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 연구 - 관대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5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 묘제의 특성상 고분의 내부로 출입하기 용이하여 매장 관념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횡혈 식석실묘의 내부구조는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 연구사례는 많지 않다. 관대...

      고구려 묘제의 특성상 고분의 내부로 출입하기 용이하여 매장 관념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횡혈 식석실묘의 내부구조는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 연구사례는 많지 않다. 관대는 내부의 여러 구조들 중에서 피장자와 가장 가깝고 긴밀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관대 의 속성을 추출한 다음 현실 구조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지역성과 위계를 분석하였다. 관대의 속성으로는 재질·개수·위치가 추출되었으며, 관대 속성들의 분석결과 몇 가지의 결 과를 얻었다. 첫째, 관대의 규모를 통해 1인의 점유면적 및 지역적 양상을 검토하여 1인용과 2인 용 관대의 기준 너비를 파악하였고, 지역별로 관대 규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관대 높이와 재질을 검토한 결과 비슷한 재질들에 의해 3개 그룹으로 나뉘며 그룹별로 높이 차이가 있음이 확 인되었다. 또한 관대 재질별로 제작되는 관대의 규모가 달라지는데 특히 2B·2C형일 때 2인용 을 제작하는 빈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관대 형식이 다르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셋째, 관 대의 개수와 지역성의 검토 결과 지방보다 중앙에서 관대가 시설된 수의 비율이 높았으며, 관대 위치별 제원 차이를 검토한 결과 최상위 위계일수록 좌·우측 관대의 크기 차이가 확인되고 좌측 관대가 더 큰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관대와 현실·연도·천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현실 규모에 따라 관대 의 형식이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권역의 중심(평양, 집안)에서 중앙연도일 때 관대의 시설 비율이 높았고, 반대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편재연도일 때 시설 비율이 높았다. 셋째, 천장 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평행삼각고임 등의 높은 천장일 때 관대가 시설되었으며, 같은 고분군 내 에서는 천장과 관대가 비슷한 패턴으로 시설되었다. 마지막으로 관대의 재질과 위치·개수로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를 중앙과 지방, 권역 별로 각각의 특징을 구분한 결과 상위 위계의 조건을 가질수록 지방보다는 중앙, 특히 집안과 평 양에서 축조된 횡혈식석실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위계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이 중앙과 지방을 구분하는 지역성의 조건도 함께 충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guryeo tombs of the later period may be classified as horizontally-prepared stone chamber tombs. Among others, the inner structure of horizontally-prepared burial tombs, which given their characteristics show relatively well the concept of burial wi...

      Goguryeo tombs of the later period may be classified as horizontally-prepared stone chamber tombs. Among others, the inner structure of horizontally-prepared burial tombs, which given their characteristics show relatively well the concept of burial with their allowance of easy access to inside the tomb, may have a great academic value; however, this is rarely the case at the present. Since the coffin platform has the nearest and closest relationship with the buried person among the various inner structures, the paper extracted the attributes of the coffin platform itself, and analyzed locality and hierarchy by reviewing a correlation with the main chamber structure. As attributes of a coffin platform, materials, number, and location were determined.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ttributes of coffin platforms, the paper obtained the following several results. First, through the size of a coffin platform, the paper reviewed the area occupied by one person and regional patterns; thus, it identified the standard width of a coffin platform for one person and two persons and confirmed any difference in the coffin platform size by region.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height and materials of a coffin platform, it was found that they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the groups were formed in accordance with similar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height according to group. In looking into the materials of a coffin platform and locality of a coffin platform for one person and two persons, the coffin platform size wa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materials used for manufacture of the coffin platform. The frequency of a coffin platform manufactured for two persons in case of 2B·2C types was high.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of coffin installed by region was different.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number of coffin platforms and locality,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coffin platforms was higher in the central region than in local regions. As a result of reviewing any difference in siz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offin platforms, there was mor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offin platform as the hierarchy increased, and the tendency for the left coffin platform to become bigger was confirmed.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the main chamber structure, first, in case the main chamber size is large and square-shaped or in case the main chamber size is small and rectangular, the form of the coffin platform was relatively clearly classified.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ffin platform and tomb entranceway,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tombs in Pyungyang and Jiban with central tomb entranceways installed, and the farther from the center,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lopsided tomb entranceway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tomb entranceway to be installed so that the coffin platform could not be seen from the entranceway. Third,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eiling, in case the ceiling was high rather than a flat ceiling, a coffin platform was installed. In case of a space inside the same tombs, for mutually similar ceilings, the same form of coffin platform was installed. Finally, one certain attribute cannot be an absolute standard that classifies locality and hierarchy. Also, in reviewing comprehensively all the factors of a coffin platform and the components of horizontally-prepared stone chamber tombs, a classification of locality and hierarchy appears clea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관대가 있는 횡혈식석실묘의 분포와 현황
      • Ⅲ. 관대의 속성 및 분류
      • 1. 재질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관대가 있는 횡혈식석실묘의 분포와 현황
      • Ⅲ. 관대의 속성 및 분류
      • 1. 재질
      • 2. 개수
      • 3. 위치
      • Ⅳ. 관대 분석과 현실 구조와의 상관관계
      • 1. 구조적 속성 분석
      • 2. 관대와 현실의 관계
      • 3. 관대와 연도의 관계
      • 4. 관대와 천장의 관계
      • 5. 관대와 벽화의 관계
      • Ⅴ. 관대에 나타난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
      • 1. 관대에 나타난 지역성
      • 2. 관대에 반영된 위계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정용,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2 권오영,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고구려연구재단, "평양일대 고구려유적" 2005

      4 한국고대사학회, "집안 지역 고구려 왕릉의 제문제" 2005

      5 동북아역사재단,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유물 Ⅰ·Ⅱ" 진인진 2008

      6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 3·4·5·6" 외국문종합출판사 1989

      7 사회과학원출판사, "조선고고학전서 30~33" 진인진 2009

      8 리순진, "조선고고연구 4"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1990

      9 리경식, "조선고고연구 4"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1988

      10 "조선고고연구 1"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2001

      1 성정용,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2 권오영,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고구려연구재단, "평양일대 고구려유적" 2005

      4 한국고대사학회, "집안 지역 고구려 왕릉의 제문제" 2005

      5 동북아역사재단,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유물 Ⅰ·Ⅱ" 진인진 2008

      6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 3·4·5·6" 외국문종합출판사 1989

      7 사회과학원출판사, "조선고고학전서 30~33" 진인진 2009

      8 리순진, "조선고고연구 4"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1990

      9 리경식, "조선고고연구 4"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1988

      10 "조선고고연구 1"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2001

      11 고재만, "석회석의 소성기술" 한국광물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

      12 박순발, "백제 도성의 시말(百濟 都城의 始末)" 중앙문화재연구원 (13) : 1-34, 2013

      13 주영헌, "문화유산 6" 과학원출판사 1962

      14 권오영, "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 2008

      15 김용남, "력사과학 3"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16 김사봉, "력사과학 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0

      17 전제현, "동명왕릉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94

      18 김일성종합대학, "동명왕릉과 그 부근의 고구려유적"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76

      19 이동규, "관대를 통해 본 고구려 횡혈식석실묘의 지역성과 위계"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4

      20 중앙문화재연구원, "고구려의 고분 문화 Ⅰ" 진인진 2013

      21 손수호, "고구려고분연구" 사회과학출판사 2001

      22 정다이, "고구려 석실봉토분의 구조변천과 계층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23 강현숙, "고구려 봉토석실분의 변천에 관하여" 한국고고학회 31 : 1994

      24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2000

      25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6 고고학연구소, "고고학자료집 Ⅴ·Ⅵ" 민족문화 1995

      27 江介也, "魏晉南北朝墓の分類と型式組成" 6 : 2006

      28 박순발, "高句麗의 都城과 墓域"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2) : 43-94, 2012

      29 魏存成, "高句麗遺蹟" 文物出版社 2002

      30 東湖, "高句麗考古學硏究" 吉川弘文館 1997

      31 魏存成, "高句麗考古" 삼성문화재단 1996

      32 張福有, "高句麗王陵通考" 4 : 2007

      33 朝鮮總督府, "高句麗時代之遺蹟 上·下" 1930

      34 東湖,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1995

      35 孫仁杰, "集安高句麗墓葬" 香港亞洲出版社 2007

      36 여호규, "集安地域 고구려 超大型積石墓의 전개과정과 被葬者 문제" 한국고대사학회 (41) : 85-134, 2006

      37 鄒厚本, "江蘇考古十五年" 南京出版社 2000

      38 김태영, "平壤地域의 高句麗 無壁畵 單室墳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39 백종오, "南韓內 高句麗 古墳의 檢討" 고구려발해학회 35 : 221-250, 2009

      40 조영현, "傳東明王陵의 築造時期에 대하여" 계명사학회 15 : 2004

      41 趙俊杰, "4-7世紀~載宁流域封土石室墓硏究" 吉林大學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