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 4-5 요추간 유합술 후 수술 방법에 따른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

        안동기(Dong Ki Ahn),이송(Song Lee),정기웅(Ki Woong Jeong),최대정(Dae Jung Choi),차상규(Sang Kyu Cha),조근호(Kun Ho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요추부 유합술 후 발생되는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있어서 후외측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질환으로 제4, 5요추의 유합술을 시행받고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157예 중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하여 후외측 유합술을 시행한 86예를 Ⅰ군으로, 척추경 나사못과 cage를 이용하여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71예를 Ⅱ군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양 군 간에 성별, 연령, 수술 전 인접 분절의 퇴행정도, 최종 추시에서 유합 분절의 시상각 그리고 추시기간에서 표집 오차가 있는가를 조사하고 근위 및 원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와 재수술의 비율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가 있는 군과 없는 군을 대조하여 추체간 유합술 여부를 포함한 상기 비교 인자들 중 실질적인 위험인자를 다중 로지스틱 희귀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근위 인접 분절의 퇴행정도(p=0.036)를 제외하고는 표집 오차는 없었다. 근위부 퇴행성 변화는 Ⅰ군 31/86 (36%), Ⅱ군 26/71 (37%)이었으며 재수술은 Ⅰ군 8/86 (9%), Ⅱ군에서 6/71 (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41, 0.536). 원위부 퇴행성 변화는 Ⅰ군 9/86 (10%), Ⅱ군 8/71 (11%)이었으며 재수술은 Ⅰ군 4/86 (5%), Ⅱ군 2/71 (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36, 0.435). 양측 인접 분절 중 일측 이상 퇴행성 변화가 발생한 군(65/157, 41%)과 발생하지 않은 군(92/157, 58%)을 대조한 결과 고연령과 부족한 유합 분절 시상각이 유의하게 위험성을 증가시켰다(p=0.024, 0.001). 결론: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제4, 5 요추간 분절 유합술 후 발생하는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는 후외측 유합술을 시행한 군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추체간 유합술 여부보다는 고연령과 적은 유합 분절 시상각이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증가시켰다. Purpose: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ost-fusion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between performing posterolateral fusion an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ifty seven patients who underwent L4-5 fusion using pedicle screws for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followed up more than three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Eighty-six cases of posterolateral fusion (group Ⅰ) and 71 cases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group Ⅱ) were compared. Sampling bias was evaluated by comparing gender, age, the preoperative degeneration of adjacent segments, the sagittal angle of fusion segments on the last follow up and the follow-up period. The differences of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and the revis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multilaterally. The actual risk factors for such d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by perform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 which contrasted the degeneration group with the non-degeneration group for all the above factors, including whether interbody fusion was done or not. Results: Sampling bias was excluded except for the preoperative proximal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p=0.03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proximal degeneration (31/86, 36% in group Ⅰ, 26/7.1, 37% in group Ⅱ, p=0.536) and revision (8/86, 9% in group Ⅰ, 6/71, 8% in group Ⅱ, p=0.53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distal degeneration (9/86, 10% in group Ⅰ, 8/71, 11% in group Ⅱ, p=0.536) and revision (4/86, 5% in group Ⅰ, 2171, 3% in group Ⅱ, p=0.435). When comparing those cases who developed degeneration on either side with the non-degeneration cases, the odds ratio of old age and an insufficient sagittal angle of the fusion segments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24, 0.001).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between the postero-lateral fusion group and th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group. Rather than the operation methods, old age and insufficient sagittal angle of the fusion segments were the actual risk factors of such degeneration.

      • KCI등재

        단순 전후 면 방사선 촬영과 Ferguson 촬영에 의한 요천추 간 후외측 유합의 평가

        이환모,박문수,이상훈,김기학,장준섭,문성환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3

        연구목적 : 내고정 기기를 이용한 요천추 간 후외측 유합을 평가시 단순 전후 면 방사선 촬영과 퍼거슨 촬영의 신뢰도를 알기 위하여 관찰자간 및 관찰자내 재현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가 이식골과 내고정 기기를 이용하여 제 4 요추부터 제 1 천추까지 또는 제 5 요추에서 제 1 천추까지 후외측 골 유합술을 시행 받은 44명의 환자를 추시하고 단순 전후 면 방사선 사진을 관찰하여 곧 유합의 정도를 골 유합, 가관절 또는 판정 불가로 분류하였다. 이차 관찰은 2주 후 시행하였다. 관찰자간 및 관찰자내 재현성을 Fleiss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단순 전후면 방사선 촬영보다 퍼거슨 촬영에서 관찰자간 및 관찰자내 재현성이 우수하였다. 일차 및 이차 관찰 모두에서 관찰자간 재현성의 Kappa값은 단순 전후 면 방사선 촬영보다 퍼거슨 촬영에서 높았다. 또한 동일한 관찰자에 의한 일차 및 이차 관찰 간의 관찰자내 재현성의 Kappa값은 관찰자 모두에서 단순 전후 면 방사선 촬영보다 퍼거슨 촬영에서 높았다. 단순 전후면 방사선 촬영으로 평가시 판정 불가로 분류된 것 중 67%에서 퍼거슨 촬영으로 평가시 골 유합 또는 가관절로 분류되었다. 결론 : 퍼거슨 촬영이 단순 전후면 방사선 촬영보다 내고정 기기를 이용한 후외측 요천추 간 골 유합의 평가에 더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reliance of standard AP radiograph and Ferguson radiograph in assessment of instrumented lumbosacral fusion mass with i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reproducibilities. Materials and Methods : Postoperative standard AP radiograph and Ferguson radiograph were used to evaluate the fusion mass at the lumbosacral region of 44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olateral L4-S1 or L5-S1 instrumented fusion with pedicle screws & autogenous iliac bone graft. Ferguson radiograph was performed with the x-ray beam oriented toward the cranial portion at 40˚ relative to the x-ray table. All observations were performed independently by three observers. blinded to the history. diagnosis. and patient identity. The fusion mass was graded as solid. pseudarthrosis or questionable. A second review was repeated at 2 weeks after index review. l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reproducibilities were analyzed with Fleiss' method. Results : Ferguson radiographs were more reliable than standard AP radiographs in detecting the fusion mass. Kappa values with the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were higher in Ferguson radiographs than in the standard AP radiographs. Kappa values with the intraobserver reproducibility of all three observers were higher in Ferguson radiographs than in the standard AP radi0graphs. The questionable fusion masses in the standard AP radiographs were revealed solid or pseudarthrosis in Ferguson radiographs in 67%. Conclusion : Ferguson radiograph is a more reliable method than standard AP radiograph in evaluating instrumented posterolateral fusion mass in lumbosacral reg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