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에 따른 교육 환경의 변천에 관한 연구 -VR 기술을 중심으로-

        왕춘양(Wang Chunyang),이종한(Lee jong-ha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3

        오늘날까지 중국의 교육 환경이 전통적인 교육 환경 시대에서 인터넷 교육 환경 시대로 발전되었고 VR(Virtual reality) 기술의 등장과 응용으로 인터넷교육 환경을 새로운 시대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곧 보급된 5G 기술을 대면하여 기존 있는 교육 환경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VR 기술(가상현실 기술) 교육 환경의 응용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미디어 교육 이론, 구조주의(Constructivism) 이론 및 몰입이론을 통하여 VR의 몰입성(Immersion), 상호작용성 및 가상성(imagination) 3가지 특성이 교육 환경에서 구현되는 장점을 분석하였다. 이는 완전히 전통적 교육 환경을 변화시키는 패턴이고 인터넷 교육 환경을 부족을 보완하여 교육 환경을 완전히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켰다. 인터넷 5G 시대에 진정한 진실적이고 가상적이지 않으며, 가상으로 진실을 보충하고 가상으로 진실을 대체하는 가상과 현실을 결합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가상 시뮬레이션(Virtual Simulation) 교육 환경 자원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여 VR 기술은 교육 환경에서의 가치 극대화를 실혈할 수 있으며, 인터넷 5G 시대의 새로운 교육 환경 모델을 형성하여 중국의 교육 환경에 가장 유리한 보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Nowadays, China’s education scene has entered the era of Internet + education scene from the era of traditional education scene. The emergence and application of VR technology has brought the era of Internet + education scene into a new stage. However, facing with the upcoming popularization of 5G technology, the existing scenarios will face new challenges.This paper takes the application of VR technology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educational scene as the research object, and analyzes the advantages of immersive, interactive and conceptual features of VR in educational scene application through three theories of media teaching theory, constructionist theory and immersion theory, which subverts the traditional mode of education scene to make up for the deficiency of Internet + education scene and bring education scene into a new stage. In the era of 5G, it is necessary to build a database of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scene resources to maximize the value of VR technology in education scenes by making the image become reality, making up for reality with image, replacing reality with image and combining reality with image, which forms a new type of education scene mode in the era of 5G Internet to provide the most favorable guarantee for China’s education prospects.

      • KCI등재후보

        환경 친화적인 경제교육이 유아의 환경의식과 경제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주영(Ju Young Kim),오연주(Yeon Joo Oh)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환경 친화적인 경제교육이 유아의 환경의식과 경제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시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00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만 4, 5세 유아 25명(남 13명, 여12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에게는 5주간 15회의 환경 친화적 경제교육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유아 25명 (남13명, 여12명)으로 구성된 비교집단에게는 일반 교육과정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를 이용한 분석결과 환경 친화적 경제교육활동은 유아의 경제개념에서는 희소성, 화폐가치, 가격과 교환의 이해를 향상시켰으며, 환경의식에서는 자연 친화적 태도, 환경보전 태도에 모두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경제교육활동의 성별에 따른 효과 차이는 경제개념에서는 없었으나, 환경의식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자연 친화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제교육활동의 연령에 따른 효과 차이는 경제개념에서는 만 5세 유아가 선택개념, 희소성 개념, 화폐가치 개념에서, 환경의식에서는 환경보전태도가 높게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환경교육과 경제교육을 서로 독립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 복합적 교육인 환경 친화적인 경제생활을 실시함으로써 유아들에게 환경과 경제의 상호관계를 바르게 인식시키고, 환경적으로 건전하며 친환경적인 심성과 개발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conomic concepts.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Does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affect on young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2. Does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affect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 awar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st 100 children of 4 and 5 years old in H nursery and S nursery, both of which shar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experiment group of 25 children (boy 13, girl 12) and control group of 25 children (boy 13, girl 12).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5 times for 5 weeks only for experimental group. The test tool for basic economic concepts adopted for this study is based upon interview questionnaires by Hyung-Won Han (1988) an Soo-Mi Jung (1990) and revised by Mi-Hyun Kim (1997). To test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CATES-PV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 Preschool Version) by Musser and Diamond (1990) and modified by Yoon-Jung Hur"s (2001) has been used. To verify the research topics, t-test was conducted and covariance analysis was partially given as wel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rity, currency value, price and exchang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oice and opportunity cost. Second,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gender in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activity on basic econo mic concepts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conomics educ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age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the sub-elements of economic concepts of choice concept, rarity concept, and currency value concept. Fourth, the result of identifying environment-friendly economic educ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 awareness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attitudes. Fifth, the result of identifying environment-friendly economics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nature-friendly attitud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 preservation. Sixth,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in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 awareness reveals that five-year-olds show bigger significant difference than four-year-old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 awareness changes after the education in terms of age. The sub-element of environment preservation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at of nature preservation attitud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후보

        나딩스의 배려이론이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갖는 함의

        문경희 ( Kyeong Hee Moon ),남영숙 ( Young Sook Nam ),김기대 ( Kee Dae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이 학습자로 하여금 환경적으로 건전한 가치를 함양하게 하고 환경과의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나딩스의 배려이론의 문헌 고찰을 통하여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적용할수 있는 세 가지 교육적 원리를 도출하고 각각의 원리가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갖는 함의를 탐구하여 배려이론을 토대로 하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의 함의을 모색하였다. 나딩스의 배려이론에서 도출한 첫 번째 교육적 원리는 포함이다. 포함은 모든 교육활동에 기초가 되는 교사와 학생과의 배려 관계 형성을 위한 원리로, 포항의 원리는 환경가치교육자로 하여금 학생을 전적으로 수용하여 배려 관계를 깊게 할 것과 학생이 현재 환경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교육의 출발점요로 삼을 것을 요청한다. 두 번째 원리는 상호성이다. 상호성은 깊은 배려 관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지속하기 위한 원리로 상호성의 원리는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피배려자이나 환경과의 관계에서는 배려자인 학습자로 하여금 교사의 배려에 반응하여 배려 관계 유지에 기여할 것과 환경감수성을 개발하여 환경의 배려자료서의 위치를 확고히 할 것을 요청한다. 세 번째 원리는 관계적 자아의 개발이다. 관계적 자아는 배려 관계를 열망하는 자아에 대한 비전으로,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관계적 자아는 자신과 깊은 배려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교사의 영향을 받아 형성 발전한다. 따라서 과ㅏ 는 환경의 배려자가 되어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관계적 자아의 개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가치교육자이자 학생의 배려자인 교사의 역할과 교육의 일차적인 피배려자이자 환경을 위한 궁극적인 배려자인 학생의 위치에 대한 이해를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의 방향을 교사와 학생과의 배려 관계 기초한 학생과 환경과의 배려 관계 형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이 학습자의 인격적인 성장을 통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행위자를 육성하게 한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ree educational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literature reviews on Noddings` care theory, to research implications of each principle in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present its directions based on the care theory. The first principle induced from Noddings` care theory is "inclusion" a principle to form ca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at is the basis of all educational activities. The second principle is "reciprocity" a principle that maintains and retains the completed caring relationship. The third principle is "the development of a relational self", which is a vision for self aspiring caring relationship, formed and developed by effects of teacher``s attitude who completes caring relationship with students.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the carer of environment to become a role model positively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a relational self by a learner on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teachers as the carer of students and the givers of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and the position of students as the primary cared-for and the ultimate carer on environment, and sought th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s formation of cari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environment based on ca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sters environmentally sound doers by personal growth of leaners.

      • KCI등재

        2015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권영락(Youngrak Kwon),이재영(Jaeyoung Lee),김찬국(Chankook Kim),안재정(JaeJung Ahn),서은정(EunJung Seo),남윤희(Yunhee Nam),박은화(Eunwha Park),최소영(Soyoung Choi),안유민(Yumin Ah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이 연구는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방향과 주요 내용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은 기존의 환경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추구한 통합성의 강화와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실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과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을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이 결합된 형태로 진술하였다. 또한 학습량의 감축을 위해 학교급간 내용중복을 최소화하였으며, 학교급간 연계성과 위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접근 방법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이를 위해 중 · 고등학교 내용 체계 간의 동일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한편, 학생의 흥미를 유도하고 재미있는 학습을 위해 이전 교육과정 문서 체제와 달리 영역별로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가 신설되었는데, 이는 환경 과목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에 적용되었다. 앞으로 개정 환경 교육과정이 의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의 사례개발 및 보급과 지역적 여건이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마련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major changes in development of the 2015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inforcement of integrative approaches and the highlights of substantiality have been pursued in this curriculum revision. A set of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Environment subject has been proposed in connection between key concepts and core subject competencies. To minimize duplication of content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it was attempted in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differentiate the approaches based on school levels while maintaining the linkage, hierarchy, and framework of contents as a subject. In middle school level, exploring local environment in schools or communities is highlighted as a meaningful teaching-learning approach. In high school level, constructive approaches such as project-based and issue-based inquiries and newly introduced event-based inquiry are incorporated for higher level competencies.

      • KCI등재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탐색

        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3

        본 연구는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환경 개정안에서 도입된 환경 역량을 이해 및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에서 역량을 도입하게 된 취지와 환경 교육과정 문서체계에 나타난 환경 교과 핵심 역량에 대한 특징과 종류를 살펴본 다음, 각 지역사회와 학교 수준에서 학생들의 역량 함양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내용과 성취기준,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에서 환경 역량을 구체적으로 넣고자 하였다. 특히 성취기준은 내용과 기능이 결합한 형태로 환경 교과 핵심 역량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담겨 있었다. 앞으로 환경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 학교, 교사, 학생 단위에서 함양되도록 환경 핵심역량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환경 교과 내용의 핵심 개념의 명료화 및 계열화, 환경 핵심역량이 각 지역사회와 학교 수업에서 구현되기 위한 보편성과 일반화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또, 핵심 역량과 환경 내용이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교육과정 실행 구조에 대한 연구, 실제 환경 문제 상황을 어떻게 교실 상황에 끌어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 등이 후속 연구로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remind and discuss environmental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reviews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major feature of the key competencies of the ‘Environment’ subject and explores the issues that should be included for development of these competencies at the level of the school and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e subject implicates concrete competencies in the aspect of characteristics, object,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Specifically,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stated as conjunctive forms both with the content and skills for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Through this effort, the curriculum suggests strong pedagogical implication as aspec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an exploration such as clarification and sequencing in key environmental knowledge for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as well as universality and generalization for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through the environment class.

      • KCI등재

        자연미술 작품을 활용한 초등 환경미술교육 지도 방안

        문채영,이상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is study sought the guidance for environment art education utilizing natural art by examining the contents, direction, and rol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based on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For the concrete way of teaching methods utilizing natural arts in environmental arts educatio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nalys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much the curriculum included contents of environment. For guidance, a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developed depending on the areas of ‘Experience, Expression, Appreciation’, which has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effective guidance of ‘Experience’ area, students should enhance an aesthetic perspective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the activities in their life and help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style of art and take advantage of them. Also, the link should be considered betwee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rea before establishing a teaching plan. Second, for the effective guidance of ‘Expression’ area, increasing the motivation of students should be needed through utilizing a variety materials and methods. Also, environmental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expression activities for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in art curriculum. Third, for the effective guidance of ‘Appreciation’ area, it is important to utilize environmental activist, environmental art such as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and anecdotes and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for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for environmental issues.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to utilize a variety of viewing perspective like subject,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and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e background in order to have a comprehensive discernmen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depth study on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he practice and activity are related to the ideology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re need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2009 및 2015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환경교육 및 환경미술교육의 내용과방향,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자연미술 작품을 활용한 환경미술교육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2009 개정교육과정 미술 교과서와 지도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내에 환경교육 내용의 반영 정도를 확인하여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자연미술 작품을 활용한 환경미술교육 지도방안을 구체화 하였다. 지도방안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인 체험, 표현, 감상영역에따라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영역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먼저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의 직접적인 체험활동을 통하여 미적 안목을 기를 수있도록 미술의 소통 방식을 활용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수ㆍ학습 계획을 수립하는단계에서부터 표현 및 감상영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표현영역의 효과적인 지도를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방법과 자료를 활용한 발상 지도를 통하여 학생의 표현 동기를 높여야하며 표현활동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환경문제를 고려하게 함으로서 미술과 내에서 환경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감상영역에서 교수·학습 지도 시 학습내용과 관련된 환경 운동가, 환경미술 작품, 환경 관련 정보와 일화 등을 활용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해야 하며, 표현방법, 주제, 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 사회 문화적 및 환경적 배경 등 다양한 감상의 관점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종합적인 안목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술교육은자연에 대한 기본적인 감성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나아가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본질, 자연 속에서의 인간의 존재방식 등과 연계됨으로써, 그 실천 및 활동 내용에 있어서 환경교육의 이념과 서로 통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이에 대해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됨으로 이와 관련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인식

        정철,김윤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시민으로 성 장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비과학 전공의 대학생들은 자연물 과 인공물의 복합적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또한 현재에서 미래로 지구 환경의 변화 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대학생 들이 상상하는 미래의 지구 환경의 이미지에서 자연과 함께 생존하는 인간이 그려질 수 있도록 환경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 인간이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 로 더불어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는 환경 교육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비과학 전공의 대학생 들은 미래의 지구 환경을 인간이 수정하는 공간으로 내면화 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행동 에 의해 지구 환경이 수정될 수 있다는 관점을 나타내 는 것으로 해석되며 대학에서 제공해야 하는 환경 교 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환경에 대한 교육이나 환경으 로부터의 교육이 아닌 환경을 위한 교육으로 대학의 환경 교육 방향이 전환되어야 한다. 대학 교육과정에 서 전공 여부에 차별 없이 모든 대학생들에게 지구 환 경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우리의 아들딸들 이 지구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 한 지구 환경 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e recognition for future global environment was studied targeting the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 grown as general public composing our society in this study. The rate recognizing as the complex space of natural objects and artifacts is very low for non-science majored university students. Also, the rate recognizing global environment change from now to the future as negative. The environment recognition should be changed as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can imagine the human live together with the nature in the image of future global environment. The environment education find out and practice the method that human can co-exist together to the direction of co-exist with the nature. Also, the rate internalizing future global environment as the space the human amends for non-science majored university students. This result is interpreted as shown the point of view that the glob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by the human activity, and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environment education the university should supply. The environment education direction should be converted from the eduction of environment or the eduction from environment to the education for environment. The opportunity for global environm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all university students without the discrimination on the major in the university education course. Sustainable global environment eduction is necessary for our son and daughter live on the earth continuously.

      • KCI등재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해솔,이상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 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 및 2015 개정교육과 정 내 생태계 교란 생물 관련 내용 분석을 통해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6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단일집단 설계를 통하여 7주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및 2015 개정교육과정에 생태계 교란 또는 생태계 교란 생물과 관련한 내용들은 5∼6학년군 과학과 실과 교과에서 교사의 의도적인 언급에 의해서만 학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생태계 교란의 개념 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환경태도를 측정하는 검사지를 통해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본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태도 함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 다. 셋째, 학생들의 포트폴리오와 관찰 및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생태계 교란 생물로 인 한 환경문제 뿐 아니라 우리 생활 속의 다양한 환경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이를 실천에 옮기 는 등 환경태도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우리 주변의 다양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해결에 대한 실천 의지 또한 향상시켰다. 그러므로 앞으로 환경교육 현장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 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 및 교재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ecosystem disturbance organisms for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environmental attitudes of the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sing ecosystem confounder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ecosystem disturbance with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ubjects of study were applied to 1 class in the 6th grade students us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7 weeks through the a single group of pre- and post-test desig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ecosystem disturbance or ecosystem disturbance organisms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re only allowed to be taught by teachers' intentional comments in science and practical arts subject of the 5th and 6th grade, and the concept of ecosystem disturbance has not been presented. Second,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 through the questionnaire measuring environmental attitude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portfolio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students showed an improved environmental attitude by paying attention to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in our lives as well as to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ecosystem disturbance organisms.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sing ecosystem disturbance organism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lso improved their willingness to care for and solv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round us. Therefore, further researches such as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 materials are expected to be needed in order to more systematically impl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ecosystem disturbance organisms at environmental education sites.

      • KCI등재

        그린소비자의 자기관 및 환경몰입과 환경교육

        이일한,한주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그린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환경교육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하였다. 첫째, 환경과 관련하여 더 상위수준의 자기관 개념인 생태학적 자기관(ecological self-construal)을 규명하고, 자기관이 환경몰입과 그린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환경교육 목적에 맞는 커리큘럼 모형을 개발하여 교육을 실시하여 환경교육을 실시한 집단과 환경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 간의 친환경적 행동 차이를 분석하여 환경교육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C대학교의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생태학적 자기관이 환경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몰입은 그린소비자 성향, 유사그린소비자 성향 및 비그린소비자 성향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린소비자 성향은 환경비용 추가 지불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교육을 받은 집단의 경우 생태학적 자기관, 독립적 자기관, 상호의존적 자기관, 환경몰입, 그린소비자 성향, 유사그린소비자 성향과 환경비용 추가 지불의지가 환경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비그린소비자 성향의 경우 환경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관, 환경몰입과 그린소비자 행동간의 통합적 모델을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환경교육이 그린소비자에로의 전환에 미치는 효과를 발견하였으며, 환경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construal predict commitment to environment, consumer typology, and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mor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and is to explore difference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s between consumers who receiv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nsumers who did not receive. 264 students and 108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for the study respectively and SPSS and Amos 4 were employed. The study explores as follows: First, ecological self-construal increases commitment to environment. Second, commitment to environment encourages green consumers' behaviors and quasi-green consumers' behaviors while it reduces non-green consumers' behaviors. Third, green consumers' behaviors and quasi-green consumers' behaviors increase willingness to pay mor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Finally, in the group of consumers who received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 have been presented higher levels of ecological self-constru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rual, commitment to environment, green consumers' behaviors, quasi-green consumers' behaviors, and willingness to pay mor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than in the group of consumers who did not receive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the level of non-green consumers' behaviors has been less when consumers have taken environmental education.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included.

      • KCI등재

        환경갈등 사례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나하림(Na, Ha Lim),이상원(Lee, Sang W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1

        이 연구는 환경갈등 사례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환경갈등 사례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교육과정 4학년 1학기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수준의 환경갈등 사례를 선정한 다음,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성북구 소재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2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단일집단 설계를 통하여 8주에 걸쳐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환경갈등 요소가 가장 많이 반영된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환경갈등과 연계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환경소양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환경갈등 사례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정성적 분석 결과, 학생들이 환경갈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환경갈등 문제 해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환경갈등 해결을 위해 행동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환경갈등 사례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을 함양시키는데 적합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environmental conflict cases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preparatory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curriculum, the program was created using a four-step process consisting of plann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 teaching-learning model was designed that was linked to environmental conflict focusing on social subjects that reflected the most environmental conflict factors. Twenty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sing environmental conflic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understood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conflict and expressed interest in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environmental conflict resolution. In conclusion, environmental programs using environmental conflict cas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