 고대사가 아닌 오랜 시간동안 기억되었던 살아 움직이는 역사로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가야는 기억하는 이들의 입장과 목적에 따라 달리 인식되었던 것 이다. 이러한 가야인식이 문학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탐구하고, 나아가 현재의 시점에서 가야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지는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가야불교(伽倻佛敎)에서 가야산(伽倻山)이 지니는 의미에 관한 고찰

        정명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4

        본 논문은 고대 한반도 남쪽에 건국된 가야지역의 불교전래를 검토하는 연구논문이다. 한반도 남쪽에 위치하는 가야는 한국사에 있어서 고대 국가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한반도의 역사가 삼국을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삼국을 중심으로 역사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한반도 불교전래도 중국을 통해 삼국에 전래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중국을 통한 한반도 불교전래와는 달리 가야의 불교는 중국을 통한 전래가 아닌, 인도에서 불교가 직접 전래된 것으로 추정한다. 가야역사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으며, 가야불교 전래도 아유타국에서 가야로 시집온 허황옥을 통해 인도의 불교가 가야로 바로 전래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가야불교의 전래를 가야지역에 남아 있는 불교유적지 중에서 가야산을 중심으로 가야불교를 살펴보겠다. 가야산은 『삼국유사』에 의하면, 가야가 건국될 당시 북동쪽의 국경지역이다. 『삼국유사』에 의해서 가야산의 명칭은 가야의 건국과 함께 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석이정전」에 의하면, 순응·이정 두 스님이 해인사를 창건할 당시 가야산은 우두산으로 불렸다. 가야산이 우두산으로 불린 이유는 가야의 원어를 통해 알 수 있다. 가야는 범어로 ‘gayā’이다. ‘gayā’는 소(牛)를 의미한다. ‘gayā’는 코끼리(象)로 한역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gayā’가 코끼리를 의미하는 범어 ‘gaja’와 서로 음이 통하기 때문에 소와 코끼리로 번역된다. ‘gayā’의 원어와 한역 과정을 통해 가야산은 우두산, 상왕산으로 불리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가야를 의미하는 소와 코끼리는 불교와 관련이 있는 동물이다. 우두산과 상왕산을 통해서 가야산은 불교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산명이라 생각할 수 있다. 결국 가야의 국경지역인 가야산은 가야불교를 바탕으로 하는 산명이라 생각된다. 가야산의 산명뿐만 아니라 가야산내의 유적지에도 가야와 관련한 설화가 남아있다. 가야산 정상인 칠불봉은 허황옥의 7아들과 허황옥의 오빠인 장유화상이 수행한 곳이고, 가야산내 해인사의 영지는 수행하는 7왕자를 보기 위해 허황옥이 다녀간 곳이다. 가야산의 설화에 나오는 허황옥과 7왕자 그리고 장유화상은 가야건국에서 언급되는 인물들이다. 이렇듯 가야산은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를 추정할 수 있고, 가야인의 수행흔적이 남아 있는 유적지인 것이다. 가야산은 가야의 의미를 통해서 불교와 관련이 있는 산명이며, 가야산내의 유적을 통해 가야불교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가야산을 통해 가야의 불교전래는 가야 건국 당시 가야에 시집온 허황옥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KCI등재

        고고학으로 본 가야의 개념과 영역

        김세기(Kim, Se-ki)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근래 정부의 가야사 복원정책이 발표된 이래 가야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문헌사료가 제한되어 있는 현실에서 고고학 자료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면서 가야가 신라 보다 우수했다거나, 경주를 제외한 넓은 지역이 5세기까지 가야였다는 인식도 퍼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그 동안 여러 요인으로 소외되었던 가야사에 대한 보상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학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고자료의 해석을 통해 가야사 연구의 기본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것은 고고학 자료가 가야의 개념과 영역, 국가발전단계 등을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접근을 위한 기초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가야고고학 자료 중 가장 많은 각 지역의 고총고분으로 대표되는 왕릉급 고분의 묘제와 출토유물(토기, 위세품)을 통해 가야의 개념을 제시하고 영역을 추론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찾아낸 가야묘제는 목관묘, 목곽묘, 석곽묘, 석실묘로 발전하는 단계를 가야묘제로 정의하고, 토기양식 중 고배대각의 투창이 상하 일치하는 것을 가야토기양식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의 고분 중 가야묘제를 가진 고분과 이러한 가야고분 안에서 가야토기와 가야식 위세품이 출토되는 지역을 가야의 개념과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야묘제와 토기는 가야의 공통양식 안에서 각 지역별로 지역양식이 나타나고 있고, 이것을 통하여 가야의 영역과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 지역양식과 영역은 금관가야영역, 아라가야영역, 소가야영역, 대가야영역으로 대별되며, 지리적으로 보면, 대체로 금호강 남쪽에서 낙동강서안에 해당된다. 특이한 점은 대가야영역이 지리산을 넘어 장수지역과 섬진강 서쪽인 순천, 광양을 포함하는 것이다. 가야고고학이 가야사복원에 더 기여하려면 계획적 발굴조사, 왕궁, 산성, 봉수 등 가야의 국가발전단계 규명을 위한 고고학 자료 확보에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Since the government’s recent policy to restore the Gaya has been increasing, the interest in Gaya has been explosively growing. In such a situation, the importance of archaeological data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reality that the documentary is limited.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that Gaya is now superior to Silla, or that large areas except Gyeongju were territories of Gaya until the 5th century. This phenomenon seems to have been caused by reward psychology of Gaya, which had been neglected by various factors. Howev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ademically, it became necessary to approach the basic problem of Gaya research through interpretation of archaeological data. The reason is that archaeological data is the basis for a logical and objective approach to the concept and area of Gaya, and the stage of national development.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Gaya is presented and the area is deduced from the burial tombs and excavated artifacts(pottery, prestige articles) in each area of G aya. In this way, the tombs of Gaya have been evolved into a step of Moggwanmyo(木棺墓), Moggwagmyo(木槨墓), Seoggwagmyo(石槨墓), and Seogsilmyo(石室墓). Among the earthenware styles, the upper and lower coincidence of the pitch angle of the upper diagonal was set to the Gaya earthenware style. Therefore, we have set up the concept and area of G aya as an excavated site of burial tombs, an earthenware, and a prestige articles. Gaya’s tombs and earthenware contain the common style of Gaya and reveal the style of each area.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recognize the area and characteristics of Gaya. The local styles and areas are categorized into the Geumgwangaya area, the Aragaya area, the Sogaya area, and the Daegaya area. Geographically, it is generally located in the wes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south of Kumho River. Unusual is that the Daegaya area includes Suncheon and Gwangyang, which extend beyond Jirisan to the Jangsu area and the west of the Seomjin River. If Gaya’s archaeology is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Gaya history, it needs to focus its efforts on securing archaeological data to investigate the national development stages of Gaya, including its planned excavation research, royal palaces, fortresses and Bongsu.

      • KCI등재

        합천 삼가고분군의 다곽식고분과 가야권역 다곽식고분의 비교 연구

        하승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1

        합천 삼가고분군은 경남 서부지역 최대 규모의 고분군으로 1세기부터 7세기까지 조성되었으며, 5~6세기에 축조된 봉토분도 300기 이상 확인되었다. 이는 삼가고분군을 축조한 세력이 가야의 유력한 세력으로 오랜 기간 존속했음을 알려준다. 삼가고분군은 최근 발굴조사가 이어지고, 토기양식과 묘제 등 고고학 자료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면서 소가야를 구성한 유력한 세력 중 하나였음이 드러나고 있다. 특히 하나의 묘역에 여러 기의 석곽이 순차적으로 축조된 ‘삼가식 다곽식고분’은 소가야의 주요 묘제로 밝혀지고 있다. 5~6세기에 조성된 가야권역의 봉토분은 축조방식과 매장시설의 배치에 따라 단곽식과 다곽식 고분으로 구분된다. 단곽식은 함안․합천․창녕 등 낙동강 연안에 분포하고, 다곽식은 가야 북부지역과 서남부지역에 분포한다. 다곽식고분은 고령식과 삼가식, 고성식으로 구분된다. 고령식은 고령․거창․합천․함양 등 대가야권역의 수장층 고분에서 확인된다. 삼가식은 산청․진주․의령․하동 등 소가야권역에 분포한다. 고성식은 고성과 통영에 축조된 소가야 수장층 고분에서 확인된다. 가야의 묘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목관묘, 목곽묘, 석곽묘, 석실묘로 변하지만, 그 형식과 특징은 개별 정치체에 따라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다. 5~6세기에 축조된 다곽식고분이 고령식, 삼가식, 고성식으로 차이를 드러내는 것도 그러한 사례 중 하나이다. 가야권역 다곽식고분에는 당시 가야사회의 지역성과 집단의 위계, 피장자의 친연관계가 반영되어 있다. The Samga Ancient Tombs in Hapcheon are the largest ancient tombs in western South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were built from the 1st to the 7th century AD. More than 300 mound tombs built from the 5th and 6th century were also identified. This indicates that those who built the Samga Ancient Tombs lasted for a long time as influential powers of Gaya. With the recent excavation of the Samga Ancient Tombs and the research progress on archaeological materials as to the earthenware style and tomb type, it is becoming clear that they were a powerful force that constituted Sogaya. In particular, the Samga-style multiple stone-lined tomb, where multiple stone-lined tombs are built sequentially in one tomb area, have been revealed as the main tomb type of Sogaya. The mound tombs in the wider Gaya region from the 5th and 6th centuries are classified into single and multiple stone-lined tombs depending on how the tombs were constructed and burial adornments were arranged. The single stone-lined tombs are distributed along the Nakdonggang River, such as Haman, Hapcheon, and Changnyeong, while the multiple stone-lined tombs are found in northern Gaya and the farther southwest. The multiple stone-lined tomb is divided into the Goryeong, Samga, and Goseong styles. The Goryeong style is found in the ancient tombs of the leaders of the Daegaya region, such as Goryeong, Geochang, Hapcheon, and Hamyang. The Samga style is mostly distributed in the Sogaya region, such as Sancheong, Jinju, Uiryeong, and Hadong. The Goseong-style is concentrated in the ancient tombs of leaders of Sogaya in Goseong and Tongyeong. The tomb type of Gaya was transformed over time into wooden coffin tombs, wood-lined tombs, stone-lined tombs, and stone-chamber tombs. However, their formats and characteristics vary in detail depending on the political entity. The fact that the multiple stone-lined tombs built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reveal differences in the Goryeong, Samga, and Goseong styles is one such example. The study of Gaya's tomb types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Gaya confederacy, which consisted of various polities.

      • 가야사(伽倻史)와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에 대한 주류학계의 인식 비판

        황순종(Whang, Soon Jong)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김현구를 비롯한 고대 한.일 관계론자들은 고대에 일본이 임나, 즉 가야를 지배한 것으로 논하고 있으나 이는 전적으로 잘못이다. 일본이 임나를 지배했다는 내용은 [일본서기]에 의한 것이지만, 이 임나는 일본 열도에 있던 부락 단위의 나라 이지 한반도의 가야와는 다른 실체이기 때문이다. [일본서기]의 임나는 가야와는 전적으로 다른 나라임에도 이를 한반도의 가야와 같은 나라로 보아 논리를 전개하는 학계의 입장은 잘못일 수밖에 없다. 임나와 가야가 다른 실체라는 사실은 다음과 같 은 사실에서 명백하다. 첫째, 가야에는 금관국을 비롯한 6가야가 있었다고 [가락국기]에 전하는데, 금관이란 지명이 경상도에 있어 그곳에 부임한 문관이 [가락국기]를 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서기]의 임나에는 금관국은 물론 다른 5가야와 같은 이름이 하나도 없어, 임나는 가야와는 전혀 다른 실체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임나는 북쪽이 바다 가로 막힌 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가야는 오히려 그 남쪽이 바다로 육지에 속해 있기때문이다. 셋째, 임나인의 이름은 전형적인 일본인의 이름인 데 비해 가야의 왕은 김구해 등 김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넷째. 가야와 임나는 그 건국 및 멸망 시기, 주변국과의 관계 등에 있어서도 모두 달라 전혀 같은 나라로 볼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임나는 가야가 아닌데도 일제 식민사학자들은 일본이 고대에 임나 즉 가야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성을 거짓 주장해 왔다. 그런데 김현구는 가야를 지배한 것이 일본이 아니라 사실은 백제였다는 특이한 설을 내놓았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가설은 [일본서기]에 의해서도 입증되지 않는 허위일 뿐이다. 우선 임나를 정벌할 때 백제의 장군 목라근자가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조작하였으니, 이는 [일본서 기]의 내용조차 자기 멋대로 해석한 것이다. 이어 목씨의 후손이 여러 대에 걸쳐 임나 일본부를 다스린 것으로 주장했으나 그들이 목라근자의 후손이라는 사실도 확인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은 백제가 임나를 지배했는데, 백제는 일본의 지배를 받는 종속관계였다는 것이다. 김현구는 백제가 일본에 종속된 관계임을 증명하기 위해 왕족과 왕녀들이 관행적으로 파견되어 일왕을 섬겼다고 주장했다. 그러니 이러한 그의 주장은 터무니없는 것으로, 심지어 [일본서기]에도 없는 인물들로 조작한 것이었다. 그가 왕족이나 왕녀를 파견하는 관행 이라고 주장한 것이 실제 로는 수십 년 동안 2,3명의 왕족과 왕녀가 일왕을 섬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업무를 추진하기 위해 일본에 간 것이었을 따름이었던 것이다. Gaya was one of the old Korean countries, and Imna was one of the old Japanese countries. The two countries were separate and each of them was recorded in the Korean and Japanese history respectively. But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Japanese historans of the imperial Japan have been insisting Gaya and Imna as the same, and Wae(old name of Japan) conquered and ruled this country for two centuries. Most Korean historean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ended in 1945, succeeded the Japanese historeans wrong theory. Gaya and Imna were different in all repects, and both had none in common. They were different in the locations, the numbers of their sub-countries and the names of them, the names of the kings, the years of beginning and ending of the countries. Nontheless the modern Japanese historians all together joined in the conspiracy that the old Japan ruled Gaya, to serve it as a justification of ruling Kore in the 20th century. The Imna Prefectural Government of Japan was said to set up to rule Gaya. but it was not clearly recorded and unbelievable. For instance, the name of the Govenment was recorded first after about 100 years of Japan s conquering of Imna. Then, by what and how did Japan rule it durig the past 100 years? In addition, the records of the Government focused over 10 times only about 10 years of the last ruling period. Lastly, the names of the Government and the names of the head of the Government were recorded in a variety. That means the lack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Kim Hyun-Goo uniquely insisted that Imna was conqered and ruled not by Japan but by Baekje(an old Korean country). But simultaneouly insisted Japan actually overwhelemed Baekje, that means Japan did not rule Imna directly but ruled indirectly. His two points of view, however, are both false. First, in conquering Imna 4 Japanese generals(including a Baekje general) did major roles. The Baekje general roled only as a supporter, and he is thought as an immigrant to Japan. Second, Kim Hyun-Goo regarded Baekje a sub-country of Japan, but the actual relation between them was its reverse. For his false theory, he depended only on the Japanese records and disregarded all the Korean records.

      • KCI등재

        사서(史書)를 통해 본 가야․가야인식

        박양리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This study is a work on public opinion of the Gaya confederacy (伽倻, AD 42~562) for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thus is to examine how ancestors in Korea remembered Gaya through reviewing historical books. As the boundary of history and myth, Gaya was remembered as the nation ruled by the holy king. King Suro (首露王), in particular, was worshiped as the mythical hero that gave birth to the nation. He was believed to be the root of the Kim and Heo clans of Gimhae, who are the descendants of the Gaya people. They preserved the tomb of King Suro and made incessant efforts to raise its status. As a result, by the lat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were organized for the royal tomb of King Suro. However,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remained negative concerning the Gaya mythology. Leading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實學), such as Yi Ik(李瀷), An Jeong-bok (安鼎福) and Jeong Yak-yong (丁若鏞), saw that the Gaya myth was groundless and unreliable. Rather, they made an attempt to disclose, objectively and empirically, the existence of Gaya as Korea’s ancient kingdom. Especially Jeong Yak-yong treated the history of Gaya as much important as that of the Silla Dynasty. The existence of such various perceptions on Gaya indicates that Gaya was not merely an ancient history kept inside a glass case but a living history cherished by many for a long time. Gaya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hose who held different stances and purposes. And, concerning how Gaya is to be remembered today, homework still remains. 본고에서는 가야의 문학적 탐구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우리 선조들이 가야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었는지를 사서(史書)를 통해 살펴보았다. 역사와 신화의 경계로서 가야는 신성한 왕이 다스리는 국가로 기억되었다. 특히 수로왕은 건국신화의 주인공으로 존숭되었다. 가락국의 후손인 김해 김씨와 허씨 가문은 가문의 근원으로서 가야를 인식하였다. 이들은 수로왕릉의 능묘를 보존하고 그 위상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 이르러 수로왕릉은 국가적 차원에서 제례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가야의 건국신화적 인식에 대해 조선조의 지식인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익과 안정복, 정약용 등 실학자들은 가락국의 신화가 허탄하여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 대신 이들은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태도로 우리 고대 국가로서 가야의 존재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정약용은 가야의 역사가 고대사에 있어서 신라 못지 않게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가야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가야가 단순히 박제된 고대사가 아닌 오랜 시간동안 기억되었던 살아 움직이는 역사로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가야는 기억하는 이들의 입장과 목적에 따라 달리 인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가야인식이 문학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탐구하고, 나아가 현재의 시점에서 가야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지는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가야 諸國과 고구려의 관계

        신가영(Shin, Ka Young)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8

        가야 제국과 고구려의 관계는 기록이 소략하여 자세히 파악하기 어렵다. 이 글에서는 3세기부터 6세기 중반까지 가야 각국이 고구려와 어떻게 관계를 맺었고, 그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가야 제국은 고구려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기에 직접 교섭하거나 지속적으로 교류하기 쉽지 않았다. 그렇지만 고구려의 영향으로부터 동떨어져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고구려에 의해 낙랑·대방군이 축출된 이후 고구려와 신라를 중심으로 전개된 새로운 교역체계 속에서 신라가 가야보다 앞서 나가게 되었다.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 이후 신라는 낙동강 하구 교역권에서의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4~5세기의 고구려와 북방 문물은 신라를 매개로 가야 사회에 들어오게 되었다. 가야사에 가장 큰 외부 충격으로서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이 평가되고 있지만, 엄밀히 따지면 금관국(금관가야)에 한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안라(아라가야)를 비롯한 다른 가야 세력들은 그 영향권 밖에 있었다. 가야 제국은 400년 이전부터 변화하고 있었으며, 그 변화의 원인은 낙동강 하구 유역으로 진출하려는 신라와 이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금관국의 쇠퇴에서 비롯되었다. 고구려를 등에 업은 신라가 가야 제국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각국은 새로운 진로 모색을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대가야와 안라가 각각 고구려와 교섭했던 것이 확인되지만, 모든 가야 세력들이 동시기에 고구려와 관계를 맺었던 것은 아니었다. 고구려·백제·신라의 역학관계에 따라 가야 제국 중 일부가 신라·백제와 함께 고구려에 대항하기도 하고,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고구려와 손을 잡기도 했다. 고구려 역시 백제와의 대립 구도 속에서 필요한 경우 가야 세력과의 연계를 도모하였다. 이처럼 가야 각국이 개별적으로 고구려와 교섭하였고, 교섭은 일시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고구려가 가야 사회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대가야와 안라가 백제와 신라의 틈바구니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우에 따라 고구려를 외교적 수단으로써 활용했다는 점에서 고구려와의 교섭은 그 의의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Goguryeo is difficult to figure out in detail due to the lack of related records.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how each state of Gaya countries built a relationship with Goguryeo from the 3rd to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was. It was hard for Gaya countries to have direct negotiation or interact consistently with Goguryeo because the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was far. However, it did not mean that Gaya countries was far from the influence of Goguryeo. After the expulsion of Nangnanggun(樂浪郡) and Daebanggun(帶方郡) by Goguryeo, Silla attained superiority over Gaya in the new trading system developed around Goguryeo and Silla. After the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Silla took the lead in the right of trading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Goguryeo and Northern civilizations of the 4th and 5th centuries was spread to Gaya society through Silla. In the history of Gaya,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is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external impact, but technically, it directly affected only Geumgwanguk(金官國), also known as Geumgwangaya(金官加耶). Other Gaya forces including Alla(安羅), also known as Aragaya(阿羅加耶), were outside of its influence. Gaya confederacy had already been changing before 400, and the reason of change was because of Silla that was trying to expand to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decline of Guemgwanguk that failed to respond properly to this situation. As Silla started to influence Gaya countries by having Goguryeo in the back, each state was forced to seek new paths. Although it is confirmed that Daegaya(大加耶) and Alla negotiated with Goguryeo separately, but this did not mean that all the Gaya forces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Goguryeo at the same period. Depending on the dynamic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some states of the Gaya countries held against Goguryeo with Silla and Baekje, or joined forces with Goguryeo to keep Baekje in check. Goguryeo also aimed to form association with Gaya forces, if necessary, in the confrontation with Baekje. Each state of Gaya countries separately negotiated with Goguryeo, and because this negotiation was temporary, the influence of Goguryeo on Gaya society was limited. Nonetheless, the negotiation with Goguryeo can find its meaning in that Daegaya and Alla took advantage of Goguryeo as diplomatic means to survive from the dynamics between Baekje and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