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주지역 횡혈식석실묘 연구

        박진혜(Park, Jinhye) 부산고고학회 2014 고고광장 Vol.- No.15

        6세기 후반 무렵, 경주지역에서는 적석목곽묘를 대체하여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되기 시작한다. 과거 소수의 자료만을 대상으로 단선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던 초보적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자료의 증가와 함께 연구쟁점도 넓어지며 한층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횡혈식석실묘 연구의 기본이 되는 유형(또는 형식)분류는 여전히 변함이 없다. 경주에는 다양한 형식의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되는데, 특히 중심지역에서는 지방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기술력과 축조비용을 요하는 최고 상위계층의 횡혈식석실묘가 확인된다. 이 횡혈식석실묘는 현문시설의 완비, 대형의 방형 현실, 2m 이상의 현실 높이, 정교하게 다듬은 高 시상대의 축조, 가공된 석재 시상부속시설의 설치 등의 특징을 갖고 있어 다른 횡혈식석실묘와의 차별성과 상하 계층관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항상 횡혈식 석실묘의 평면형태만을 기준으로 유형(형식) 분류를 하였기 때문에 이를 다른 유형의 횡혈식석실묘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특수성과 독자성을 갖는 속성을 추출하여 경주식 典型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을 설정하여, 다른 횡혈식석실묘와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 으로 전형 횡혈식석실묘와 일반 횡혈식석실묘의 제속성과 분포권에 따른 양상을 비교검토하여 그관계를 파악하였다. 전형 횡혈식석실묘는 노서동, 서악동, 충효동과 같은 경주의 중심지역 내 중핵부에 집중 분포하며 보문동, 용강동, 황성동 등 주변부로 나아갈수록 그 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여 일반 횡혈식석실묘와 혼재한다. 주변부의 횡혈식석실묘는 전형 횡혈식석실묘의 요소를 일부 채용하거나 모방하여 재현할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외곽지역의 횡혈식석실묘에는 제한을 두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서 경주지역에 축조된 횡혈식석실묘의 유형을 상하 계층관계가 반영된 3그룹(전형 횡혈식석실 묘, 현실 평면형태가 방형인 일반 횡혈식석실묘, 현실 평면형태가 횡장방형·장방형인 일반 횡혈식 석실묘)으로 대별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해당 고분군(축조집단)의 위계를 짐작할 수 있었다. In the late 6th century,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that disappeared and the walk in stone chamber tomb adopted in the Gyeongju region. The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main chamber entrance facilities, structural plane form, chamber size, method of first burial platform construction, attached facilities of first burial platform. In analysis the structural attributes set up basic style for all comparisons. Especially, It is particularities of Gyeongju region that walk in stone chamber tombs fully equipped with main chamber entrance facilities. Therefore, these kind of things have to set up a separate style,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 of Gyoengju style. General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as partly construct in imitation of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s. In this process of construct, some attributes of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as eroded or omitted. In addition, aspect of structural attributes by distribution-central region and peripheral region- shows a marked difference. There are stratification relation of top and bottom between central and peripheral.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of structural attributes of the walk in stone chamber tombs, the rank of complex of tombs was examined. As a result, 5 ranks can be observed based on the overall analysis. First and second rank belong to the upper group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third to five rank. Features of walk in stone chamber tombs of upper rank were full facilities of main chamber entrance, square plane form, big chamber size, high burial platform. In other words, their tombs were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s. It constructed in mostly central part of central region. In Surrounding part of central region or peripheral region, general walk in stone chamber tombs constructed. Later, Construction of the general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ere decreasing and phased out in Gyeongjuregion and provinces. On the other hand, Construction of the paragon walk in stone chamber tombs were is growing and developing.

      • KCI등재

        한성지역(漢城地域) 백제(百濟) 횡혈식석실묘(橫穴式石室墓) 연구(硏究) -서울 방이동,가락동 석실묘를 중심으로

        ( Hyun Sook Lee ) 백제학회 2013 백제학보 Vol.0 No.10

        최근 한성기 백제영역에서 발굴조사된 횡혈식석실묘의 존재는 많은 논쟁이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검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인식에는 의견을 함께한다. 본고에서는 한강유역에서 조사된 서울 방이동·가락동 횡혈식석실묘의 구조 분석을 통하여 백제적 특성을 이해하고, 한성백제 중앙의 횡혈식석실묘 존재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한성지역에서 조사된 횡혈식석실묘의 구조는 묘실평면에서 방형과 장방형의 전통이 확인되는데, 중심지에 분포하는 방이동·가락동 고분군 내에서는 모든 유형의 석실묘가 혼재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외곽지역에서는 장방형평면에 우편재의 연도로 정형화된 모습의 석실묘가 확인된다. 이러한 고분의 분포는 축조상의 선후관계와 위계차를 추론할 수 있는데, 백제 중앙사회 내 횡혈식석실묘 수용 초기의 다양성이 점차 정형화되어 한성 외곽지역에 적용되는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한성지역 내 석실묘의 부장유물이 토기와 착장형 장신구류에 제한된 모습을 보인다. 특히 하남 광암동·성남 판교·서울 우면동 일대에서 조사된 고분군에서는 금제 이식과 같은 착장형 장신구만이 부장되었을 뿐 별다른 위세품이나 武器類의 부장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제한적인 유물부장 모습은 한성백제 도성의 중앙과 한성외곽 영역, 그리고 주변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살피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한성 백제 중앙의 영역 내에 분포하는 횡혈식석실묘를 기준으로 도성 내 반경 20㎞이내의 한강유역권에 해당하는 범위를, 백제중앙에 의하여 直接的인 統制權에 포함된 한성지역일 가능성을 추론하였다. 한성지역 백제 횡혈식석실묘와의 비교를 통하여 방이동·가락동 횡혈식석실묘의 조영주체와 귀속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논지의 비약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한성지역 내 횡혈식석실묘에 대한 해석의 빈곤은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에서 확인되는 고고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한계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적극적인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해석하고자 하였으나, 논리적 비약이나 부족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 While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over the existence of stone-chamber tombs excavated from Baekje area of Hanseong Period, there are consent that it is critical material to review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er and province at Baekj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ts feature of Baekje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stone-chamber tombs at Bangi-dong and Garak-dong, Seoul around Han-river basin, and to review the existence status of stone-chamber tombs at the center of Hanseong Baekje. Structure of stone-chamber tombs excavated from Hanseong area is found to have the tradition of square and rectangle shape at the plane of burial chamber. While all types of stone chamber tones are mixed in the old tomb site of Bangi-dong anGd arak-dong distributed at the central site, standardized shape of stone-chamber tombs with rectangle plane and right-sided materials is found at the outskirt area. Such distribution of old tomb can be used to examine the sequence of construction and can be recognized as the processn iwhich the diversity of stonechamber tombs at the early period of acceptance in the central society of Baekje had been gradually standardized and applied to outskirt area of Hanseon.g In addition, artifacts buried at stone-chamber tombs in Hanseong area are confined to earthenware, wearing type accessories. In particular, almost no special show-off artifacts or weapons except wearing type accessories such as golden ear ornaments at old tomb site excavated from Gwangam-dong, Hanam·Pankyo, Seongnam·Womyeon-dong, Seoul. Such limited status of relic burial can serve as basic material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central area or outskirt area of capital city of Baekje, Hanseong, as well as surrounding area. In light of this, this study deduced the area corresponding to Han-river basin within 20㎞ radius from capital with stone-chamber tombs distributed in the central area of Baekje, Hanseong, to be Hanseong area included under direct control of central area of Baekje. There may be some jump of logic in the process of actively examining the main entity of creating stone-chamber tombs at Bangi-dong and Garak-dong and its jurisdiction issue through comparison with stone-chamber tombs of Baekje in Hanseong area. However, the lack of interpretation on stone-chamber tombs in Hanseong area posed too many restriction in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phenomenon found at Baekje provincial society of Hanseong period.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it through active analysis of data, but continuously complement jump of logic or insufficient areas.

      • KCI등재

        신라 통일기 왕경의 횡혈식석실묘 전개양상

        황종현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2

        The stone chamber tombs that are intensely distributed in the mountain ridges around Wanggyeong(capital) in the late middle ancient period to early middle period of Silla have gradually declined. For the result of such decline in stone tomb construction, it could be attributable to the facts of mutual interactions with the unification war, rearrangement of the legal system and strengthening of social strata, change of view on after-life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massive construction of royal palace and its capital and so forth. The stone tombs were constructed for the royal ways during the unification period, along with royal tombs, for extremely small part that was built by certain noble class due to the effect of Tang Dynasty’s emperors that King Taejong Muyeol initiated to accommodate as well as even more stringent social status of order compared to the middle ancient period. For the case of stone tombs built by the noble classes after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 was constructed in the plane location around Daereungwon District and Yonggang-dong and Hwangseong-dong area by upholding the Confucius Ancestor Upholding Ideals led by King Muyeol and royal tombs. From the late 7th century to the 8th century, with the stable political situation and advanced cultural competency, the royal tombs of Silla became even more splendid with the arrangement of diverse plants and Sipejijangsang (twelve zodiac animal signs). Also, the Royal Family Tomb System of the tomb of emperors in the Tang Dynasty was actively accommodated, and because of this,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s moved to the mountain ridges of the king’s way. The tombs for some noble classes that imitated such royal family tomb system of royal tombs became even more extravaganza to show the tendency to independently built in the mountainous outskirt ridges. Through this finding, the Silla society in the middle era was the noble class-oriented society with stringent personal identity system. 신라 중고기 후반에서 중대 초 왕경의 주변 산지에 군집하여 분포하던 횡혈식석실묘는 점차 감소한다. 왕경의 횡혈식석실묘 감소요인으로는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된 통일전쟁, 율령체제의 정비와 신분제의 강화, 불교의 대중화로 인한 내세관의 변화, 대대적인 왕궁과 왕경의 조성 등이 서로 맞물려 작용한 결과로 추론하였다. 통일기가 되면서 왕도의 석실묘는 태종 무열왕이 주도적으로 수용한 당제의 영향과 중고기에 비해 한층 엄격해진 신분질서로 인해 왕릉과 일부 귀족들이 조성한 극히 일부만 축조된다. 통일 후 귀족들이 조성한 횡혈식석실묘의 경우 무열왕이 주도한 유교적 숭조사상(崇朝思想)과 왕릉의 입지를 본받아 대릉원지구와 용강동·황성동 일대 평지에 축조된다. 평지형 석실묘의 경우 대릉원지구 마립간기 마립간의 능으로 추정되고 있는 황남동 119호, 황남대총, 서봉총 등 초대형 적석목곽묘 주변에 입지하는 ‘평지 복귀형 횡혈식석실묘’와 북천 이북 황남동․용강동 일대 평지에 단독으로 입지하는 ‘평지 단독형 횡혈식석실묘’로 분류할 수 있다.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이후에는 안정된 정치 상황과 발전된 문화적 역량으로 신라의 왕릉은 다양한 석물과 십이지신상을 배치하는 등 더욱 화려해진다. 또 당 황제릉의 능원제도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그로 인해 왕릉의 입지는 왕도 외곽 산지로 이동한다. 이러한 왕릉의 능원제도를 모방한 일부 귀족들의 무덤 또한 더욱 화려해지며 외곽 산지에 독립적으로 축조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통일기 횡혈식석실묘의 감소, 입지의 변화, 내부구조와 외표시설 등의 양상은 중대 신라사회를 이해하는데 유의미한 고고학적 자료라 할 수 있다.

      • 漢城地域 百濟 橫穴式石室墓 硏究 - 서울 방이동·가락동 석실묘를 중심으로

        이현숙 백제학회 2013 백제학보 Vol.0 No.10

        While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over the existence of stone-chamber tombs excavated from Baekje area of Hanseong Period, there are consent that it is critical material to review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er and province at Baekj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ts feature of Baekje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stone-chamber tombs at Bangi-dong and Garak-dong, Seoul around Han-river basin, and to review the existence status of stone-chamber tombs at the center of Hanseong Baekje. Structure of stone-chamber tombs excavated from Hanseong area is found to have the tradition of square and rectangle shape at the plane of burial chamber. While all types of stone chamber tones are mixed in the old tomb site of Bangi-dong anGd arak-dong distributed at the central site, standardized shape of stone-chamber tombs with rectangle plane and right-sided materials is found at the outskirt area. Such distribution of old tomb can be used to examine the sequence of construction and can be recognized as the processn iwhich the diversity of stonechamber tombs at the early period of acceptance in the central society of Baekje had been gradually standardized and applied to outskirt area of Hanseon.g In addition, artifacts buried at stone-chamber tombs in Hanseong area are confined to earthenware, wearing type accessories. In particular, almost no special show-off artifacts or weapons except wearing type accessories such as golden ear ornaments at old tomb site excavated from Gwangam-dong, Hanam·Pankyo, Seongnam·Womyeon-dong, Seoul. Such limited status of relic burial can serve as basic material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central area or outskirt area of capital city of Baekje, Hanseong, as well as surrounding area. In light of this, this study deduced the area corresponding to Han-river basin within 20㎞ radius from capital with stone-chamber tombs distributed in the central area of Baekje, Hanseong, to be Hanseong area included under direct control of central area of Baekje. There may be some jump of logic in the process of actively examining the main entity of creating stone-chamber tombs at Bangi-dong and Garak-dong and its jurisdiction issue through comparison with stone-chamber tombs of Baekje in Hanseong area. However, the lack of interpretation on stone-chamber tombs in Hanseong area posed too many restriction in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phenomenon found at Baekje provincial society of Hanseong period.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it through active analysis of data, but continuously complement jump of logic or insufficient areas. 최근 한성기 백제영역에서 발굴조사된 횡혈식석실묘의 존재는 많은 논쟁이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검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인식에는 의견을 함께한다. 본고에서는 한강유역에서 조사된 서울 방이동·가락동 횡혈식석실묘의 구조 분석을 통하여 백제적 특성을 이해하고, 한성백제 중앙의 횡혈식석실묘 존재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한성지역에서 조사된 횡혈식석실묘의 구조는 묘실평면에서 방형과 장방형의 전통이 확인되는데, 중심지에 분포하는 방이동·가락동 고분군 내에서는 모든 유형의 석실묘가 혼재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외곽지역에서는 장방형평면에 우편재의 연도로 정형화된 모습의 석실묘가 확인된다. 이러한 고분의 분포는 축조상의 선후관계와 위계차를 추론할 수 있는데, 백제 중앙사회 내 횡혈식석실묘 수용 초기의 다양성이 점차 정형화되어 한성 외곽지역에 적용되는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한성지역 내 석실묘의 부장유물이 토기와 착장형 장신구류에 제한된 모습을 보인다. 특히 하남 광암동·성남 판교·서울 우면동 일대에서 조사된 고분군에서는 금제 이식과 같은 착장형 장신구만이 부장되었을 뿐 별다른 위세품이나 武器類의 부장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제한적인 유물부장 모습은 한성백제 도성의 중앙과 한성외곽 영역, 그리고 주변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살피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한성 백제 중앙의 영역 내에 분포하는 횡혈식석실묘를 기준으로 도성 내 반경 20㎞이내의 한강유역권에 해당하는 범위를, 백제중앙에 의하여 直接的인 統制權에 포함된 한성지역일 가능성을 추론하였다. 한성지역 백제 횡혈식석실묘와의 비교를 통하여 방이동·가락동 횡혈식석실묘의 조영주체와 귀속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논지의 비약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한성지역 내 횡혈식석실묘에 대한 해석의 빈곤은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에서 확인되는 고고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한계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적극적인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해석하고자 하였으나, 논리적 비약이나 부족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

      • KCI등재

        하남 감일동 백제고분군 발굴조사 성과

        강태홍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7

        The Gamil-Dong tumuli, Hanam city, include 52 stone chamber tombs with horizontal entrance and 2 vertical stone lined tombs. All the entrance passages of chamber tombs a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end. As for the grave goods, flat mouthed jar, miniature pottery, celadon ewers with chicken-head and tiger-head spouts, golden marble, sliver hairpin, silver ring, and crossbow were found. The site is the only large scale tumuli close to the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earthen fortifications, the two centers of Hanseong-Baekje. In this regard, Gamil-Dong can be considered as the cemetery for the social elites. Furthermore, the temporal range of excavated pots is limited to Hanseong-Baekje era. Especially, the miniature pottery of traditional wood-burning stove, or “Bu-tu-mak” found at the site was also witnessed in China, Japan, and Goguryeo of the same period. The presence of celadon ewers with chicken-head and tiger-head spouts provide additional evidence of the intimate interaction between Baekje and China. The stone chamber tomb of Hanseong-Baekje period requires thorough investigations in terms of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identity of the builders, possibility of reusability, etc. However, due to its scarcity, many of these aspects are unknown. The excavation of Gamil-Dong site will provide invaluable insight into the overall information related to tombs of Hanseong-Baekje period. 하남 감일동 고분군은 한성백제 횡혈식석실묘 52기와 수혈식석곽묘 2기가 조사된 대규모의 매장유적이다. 석실묘는 모두 장방형의 우편재연도로 반지하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부장품으로 직구호, 모형토기, 청자계수호 및 호수호, 금제구슬, 은제 가랑비녀, 은제 지환, 쇠뇌 등이 출토되었다. 감일동 고분군은 한성백제의 중심지역이라 할 수 있는 풍납·몽촌토성 지역과 인접하여 입지하고 있는 유일한 대단위 고분군으로 현재 조사된 한성백제시대 중앙귀족의 무덤군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현재까지 조사된 다른 고분군과는 다르게 부장품이 한성백제기 토기만이 출토되고 있다. 특히 부뚜막 모형토기세트는 다른 모형토기와는 달리 중국의 漢墓와 고구려, 낙랑 고분, 일본의 횡혈식석실묘에서 그 사례를 찾을 수 있으며, 청자계수호 및 호수호 등의 중국 자기의 출현은 그 당시 중국과의 교류 뿐 아니라 이 묘역이 당대 최고 귀족층의 묘역임을 추정케한다. 한성백제기의 횡혈식석실묘는 웅진사비기의 석실묘와 달리 축조주체의 논란, 석실재사용, 도입시기 등 많은 논의가 필요함에도 그동안 조사 사례가 소략하여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해왔다. 그러나 이번 감일동 고분군 조사로 이 시기의 매장관념을 비롯한 장제와 축조수법 및 한성백제 묘제의 존속시기 등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또한 주변 사례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한성백제 매장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만경강유역 백제 사비시기 횡혈식석실묘의 확산과 그 의미

        이문형 호남고고학회 2019 湖南考古學報 Vol.63 No.-

        최근 만경강유역의 지천인 전주천과 삼천천을 중심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백제 횡혈식석실묘 자료 역시 적지 않게 축척되었다. 횡혈식석실묘는 백제 중앙세력에 의해 수용되어 중앙집권적 통치체제가 확립된 사비시기까지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한 묘제이다. 따라서 만경강유역의 횡혈식석실묘를 사비시기 부여지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당시 백제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Ⅱ장에서는 백제 사비시기의 대표 유적인 부여 능산리고분군과 염창리유적의 횡혈식석실묘의 특징을 살펴보는 동시에 만경강유역에서 조사된 백제 분묘유적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백제 중앙(부여지역)과 만경강유역 횡혈식석실묘의 구조와 출토유물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큰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보아 당시 사비시기 중앙집권적 통치체제가 만경강유역 횡혈식석실묘에도 투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여지역에서 보이지 않는 주구의 설치는 기존 분구묘의 전통으로, 부여지역에서 확인되는 터널식(석실) 유형의 부재는 백제의 지방지배체제인 간접지배방식의 결과로 보았다. 이러한 만경강유역의 횡혈식석실묘는 7세기 무왕의 익산 경영과 맞물려 사비유형의 전형적인 횡혈식석실묘가 내륙지역으로 확산되기에 이른다.

      • KCI등재

        신라 횡혈식석실묘의 십이지상과 진묘 인식

        김수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3 민족문화논총 Vol.85 No.-

        횡혈식석실묘는 고대 동아시아에서 크게 유행했던 묘제로서 신라에서도 적석목곽묘에 이어 지배계층의 묘제로 수용되었다. 부장품으로서 벽사진묘 명기의 등장은 신라의 묘제 변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의 적석목곽묘는 수혈식 묘제이기에 일회성이며 폐쇄적인 구조인데 횡혈식석실묘는가택과 유사하게 입구와 연도, 묘실로 구성되어 있는 개방적인 무덤구조이며도굴이나 무덤 훼손 혹은 눈에 보이지 않는 사기 등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벽사진묘 명기를 배치하기 때문이다. 신라는 석실묘라는 개방형의 새로운 묘제와 수반되는 이러한 명기들도 수용하였을 것이다. 중국을 비롯한 고구려, 백제의 횡혈식석실묘에는 무덤입구나 묘실을 수호하기 위해 여러종류의 문지기인 진묘자를 묘실의 내부에 배치한다. 신라의 경우 대부분의 석실묘에서는 벽화를 채택하지 않았기에 고구려나 백제와 같이 벽화로 그려진진묘자에 대한 표현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신라의 석실묘에서는 방위신인 십이지지용이 진묘자로 나타난다. 십이지상은 초기에는 묘실 내부에 다른 도용들과 함께 배치되었으나 점차 묘실 밖에 매납되고 능의 호석을 장식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신라의 십이지상은 평상복과 갑주를 입은 복식으로 나타나고 무기를 지물로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신라의 석실묘에서는 십이지상을 문지기 즉 진묘자로 채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A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entrances is a burial system which was very popular in ancient East Asia and was also employed as a burial system for the ruling class in the Silla dynasty. The appearance of talismanic exquisite instruments as burial accessories is assumed to be related to changes in the Silla burial system. As the Silla wooden chamber with stone mound are a stone-lined pit, they have a one-time closed structure. However, the with talismanic exquisite instruments to prevent intrusion from outside, such as tomb theft, tomb damage, or invisible evil spirits. The Silla dynasty would have employed a new type of burial system known as a stone chamber tomb and these associated exquisite instruments as well. In the case of with Now that the Silla dynasty did not adopt mural paintings for most of the stone chamber tombs, the vestiges of tomb guardians are hardly found unlike the mural pain tin gs of However, a dragon which is on e of the twelve zodiac an imal deities and defense deity appears as a tomb guardian in the Silla stone chamber tomb. The twelve zodiac animal deities were placed along with other clay figures inside the tomb chamber in the early period but gradually buried outside the tomb chamber and changed into ornaments of stone circles around the tomb. The twelve zodiac animal deities of Silla wore ordinary clothes or armors and bore weapons as features, which suggests that the twelve zodiac animal deities were used as gatekeepers, tomb guardians, in the stone chamber tombs of Silla.

      • KCI등재

        고구려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 연구 - 관대를 중심으로 -

        이동규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6

        고구려 묘제의 특성상 고분의 내부로 출입하기 용이하여 매장 관념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횡혈 식석실묘의 내부구조는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 연구사례는 많지 않다. 관대는 내부의 여러 구조들 중에서 피장자와 가장 가깝고 긴밀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관대 의 속성을 추출한 다음 현실 구조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지역성과 위계를 분석하였다. 관대의 속성으로는 재질·개수·위치가 추출되었으며, 관대 속성들의 분석결과 몇 가지의 결 과를 얻었다. 첫째, 관대의 규모를 통해 1인의 점유면적 및 지역적 양상을 검토하여 1인용과 2인 용 관대의 기준 너비를 파악하였고, 지역별로 관대 규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관대 높이와 재질을 검토한 결과 비슷한 재질들에 의해 3개 그룹으로 나뉘며 그룹별로 높이 차이가 있음이 확 인되었다. 또한 관대 재질별로 제작되는 관대의 규모가 달라지는데 특히 2B·2C형일 때 2인용 을 제작하는 빈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관대 형식이 다르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셋째, 관 대의 개수와 지역성의 검토 결과 지방보다 중앙에서 관대가 시설된 수의 비율이 높았으며, 관대 위치별 제원 차이를 검토한 결과 최상위 위계일수록 좌·우측 관대의 크기 차이가 확인되고 좌측 관대가 더 큰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관대와 현실·연도·천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현실 규모에 따라 관대 의 형식이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권역의 중심(평양, 집안)에서 중앙연도일 때 관대의 시설 비율이 높았고, 반대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편재연도일 때 시설 비율이 높았다. 셋째, 천장 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평행삼각고임 등의 높은 천장일 때 관대가 시설되었으며, 같은 고분군 내 에서는 천장과 관대가 비슷한 패턴으로 시설되었다. 마지막으로 관대의 재질과 위치·개수로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를 중앙과 지방, 권역 별로 각각의 특징을 구분한 결과 상위 위계의 조건을 가질수록 지방보다는 중앙, 특히 집안과 평 양에서 축조된 횡혈식석실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위계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이 중앙과 지방을 구분하는 지역성의 조건도 함께 충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Goguryeo tombs of the later period may be classified as horizontally-prepared stone chamber tombs. Among others, the inner structure of horizontally-prepared burial tombs, which given their characteristics show relatively well the concept of burial with their allowance of easy access to inside the tomb, may have a great academic value; however, this is rarely the case at the present. Since the coffin platform has the nearest and closest relationship with the buried person among the various inner structures, the paper extracted the attributes of the coffin platform itself, and analyzed locality and hierarchy by reviewing a correlation with the main chamber structure. As attributes of a coffin platform, materials, number, and location were determined.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ttributes of coffin platforms, the paper obtained the following several results. First, through the size of a coffin platform, the paper reviewed the area occupied by one person and regional patterns; thus, it identified the standard width of a coffin platform for one person and two persons and confirmed any difference in the coffin platform size by region.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height and materials of a coffin platform, it was found that they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the groups were formed in accordance with similar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height according to group. In looking into the materials of a coffin platform and locality of a coffin platform for one person and two persons, the coffin platform size wa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materials used for manufacture of the coffin platform. The frequency of a coffin platform manufactured for two persons in case of 2B·2C types was high.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of coffin installed by region was different.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number of coffin platforms and locality,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coffin platforms was higher in the central region than in local regions. As a result of reviewing any difference in siz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offin platforms, there was mor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offin platform as the hierarchy increased, and the tendency for the left coffin platform to become bigger was confirmed.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the main chamber structure, first, in case the main chamber size is large and square-shaped or in case the main chamber size is small and rectangular, the form of the coffin platform was relatively clearly classified.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ffin platform and tomb entranceway,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tombs in Pyungyang and Jiban with central tomb entranceways installed, and the farther from the center,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lopsided tomb entranceway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tomb entranceway to be installed so that the coffin platform could not be seen from the entranceway. Third,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eiling, in case the ceiling was high rather than a flat ceiling, a coffin platform was installed. In case of a space inside the same tombs, for mutually similar ceilings, the same form of coffin platform was installed. Finally, one certain attribute cannot be an absolute standard that classifies locality and hierarchy. Also, in reviewing comprehensively all the factors of a coffin platform and the components of horizontally-prepared stone chamber tombs, a classification of locality and hierarchy appears clearly.

      • KCI등재

        정읍지역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분포와 현황

        이문형(Lee, Moon Hyo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3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일대는 백제 사비기 오방성 가운데 중방성이 자리한 고사부리성의 인접지역으로, 주변에는 백제시대의 고분 약 270여기가 밀집 분포하고 있다. 조사된 은선리고분을 통해 횡혈식석실묘유형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유형은 평면형태는 장방형으로 우측에 연도를 개설한 터널식 형태로 그 시기는 5세기말에서 6세기 초반으로 추정된다. 제2유형은 역시 장방형의 평면형태에, 중앙에 연도를 개설한 단면 육각형 형태의 고임식으로 벽체는 모두 판석으로 축조되었다. 마지막 제3유형은 장방형의 평면형태에 천장은 평천장(수평식)으로 7세기 초에 등장하여 백제멸망기까지 지속적으로 축조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들 고분 대다수가 백제 중앙 묘제인 횡혈식석실묘인 점, 그 축조시기가 사비시기인 점 등을 종합해 볼 때 그 축조집단은 중방성(고사부리성)과 깊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서부 저평한 구릉에 분포하고 있는 운학리 및 지사리고분군은 입지 지형과 분포 상태 등으로 보아 마한시기의 분구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부적인 현황과 성격은 알 수 없다. 다만, 운학리 C호분에서 출토된 금동제투조과판은 진식대구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공반 출토된 규형판금구은 성시구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출토유물로 볼 때 그 피장자는 당시 이 일대에서 성장한 최고 수장층의 무덤으로 판단된다. 종합해보면 영원면 일대에는 경제력과 교통로를 바탕으로 분구묘를 축조한 재지세력이 있었으며, 영원면 일대에 축조된 수 백 여기의 횡혈식석실묘는 이들 재지세력이 백제로 편입 혹은 재편하는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던 주인공으로 판단된다. Over the area of Yeongwon-myeon, Jeoeup-si, the relics of approximately 270 tombs of Baekje era are densely distributed. The area was identified to be next to Gosaburi Castle in which Jungbang (central) Castle is located as one of Obang (five-cornered) Castles in Baekje Sabi period. From the analysis into types of tunnel stone chamber tombs within the group of old tombs in Eunseon-ri, it was made known that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3 major types. The first one is the tunnel type which is of plane rectangle shape with a tomb entrance passage installed on the right,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ill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 second type is also of plane rectangle shape but with a tomb entrance passage installed in the center.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shows that it was propped up in hexagonal form and its wall was made all of flagstones. The last type has the plane rectangle shape with flat ceiling, which began to appear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lasting uninterruptedly upto the fall of Baekje Kingdom. As a consequence, it may be logically inferred that the group which constructed the tombs c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Jungbang Castle (Gosaburi Castle) in that most old tombs in this area were tunnel-typled stone chamber ones which belonged to the central tomb system of Baekje era and that they were constructed during the Sabi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group of old tombs in Unhak-ri and Jisa-ri distributed over the low, even, hilly district in the west are believed to be mounded burial tombs of Mahan period judging from their location and lay of the ground, but detailed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However, Geumdongjetujogwapan (gilt bronze ornament) excavated from the tomb C in Unhak-ri seemed to allow us to reason that it is a kind of Jinsikdaegu (ornaments) and Gyuhyeongpangeumgu (land surveying instrument) unearthed together might be an accessory for a quiver. The unearthed relics are most highly suggesting that the buried in the tomb must be a chieftain who had grown to have won great power in the region. In sum, it might be said that there were strongmen in the area of Yeongwon-myeon who could construct mounded burial tombs thanks to their riches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They must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process of their integration into Baikje Kingdom or reorganization of their political power, it is supposed. The outcomes of such transformation are thought to be demonstrated by several hundreds of tunnel stone chamber tombs constructed around the region of Yeongwon-myeon.

      • KCI등재

        논문 : 탐진강유역 석실묘의 도입과 전개

        신흥남 ( Heung Nam Shin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2 No.-

        탐진강유역은 지리적 여건상 영산강유역과는 다른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다. 석실묘에 있어서도 영산강유역에 비해 등장 시기가 늦는 것으로 보이며 초기에 등장하는 석실묘의 경우 비슷한 시기의 영산강유역이나 백제 중앙과는 다소 차이가 확인된다. 탐진강유역의 횡혈식석실묘는 현실의 세장도에 따라 크게 3개의 형식으로 분류되는데 방형에 가까운 Ⅰ식은 6세기 중엽~7세기 중엽, 장방형에 가까운Ⅱ식은 6세기 후엽~7세기 중엽으로 편년되며, 세장방형에 가까운 Ⅲ식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횡혈식석실묘는 Ⅰ식인데 방형에 가까운 평면형태와 더불어 입지에 있어서도 평지에 가깝고 석실이 지하보다는 지상에 가까운 위치에 시설된다. 또한 유물에 있어서도 초기 횡혈식석실묘에서 출토되는 유물 일부에서 영상간유역의 제작기법이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 때 탐진강유역의 석실묘는 영산강식석실묘의 영향을 받아 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배경으로는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본격적인 영산강유역 진출과 관련하여 영산강유역 일부 세력이 탐진강유역으로 이주해 왔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의 석실묘군이 기존의 고분군과 구분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새로운 이주 세력은 기존 세력과 구분되는 지역에 정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탐진강유역의 횡혈Ⅱ식은 백제식석실로 6세기 후엽경 도입되어 Ⅰ식과 함께 7세기 중엽까지 공존한다. Ⅲ식은 Ⅱ식이 퇴화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출토유물로 보아 통일신라~고려시대로 추정된다. 횡구식석실묘는 6세기 후엽경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바닥처리 방식에 따라 3개의 형식으로 구분 가능하다. 출토되는 유물을 통해 볼 때 횡구Ⅰ식은 백제 사비기, 횡구Ⅱ식은 통일신라, 횡구Ⅲ식은 고려시대에 해당되는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변화 양상은 영산강유역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The corridor-style stone-chamber tombs of the Tamjin River valley ar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types based on their slenderness: Type I, close to a square, was built from the middle 6th century to the middle 7th century AD; Type II, close to a rectangle, was built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middle 7th century AD; and Type III, close to a thin rectangle, was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It was Type I that first appeared in the valley.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Yeongsan River valley were found in some artifacts excavated in the early corridor-style stone-chamber tombs. This suggests that people started to build stone-chamber tombs in the Tamjin River valley under the influence of the stone-chamber tombs in the Yeongsan River valley. Type II was introduced in the late 6th century and coexisted with Type I until the middle 7th century. With the degradation of Type II, Type III emerged and lasted throughout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Stone-chamber tombs with horizontal entrances first appeared in the late 6th century an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floor-processing facilities. Given the excavated artifacts, Type I falls into the Sabi Period of Baekje, Type II into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ype III into Goryeo period. The same chronological patterns were found in the Yeongsan River vall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