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미세지형별 생태적 특성

        한상학,윤충원,송주현,김호진,이정은,윤이슬,유윤서,이상훈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long-term changes to beech forest due to climate change in Ulleung-do. To study the traits of the stand structure of beech forest with micro-topograph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basal area, important values, and indicated species in a small ridge between Albong basin and Seongin-bong peak, and 1-ha stands (20 m × 20 m, 25 sites) dominated beech species including on the upper slope and valley par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dicator species characterizing the vegetation communities were Tsuga sieboldii, Rhododendron brachycarpum, and Mitchella undulata in the small ridge and Celtis jessoensis, Dryopteris crassirhizoma, and Ulmus laciniata in the valley part. Moreover, the individuals with the total DBH < 10 cm were more predominant in the small ridge and upper slope than in the valley part, the individuals with DBH = 10–25 cm were predominant in the small slope, and individuals with DBH = 25–45 cm and DBH > 45 cm were predominant in the upper slope. The reason for the predominant distribution of beech stand with DBH<10 cm in all terrains is suggested to be germination by nutritional propagation rather than secondary succession caused by artificial disturbances and seed propagation. 본 연구는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동태변화를 통한 유지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알봉분지에서 성인봉 사이 소능선부, 사면상부 및 계곡부를 포함한 너도밤나무가 우점하는 임분 1ha(20m×20m, 25개소)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 중요치, 종조성 분석을 통해 미세지형별 너도밤나무림의 임분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너도밤나무림 전체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에서는 소능선부와 사면상부가 계곡부에 비하여 개체수가 많이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 10-25cm에서는소능선부의 개체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흉고직경급 25-45cm에서는 사면상부, 45cm 이상의 계곡부의 개체수가 가장많이 나타났다. 모든 지형에서 흉고직경급 10cm 미만의 너도밤나무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것은 종자번식이 아닌 영양번식또는 교란에 의한 맹아갱신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종 분석결과 소능선부에서는 솔송나무, 만병초, 호자덩굴, 섬벚나무, 마가목, 큰두루미꽃 등 8종이, 계곡부에서는 풍게나무, 관중, 난티나무, 섬노루귀, 말오줌나무, 큰연영초, 공작고사리, 황벽나무8종이 유이하게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대전 갑하산과 우산봉의 산림식생 분석

        김효정,이미정,지윤의,강병선,이규석,송호경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5

        본 연구는 대전에 위치한 갑하산과 우산봉의 산림식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1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62개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중요치와 흉고직경급 및 ordin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TWINSPAN 방법으로 식생을 분류한 결과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4개의 군락에서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는 소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때죽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현재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나, 앞으로 신갈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 등의 중요치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Ordination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경사가 급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소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비교적 높고 경사가 중간인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굴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수리나무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낮고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of Gabhasan and Woosanbong in Daejeon,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TWINSPAN, 62 plots were sampled from June 2001 to September 2001. Field survey carried out to examine importance value, to do diameter of breast height(DBH) measurement, and to analyze the Ordination.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and Styrax japonica were high. According to DBH analysi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dominate currently, however, importance value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Prunus sargentii would increas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located in high altitude and steep area,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located in comparatively high altitude and medium slope area,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as located in low altitude and gentle slope area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was located in the lowest altitude and relatively gentle slope area.

      • KCI등재

        남해군 금산 식생 구조 연구

        김현숙 ( Hyoun Sook Kim ),박관수 ( Gwan Soo Park ),이상명 ( Sang Myong Lee ),이상진 ( Sang Jin Lee ),이항구 ( Hang Goo Lee ),박환우 ( Hwan Woo Park ),박대연 ( Dae Yeon Park ),이찬희 ( Chan Hee Lee ),김정현 ( Jung Hyun Kim ),이중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남해군 금산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14년과 2015년에 실시되었다. 본 연구조사지의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DCCA ordination으로 분석한 결과, 10개의 자연림(졸참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소사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2개의 식재림(편백군락 및 삼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복곡저수지 아래 계곡부에는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인히어리가 아교목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복곡저수지 인근 천하저수지 위쪽 임도에서는 끈끈이주걱이 발견되었다. 식재림을 제외한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졸참나무가 가장 높았으며(45.7), 중요치가 높은 주요 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졸참나무, 신갈나무 및 개서어나무는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재의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대상지내 군락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평균 토양 pH는 4.28∼4.76으로 나타났다. DCCAordination 분석 결과, 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와 상관없이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곰솔군락 및 소나무군락은 다른 군락들 보다 해발고가 낮고 남사면에 주로 분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Geumsan in Namhae-gun.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DCCA ordination,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of natural forests (Quercus serrata, Carpinus tschonoskii, Q.mongolica, Pinus densiflora, P.thunbergii, C. turczaninowii, Q. variablis, Zelkova serrata, C.laxifora and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and 2 communities of plantation forests (Chamaecyparis obtusa and Cryptomeria japonica). Among the communities other than the plantation forests, the importance value of Q. serrata (45.7) was found to be the highest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BH analysis among the species with high importance values, Q. serrata, Q. mongolica and C. tschonoskii showed normal patterns in the size-frequency distribution, suggesting that these species will continue to hold their current dominance. The average soil pH in the communities ranged from 4.28 to 4.76. The results of DCCA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Q. serrata was evenly distributed in the high and low elevation habitats. P. thunbergii and P. densiflora communiti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lowest elevation habitats on the southern slope.

      • KCI등재

        훼손예정지의 지형 및 수목 형태를 고려한 이식목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이수동 ( Soo Dong Lee ),최송현 ( Song 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6

        산지개발로 인해 불가피하게 훼손되어야 하는 양호한 식생을 대상으로 수목의 외형적 특성인 수형, 흉고직경 등과 기반특성인 토양층위 등 이식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식수목 선정은 자생성 및 천이단계에 의한 평가, 외형 및 기반특성에 의한 평가 2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식생발달 측면에서 천이를 주도하는 자생종이 아닌 인공식재수종과 생태적 천이 발달단계에서 도태가 예상되는 수목은 2단계 평가 전에 이식가능 수목에서 제외한 결과 총 3,841주 중 약 5.9%에 해당되는 수목이 이식 불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2단계 외형 및 기반특성에 따른 평가에서는 수형등급, 흉고직경급, 토양등급을 기준으로 각각의 수목을 평가한 결과 3,613주 중 약 33.7%(1,218주)는 이식 가능하였으나 23.0%(829주)는 이식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약 43.3%(1,566주)에 해당되는 수목에 대해서는 이식비용과 새롭게 식재하는 비용에 있어 큰 차이가 없으므로 가능한 이식하는 것이 생태계 보전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토양상태 및 수형을 고려하여 현장 관리자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trees to be transplanted in the forest reserves which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 main task in this endeavor was to access the transplantability of the trees focused on their featur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soil feature, etc. The selection of the trees for transplantation consisted of two stages. The first stage was to select trees on the basis of their indigenousness and forest successional stage. The second was to select trees on the basis of their type, D.B.H., the layers of soil, etc. At the first stage, the trees which are not indigenous or expected not to survive were eliminated from the selection list, and the result showed that approximately 5.9% (about 3,841 trees) of the trees proved to be inadequate for transplanting. At the second stage, the investigation of the trees based on the criteria of tree type, D.B.H., the layers of soil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 showed that approximately 33.7% (1,218) out of 3,613 trees turned out to adequate for transplanting however, 23.0% of the trees, which are 829 trees, were found to be impossible to transplant.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in the case of approximately 43.3%(1,566 trees) of the tree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ransplanting cost and planting cost of new trees. Therefore the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it is more advisable to transplant trees to preserve the ecological environment. However,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other elements to be considered, such as tree feature and soil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tree transplantation, and the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the managing personnel who are in charge of the forest.

      • KCI등재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 일대 식생구조 연구

        김현숙 ( Hyoun Sook Kim ),이상명 ( Sang Myong Lee ),송호경 ( Ho Kyung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6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철쭉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우군락 및 주목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81.2) 다음으로 들메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굴참나무, 철쭉, 층층나무, 주목 등의 순이었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는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나무와 주목은 당분간 우점도 상태를 유지 할 것으로 예상되며, 굴참나무와 층층나무는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상태로 계속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분류된 7개 군락과 l2개의 환경 요인으로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과 주목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건조하고 Ca의 양료가 적으며 pH가 비교적 낮은 곳에 분포하였으며, 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수분이 비교적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나무군락은 남사면의 해발고가 중간 정도이고 pH가 낮고 Ca 등의 양료가 적은 건조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들메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수분이 많은 계곡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Ca의 양료가 많으며 pH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using the gradient analysis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variabillis community, Pinus densflor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and Taxus cuspidata community.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layer structure, vegetation ratio, and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frees by DBH(diameter at breast h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mmunities. The order of important value of the forest community with DBH 2cm above plants was Q. mongolica(81.2), F. mandshurica, Q. serrata, P. densflora, Acer pseudosieboldianum, Q. variabill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 controversa, T. cuspidata. Distribution of DBH of Q. mongolica and Q. serrata had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contrast, F. mandshurica appeared limited to the valley of the sheet an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the development of a climax forest terrain. P. densiflora and T. cuspidata had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maintain. Q. variabilis and C. controversa had a formality distribution,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DCCA ordination. The Q. mongolica community and T. cuspidat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highest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few moisture, Ca and in the low pH. The Q. serrata community mainly occurred in the low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many moisture. P. densiflor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middle elevation and south-facing slope habitats which had few moisture, Ca and in the low pH. F. mandshuric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low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many moisture, Ca and pH.

      • KCI등재

        히어리 군락의 입지특성과 식생구조 분석

        노일,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38 No.2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히어리 군락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경남 진주와 산청의 히어리 군락지를 대상으로 입지특성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두 조사지역에서 히어리는 표고 150-800m, 사면은 북 또는 북서사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pH는 산청 4.75, 진주 5.05,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진주 2.4%, 0.12%, 0.66%로 조사지역간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교목층의 경우 진주 지역은 소나무, 산청지역은 서어나무, 졸참나무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두 조사지역 모두 히어리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목층의 종다양도는 산청 1.130, 진주 0.181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균재도는 산청 0.842, 0.416, 진주 0.259, 0.479로 나타났다. 교목층의 우점도는 진주 지역이 0.741로 산청 지역(0.15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은 두 조사지역에서 0.521∼0.584를 보여 히어리와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조사지역에 있어서 히어리의 흉고직경급은 4㎝ 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to gain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in Sanchung and Jinju, Gyeongnam Province. C. coreana was distributing from 150m to 800m in altitude and facing north and northwest in aspect at two study sites. Soil pH was 4.75 in Sanchung and 5.05 in Jinju.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total N in Sanchung and Jinju were 12.2% and 0.66%, and 2.4% and 0.12%, respectively. According to importance value(I.V.), Pinus densiflora was the highest as 81.6 in Jinju, and I.V. of Carpinus laxiflora and Quercus serrata were high in Sanchung. At subtree and shrub layer, I.V. of C. corylopsis was the highest at two study sites. Species diversity of tree layer Sanchung and Jinju were 1.130 and 0.181, respectively. Evenness of tree and subtree layer were 0.842 and 0.416 in Sanchung, and 0.259 and 0.479 in Jinju. Dominance of tree layer in Jinju(0.741) was higher than that of Sanchung(0.158). At two study sites, diameter at breast height class of C. corylopsis were mostly below 4㎝.

      • KCI등재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 분포현황 및 천이 연구

        김현숙 ( Hyoun Sook Kim ),이상명 ( Sang Myong Lee ),송호경 ( Ho Kyung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산림 식생을 상관조사와 현지식생조사를 토대로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은 4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지역 전체의 산림 식생 중에서 신갈나무림이 39.0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다. 다음으로 굴참나무림, 소나무림, 들메나무림의 순으로 차지하여 덕유산국립공원은 타 국립공원의 산림과 비교할 때 들메나무림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덕유산국립공원 식생을 환경구배에 따라 구분하면 낙엽활엽수림(참나무류림, 계곡림), 침엽수림(소나무림), 아고산림(주목림, 구상나무림, 철쭉관목림, 초원) 등 7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굴참나무는 어린 개체와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고 졸참나무, 서어나무는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아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은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나무, 물박달나무, 층층나무, 거제수나무, 구상나무, 주목은 어린개체와 큰개체의 밀도는 낮고 중간개체의 밀도가 높은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상태로 계속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written about the actual vegetation map by researchig current vegetation and on-sit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Current vegeta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42 types according to correlation. And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39.08% out of the total forest vegetation, and was dispersed the most widely. Next were Q.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Fraxinus mandshurica forests in order, so that the forests of Deogyusa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nother national parks in that F. mandshurica forest is more widely dispersed. Forest vegetation of Deogyusan national park is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Quercus forest and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P. densiflora forest), and sub-alpine forest(Taxus cuspidata forest, Abies kore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hrub-forest, and prairie). Distribution of DBH of Q. mongolica and Q. variabillis ha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and middle individuals, Q.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ha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contrast, F. mandshurica appeared limited to the valley of the sheet an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the development of a climax forest terrain. P. densiflora, Betula davurica, Cornus controversa, B. costata, A. koreana and T. cuspidata had a formality distribution,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 KCI등재

        충청남도 도립공원 산림 식생 분석

        김현숙 ( Hyoun-sook Kim ),박관수 ( Gwan-soo Park ),이상명 ( Sang-myong Lee ),이중구 ( Joongku Lee ),김정현 ( Junghyu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충남도립공원(덕산도립공원, 칠갑산도립공원, 대둔산도립공원)에 분포하고 있는 산림 식생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 조사지의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덕산도립공원은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및 느티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고, 칠갑산도립공원은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서어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대둔산도립공원은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상수리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각 도립공원의 중요치는 덕산도 립공원에서 신갈나무가 가장 높았으며(72.35), 다음으로 소나무(70.25), 굴참나무(53.11), 때죽나무(11.44), 산벚나무(11.17), 물푸레나무(10.4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칠갑산도립공원에서는 굴참나무가(73.34)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소나무(58.71), 신갈나무(57.02), 서어나무(18.84), 졸참나무(13.48), 산벚나무(13.3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둔산도 립공원은 신갈나무가(57.03)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굴참나무(31.98), 졸참나무(31.53), 소나무(16.80), 개서어나무(16.50), 서어나무(16.07), 쪽동백나무(15.76), 당단풍나무(10.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 분류군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덕산도립공원에서는 신갈나무, 굴참나무가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칠갑산도립공원에서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가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나 서어나무와, 졸참나무의 어린 개체 밀도가 높아 앞으로 이들의 세력이 확장될 것으로 판단된다. 대둔산도립공원은 신갈나무와 굴참나무는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은 역 J자형을 하고 있어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개서어나무와 소나무는 어린 개체와 큰 개체의 밀도가 낮고,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당분간은 이들 수종에 의한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서어나무와 졸참나무는 중간이상의 개체와 비교해 볼 때 어린 개체의 밀도가 높아 앞으로 이들의 우점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compared forest vegetation in Chungcheongnam-do Provincial Park (Deogsan, Chilgabsan, and Daedunsan) from 2006 to 201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vegetation of the research sites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showed that the Deogsan Provincial Park ha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and Zelkova serrata community. Chilgabsan Provincial Park had Q. variabilis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and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Daedunsan Provincial Park had Q. mongolic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C. tschonoskii community, C. laxiflora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and Q. acutissim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in each Provincial Parks was analyzed as follows. The importance value of Q. mongolica(72.35) was the highest in Deogsan Provincial Park, and followed by P. densiflora(70.25), Q. variabilis(53.11), Styrax japonicus(11.44), Prunus sargentii(11.17), and Fraxinus rhynchophylla(10.41). Q. variabilis(73.34) was the highest in Chilgabsan Provincial Park and followed by, P. densiflora(58.71), Q. mongolica(57.02), C. laxiflora(18.84), Q. serrata(13.48), and Prunus sargentii(13.31). The importance value of Q. mongolica(57.03) was the highest in Daedunsan Provincial Park and followed by Q. variabilis(31.98), Q. serrata(31.53), P. densiflora(16.80), C. tschonoskii(16.50), C. laxiflora(16.07), S. obassia(15.76), and Acer pseudosieboldianum(10.09). The results of DBH analysis of the major species having the high importance value showed the normal density distirbution of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in Deogsan Provincial Park, so the dominance status of these species is likely to continue. Q. variabilis,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in Chilgabsan Provincial Park showed the normal density distribution showed the density of normal distribution, so the dominance status of these species is likely to continue. However, the dominance status of C. laxiflora, and Q. serrata is likely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due to the high density of young individuals.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in Daedunsan Provincial Park showed the density of reverse J-shaped curve, so the dominance status of these species is likely to continue, and C. tschonoskii, and P. densiflora had a formality distribution, suggesting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Additionally the dominance status of C. laxiflora, and Q. serrata is considered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due to the high density level of young individuals.

      • KCI등재

        아고산대 주목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조민기,정재민,정혜란,강미영,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5

        This study analyz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and DBH class distribution in order to conserv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Taxus cuspidata community in Mt. Seorak, Mt. Balwang, Mt. Taebaek, and Mt. Odae. The vegetation in upper, subtree and shrub layer was consist of 11, 22, 33 species in Mt. Seorak, 15, 21, 33 species in Mt. Balwang, 10, 23, 36 species in Mt. Taebaek, and 14, 30, 32 species in Mt. Odae. As a result of importance value at all study sites, T. cuspidata and Abies nephrolepis in upper layer, T. cuspidata, A. nephrolepis and Acer komarovii in subtree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in shrub layer were high,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 upper and subtree layer at all study sited were ranged 0.834~1.234 and 1.125~1.329,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BH class of major three species, T. cuspidata in Mt. Odae site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which was estimated that T. cuspidata community of this site might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a stable state. 본 연구는 설악산, 발왕산, 태백산, 오대산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 군락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의 교목․아교목․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설악산 11, 22, 33종, 발왕산 15, 21, 33종, 태백산 10, 23, 36종, 오대산 14, 30, 3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전 조사지의 교목층은 주목과 분비나무, 아교목층은 주목, 분비나무, 시닥나무,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 조사지에 있어서 종다양도는 교목층 0.834~1.234, 아교목층 1.125~1.32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오대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주목군락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덕유산과 계방산 가문비나무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조민기,정재민,정혜란,강미영,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Picea yezoensis community in Mt. Deogyu and Mt. Gyebang. The vegetation of tree, subtree and shrub layer was consist of 8, 20, 26 species in Mt. Deogyu, and 12, 23, 33 species in Mt. Gyebang. Importance value by layer P. yezoensis, Betula ermanii, Abies koreana at tree layer, B. ermanii, Quercus mongolica at subtree layer, and Sasa borealis at shrub layer in Mt. Deogyu, and P. yezoensis, B. ermanii, Abies nephrolepis at tree layer, Acer komarovii and A. ukurunduense at subtree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at shrub layer in Mt. Gyebang were high,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 Mt. Deogyu and Mt. Gyebang were 0.779 and 0.984 at tree layer, 1.052 and 1.161 at subtree layer, and 0.823 and 1.304 at shrub laye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BH class of major species, P. yezoensis in Mt. Deogyu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which was estimated that P. yezoensis community of this site might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a stable state. 본 연구는 덕유산, 계방산의 가문비나무 군락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두 조사지의 교목․아교목․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덕유산이 8, 20, 26종, 계방산이 12, 23, 3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덕유산 교목층은 가문비나무, 사스래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은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관목층은 조릿대가 중요치가 높았으며, 계방산의 교목층은 가문비나무, 사스래나무, 분비나무, 아교목층은 시닥나무, 부게꽃나무, 관목층은 미역줄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구의 층위별 종다양도의 경우 교목층은 덕유산 0.779, 계방산 0.984, 아교목층은 덕유산 1.052, 게방산 1.161, 관목층은 덕유산 0.823, 계방산 1.304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덕유산지역의 가문비나무 개체군이 역J형의 유형이 나타나고 있어 당분간 가문비나무군락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