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류건휴(柳健休)의 『이학집변(異學集辨)』에 나타난 불교 비판 의식

        김순미 ( Soon Mi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0 No.-

        류건휴의 『이학집변』은 필사본으로서 미간행본이다. 이것을 종택에서 기탁받아 2004년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영인하여 간행하였다. 때문에 이 책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이며, 19세기의 성리학자였던 류건휴가 이학을 어떻게 보았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는 자료다. 19세기는 많은 외래 문물과 함께 다양한 학문이 수입되고 있을 때였다. 그러나 오히려 주자학으로 무장된 학자들은 성리학을 제외한 모든 학문을 正學에 반하는 異學 내지는 異端으로 간주하고, 정학을 기필코 사수하여야만 조선 사회가 유지된다는 신념으로 목소리에 날을 세워가며 비판하고 나선다. 그 중에 하나가 『이학집변』이다. 『이학집변』에서 비판하고 있는 18가지 이학 중에서, 필자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선불』 편에만 주목하였고, 삼봉 정도전 『불씨잡변』과 비교하면서 『선불』 편의 특징을 드러내었다. 『선불』 편은 『불씨잡변』 보다 500년이나 지난 후대에 저술된 것으로써 『불씨잡변』을 직접 거론하고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그 비판 시각을 유지하면서 훨씬 더 많은 조목과 내용을 담고 있다. 『불씨잡변』은 19조목이고, 『선불』편은 102조목이니 양적으로 봤을 때는 더 적극적인 비판 논의가 있었을 듯하나, 실상 불교 교리에 대한 치밀한 비판은 『불씨잡변』을 뛰어넘었다고 말하지는 못한다. 특징적인 것은 선학과 불학을 구분 짓고 선학의 폐해를 더 집중적으로 비판하고 있다는 것, 부조가 불교를 받들 경우 후손으로서 취해야 할 범절에 대해서 언급한 것, 그리고 36조목은 척불을 하거나 호불을 한 실존 인물들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고 그들의 행적을 살핀 점들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대야가 앞 시기의 불교 비판보다 더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면은 있다고 하겠다. An Ihagjibbyeon(『이학집변』) written by Lyu-gunhyu(류건휴) was not a published manuscript.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photoprinted this manuscript donated by Chongga(宗家) in 2004. The research on Ihagjibbyeon(『이학집변』) is in its beginning stage. Ihagjibbyeon(『이학집변』) is a valuable resource that demonstrates how Lyn-gunhyu, the 19thcentury Confucian scholar interpreted Ihag(異學). The 19th century observed the import of many foreign cultural relics and the acceptance of a verity of fields of study from abroad. However, Confucian scholars kept their beliefs that orthodox Neo-Confucianism(주자학) is the only valid studies, while other fields of interest were criticized. Other studies other than orthodox Neo-Confucianism(주자학) were challenged and were not accepted, with the belief that a fair study(正學) was the only way to strengthen Chosun Dynasty. Ihagjibbyeon(『이학집변』) is the one of those take. This study focuses on "the Zen-Buddha article" in its comparison with Bulssijapbyeon(『불씨잡변』). The Zen- Buddha article" was published 500 years after Bulssijapbyeon(『불씨잡변』) and did not directly make connections to Bulssijapbyeon(『불씨잡변』), it contains more extensive and critical perspectives Buddhism. Bulssijapbyeon(『불씨잡변』) consists of 19 provisions and might be assumed to have more aggressive critique about Buddhism than the Zen-Buddha, considering its quantative character- 102 provisions. However, Zen-Buddha article(『선불』편) could not further Bulssijapbyeon(『불씨잡변』) with its critical analysis of Buddhism. What we can observe from Bulssijapbyeon(『불씨잡변』) in terms of the critical analysis of Buddhism include the follow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Zen and Buddhism, the disclosure of critique about negativity of Zen(禪學) the elaboration of rules for posterity of Buddhists, and lastly, the direct achievement records of Buddhists and anti-buddhists (included in 36 provision).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argue that Lyu-gunhyu(류건휴) has more critical, concrete, and practical critique of Buddhism than the existing historical documents from the past.

      • KCI등재후보

        퇴계 이황의 『송계원명이학통록』에 대한 기초적 분석

        임종진 영남퇴계학연구원 2015 퇴계학논집 Vol.- No.17

        퇴계 이황의 성리학 관련 저술 활동에서 주목할 것은 『주자서절요』와 『송계원명이학통록』(『이학통록』)이다. 『주자서절요』는 10년 이상 이루어 진 퇴계의 『주자대전』에 대한 연구의 최종 결과물인 셈이다. 그리고 ?주 자서절요?의 편찬을 완료하고 나서 3년 후에 퇴계는 『이학통록』의 편찬 에 착수한다. 이러한 작업을 하나의 연속되는 과정으로 본다면, 『주자서 절요』는 주자의 편지글을 중심으로 성리학을 일차원적 측면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며, 『이학통록』은 성리학의 계보까지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다차원적 측면에서 연구한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이학통록』이 미완성의 상태로 전해지게 되었 다는 점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여기서는 특히 퇴계의 ?이학통록서?와 그의 제자 월천 조목의 ?이학 통록발?을 주요한 기본 자료로 삼아서 논의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퇴계 는 『이학통록』을 편찬한 목적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주자의 문인들이 어떠한 사람인가를 알기 위해서이다. 둘째는 道學의 요체를 밝 히기 위해서이다. 셋째는 주자가 僞學으로 탄압받는 상황에서도 배움을 청하여 주자의 가르침이 드러나도록 한 공을 기리기 위해서이다. 월천은 ?이학통록발?을 통해서 『이학통록』의 기본적인 구성 상태와 간행 동기, 초기 간행 경위 그리고 수정과 관련된 내용을 언급하였다. 아울러 『이학 통록』의 내용과 관련해서 몇 가지 보충설명을 덧붙였는데, 이것은 미완 성의 상태로 남겨진 것에 대한 아쉬움, 달리 말하면 『이학통록』의 한계 점을 지적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학통록』은 퇴계의 제자들뿐만 아니라 조선조의 여러 대표적인 유 학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조선조의 학 술사에서 『이학통록』이 차지하는 비중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9세기 嶺南 理學의 전개와 그 실천적 성향

        권오영(Kwon Oh-Young)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9 No.-

        19세기 조선의 재야 학계에는 전국적으로 이학理學의 학풍이 거세게 불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경기도의 이항로李恒老와 호남의 기정진奇正鎭, 그리고 영남의 이진상李震相은 당시 이학을 대표하는 학자였다. 특히 19세기 영남지역은 이학에 대한 강론講論이 그 전 시기에 비해 오히려 더욱 활발해진다. 이러한 당시 이학의 학풍은 이황李滉의 학풍을 계승하는 큰 범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으나, 이학도 이제 그 시대의 역사적 조건 속에서 새롭게 탐구되고 다시 무장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이 시기를 살았던 영남의 이학자들은 그 어느 시기보다 더 치열한 이론탐구와 실천적 삶을 살았다. 우선 19세기 영남의 강좌江左지역에는 유치명柳致明의 제자들이 이황의 이학을 철저히 견지堅持하면서 학술활동과 척사ㆍ의병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 반면 강우江右지역에서는 이황의 이학을 새롭게 해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이진상에 의해 심즉리설心卽理說이 제창되어 성리학설에 있어 영남학계에 새로운 바람이 불기 시작하였다. 이 심즉리설은 심心의 본체本體를 강조하고 또 심이 리의 주재主宰라는 이해 위에서 새롭게 제출된 학설이었다. 이러한 심즉리설은 허유許愈와 곽종석郭鍾錫이 충실히 계승하였는데, 그 학설은 주기론主氣論이 풍미하는 당시 학계에 이학으로 시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창된 것이었다. 그런데 19세기의 영남 이학자들은 강한 실천적 성향을 지녔다. 19세기 후반 영남의 강좌지역이 중심이 되어 전개된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운동은 바로 유치명의 문하에서 공부한 학자들이 주도한 반면, 강우지역에서는 이진상의 문인들이 이학자로 활동하면서 이학을 새롭게 해석하려고 노력하였다. 이진상의 제자인 허유는 명덕明德을 인간만이 가진 의리義理의 심으로 해석하여 의리를 매우 강조하고 일본과 서구열강의 침략을 물리치는 척사와 의병운동의 이념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런가하면 곽종석은 명덕을 심으로만 보지 않고 치국治國과 평천하平天下의 범위에까지 그 외연을 넓혀 수신修身과 실덕實德을 포함하는 의미로 새롭게 해석하였다. 이처럼 19세기의 영남이학은 의리를 중시하는 강한 실천적 성향을 띠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곽종석의 명덕에 대한 해석에서 보듯 새로운 문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실천적 성향도 함께 지니고 있었다. The tendency of Ihak was in full broom in Joseon dynasty's local academic circle in 19th century. As it is well known, Lee Hang Ro who is from Gyeonggi province and Ki Jeong jin of the Honam province of Korean peninsula and Lee Jin Sang of Yeungnam province of the Joseon Dynasty were prestigious scholars at that times. Especially, There was active discussion about Ihak in Yeungnam region. Such a li study at that times was established in the coverage of succeeding the trend of Lee Hwang, but Li study has to be reinterpreted and newly searched in the condition of the period. So the Li scholars of Yeungnam region in those times have led life of theory research and furthermore practice it daily life. First of all, there was academic activity and resista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invasion following the code of conduct of Lee Whang's Ihak in the left part of Yeungnam. On the contrary, there appeared a new trend interpretation about Lee Hwang's Ri(理) in the right part of Yeungnam. Especially, by Lee Jin Sang who is advocating Simjeuk riseol(心卽理說) that is to say "mind(心) is Ri(理)". There was a new tendency in Seongnihak(性理學) in the Yeungnam academic circle. Such Simjeuk riseol was inherited by Huh Yu(許愈) and Kwak Jong Seok(郭鍾錫). That was upheld to solve social problem in times of jugiseol(主氣說) dominant period. However those scholars who from Yeungnam in 19th century has a strong trend of practice. Anti-West and anti-japan's underground resistance movement were initiated by scholars who were learned from Yu Chi Myeong from left part of the Yeungnam of Korean in the later part of the 19th century. Huh Yu who is student from Lee Jin Sang suggested the Myeong Deok(明德) which empasized unique possession by human being as rightiousness. And it was played as a basic ideology of the anti-west and anti-Japan. On the other side, Kwak Jong Seok regarded Myeong Deok(明德) as Susin(self-cultivation, 修身) and executing benevolence(實德) by re-interpretating its concept in the large dimension. As it is shown in the context of Kwak Jong Seok's Myeong Deok it has inclination to introduce a new civilization.

      • KCI등재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의 학맥과 이학理學사상

        권오영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This research investigated Kim Heunglak(金興洛)’s academic line consciousness who decorated the finale of Lee Hwang(李滉)’s academic line of Lihak(理學), reviewed his academic history and explored the content of Lihak. Kim Heunglak succeeded academic tradition of Yihak of Ju Hee(朱熹), Yi Hwang, and Kim Seongil(金誠一) as the 11th eldest grandson(宗孫) of Kim Seongil. He was called as the legitimate academic disciple(嫡傳) of Yu Chimyeong(柳致明), and the academic line was succeeded by Lee Hwang-Kim Seongil-Jang Heunghyo(張興孝) -Lee Hyunil(李玄逸)-Lee Jae(李栽)-Lee Sangjeong(李象靖)-Nam Hanjo (南漢朝)‧Jeong Jonglo(鄭宗魯)-Yu Chimyeong. He said he realized that duty is in an ordinary place, his comment as this succeeded the tradition that the academic line of Lee Sangjeong and Yu Chimyeong highly regarded exploration and research going beyond daily life. He was the last scholar who protected Lihak of Lee Sangjeong‧Yu Chimyeong who succeeded Lee Hwang’s Lihak, and practiced the idea by himself. Kim Heunglak’s Lihak firstly understands mind and heart(心) as the sum(合) of Ligi(理氣), based on Juli(主理). He said Myeongdeok(明德) is another name of mind and heart, which can be understood by combining Ligi, however Gi(氣) should be considered by being combined with Li(理) properly. He expressed a deep concern on Simjeukliseol(心卽理說) that was newly suggested in Yeongnam(嶺南) academic world by Lee Jinsang(李震相), and opposed it. Kim Heunglak particularly emphasized Yibji(立志)‧Geogyeong (居敬)‧Gungli(窮理)‧Yeokhaeng(力行) in respect of performing study. He mentioned, “The way to preserve mind and heart is only Gyeong(敬)”, also, understood that “Gyeong’ is merely not to dismiss(放過)”. Understanding of such Gyeong was accepted as a theory that Lee Sangjeong and Yu Chimyeong insisted “Gyeong is another name of not merely dismissing”. At the moment of breathing his last breath, Kim Heunglak emphasized Yeokhaeng on the literary people. Yeokhaeng that he emphasized was Yeokhaeng premised on Yibji‧Geogyeong‧ Gungri. Under his teaching, many literary people including literary disciples as Kim Hyungmo(金瀅模), etc. who received teaching of such Lihak and Lee Sangryong(李相龍), etc. showed practical figure of Lihak by sublimating Kim Heunglak’s Lihak into the spirit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이 연구는 이황李滉 이학理學의 학맥學脈의 대미를 장식한 김흥락金興洛의 학맥과 학문이력을 검토하고 그의 이학사상의 내용에 대해 탐구한 글이다. 김흥락은 김성일金誠一의 11대 종손宗孫으로 주희朱熹와 이황과 김성일의 이학 학통을 이었다. 그는 류치명柳致明의 학문적 적전嫡傳으로 일컬어졌는데, 그 학맥은 이황-김성일-장흥효張興孝-이현일李玄逸-이재李栽-이상정李象靖-남한조南漢朝‧정종로鄭宗魯-류치명의 학통을 잇고 있다. 그는 도리는 평이한 곳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는데 이러한 그의 발언은 이상정과 류치명의 학맥이 일상생활 속에 나아가 궁리하고 공부하는 것을 중시한 전통을 이은 것이다. 그는 이황의 이학과 그 이학 사상을 계승한 이상정‧류치명 이학의 최후의 수호자였고 몸소 실천한 학자였다. 김흥락의 이학사상은 우선 심心을 이기理氣의 합合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주리主理 중심으로 이해를 하였다. 그는 명덕明德은 심의 다른 이름이고 이기를 합하여 이해해야 하는 것이지만 마땅히 리理를 위주로 하면서 기氣를 겸하여 보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진상李震相에 의해 영남학계에 새롭게 제시된 심즉리설心卽理說에 대해서는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반대하였다. 김흥락은 학문을 함에 있어 입지立志‧거경居敬‧궁리窮理‧역행力行을 특히 강조하였다. 그는 “본심을 보존하는 방도는 역시 경敬일 뿐이다”라고 했고, 또 “경敬은 다만 방과放過하지 않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이러한 경에 대한 이해는 바로 이상정과 류치명이 “경은 다만 방과하지 않는 것의 다른 이름이다”라고 한 설을 받아들인 것이다. 김흥락은 숨을 거두는 순간에도 문인들에게 역행을 강조하였다. 그가 강조한 역행은 입지‧거경‧궁리를 전제한 역행이었다. 그의 문하에서 이러한 이학 사상의 가르침을 받은 김형모金瀅模 등 문중 자제들과 이상룡李相龍 등 많은 문인들은 김흥락의 이학정신을 구국계몽운동과 독립운동의 정신으로 승화하여 나가 이학의 실천적 모습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서산<SUP>西山</SUP> 김흥락<SUP>金興洛</SUP>의 학맥과 이학<SUP>理學</SUP>사상

        권오영(權五榮)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이 연구는 이황李滉 이학理學의 학맥學脈의 대미를 장식한 김흥락金興洛의 학맥과 학문이력을 검토하고 그의 이학사상의 내용에 대해 탐구한 글이다. 김흥락은 김성일金誠一의 11대 종손宗孫으로 주희朱熹와 이황과 김성일의 이학 학통을 이었다. 그는 류치명柳致明의 학문적 적전嫡傳으로 일컬어졌는데, 그 학맥은 이황-김성일-장흥효張興孝-이현일李玄逸-이재李栽-이상정李象靖-남한조南漢朝정종로鄭宗魯-류치명의 학통을 잇고 있다. 그는 도리는 평이한 곳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는데 이러한 그의 발언은 이상정과 류치명의 학맥이 일상생활 속에 나아가 궁리하고 공부하는 것을 중시한 전통을 이은 것이다. 그는 이황의 이학과 그 이학 사상을 계승한 이상정 류치명 이학의 최후의 수호자였고 몸소실천한 학자였다. 김흥락의 이학사상은 우선 심心을 이기理氣의 합合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주리主理 중심으로 이해를 하였다. 그는 명덕明德은 심의 다른 이름이고 이기를 합하여 이해해야 하는 것이지만 마땅히 리理를 위주로 하면서 기氣를 겸하여 보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진상李震相에 의해 영남학계에 새롭게 제시된 심즉리설心卽理說에 대해서는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반대하였다. 김흥락은 학문을 함에 있어 입지立志·거경居敬·궁리窮理·역행力行을 특히 강조하였다. 그는 “본심을 보존하는 방도는 역시 경敬일 뿐이다”라고 했고, 또 “경敬은 다만 방과放過하지 않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이러한 경에 대한 이해는 바로 이상정과 류치명이 “경은 다만 방과하지 않는 것의 다른 이름이다”라고 한 설을 받아들인 것이다. 김흥락은 숨을 거두는 순간에도 문인들에게 역행을 강조하였다. 그가 강조한 역행은 입지 거경 궁리를 전제한 역행이었다. 그의 문하에서 이러한 이학 사상의 가르침을 받은 김형모金瀅模 등 문중 자제들과 이상룡李相龍 등 많은 문인들은 김흥락의 이학정신을 구국계몽운동과 독립운동의 정신으로 승화하여 나가 이학의 실천적 모습을 보여주었다.

      • 유방 종괴의 감별진단에서 이학적 검사시 시행한 유방초음파검사의 의의

        송영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忠北醫大學術誌 Vol.9 No.2

        연구목적: 만져지는 유방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외과 외래에서 이학적 검사와 동시에 시행하는 유방초음파검사의 진단적 가치와, 이 결과를 유방외과의가 어떻게 유방 종괴의 진단적 접근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충북대학교병원 외과에 1997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만져지는 유방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여 이학적 검사시 유방초음파검사(외래초음파검사)를 받고 조직학적으로 섬유선종 또는 유방암으로 최종진단된 여성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학적 검사, 외래초음파검사, 이학적 검사와 외래초음파검사의 종합적 판단(이학-초음파적 검사)의 결과를 최종진단에 따라 각 검사방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세침흡인세포진검사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회의 검사에서 섬유선종 또는 유방암으로 세포진단된 예만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진단과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130명 중 유방암은 52명에서 섬유선종은 78명에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다. 세 가지 임상적인 유방암 진단방법 가운데 민감도와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가 이학-초음파적 검사방법에서 각각 98.1%, 96.1%, 96.9%로 모두 가장 높았다. 이학적 검사는 각각 90.4%, 89.7%, 90.0%였으며 초음파검사는 각각 94.2%, 89.7%, 91.5%였다. McNemar chi-square 검정에서 최종진단과의 정확도가 유의하였던 검사법은 세 가지 가운데 아무 것도 없었다. 그러나 비율검정(analysis of proportion difference)을 이용하여 세 가지 진단방법의 정확도를 서로 비교한 결과, 이학-초음파적 검사는 이학적 검사, 초음파검사 각각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P<0.05). 그리고 초회의 세침흡인세포진검사에서 섬유선종 또는 유방암으로 세포진단을 내릴 수 있었던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검사의 진단적 민감도는 96.9%, 특이도는 100%, 섬유선종으로 세포진단된 경우 섬유선종으로 최종 진단될 기대치는 100%였다. 결론: 만져지는 고형성 유방 종괴의 진단에서 이학적 검사와 동시에 유방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내린 종합적인 임상진단은 높은 진단적 정확도를 보이며, 이를 토대로 한 초진에서의 선택적이고 적극적인 진단적 접근은 조기에 최종진단을 얻을 수 있기에 환자의 시간적 손실 그리고 시간 지체 동안의 심리적 불안감을 줄일 수 있어 유방외과의 외래에서는 초음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학-초음파적 검사에서 양성으로 보이는 종괴는 세침흡인세포진검사에서 그 결과가 섬유선종이라고 특이적 세포진단이 내려진다면 안전하게 추적 관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virtues of the comprehensive diagnostic approach, engaging both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phy simultaneously, in the evaluation of solid palpable breast masses were studied. Materials and Method: One hundred thirty patients with a palpable breast mass that were diagnosed histologically as fibroadenoma or breast cancer between January 1997 and August 1999 were included. The diagnostic values of physical examination, outpatient office-based ultrasonography, and physico-sonic examination which combines findings of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phy were compared. Diagnostic values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were calculated. Results: Fibroadenoma was diagnosed in 78 patients, while carcinoma was established in 52 patients histologically.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rate were 90.4%, 89.7%, and 90% for physical examination: 94.2%, 89.7%, and 91.5% for ultrasonography: 98.1%, 96.1%. and 91.5% for physico-sonoic examination, respectively. The diagnostic accuracy of physico-sonoic examin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aphy (p<0.05).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or fibroadenoma diagnosed as fibroadenoma cytologically were all 100%.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simultaneous practice of both physical examination and outpatient office-based ultrasonogrphy is a useful method in evaluating breast masses. Benign masses confirmed cytologically as fibroadenoma could be followed up safely without further complicated diagnostic approaches.

      • KCI등재

        퇴계(退溪)의 「도산잡영(陶山雜詠)」의 이학적(理學的) 함의(含意)와 그 전승

        권오영 ( Oh Young Kwon ) 한국한문학회 201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6

        이 글은 退溪李滉의 「陶山雜詠」의 시 작품에 담긴 理學的의미와 그 전승과정을 역사학적 관점에서 탐구한 논고이다. 퇴계의 「도산잡영」은 주자의 「武夷精舍雜詠」의 전통을 이어 퇴계 자신의 문학과 理學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특히 「도산잡영」시의 몇 편은 天理, 敬, 義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天淵臺>, <天光雲影臺>, <玩樂齋>시에서 자신의 이학적 정서를 잘 표현하였다. 퇴계의 敬과 理에 대한 탐구는 `天光雲影`과 `鳶飛魚躍`으로 상징된다. 그는 `천광운영`에서 敬을 드러내고 `연비어약`에서 天理의 생동적인 모습을 표현하였다. 송대 이학에서 새롭게 제기된 천리는 이제 퇴계에 의해 도산의 공간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그리고 程?에 의해 제기된 敬은 완락재에서 퇴계에 의해 실천되었다. 그는 완락재에서 敬과 義, 無極과 太極, 陰陽과 五行의 오묘함을 부단히 탐구하였고, 자연의 理가내 마음에 이른다는 `理到`설을 믿게 되었다. 그리하여 퇴계는 「도산잡영」을 통해 도산에 펼쳐진 자연이 그의 마음에 다가와서 하나가 되는 理學의 최고 경지인 和의즐거움을 맛보았다. 퇴계의 「도산잡영」은 이미 당대의 학자에게도 크게 주목 받던 작품이었고, 후대의 학자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퇴계의 제자인 奇大升은 「도산잡영」詩韻에 의거하여 퇴계 이학의 함의를 드러내었다. 특히 기대승은 「완락재」시에서 涵養공부를 강조하였고, 敬과 義가 순환하는 묘리의 탐구를 강조하였다. 그런데 퇴계의 「도산잡영」을 그대로 모방하여 시를 짓고 기문을 쓴 학자는 李象靖이다. 이상정의 「高山雜詠」은 주자가 武夷九曲을 경영하고 「무이정사잡영」을 읊었던 것과 퇴계가 도산을 경영하고 「도산잡영」을 읊었던 것을 수용하여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산수 공간을 시로 읊은 것이다. 이상정은 삼라만상과 사귐에 자신의 즐거움이 삼라만상과 더불어 무궁하다고 하였다. 그는 퇴계의 이학을 정리하면서 산수로 대표되는 자연 속에서 `仁`과 `智`를 제기하여 퇴계의 이학의 최고 경지인 樂(즐거움)을 구현하려고 했다. 주자의 「무이정사잡영」에는 아직 敬과 義의 내용이 언급되지 않고 있다. 퇴계는 「도산잡영」에서 주자의 「觀書有感」등 작품에서 과감하게 이학에 해당하는 내용을 수용하여 도산을 이학의 공간으로 만들고 이학적 함의의 시를 읊었다. 그리고 程顥의 `天理`와 程?의 敬, 周敦?의 太極의 묘를 탐구하는 공간임을 여지없이 드러내었다. 퇴계가 구축한 이러한 理學의 詩세계는, 조선시대에 詩로서 이학을 논한 하나의 전형이 되어 그뒤기대승과 이상정 등 많은 학자들에 의해 더욱 闡明되고 전승되어 나갔다. The paper tries to analyse the process of the Toegye Yi Hwang`s Dosanjobyoung`s succession and its meaning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of Li. Toegye`s Dosanjobyoung is presenting his literature and view of the study Li by succession of the Chu Hsi`s tradition of Muyjeongsajobyoung(武 夷精舍雜詠). Especially, in several poem of the Dosanjobyoung contain the principle of Heaven(天理), Mindfulness(敬), Righteousness(義). He has expressed his emotion at the poem of Chenyeondae(天淵臺), CheonKwangwounyoungdae(天光雲影臺), and Wanlakjae(玩樂齋) in terms of the study of Li. Toegye`s studies on Mindfulness, Li symbolized as Cheonkwangwounyoung(天光雲影: the color of heaven and shadow of clouds) and Yeonbioeyak(鳶飛魚躍: an eagle is flying and a fish is jumping). He has presented Respect at the Cheonkwangwounyoung and expressed dynamic image of the principle of Heaven. The principle of Heaven that has been newly overtured at the study of Li in the Song(宋) Dynasty is more specifically discussed by Toegye. And the Mindfulness which has been brought up by the principle of Heaven is executed by Taegye at the poem of Wanlakjae. In the poem of the Wanlakjae, he searched ardently about the mystery of Mindfulness, Righteousness, Non-Ultimate(無極) and Great Ultimate(太極) and Five Elements(五行) and believed the theory of Lidoseol(理到 說) that the nature`s Li is realized in human`s heart. Hence, Toegye has enjoyed the joy of harmony which is the highest dimension of the study of Li by realizing Dosan`s nature in his heart through the Dosanjobyoung. Toegye`s Dosanjobyoung is the masterpiece among scholars at that generation and it has also influenced on to the scholars of later generation. Ki Dae Seung who was student of the Toegye has revealed implications of Toegye`s the study of Li abides by the rhyme of the Dosanjobyoung. Especially, Ki Dae Seoung has emphasized on controling mind at the poem of Wanlakjae and stressed necessity of the research on the cycle of Mindfulness and Righteousness. On the other hand, the scholar who mimics Dosanjobyoung as it was Yi Sang Jeong(李象靖). Yi Sang Jeong`s Kosanjobyoung(高山雜詠) is the poem describing the landscape of his residence and it was written by accepting Toegye`s Dosanjobyoung and Chu Hsi`s Muyigugok(武夷九曲). Yi Sang Jeong said that the joy(樂) is endless by interacting with the Mother Nature. As he sums up the Toegye`s the study of Li, he has tried to realize the highest joy by overturing benevolence(仁) and wisdom(智) inthe nature. There has yet to be mentioned Mindfulness and Righteousness in Chu Hsi`s Muyjeongsajobyoung. Toegye has written Li implicated poem by accepting the content of the study of Li from Chu Hsi`s Kawnseoyougam(觀書有 感 get touched after reading) and so on in his work of Dosanjobyoung. And he fully revealed in his works that Jeong Ho`s `principle of Heaven` and Jeong Yi`s `Mindfulness` and Chu Don Yi`s search on the abstruse principle of Great Ultimate. All those the study of poem for Li world constructed by Toegye has been a model that discussed the study of Li and they were recited and succeeded by many scholars afterwards such scholars as Ki Dae Seoung and Yi Sang Jeong.

      • KCI등재

        이황의 만매(晩梅)에 나타난 출처관과 도통의식 - 『매화시첩』을 중심으로 -

        심예인 ( Shim Yeain ) 퇴계학연구원 2021 退溪學報 Vol.150 No.-

        동아시아에서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으로, 일찍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송대 이학을 집대성한 주자 역시 매화를 노래하였고, 주자를 본받고자 했던 이황도 평생 매화시를 써 내려갔다. 다만, 이황은 早梅의 고절한 모습뿐만 아니라 늦은 봄 뭇 꽃들 사이에 피어나는 晩梅를 노래하였다. 千紫萬紅의 꽃들 사이에서 피어난 만매가 곧 여러 선비들 사이에 존재한 빼어난 군자처럼 비쳐졌던 것이다. 이황이 마주했던 16세기 정치 현실은 수많은 척신들의 득세로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그는 온갖 색태와 향기가 가득한 속에서도 고고하고 깨끗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를 퍼뜨리는 만매를 높이며 순선무악한 理를 추구하였다. 이황은 평소 자신이 송대의 선현으로부터 너무 늦게, 너무 멀리 떨어진 편벽한 곳에서 태어났음을 탄식하곤 하였다. 하지만 선현보다 늦었다 하여 탄식만 한 것은 아니었다. 이황은 도산에 은거하며 도의를 닦고 심성을 길렀다. 그에게 은거는 단순히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산림에 칩거하며 사는 방식이 아니었다. 주자가 무이산에 들어가 정사를 짓고 저술 및 강학 활동을 하면서 정주 이학을 완성한 자취를 본받고자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산은 이황의 이학이 자라나는 학문 공간이자 조선 이학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거듭된 조정의 부름에 세상을 그저 외면하지만은 못하였다. 도의를 닦아 세상을 경륜하고자 했던 이황이지만, 조정에 나아가서는 검은 먼지에 물들지 않는 뭇 꽃들 속 만매와 같이 자신을 지켜냈다. 한편, 이황은 16세기 중엽 조선 사회에 존재했던 다기한 도통의식과 넘쳐나는 이설 속에서 정주 이학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주자로부터 370여 년 뒤 조선의 땅에 태어난 이황은, 주자의 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적막함을 안타까워하였다. 그러면서도 주자와의 정신적 교류를 통해 하나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였다. 실제로 이황은 만매에 의지해 천자만홍과 같은 학풍과 사조를 정화시키겠다는 뜻을 내비추기도 하였다. 이때 조매가 주자의 이학에 비유된다면, 만매는 이황의 이학에 비유할 수 있다. 주자의 이학을 잇겠다는 이황의 생각이 만매를 통해 강한 도통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의 이학을 조선의 이학으로 정착시키려는 이황의 학문적 사명감과 자부심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령 찬바람에 꺾이고 꽃을 틔우지 못한다 하더라도, 매화의 뿌리가 굳게 내렸다면 훗날 반드시 꽃을 피워낼 것이라 노래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혀진다. 이황이 주자 이학을 조선의 땅에 뿌리내리게 했으니, 늦게 꽃을 피우는 만매처럼 이학의 향기가 퍼지기를 기대하고 소망한 것이다.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 매화분에게 물을 주라고 한 것도, 매화로 상징되는 조선의 이학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니었을까. 그가 만년에 유독 만매를 노래하고, 죽기 전 마지막으로 『매화시첩』을 편찬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결국 이황이 그토록 노래한 만매는 혼탁한 현실을 정화하는 유일한 理이자, 천자만홍과 같은 선비 가운데 고절한 빛을 지켜낸 도학군자로 비쳐진다. 나아가 다양한 학통 내지 異說 속에서 피어난 이황의 이학이자, 주자 이학의 도통을 계승한 16세기 조선의 이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East Asia, plum blossoms[梅花] have been loved by many as a flower that heralds spring. Zhuxi, who compiled the Song dynasty’s ‘Principle’, recited poems of plum blossoms, and Lee Hwang, who wanted to imitate Zhuxi, also wrote plum blossoms poems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Lee Hwang wrote poetry on the theme of plum blossoms blooming among the flowers in late spring[晩梅], as well as the noble appearance of early-blooming plum blossoms[早梅].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mong the many flowers was reflected like a man of virtue that existed among many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Lee Hwang faced was disturbing the court with the rise of numerous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Even in the midst of all kinds of colors and fragrances, he pursued the principle of pure goodness by exalting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at spread a noble and clean appearance. Lee Hwang used to lament that he was born too late and too far away from ancient sages of Song dynasty in a secluded place. But he did not just sigh. He hid in Dosan(陶山), cultivating moral principles and nurturing his nature. For him, hiding was not simply a way of living in the forest after cutting off ties with the world. It was intended to imitate the traces of Zhuxi who systematized th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while entering Muyi Mountain, building a temple, writing, and teaching. In that sense, Dosan is the place where Lee Hwang’s studies grew and the cradle of Joseon’s neo-Confucianism. However, he could not turn away from the world due to repeated calls from the court. He, who wanted to practice the world by cultivating morality, went to court and defended himself like a late-blooming plum blossom that was not stained by black dust. He tried to reveal his plight and feelings about resigning and remaining in office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On the other hand, Lee Hwang tried to systematiz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in the midst of the multifaceted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道統意識]’ and the overflowing dissenting opinions that existed in Joseon society in the mid-16th century. He sympathized that the way of Zhuxi was still unknown in Joseon 370 years after Zhuxi. He earnestly wished to become one with Zhuxi through spiritual exchanges. In fact, he expressed his intention to purify academic traditions of various schools by relying on late-blooming plum blossoms. If the plum that blooms early is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Zhuxi, the plum that blooms late can be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Lee Hwang. Lee Hwang’s idea of succeeding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was revealed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s a strong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t seems that there was Lee Hwang’s sense of academic mission and pride that ‘Chinese learning of principle’ transferred to Joseon and settled as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Even if the plum blossoms are broken by the cold wind and fail to flower, his poems are read in the same vein, saying that if the roots of the plum are firmly planted, they will surely bloom in the future. Since he made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take root in the land of Joseon, he hoped that the fragrance of ‘learning of principle’ would spread lik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e reason he asked to water the plum flowerpots at the moment of his last breath must have been his wish to continue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symbolized by plum blossoms. This is the reason why he recited poems of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in his later years, and compiled the last book 『Plum Blossom Poem[梅花詩帖]』 before he died. After all, in Lee Hwang’s poems,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 was the only principle[理] to purify the turbid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 man of virtue who kept the stern light among scholars like many flowers. Furthermore, it meant the ‘Lee Hwang’s learning of principle’ establish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raditions and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in the 16th century, which inherited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of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 KCI등재

        19세기 영남유림의 사상적 동향

        권오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70 No.-

        In the 19th century of the Yeongnam Academia, researches and academic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were anim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Yoo Bum-Hew(柳範休), Yoo Chi-Myoung(柳致明) and others stood firmly to the Ihak(理學), developed by Lee Hwang(李滉), and held large-scale lectures at the Gosansungsa(高山精舍) and the Hogaesuwon (虎溪書院) to discuss about the Ihak. In addition, the Ohsandang(吾山堂) meeting led by Lee Han-Ong (李漢膺)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lso helped strengthening of the solidarity of Confucian scholars of Yeungnam through lectures and sermons about the Ihak. Through these types of gatherings and lectures, even til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Confucian scholars of Yeungnam considered the theory of Igisimsungron(理氣心性論) by Lee Hwang(李滉) as their ideological foundation and develop academic discussions on various subjects upon it. From the oriental orientation of Confucian scholars of Yenognam in the 19th century, 1860s is a period of time to be noted. Choi Jae-Woo(崔濟愚) commenced the Donghak in 1860 and Lee Jin-Sang(李震相) announced the theory of Simjeukri(心卽理說) in 1861. The fact that Donghak was strongly advocated by Confucian scholars of Yeungnam Academia in the 19th century is truly interesting. Above all, the most remarkable ideological events in Confucian scolars of Yeungnam Academia was that the Lee Hwang’s Ihak was newly interpreted in the theory of Simjeukri. Of course, there were several academic lines, of Yoo Chi-Myoung and Kimg Hong-Rak, who were trying to preserve Lee Hwang’s theory of Igihobalsul as it was, but amid the time of crisis, they could no longer hold fast only to Lee Hwang’s academic theories. Lee Jin-Sang’s theory of Simjeukri was devised in hopes of fighting off of critiques of scholars of Seohak(西學, western learning) on the theory of Simjeukgi of the semiotics school. However, the theory of Simjeukri was stigmatized as heresy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ince it was claimed that this theory run counter to Lee Hwang’s theory, but in 1916,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acknowledge it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ee Hwang’s Ihak. In the 19th century, in Yeungnam,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enlightenment did gain almost no popularity. Rather, two academic traditions of preserving of Lee Hwang’s Ihak and newly interpreting of it were exist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Ki Jung-Jin’s Ihak fromo Honam was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the theory of Simjeukri to confirm their similarities, and such similarities were act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common front for the Chucksaundong(斥邪運動). In the Yeungnam academia of the 19th century,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School of Courtesy(禮學) developed by Heo Jun(許傳) succeeded with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Gyeonggi were transmitted to confucian scholars in Yeungnam and Woodo. With his teachings, Kim Jin-Ho(金鎭祜)⦁Noh Sang-Jik(盧相稷)⦁Lee Ik-Gu(李翊九)⦁Lee Hong-Suk(李洪錫) and many other scholars initiated the trends of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School of Courtesy in Yeungnam after the later-half of the 19th century. As the 19th century dwindled and the 20th century began, Confucian scholars of Yeungnam rather moved forward to the patriot enlightenment movement, independence movement, or even socialism rather than cling to Lee Hwang’s Ihak. 19세기 영남학계는 유림(儒林)의 강학(講學) 활동이 활발하였다. 19세기 전반에 유범휴(柳範休)와 유치명(柳致明) 등은 이황(李滉)의 이학(理學)를 철저히 고수하면서 고산정사(高山精舍)와 호계서원(虎溪書院)에서 대규모 강회를 열고 그 이학을 강론하였다. 또한 19세기 전반에 이한응(李漢膺)이 주도한 오산당(吾山堂) 강회 역시 이학의 강론을 통해 영남유림의 결속을 다지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강회를 통하여 영남유림은 19세기 전반기까지도 이황의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고, 그러한 학문적 토대 위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술토론을 전개하였다. 19세기 영남유림의 사상적 지향에서 1860년대는 매우 주목해야할 시기이다. 최제우(崔濟愚)가 1860년(철종 11)에 동학(東學)을 창도하고, 이진상(李震相)은 1861년에 심즉리설(心卽理說)을 발표하였다. 특히 19세기 영남의 이학가(理學家)에서 동학(東學)이 제창되었다는 것이 흥미롭다. 무엇보다 영남유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상적 사건은 이진상에 의해 심즉리설이 제창되어 이황 이학(理學)을 새롭게 해석한 사실이다. 물론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완고하게 지키려는 유치명-김흥락(金興洛)의 학맥(學脈)이 있었지만, 이제 이황의 이학도 위기의 시대를 맞아 그 학설을 고수할 수만은 없었다. 이진상의 심즉리설은 기호학계의 심즉기설(心卽氣說)을 비판하고 밀려오는 서학(西學)의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제창된 것이었다. 그런데 심즉리설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이황의 학설에 배치된다고 하여 이단(異端)으로 낙인이 찍혔으나 1916년에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이황의 이학을 발전시킨 것으로 인정이 되었다. 19세기 영남지역은 실학(實學)이나 개화(開化)의 풍조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오히려 이황의 이학을 굳게 지키려는 학맥과 새롭게 해석하려는 두 학풍이 공존하고 있었다. 그런 반면 호남의 기정진(奇正鎭)의 이학이 들어와 이진상의 심즉리설과 같음을 확인하고 척사운동(斥邪運動)의 공동전선을 구축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19세기 영남 학계에는 경기지역의 실학을 계승한 허전(許傳)의 실학과 예학(禮學)이 영남 우도의 학자들에게 전해졌다. 허전의 문하에서 김진호(金鎭祜)⦁노상직(盧相稷)⦁이익구(李翊九)⦁이홍석(李洪錫) 등 학자가 배출되어 19세기 후반 이후 영남에도 실학적 학풍과 예학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19세기가 저물어가고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영남유림은 이황의 이학을 지키기 보다는 이학에서 애국계몽사상이나 독립운동으로 나아가기도 하고 사회주의노선을 걷는 학자도 나타났다.

      • KCI등재

        理学家的挽诗研究 -以李退溪、 陈白沙的诗为中心-

        신민야 한국중국학회 2007 國際中國學硏究 Vol.0 No.10

        이퇴계(1501-1570)는 한국 조선 중기의 유명한 이학가이며 주자학의 집대성자이다. 진백사(1428-1500)는 중국 명대 중기 이학가로 중국철학사에서 정주이학에서 양명심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 인물이다. 진백사가 이퇴계보다 70년 앞서고 두 사람은 서로 다른 나라의 사람이지만 퇴계는 백사의 사상 인품 시가 등에 대해 깊은 이해가 있었고, 이학의 발전 과정에서 두 사람의 사상은 차이점이 있으면서도 연관성이 있었다. 퇴계와 백사는 모두 시가를 사랑한 이학가로 둘 다 2000여수의 시가를 창작했으며, 그들에게 있어 시와 철학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그들 문학의 공통점에 주목하여 만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학가의 만시 특징을 살펴보았다. 퇴계는 11수의 만시를 창작했으며, 백사는 70여수의 만시를 창작했다. 그들이 만시에서 애도하는 주요대상은 친구와 제자이다. 본 논문은 퇴계와 백사의 만시를 애도 대상에 따라 ‘悼朋友’ ‘悼弟子’ ‘悼家人’ ‘其他’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친구와 제자를 애도하는 만시는 그들의 업적 인품 재능 등을 칭송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칭송하는 과정에서 친구와 제자를 애도하는 심정이 녹아들어 있다. 가족을 애도하는 만시는 퇴계가 형수를 애도하는 시를 1수 남기고 있으며, 백사는 2수의 아들을 애도하는 시를 남기고 있다. 가족을 애도하는 만시에서 퇴계와 백사는 각각 형수와 아들의 생애를 회고하면서 생사에 대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 외에도 제자의 부모를 애도한 것이 있는데 이 시들은 제자가 매개가 되어 창작한 것이므로 제자 부모에 대한 칭송을 쓰면서 그들의 자식에 대한 내용도 함께 쓰고 있다.비이학가가 쓴 만시와 비교해 보면 퇴계와 백사의 만시에는 비애가 비교적 적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이학가의 생사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통적인 유가철학의 ‘生死氣化論’의 관점에서 보면 氣가 모인 것이 ‘生’이고, 氣가 흩어진 것이 ‘死’로, ‘生’과 ‘死’는 다 氣의 순간적인 존재상태일 뿐이다. 이학가로서 퇴계와 백사는 生과 死를 밤과 낮이 바뀌는 것과 같은 자연변화로 보았다. 이는 삶과 죽음을 같은 것으로 보고 자연에 따른다는 생사관이다.퇴계와 백사의 만시는 고인의 생애에 대한 진실한 조명이며, 그 주요내용은 고인의 생애에 대한 칭송을 위주로 한다. 고인의 생애를 칭송하는 데 있어 퇴계는 많은 전고를 쓰고 있으며, 백사는 곳곳에서 생사관을 보여주고 있다. 이학가로서 퇴계와 백사는 이학과 시학의 조화를 추구하였으며, 그들의 만시에서도 이학과 시학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