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대한 일고찰

        홍희정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Phonology and morphology are separate branches of linguistics that are strictly distinct. However, when observing the linguistic phenomenon that actually appears in modern Korean, it can be seen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completely the phenomenon by choosing only one subfield. In particular, the alternation of morpheme has been drawn a lot of attention as one of the phenomena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The alternation of morphem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honemes at the boundary change into other phonemes when morphemes and morphemes are combined, and the issue of whether it belongs to the domain of phonology or morphology has been discussed. In this process, the establishment of ‘morphophonology’, a new field that deals only with the alternation of morpheme, was also discussed. However, considering the problem of the unit called morphophoneme, it can be seen that the establishment of morphophonology is un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discussed the properties of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one of the examples of such interfaces. It is certainly true that there are interfaces between phonology and morphology,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through the linguistic phenomenon corresponding to these interfaces, we can understand phonology and morphology at a higher level.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is a representative linguistic phenomenon that can understand the interface between phonology and morphology. Unlike the regular conjugation, the phonological phenomenon that occurs in irregular conjugation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ombination of the stem and the ending with synchronic phonological rules or constraints. It is also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of predicates that shows the same pattern. Therefore, by examining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it is possible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음운론과 형태론은 엄밀히 구분되는 별개의 언어 부문이다. 그런데 현대국어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을 관찰하다 보면, 하나의 하위 부문만을 택하여 그 현상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형태소의 교체는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해당하는 현상 중 하나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형태소 교체는 형태소와 형태소가 결합할 때 그 경계에 놓인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를 음운론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것인지 형태론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것인지의 문제가 논의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형태소의 교체만을 다루는 새로운 부문인 ‘형태 음운론’의 설정이 논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형태 음운이라는 단위의 문제 등을 고려하면 형태 음운론의 설정이 불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이 가지는 속성과 그러한 접면의 예 중 하나인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을 논의하였다. 음운론과 형태론 사이에 서로 겹치는 부분인 접면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러한 접면에 해당하는 언어 현상을 통해 음운론과 형태론을 보다 높은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은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언어 현상이다. 불규칙 활용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은 규칙 활용과는 달리 어간과 어미의 결합을 공시적인 음운 규칙이나 제약 등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같은 양상을 보이는 용언들의 음운 환경을 일반화할 수도 없다. 따라서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을 살핌으로써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 KCI등재

        형태음운론적 교체와 형태음운부

        김경아 형태론 1999 형태론 Vol.1 No.2

        한 언어에서 어떤 음운의 연쇄에 자의적으로 의미단위인 형태소를 대응시킴으로써 형태음운의 자격을 얻게 되고, 형태음운의 연쇄인 기저형(형태음운표시)들의 내부나 혹은 경계에서 형태음운의 교체가 일어나게 되면 이는 형태음운론적 교체가 되는 것이다. 즉 우리는 형태음운론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보아 형태소 내부에서 보이는 교체, 보충법적 교체, 자동적인 교체는 물론 발화 차원의 교체까지를 아우르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우리는 형태음운부라는 독자적인 문법 부문의 설정이 필요함을 이야기하게 되는데, 단 이 문법 부문은 고유의 자질이 없는 의사부문(擬似 部門, Quasi-Module)으로서 형태부와 음운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창조되고 제한된다고 본다.

      • KCI등재

        중세한국어 곡용어미의 형태론과 음운론

        최명옥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orphology and phonology of conjugation endings in Middle Korean. Previous studies on the morphology of conjugation endings in Middle Korean have two problems. One problem is that those studies fail to determine the morpheme of each ending. Another problem is so that they could not explain the process which derives allomorphs from morpheme. I suggested solotuions of the problems in this paper. One is to determine the morphemes of conjugation endings, which are the unique morphemes and complex morphemes, based on the analyzing methods in Structual Morphology and the method for setting up the underlying forms in Generative Phonology. Another is to explaine the process which derives the allomorphs from the morpheme based on the methods which explain the phonological process in Generative Phonology. In other words, the allomorphs of a unique morpheme derive by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to the morphem in phonologial component. On the other hand, each lexicalized allomorph that consisted of the complex morpheme is selected by the lexical selection rules in syntacticㆍsemantic component firstly. After then, the allomorphs of the lexicalized allomorph which is selected derive by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to the lexicalized allomorph in phonological component. 이 논문은 중세한국어 곡용어미에 대한 형태론과 음운론을 목적으로 한다. 중세 한국어 곡용어미에 대한 종래의 형태론에서 두 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곡용어미의 형태소를 설정하지 못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형태소에서 이형태들이 도출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그들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제시했다. 하나는 구조주의 형태론의 형태분석 방법과 생성음운론에서의 기저형 설정 방법을 바탕으로 곡용어미들의 형태소(단일형태소와 복합형태소)를 설정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생성음운론에서 음운과정을 설명하는 방법을 바탕으로 형태소로부터 이형태들이 도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단일형태소의 이형태들은 음운부에서 단일형태소에 음운규칙이 적용됨으로써 도출된다. 한편 복합형태소를 구성하는 각 어휘화한 이형태는 먼저 통사ㆍ의미부에서 어휘선택규칙에 의해서 선택된다. 그렇게 선택된 어휘화한 이형태의 이형태들은 음운부에서 어휘화한 이형태에 음운규칙이 적용됨으로써 도출된다.

      • KCI등재

        음운현상과 이론 - 비음운론적 정보의 처리를 중심으로 -

        권경근 우리말학회 2008 우리말연구 Vol.22 No.-

        비음운론적 조건을 지닌 음운현상은 예외로 다루어지거나 특 정한 음운이론 내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는 다른 부문과 연 관지어 설명되었다. 이 글은 비음운론적 조건 또는 정보를 지닌 음운 현상이 지금까지 어떻게 다루어왔는지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를 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음운론적 조건을 지닌 음운현상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진다. 비음운론적 조건이 음운부 이외의 부문 또는 그 하위 부문 전체와 연 관되어 음운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몇몇 어휘에 한정되어서 음운현 상이 일어난 경우와 구분된다. 이 글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음운론과 다른 부문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난 인접현상(interface)으로 보고, 이러한 조건 및 제약을 각 부문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즉, 비음운론적 조건에 따라 음운론과 형태론, 음운론과 통사론의 상호작용 및 유추 적 작용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하지만 비음운론적 조건을 지닌 음운현상이 어떤 부류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몇몇 어 휘에 나타나는 경우, 다른 부문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나 인접현상으로 파악하지는 않는다. 비음운론적 조건을 지닌 음운현상은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라 음운 부와 다른 부문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난 인접현상으로 파악되고 통합 적인 언어활동의 결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며, 앞으로 이러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음운론적 유형과 형태론적 유형의 초기 철자발달

        양민화(Minwha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철자문제와 교수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아직 아동의 철자발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철자결과를 분석하여 철자유형들을 통계적 요인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들의 발달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의 단어에 등장하는 철자유형들을 포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철자검사를 147명의 1, 2, 3학년 학생에게 실시하였다. 검사한 철자유형들은 모두 14개 유형들이었으며 이들 유형들의 군집화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군집화된 철자 유형들의 발달양상을 보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성분분석 결과 14개의 철자유형들 중 11개 유형들이 군집화 양상을 보였으며 크게 두 유형으로 군집화할 수 있었다. 이들 군집은 각각 음운론적 전략만으로 철자가 가능한 음운론적 유형과 형태론적 지식을 활용해야 하는 형태론적 유형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둘째, 일원분산분석 결과 음운론적 유형보다는 형태론적 유형에서 발달양상이 두드러졌다. 이는 음운론적 유형에 대하여 1학년 학생들이 매우 높은 철자 정확도를 보였기 때문이었다. 음운론적 유형의 발달은 형태론적 유형보다 앞섰으며 형태론적 유형 중에서도 일부의 유형들은 3학년에 이르기까지 발달이 부진하였다. 논의 및 결론: 다른 표음문자권의 이전 연구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글의 철자발달도 음운론적 유형의 철자발달이 형태론적 유형의 철자발달에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론적 유형들은 3학년에서도 철자발달이 완성되지 않았으며 이는 고학년에서도 발달이 계속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Previous research has emphasized the effectiveness of phonics approach. In order to construct an effective phonics intervention,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sequence of spelling features that students acquire as they matu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incipal linguistic constructs that consist words that primary students learn an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spelling features. Methods: One hundred and forty-seven students in grade 1 to 3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pelling test which was designed to examine 14 different spelling features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those 14 features into principal feature groups, and ANOVA test was applied in order to observe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spelling feature groups in three different grades. Results: The observed spelling featur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amely phonological features and morphological features. Phonological features were developed more rapidly than morphological features and some phonological features seemed to be mastered by the first grade. Conclusion: When a teacher develops a phonics program for students in primary grade, they need to ensure the students' spelling acquisition of phonological features before teaching morphological features.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pelling vowel features needs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investigation.

      • KCI등재

        국어 음운 현상에서 비음운론적 정보의 처리와 관건

        김영선 우리말학회 2008 우리말연구 Vol.22 No.-

        이 글은 국어의 음운 규칙에 작용하는 비음운론적 정보의 생성 원인과 그것의 문법적 성격 및 처리 방안을 연구사적인 측면에 서 다루었다. 비음운론적 정보의 존재는 국어의 음운 현상을 논의하 는 과정에서 풍부한 음운론적, 형태론적 해석의 가능성을 가져다준 반면 음운 규칙의 일관된 적용을 방해하고 음운 현상의 본질을 구명 하는 장애물로 기능하였다. 비음운론적 정보가 규칙의 적용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은 1970년대 이후 점진적으로 알려져 왔 지만 그것들이 가지는 문법적 의미는 1980년대 후반 들면서 본격적 으로 해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비음운론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 기 위한 다양한 이론적 방안이 쏟아졌지만 규칙 체계의 전체적인 모 습을 고려할 때 만족스러운 합의는 여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평 가할 수 있다. 결국 음운 현상과 관련되는 비음운론적 정보에 대한 보다 차원 높은 논의가 본격화해야 할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으며, 이 러한 점에서 지금까지 형식화되어 왔던 규칙과 비음운론적 정보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새롭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3학년 학령기 아동의 형태소인식과 읽기능력

        정경희(Kyung-Hee J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형태소인식은 의미의 기본단위를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그 구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 최근 형태소인식이 음운해독 및 읽기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읽기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형태소인식과 읽기능력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해독 및 읽기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서 형태소인식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1-3학년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수용어휘,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 음운기억, 단기 및 작업기억, 음운해독, 읽기 유창성, 읽기이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음운해독과 읽기이해능력에 대한 형태소인식의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소인식이 빠른이름대기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형태소인식과 읽기이해 간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형태소인식이 음운해독과 읽기이해능력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영어권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경우도 형태소인식능력이 읽기학습의 평가 및 중재에서 중요한 변인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결과의 요약 형태소인식의 임상적 의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Morphological awareness is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semantic units and manipulate their structures. In recent years, a growing number of researches suggest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s.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reading ability, studies on the relation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are limited to the Korean langu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rphological awareness on the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from grades 1 to 3. Methods: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of receptive vocabulary,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automatized naming, phonological memory,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fluency,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as conducted among 48 elementary students from grades 1 to 3.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outcom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all other variables except for rapid automatized naming. The strongest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as observed. Seco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Conclusi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improving reading ability which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 the English literature. Clinical implication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성서 희랍어 부정소에 대한 소고

        정인기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6

        This article studies various aspects of the two syntactic negators in Biblical Greek (i.e., New Testament Greek or Koine Greek) and provides Generative Grammar analyses of different kinds of allomorphy of these negators based on their phonolog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behaviors. Biblical Greek has two syntactic negators depending on finiteness and mood of the verb in the give clause: οὐ (ou) found with a finite indicative verb form and μή (mē) with other verb forms. The finite indicative form οὐ further shows phonological variation depending on the independent use of the word and on the following segment. The οὐ (ou) form is used before a word beginning in a consonant other than [h] or when it is used as a separate word, οὐκ (ouk) is used before a word beginning in a smooth breathing, i.e., a vowel, and οὐχ (ouch) appears before a word with a rough breathing, i.e., [h]. The οὐ ~ οὐκ ~ οὐχ alternation is analyzed in the framework of Generative Phonology (Chomsky & Halle 1986). The current analysis identifies the form with the non-aspirated stop, rather than the form without consonant, as the basic form of the finite indicative negator, providing the two rules deriving the other forms: the consonant deletion rule for the consonant-less variant and the aspiration rule for the form with the final aspirated stop. It is also argued that the domain of application of these rules is the phonological word. The οὐ(κ) ~ μή variation is analyzed in the framework of Distributed Morphology (Halle & Marantz 1993). Geared with separation of phonological and non-phonological features in syntactic derivations and with late insertion of phonological features (i.e., vocabulary items), the proposed analysis provides more straightforward descriptions and explanations for the two negators. It is thus argued that Distributed Morphology is superior to lexicalism (Kiparsky 1982). 본고는 코이네(Koine)라고도 칭하는 성서 희랍어의 문법적 부정요소의 여러 행태를고찰하고 그러한 음운적, 형태적, 통사적 특징과 양상을 현대언어학의 여러 이론으로분석한다. 성서 희랍어에는 문장 부정소가 둘 있다. 해당 부정소가 나타나는 절의 시제가 한정형이냐 아니냐, 그리고 서법이 직설법이냐 아니냐에 따라 한정형 직설법 형태 οὐ(ou)와 그 외의 절에서 나타나는 μή(mē)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중 οὐ는 단독어휘로 쓰이는지 여부와 뒤따르는 분절음의 종류에 따라 οὐ ~ οὐκ ~ οὐχ의 교체를 보인다. 본고는 먼저 이들 부정소의 음운형태적, 형태통사의미적 조건에 따른 다양한 행태를 고찰하고, 이에 대한 분산형태론(Distributed Morphology, Halle & Marantz 1993) 과 생성음운론(Generative Phonology, Chomsky & Halle 1986)의 분석을 제시한다. 분석을 통하여 한정형 직설법의 부정소 형태와 그 외 절의 부정소 형태 사이의 음운적관계를 포착함에 있어서 분산형태론적 분석이 어휘론(어휘주의 가설)적 분석보다 우월함을 보인다. 또한, 흔히 성서학 분야에서 편의상 상정하는 것과는 달리 부정소의한정형 직설법 형태의 기본형이 οὐ가 아닌 οὐκ임을 보인다. 아울러 한정형 직설법 부정소 형태의 음성형이 정해지는 영역은 음운어임을 보인다.

      • KCI등재

        이형태 교체의 조건에 대하여

        이영제 형태론 2020 형태론 Vol.22 No.2

        It is common to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and 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in Korea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ypologically that alternation, which is a condition of a specific grammatical properties, is observed cross-linguistically. Second, based on this, it is argued that the semantic condition at the level of grammatical properties in Korean can be a condition that determines alternation. Semantic conditions according to grammatical properties are distinct from lexical semantic conditions and are grammatical conditions that are also distinct from phonological conditions. The semantic condition of the grammatical properties was also treated as a syntactic condition or a syntactic-semantic condition. However,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 morphosemantic condition instead of a syntactic condition because the alternation discussed is due to the semantic condition of grammatical properties. 한국어 형태소의 이형태 교체 조건은 음운론적 조건과 형태론적 조건으로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중 쟁점은 형태론적 조건과 주로 관련되는데, 이 연구는 첫째, 형태론적 조건 중에서 특정한 형태나 어휘의 출현이라는 조건 이외에 특정한 문법적 기능이 조건이 되는 교체 현상이 범언어적으로 관찰되고 있음을 유형론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이를 토대로 한국어에서도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이형태 교체를 결정하는 조건이 될 수 있음을 검토한다. 이때의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순수 어휘적 의미 조건과 구별될 필요가 있으며 음운적 조건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문법적 조건이다.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통사론적 조건 등으로 다루어지기도 하였으나 본고에서는 관련되는 이형태 교체 현상들이 형태론적 맥락을 벗어난 것은 아니며 문법적 의미 기능에 의한 것으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형태의미론적 조건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어 문법론 연구에서 유형론적 접근방식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와 같은 흐름이 근래 들어 더욱 분명해졌으나 형태론 분야에서는 제한적인 부분에 그치고 있는 듯하다. 이 연구는 한국어 형태론 연구에서 유형론적 접근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형태적 동인과 음성-음원적 동인의 대립과 조화

        김원회(Kim, Won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8 No.1

        본 논문은 불가리아어에서 명사가 복수로 변하거나 관사를 붙이는 경우 일정한 패러다임 내에서 변화를 하지 않고 특이한 형태로 변화하는 경우를 분석한 것이다. 이 경우 학교 문법에서는 불규칙 형태로 간주하지 않고 일정한 문법 범주 내에서 용인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는데 이러한 예외적 용례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발생하고 화자들은 이것을 어떠한 범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한국어 화자들에게 이러한 현상을 교육할 때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이 현상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서 연구되고 집필되었다. 연구 대상을 불가리아어로 선택한 것은 불가리아어가 다른 슬라브어들과는 달리 분석적인 언어구조를 띠고 있으며, 국내에서 아직 연구가 일천하며, 측히 명사류의 변화에 있어서 슬라브어에서는 유일한 후치 정관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위 현상과 관련된 많은 용례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구성면에서 우선 불가리아 명사 복수 형성 과정과 후치 정관사 운용에 대하여 본론의 전반부에서 서술하고 있다. 그 다음 본론의 중반부에서 복수 형태와 후치 정관사 형태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특이 형태들이 어째서 이러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그 형태를 띠게 하는 언어학적 이유는 무엇인지를 기본적(초기) 최적성 이론의 틀 속에서 8개의 제약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пepдe-тa, кoпera-тa, пpoпeт-тa, дeцa-тa등의 형태가 분석되어진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제약들 중에서 음성-음운적 제약들이 더 중요시 되며, 특히 가장 많은 경우에 Pre-тa(-тa혙대소 선호 제약), End-Feature Copy(어말 자질 복사 제약)제약이 제일 상위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ontroversy and Harmony of Phonetic-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Factors in Language Use. The target language of this study is Bulgarian. Bulgarian language is the south slavic language with the specific analytic features. The main research sources of this study are plural endings and definite articles of Bulgarian nouns. In the first and second chapter, the author describes the change paradigms of plural endings and definite articles of Bulgarian nouns. In the third chapter, he analyzes the best distinguish examples like пepдe-тa, кoпera-тa, пpoпeт-тa, дeцa-тa by the help of Optimality Theory. Ranking the importance of the constraints, he proposes the following 8 constraints. They are *VV, CV, C1V1C1V1, End-Feature Copy(as the phoneticphonological constraints) and Paradigm Faith, Historical Analogy, *Confusion, Pre-тa(as the morphological constraints).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 the choice of best plural endings of пepдe, *VV, CV, Pre-тa constraints are most strong. in the choice of definite article forms of кoпera and дeцa, End-Feature Copy and *VV constraints are most strong. For the пpoпeт, Paradigm Faith, *Confusion and *VV are winner constr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