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화과(Fig) 분리 성분의 항균성 규명 및 무화과 비누 제조에 관한 연구

        류성렬 한국유화학회 2015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웰빙(well-being)으로 각광받고 있는 천연물 관련 연구에 무화과 추출물의 활용 가능 성을 확인하고자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화과를 세척 건조하여 알코올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후, Column chromatography, G-Mass, IR, 1H-nmr 방법에 의하여 무화과 추출물의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 였으며, 무화과 추출물을 두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항균, 항진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무화과 추출물의 이화학적 분석은 열매와 잎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두 부분 모두 비듬과 피부병 치료 효능을 가진 항균 및 항진균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화과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은 액체배지 희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 무화과의 산업화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무화과 추출물 함유 수제 투명 및 고형 비누를 제조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Fig extracts for the natural product research. The Fig extracts method were wash, dry and extracted and prepared into two parts; fruit, leaf. The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alcohol and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stim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GC-mass spectroscopy, IR, 1H-nmr data-base. In order to apply the extracts to hair-care cosmetics,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bility of the extracts were accomplished using broth serial dilution method. and In order to customer's interest satisfy and test to Fig's industrial propriety of accompany with table luxuries change, The author suggested that to test Fig's industrial property for hand made of transparent and solid soap contained of Fig extracted materials

      • KCI등재

        시대적 당위와 소설적 한계 -「무화과」론

        강헌국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1

        본 논문은 선행연구에서 연속 관계로 간주된 「삼대」와 「무화과」의 불연속성에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연재가 중단된 「삼대」의 속편을 쓰는 일은 검열 당국에정면으로 맞서는 행보로 비칠 수 있어서 염상섭은 「삼대」의 인물들을 개명하여 「 무화과」에 등장시켰다. 염상섭의 사상적 답보 상태도 「삼대」와 「무화과」 사이의 불연속성을 이해하는 데 고려되어야 한다. 완식의 논설에서 추후 확인되는 대로 「삼대」의 덕기가 동정자로서 도달한 수준을 극복할 만한 사상적 진전이 「무화과」를연재할 즈음의 염상섭에게 마련되지 못한 상태였다. 표현과 관련한 외적 조건의 악화와 염상섭 자신의 사상적 답보 상태는 「무화과」를 전작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에머물게 했다. 「무화과」는 주제와 방법의 면에서 전반부와 후반부가 이질적이라는결함을 노출한다. 주제의 면에서 전반부가 원영의 연애에 치중한다면 후반부는 문경과 정애와 완식을 통해 주체의 자기 인식과 항일 투쟁을 다룬다. 방법의 면에서종전까지 염상섭이 상용해온 고백체와 재현과 논설과 추리는 전반부에서 거의 유보된다. 그로써 서사는 사건 위주로 전개되고 인물들은 단순한 성격의 소유자에 머문다. 그에 반해 후반부에서는 그 방법들이 적절하게 사용됨으로써 인물의 내면이투시되고 사건들의 사실성이 제고되고 주제는 설득력을 획득한다. 그처럼 서로 이질적인 전반부와 후반부가 「무화과」를 별개의 두 작품이 합본 된 상태로 보이게한다. 「삼대」에 대해 「무화과」가 보인 답보와 퇴행의 구체적 양상이 본 논문에서검토되었다. This paper made a discuss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Three Generations(삼대) and The Fig(무화과), which were considered continuous relationship in previous studies. Writing a sequel to The Three Generations, where the series was suspended, could be seen as a choice directly against the censorship authorities, so Yeom Sang-seop renamed the characters of The Three Generations and presented them in The Fig. The ideological standstill of Yeom Sang-seop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understanding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Three Generations and The Fig. As confirmed later in the argument of Wansik of The Fig, Yeom Sang-seop was not able to make any ideological progress to overcome the level at which Deokgi in The Three Generations reached as a sympathizer. The deterioration of external conditions related to expression and the ideological standstill of Yeom Sang-seop stopped The Fig at a level that fell short of the previous work. The Fig exposes the structural flaw that the first and second half are heterogeneous in terms of theme and method. In terms of theme, if the first half focuses on Wonyoung's love affair, The second half deals with the subject's self-awareness and anti-Japanese struggle through Mungyeong, Jeongae, and Wansik. In terms of method, Yeom Sang-seop's confession style, reproduction, editorial, and reasoning, which have been used until the writing of The Three Generations, are almost reserved in the first half. As a result, the narrative develops around events, and the characters remain as simple personalities.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half, the methods are appropriately used, so that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s is seen through, the reality of the events is improved, and the theme acquires persuasion. As such,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ke The Fig seem to be a combination of two separate works. In this paper, the specific aspects of the standstill and regression observed in The Fig in the relation to The Three Gener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혼합비율을 달리한 올리브, 포도, 무화과의 생리활성 평가

        이찬휘,이소영,김애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4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중해식 식단에서 건강 식재료로 알려진 올리브, 포도, 무화과의 혼합물 4종의 품질 (항산화 활성, 효소 활성)을 평가가 하는 것이다. 방법: 올리브와 포도 1:1 비율 [올리브(O) 30 g과 포도(V) 30 g], 올리브와 무화과 1:1 비율 [올리브(O) 30 g과 무화과(F) 30 g], 포도와 무화과 1:1 비율 [포도(V) 30 g과 무화과(F) 30 g], 올리브, 포도와 무화과 1:1:1 비율 [올리브(O) 20 g과 포도(V) 20 g과 무화과(F) 20 g]로 4종류의 혼합물을 만들었다. 혼합 비율을 달리한 4종의 혼합물의 항산화 활성(total polyphenol 함량, total flavonoid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과 효소 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혼합비율을 달리한 4종 혼합물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OVF (26.25±0.20 mg TAE/g)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Total flavonoid 함량은 OVF (27.91±2.14 mg QE/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OVF (98.72±0.3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OVF (42.88±1.1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79.75±0.15%)과 ACE 저해 활성(88.61±0.08%) 모두 OVF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올리브, 포도, 무화과 혼합물 (1:1:1)의 생리활성(항산화 활성, 효소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대사증후군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되고, 차후 이 비율의 혼합물을 이용한 제품개발을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on and enzymatic activity-related qualities of four mixtures prepared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of olives (O), grapes (V), and figs (F), which are representative ingredients of the Mediterranean diet. Methods: Following mixtures were prepared: olives–figs (OF), grapes–figs (VF), and olives–grapes–figs (OVF). For mixture preparation, the ingredients were mixed in following ratios: olives-to-grapes, olives-to-figs, and grapes-to-figs at ratios of 1:1 (30 g of each) as well as olives-to-grapes-to-figs at a ratio of 1:1:1 (20 g of each). The antioxidan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long wit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nd enzymatic (α-glucosidase inhibitory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four aforementioned mixtures were measured. Results: OV and OVF mixtures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27.25±0.22 mg TAE/g) and flavonoid contents (27.9 ± 2.14 mg Q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highest in OV (92.86 ± 0.17%).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registered in the OVF mixture (42.88±1.19%). α-glucosidase and ACE inhibitory activity measurements were highest in the OVF mixture (79.75±0.15% and 88.61±0.08%, respectively). Conclusion: Highest physiological activity levels (i.e., anti-oxidation and enzymatic activity) were observed in the olive, grape, and fig (1:1:1) mixture, hence, its regular consumption could improve metabolic syndrome.

      • 시설재배 무화과에서 총채벌레의 발생과 피해

        전성욱,김동환,김형환,강택준,조명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경기도 화성지역의 시설재배 무화과를 대상으로 총채벌레의 발생과 피해를 조 사하였다. 피해과실과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확보된 총채벌레를 대상으로 PCR-RFLP 방법으로 종을 동정한 결과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 꽃 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등의 3종이 무화과 과원에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파총채벌 레가 가장 많은 밀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순 이었다. 총채벌레에 의해 피해를 받은 무화과 과실은 비대생장과 착색이 정상적으 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표면이 거칠고 코르크화 현상이 발생하였다.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피해 받은 과실의 내부를 조사한 결과 피해 부위에서 회색곰팡이가 발생 하였고, 총채벌레의 사체 및 탈피각이 관찰되었다. 무화과 주 수확기의 총채벌레에 의한 과실의 피해율은 7월이 18.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8월(9.7%), 9월 (2.9%), 10월(1.3%)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배양액의 농도가 무화과(Ficus Carica L.)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전화준(Ha Joon Jun),황진규(Jin Gyu Hwang),손미자(Mi Ja Son),김민(Min Kim),김정필(Jeong Pil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3

        본 실험은 배양액의 농도가 무화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차 실험에서 배양액의 농도에 따른 무화과 생육은 1/2농도 처리구에서 초장, 엽수, 경경, 착과수가 양호했으며, 엽장과 엽폭은 1/2농도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배양액의 농도에 따른 과실의 평균과중은 토양재배의 38.4g보다 수경재배에서 50.9g으로 높게 나타났고, 과장, 과경, 당도는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다. 수확량은 토양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월등하게 많았으며, 배양액 1/2농도보다 2/2와 3/2농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화과의 수경재배에서 저농도에서 양호한 생육을 나타내었으며, 수량은 높은 농도에서 양호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무화과의 수량 및 품질증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xperiment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fig plant by different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Nutrient solution for pig plant were three concentrations of the balanced nutrient formula development by Japanes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stem diameter and number of fruit per plant were the best at 1/2 concentration. However, leaf length and leaf width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other treatment. Fruit length, fruit diameter and soluble solids did not differ from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s. However, the fruit weight of fig plant was heavier by hydroponics than by soil culture in 2nd experiment. Early stage growth of fig plant was better at low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and yield was better at high concentration.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will be utilized in the new application for fig plant hydroponics.

      • KCI등재

        한국에서 외래종 무화과곰보바구미(신칭), Aclees taiwanensis Kôno 발생 보고

        홍기정,박덕기,이소미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4

        2020년 7월 하순에 전남 해남의 무화과 농장에서 Aclees속에 속하는 바구미가 발견되었다. 이 바구미는 무화과곰보바구미(신칭), Aclees taiwanensis Kôno, 1933로 동정되었다. 아마도 아열대 및 열대 아시아가 원산인 이 외래종 바구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에도 침입되어 무화과나무 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 논문이 한국에서 보고되는 Aclees속 바구미에 대한 첫 보고이다. During late July 2020, a species of weevil in the genus Aclees (Curculionidae, Molytinae) was found on several fig farms in the Haenam-gun district of Jeonnam Province, Korea. The weevil was subsequently identified as Aclees taiwanensis Kôno, 1933 (Coleoptera: Curculionidae), an exotic species, probably of subtropical and tropical Asian origin, that has also been introduced to Italy and France, where it is associated with severe damage to fig tre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 Aclees weevil in Korea.

      • KCI등재

        무화과의 소수자적 관심을 활용한 성인지 감수성 교육 연구

        김세림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5 No.1

        Gender sensitivity is considered a taboo subject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sex education during teenage years must be treated as a complex concept as it includes human’ attitudes, emotions, and knowledge regarding sex. Therefore, educational interest in gender sensitivity is adequate as part of sex education. Additionally, gender sensitivity must be approached from the minority group’s perspective. Minorities are vulnerable to direct social discrimination such as hate, prejudice, and violence because they are generally considered different from the so-called norm. Education and academic interests regarding minorities adequately develop values of equality and seek reflective thinking. In this study, Yeom Sangseob’s “The Fig Tree” was analyzed to shed new light on the characters as minorities. The main characters: Won-young, Chae-ryun, Jong-yeob, and Moon-kyung experience the instability of heterosexual love within a patriarchal society. Although there is no mention of their homosexuality,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doubts regarding heterosexuality as signs of homosexuality. Such signs are clues that “The Fig Tree”-a piece of work displaying modern transition and that it welcomes multi-layered interpret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gender sensitivity is viewed in its cross-curricular aspect, and students’ self-growth is the premise of all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al studies must be conducted on all such elements that influence self-growth, and through gender sensitivity it will be possible to provoke recognition and interest toward social and gender minorities. 성인지 감수성은 교육 현장에서 다뤄지기에는 민감한 주제이므로 마치 금기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청소년기 성교육은 인간이 성에 대해 갖고 있는 태도나 감정, 지식 등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에서 접근해야 하므로, 성교육의 일환으로서도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교육적 관심은 타당하다. 무엇보다 성인지 감수성은 소수자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는 문제이다. 소수자는 사회의 표준화된 규범에서 벗어나 있다는 면에서 다르다는 이유로 혐오와 편견, 폭력과 같은 직접적인 사회적 차별에 노출될 수 있다. 평등의 가치를 함양하고 이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도모한다는 측면에서도 소수자에 대한 관심과 그에 대한 교육은 타당하다. 본고에서는 염상섭의 『무화과』를 분석하여 작품의 인물들을 소수자로 재조명하였다. 주요 등장인물인 원영과 채련, 종엽과 문경은 가부장적 사회 안에서 이성애의 불완전성을 확인한다. 직접 동성애를 언급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성애에 대한 회의가 동성애적 기호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에게는 충분히 성소수자에 대한 인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호는 『무화과』가 근대적 전환을 알리는 작품이자 다층적 해석이 가능한 작품임을 증명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교육현장에서는 성인지 감수성을 범교과적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학습자들의 자아 성장은 모든 교육의 전제이다. 따라서 자아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소에 대한 교육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성인지 감수성을 통해 소수자 및 성소수자들에 대한 인지와 관심을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시설재배 무화과에서 총채벌레의 발생과 피해

        김동환,조명래,양창열,강택준,김형환,전성욱,Kim, Dong-Hwan,Cho, Myoung-Rae,Yang, Chang-Yeol,Kang, Taek-Jun,Kim, Hyeong-Hwan,Jeon, Sung-Wo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경기도 화성지역에서 시설재배 무화과를 대상으로 총채벌레의 발생현황과 피해특성을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 및 피해과실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를 동정한 결과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등 3종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들 3종 중 파총채벌레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순으로 나타났다. 총채벌레에 의해 피해를 받은 과실은 비대생장과 착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표면이 거칠고 코르크화 되었다.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피해 받은 과실의 내부를 조사한 결과 피해부위에 회색곰팡이가 발생하였고, 총채벌레의 사체 및 탈피각이 관찰되었다. 무화과 주 수확기에 총채벌레에 의한 과실의 피해율은 7월이 18.2%로 가장 피해가 많이 나타났으며, 이후에는 8월(9.7%), 9월(2.9%), 10월(1.3%)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occurrence and damages by thrips on greenhouse-cultivated fig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Korea. We identified the collected species as Thrips tabaci Lindeman,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and F. intonsa Trybom. The density of thrips in the greenhouses during the summer months was monitored using yellow sticky traps; T. tabaci showed the highest density, followed by F. occidentalis and F. intonsa. The damages by thrips were characterized by stunted plant growth because of delayed discoloration of the pericarp, and development of rough fruit surface. Stereo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fruit flesh revealed the growth of gray mold at the damaged area, as well as the dead bodies and exuviae of thrips. The rates of fig fruit damages per month, were 18.2%, 9.7%, 2.9%, and 1.3% in July,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respectively.

      • 시설재배 무화과에서 대만총채벌레 발생 및 물리적 방제효과

        마경철,최덕수,오상아,김효정,이진희,김도익,김희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무화과(Ficus carica)는 지중해 연안지방이 원산지인 아열대 과수이다. 국내에는 1970년대부터 과수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2016년 현재 전국적으로 720 ha가 재배되고 있으며, 이 중 전남지역이 90.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자재배를 비롯한 시설재배가 늘어나면서 해충 피해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이며, 안정생산의 제한요인이 되고 있다.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는 시설재배 무화과의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4월 중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8월에는 감소하지만 9월 상순에는 다시 증가하였다. 피해는 과일 직경이 2 ㎝ 내외가 되는 5월 중하순에 과정부를 통하여 내부로 침입한 뒤 화기를 가해하였는데, 중심부가 갈변되었다. 피해경감을 위한 물리적 방제법 중에서는 과수원 멀칭이 효과적이었는데, 멀칭재료는 백색 타이백이 피해과율 12.5%로 우수하였고, 흑색부직포는 48.9%로 효과가 낮았다. 백색멀칭 후 결과지 밴딩, 지제부 점착트랩 설치의 경우 초기에는 효과가 좋았지만 나무가 성장하면서 주변 가지와 교차하는 등 밀식 때문에 멀칭 단독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점착트랩 색상별 유살정도는 5월부터 9월 하순까지는 청색에 유인이 더 잘 되었으나 10월 이후에는 유사하거나 황색에 유인이 많았다. 대만 총채벌레는 주로 과수원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과수원 내부는 물론 외부의 잡초 등에도 방제가 필요하였다.

      • KCI등재

        인도 무화과에서 한국 풀잠자리알까지 -우담바라의 전설과 인도 우둠바라(udumbara)에 대하여-

        강성용 ( Sung Yong Ka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70 No.-

        The occurrence of the Buddhist wonder, a small flower called ‘u-dam- ba-ra’(우담바라), which seats itself on unimaginable places, such as a stony or metallic surface or even the finger of a Buddhist monk, has long caught the public`s attention. The Korean u-dam-ba-ra is not a flower but, in fact, the small eggs of the green lacewing(Chrysopa intima MacLachlan) which hangs in the air from silk stalks. An attempt is made in this article to clarify the historical origin of this belief in the Buddhist wonder embodied in the misunderstood insect eggs. The historical origin of this miraculous Buddhist flower is a species of Indian fig tree, namely udumbara(Ficus racemosa Linn). The mystification of the Indian udumbara flower already happened in the Buddhist traditions of India itself, but the misconception of the green lacewing eggs for the udumbara flower seems to have been formed in East Asia. The complex biological, ecological and religious contexts of the multilayered mystification of an Indian fig tree into the far eastern youtanbaluo(優曇跋羅) are surveyed on the basis of Indian original text materials. The botanical peculiarities of the Indian udumbara reserving the status of the symbol for the vitality and fertility was already recognized in the Vedic traditions of ancient India. Later in the early Indian Buddhist traditions, the image of the udumbara was shifted from that of their impossibility to that of their rareness. This is basically due to the fact that fig flowers are kept inside the syconium, the result of which the flowers are not visible at all from the outside, and the ‘(false-)fruits’ are grown up on the trees. Such an extraordinary impression is reflected in the Chinese name of the fig fruit, i.e. wuhuaguo(無花果, the fruit without flower). Additional botanical and partly relevant zoological features of Indian udumbara, such as the pollination by specified fig wasp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give an answer for the question of why the udumbara alone out of the numerous fig tree species in India was elevated to the symbolic status of rareness meaning the immeasurably high value justly comparable to the appearance of the Buddha in this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