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덕유산과 계방산 가문비나무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 Vegetation Structure of Picea jezoensis Communities in Mt. Deogyu and Mt. Gyeb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7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Picea yezoensis community in Mt. Deogyu and Mt. Gyebang. The vegetation of tree, subtree and shrub layer was consist of 8, 20, 26 species in Mt. Deogyu,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Picea yezoensis community in Mt. Deogyu and Mt. Gyebang. The vegetation of tree, subtree and shrub layer was consist of 8, 20, 26 species in Mt. Deogyu, and 12, 23, 33 species in Mt. Gyebang. Importance value by layer P. yezoensis, Betula ermanii, Abies koreana at tree layer, B. ermanii, Quercus mongolica at subtree layer, and Sasa borealis at shrub layer in Mt. Deogyu, and P. yezoensis, B. ermanii, Abies nephrolepis at tree layer, Acer komarovii and A. ukurunduense at subtree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at shrub layer in Mt. Gyebang were high,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 Mt. Deogyu and Mt. Gyebang were 0.779 and 0.984 at tree layer, 1.052 and 1.161 at subtree layer, and 0.823 and 1.304 at shrub laye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BH class of major species, P. yezoensis in Mt. Deogyu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which was estimated that P. yezoensis community of this site might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a stable st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덕유산, 계방산의 가문비나무 군락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두 조사지의 교목․아교목․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덕...

      본 연구는 덕유산, 계방산의 가문비나무 군락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두 조사지의 교목․아교목․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덕유산이 8, 20, 26종, 계방산이 12, 23, 3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덕유산 교목층은 가문비나무, 사스래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은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관목층은 조릿대가 중요치가 높았으며, 계방산의 교목층은 가문비나무, 사스래나무, 분비나무, 아교목층은 시닥나무, 부게꽃나무, 관목층은 미역줄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구의 층위별 종다양도의 경우 교목층은 덕유산 0.779, 계방산 0.984, 아교목층은 덕유산 1.052, 게방산 1.161, 관목층은 덕유산 0.823, 계방산 1.304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덕유산지역의 가문비나무 개체군이 역J형의 유형이 나타나고 있어 당분간 가문비나무군락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우석,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과 분포" 대한지리학회 39 (39): 528-543, 2004

      2 공우석, "한반도 고산식물의 구성과 분포" 대한지리학회 37 (37): 357-370, 2002

      3 송정호, "한국산 가문비나무 자생집단의 침엽특성 변이" 한국자원식물학회 22 (22): 31-36, 2009

      4 추갑철,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22-29, 2009

      5 안현철,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지역 가문비나무림의 산림군집구조" 한국임학회 99 (99): 590-596, 2010

      6 김창환, "지리산 거림계곡 구상나무 개체군의 고도별 식생변화와 생장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63-70, 2012

      7 한심희, "우리나라 가문비나무의 침엽 수명, 광색소 및 질소 배분 특성" 한국임학회 101 (101): 62-68, 2012

      8 조민기, "아고산대 주목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1-10, 2012

      9 전영문, "설악산 분비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천이" 국토지리학회 44 (44): 93-102, 2010

      10 장용석, "덕유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한국자원식물학회 17 (17): 58-66, 2004

      1 공우석,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과 분포" 대한지리학회 39 (39): 528-543, 2004

      2 공우석, "한반도 고산식물의 구성과 분포" 대한지리학회 37 (37): 357-370, 2002

      3 송정호, "한국산 가문비나무 자생집단의 침엽특성 변이" 한국자원식물학회 22 (22): 31-36, 2009

      4 추갑철,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22-29, 2009

      5 안현철,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지역 가문비나무림의 산림군집구조" 한국임학회 99 (99): 590-596, 2010

      6 김창환, "지리산 거림계곡 구상나무 개체군의 고도별 식생변화와 생장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63-70, 2012

      7 한심희, "우리나라 가문비나무의 침엽 수명, 광색소 및 질소 배분 특성" 한국임학회 101 (101): 62-68, 2012

      8 조민기, "아고산대 주목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1-10, 2012

      9 전영문, "설악산 분비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천이" 국토지리학회 44 (44): 93-102, 2010

      10 장용석, "덕유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한국자원식물학회 17 (17): 58-66, 2004

      11 문현식, "경남 거제지역 붉은 고로쇠나무림의 토양특성과 식생구조" 한국농림기상학회 6 (6): 265-271, 2004

      12 송정호, "韓國産 가문비나무 自生集團의 毬果, 種子 및 發芽特性 變異"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69-75, 2011

      13 Chung, J. M, "Vegetation structure, regeneration niche, and dynamics of the saplings in Abies koreana forest of the Mt . Chiri" 85 : 34-43, 1996

      14 Song, K. M,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forests on Mt. Halla" Jeju National Univ 2011

      15 Barbour, M. G,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 & Cummings Publ 62-68, 1987

      16 Kim, G. T,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Parkryunsa-Hyangchŏkpong area in Tŭkyusan national park" 7 : 155-163, 1994

      17 Moon, H. S,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subalpine zone of Mt. Deogyu national park" 35 : 47-54, 2001

      18 Bunyavejchewins, 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dominant canopy dipterocarp species in a seasonal dry evergreen forest in western Thailand" 175 : 87-101, 2003

      19 Korea National Aboretum,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ub. Co 32-, 2009

      20 Youngblood and Safford, "Picea A, In Forest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Publisher. Woody plans seed manual" Publisher: The Blackburn Press 2002

      21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1964

      2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23 IUCN, "IUNC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4 Kim, K. T, "Forest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in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18 : 142-149, 2004

      25 Brower, J. E,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325-, 1977

      26 Whittaker, R. H,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147 : 250-260, 1965

      27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I" Hyangmunsa 2003

      28 Curtis, J. T,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32 : 476-496, 1951

      29 Park, Y. S, "An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getation - Environment relationships with DCCA in the valley part of Kyeryongsan national park" 90 : 249-256, 2001

      30 Hoshino, D, "Age, size structure and spatial pattern of major tree species in an old-growth Chamaecyparis obtusa forest, Central Japan" 152 : 31-43, 2001

      31 Korea National Arboretum, "300 Target plant adaptable to climate chan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